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창업·벤처 생태계 측정에 관한 연구

        김선우,진우석,곽기현,고혁진 한국벤처창업학회 2021 벤처창업연구 Vol.16 No.6

        The importance of startups and ventures in the Korean economy is growing. This study measured whether the start-up and venture ecosystem is growing, including the growth of startups and ventures. The startup and venture ecosystem consists of startups and ventures, investors, and government, which are the main actors of the 'ecosystem', and their movements were measured with 25 quantitative indicators. Based on the original data of the time series from 2010 to 2020, the startup and venture ecosystem index was calculated by applying weights through the comprehensive stock index method and AHP. In 2020, the startup and venture ecosystem grew 2.9 times compared to 2010, and the increase in the government index had a significant impact on growth. Also, the individual indicators that make up each index in 2020, the corporate index had the greatest impact on the growth of the number of 100-billion ventures, while the investment index had a recovery amount and the government index had a significant impact. Based on the original data, the startup and venture ecosystem index was analyzed by dividing it into ecosystems (startup ecosystem and venture ecosystem), industry by industry (all industries and manufacturing industry), and region (Korea and Busan). As a result, the growth of the startup ecosystem over the past decade has been slightly larger than that of the venture ecosystem. The manufacturing was lower than that of all industries, and Busan was lower than that of the nation. This study was intended to use it for the establishment and implementation of support policies by developing, measuring, and monitoring the startup and venture ecosystem index. This index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research the interrelationships between major actors, and anyone can calculate the index using the results of official statistical surveys. In the future, it is necessary to continuously update this content to understand how economic and social events or policy support have affected the startup and venture ecosystem. 한국 경제에서 창업·벤처기업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이 연구는 창업·벤처기업의 성장을 포함하여 창업·벤처 생태계가 성장하고 있는지 측정하였다. 창업·벤처 생태계는‘생태계’의 주요 행위자인 창업·벤처기업, 투자기관, 정부로 구성하고, 이들의 주요 활동을 정량적 지표 25개로 측정하였다. 창업‧벤처 생태계 지수는 25개 지표의 2010~2018년의 시계열 원자료를 토대로 종합주가지수 방식과 AHP를 통한 가중치를 적용하여 산출하였다. 2018년 창업·벤처 생태계는 2010년에 비해 2.1배 성장하였으며, 정부 지수의 증가가 성장에 큰 영향을 미쳤다. 2018년 각각의 지수를 구성하는 개별지표를 보면, 기업 지수는 천억 벤처기업의 수, 투자 지수는 회수금액, 정부 지수는 모태펀드 출자금액이 성장에 가장 큰 영향을 주었다. 원자료를 토대로 창업·벤처 생태계 지수를 생태계별(창업생태계와 벤처생태계), 업종별(전업종과 제조업), 지역별(전국 평균과 지역)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지난 8년간 창업생태계의 성장이 벤처생태계의 성장 보다 근소한 차이로 컸다. 제조업 창업·벤처 생태계는 전업종 보다 낮게 나타났으며, 예시로 살펴본 부산의 창업·벤처 생태계 지수는 전국 보다 낮게 나타났다. 이 연구는 창업·벤처 생태계 지수를 개발 및 측정하여 모니터링 함으로써 지원 정책의 수립 및 시행에 활용하고자 했다. 이 지수는 주요 행위자 간의 상호관계를 파악해 볼 수 있으며, 공식적인 통계조사 결과를 활용하여 누구라도 지수를 산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향후 이 내용을 지속적으로 업데이트하여 경제사회적 사건이나 정책적 지원이 창업·벤처 생태계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 파악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생성 AI 스타트업에 대한 벤처투자 분석과 예측: 미국과 한국을 중심으로

        이승아,정태현 한국벤처창업학회 2023 벤처창업연구 Vol.18 No.4

        Expectations surrounding generative AI technology and its profound ramifications are sweeping across various industrial domains. Given the anticipated pivotal role of the startup ecosystem in the utilization and advancement of generative AI technology, it is imperative to cultivate a deeper comprehension of the present state and distinctive attributes characterizing venture capital (VC) investments within this domain. The current investigation delves into South Korea's landscape of VC investment deals and prognosticates the projected VC investments by juxtaposing these against the United States, the frontrunner in the generative AI industry and its associated ecosystem. For analytical purposes, a compilation of 286 investment deals originating from 117 U.S. generative AI startups spanning the period from 2008 to 2023, as well as 144 investment deals from 42 South Korean generative AI startups covering the years 2011 to 2023, was amassed to construct new datasets. The outcomes of this endeavor reveal an upward trajectory in the count of VC investment deals within both the U.S. and South Korea during recent years. Predominantly, these deals have been concentrated within the early-stage investment realm. Noteworthy disparities between the two nations have also come to light. Specifically, in the U.S., in contrast to South Korea, the quantum of recent VC deals has escalated, marking an augmentation ranging from 285% to 488% in the corresponding developmental stage. While the interval between disparate investment stages demonstrated a slight elongation in South Korea relative to the U.S., this discrepancy did not achieve statistical significance. Furthermore, the proportion of VC investments channeled into generative AI enterprises, relative to the aggregate number of deals, exhibited a higher quotient in South Korea compared to the U.S. Upon a comprehensive sectoral breakdown of generative AI, it was discerned that within the U.S., 59.2% of total deals were concentrated in the text and model sectors, whereas in South Korea, 61.9% of deals centered around the video, image, and chat sectors. Through forecasting, the anticipated VC investments in South Korea from 2023 to 2029 were derived via four distinct models, culminating in an estimated average requirement of 3.4 trillion Korean won (ranging from at least 2.408 trillion won to a maximum of 5.919 trillion won). This research bears pragmatic significance as it methodically dissects VC investments within the generative AI domain across both the U.S. and South Korea, culminating in the presentation of an estimated VC investment projection for the latter. Furthermore, its academic significance lies in laying the groundwork for prospective scholarly inquiries by dissecting the current landscape of generative AI VC investments, a sphere that has hitherto remained void of rigorous academic investigation supported by empirical data. Additionally, the study introduces two innovative methodologies for the prediction of VC investment sums. Upon broader integration, application, and refinement of these methodologies within diverse academic explorations, they stand poised to enhance the prognosticative capacity pertaining to VC investment costs. 생성 AI 기술의 막대한 파급력에 대한 기대가 산업계를 휩쓸고 있다. 생성 AI 기술의 활용과 발전에 창업생태계가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되는 만큼, 이 분야의 벤처투자 현황과 특성을 더 잘 이해하는 것도 중요하다. 본 연구는 생성 AI 기술과 창업생태계를 주도하는 미국을 비교 대상으로 삼아 한국의 벤처투자 내역을 분석하고 향후 벤처투자 금액을 예측한다. 분석을 위해서 미국의 117개 생성 AI 스타트업의 2008년부터 2023년까지 286건의 투자 내역과 한국의 42개 생성 AI 스타트업의 2011년부터 2023년까지 144건의 투자 내역을 수집하여 새로운 분석 자료를 구축했다. 분석 결과, 생성 AI 기업의 창업과 벤처 투자가 최근 들어 급증하고 있으며, 초기 투자에 절대다수의 투자 건이 집중됐다는 점이 미국과 한국에서 공통적으로 확인됐다. 양국의 차이점도 몇 가지 발견됐다. 미국의 경우 한국과는 다르게 같은 투자 단계에서 최근의 투자 규모가 그 이전보다 285%에서 488%까지 증가했다. 단계별 투자 소요 기간은 한국이 미국보다 다소 길었으나 그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다. 또한, 전체 벤처투자 금액 중 생성 AI 기업에 대한 투자 비중도 한국이 미국보다 높았다. 생성AI의 세부 분야별로는 미국은 텍스트와 모델 분야에 전체 투자액의 59.2%가 집중된 반면, 한국은 비디오, 이미지, 챗 기술에 전체 투자액의 61.9%가 집중돼 차이를 보였다. 2023년부터 2029년까지 한국의 생성 AI 기업에 대한 벤처 투자 예상 금액을 네 가지 다른 모델로 예측한 결과, 평균 3조 4,300억 원(최소 2조 4,085억 원, 최대 5조 919억 원)이 필요할 것으로 추정됐다. 본 연구는 미국과 한국의 생성 AI 기술 분야의 벤처투자를 다각도로 분석하고, 한국의 벤처투자 예상 금액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실무적 의의를 찾을 수 있다. 또한, 아직 학술적 연구가 충분하지 않은 생성AI 벤처투자에 대한 현황을 구체적 자료와 실증근거를 통해 분석함으로써 향후 깊이 있는 학술 연구의 토대를 제시한다는 점에서 학술적 의의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벤처투자 금액 예측을 위한 방법 두 가지를 새롭게 개발하여 생성 AI의 향후 벤처투자 금액을 예측하는데 적용했다. 이 방법도 후속 학술 연구에서 다양한 분야로 확장·적용되고 정제된다면 벤처투자 예상 금액 예측 방법을 풍부하게 하는 데 공헌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창업경험 특성이 벤처창업기업 성과에 미치는 영향: 업력의 조절효과

        박상문,이미순 한국벤처창업학회 2019 벤처창업연구 Vol.14 No.4

        This paper investigates the effects of prior entrepreneurial experience on new venture performance. Entrepreneurial experience has significant impacts on the early development processes of new ventures founded by experienced entrepreneurs. There are inconclusive results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entrepreneurial experience and new venture performance. Based on the data of Korean new ventures, this paper empirically analyze these relationships of different entrepreneurial experience on new venture performance. Success experience has positive effects on employment but no effect on financial performance. Failure experience has negative relationships with financial performance as well as employment. There are moderating effect of firm age on the relationship of only failure experience with performance. Finally this paper suggests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of entrepreneurial experience on new ventures’ development and performances. 본 연구에서는 창업가의 창업경험 특성이 벤처창업기업의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창업가의 이전 창업경험은 벤처창업기업의 중요한 인적자본으로서 후속 창업시 벤처창업기업의 운영과 성과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여겨져 왔다. 창업가의 이전 창업경험이 벤처창업기업의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기존 실증적 연구결과들은 일관된 결과들을 보여주지 못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벤처창업기업들을 대상으로 창업가의 창업경험 특성을 성공창업경험과 실패창업경험으로 구분하고 벤처창업기업의 성과에 미치는 영향과 업력의 조절효과에 대해 실증적으로 살펴보았다. 창업경험특성에 따라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다르게 나타나고 있다. 성공창업경험은 고용에는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나 재무적 성과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실패창업경험은 고용과 재무적 성과 모두에서 부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업력에 따른 조절효과는 실패창업경험에서는 정의 조절효과가 나타나고 있으나 성공창업경험에서는 유의한 조절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창업경험의 특성(성공 또는 실패)에 따라 이후 벤처창업기업의 성과에 상이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벤처창업기업의 업력이 늘어나면서 이전 창업경험의 효과는 더욱 강화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어 창업경험과 성과간의 단기적인 영향관계와 장기적인 영향관계가 다르게 나타나고 있음을 보여준다. 실무적 시사점으로는 창업가의 창업경험의 효과가 경험특성에 따라 다르게 나타날 수 있음을 이해할 필요가 있으며 창업경험이 있는 창업가들에 대한 정책적 지원에 있어서도 창업경험의 특성과 효과를 높일 수 있는 지원방안에 대한 고려가 필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 KCI등재

        한국과 중국 청두의 창업생태계 비교에 관한 연구: 질적 연구를 중심으로

        곽혜진,이무원 한국벤처창업학회 2018 벤처창업연구 Vol.13 No.5

        While strong investments on startup and venture ecosystem prosper worldwide, growing interest on nurturing startup ecosystem in Korea is also on its way. However, korean entrepreneurial ecosystem currently results few successful business models with those continuous development of itself compared to the one in China, which is breeding more than 50% of unicorns internationally. Accordingly, this study examined how people in the venture ecosystem, especially in IT industry feel about themselves and startup itself and compared startup ecosystem in Seoul, Korea to the one in Chengdu, China considering each of economic, social and administrational environment. The study tried to provide an implication about the future orientation of Korea’s starup and venture ecosystem to policy makers and the ones inside the environment to make a better one. Therefore, the study choose Seoul, Korea and Chengdu, China as geological specimens of startup ecosystem and conduct qualitative study by interviewing selected ones who work in startup incubator, accelerator specified to IT industry and started their own business in IT industry funded by startup reward program. The study categorize the result in social, economic, and administrative parts and screens whether the interviewees from both Korea and China have similar opinions toward each of questions and can be translated to have tendency or not in each part of study. According to the study, the national recognition of startup should be moved from means of maintenance such as restaurants, franchise business to IT startup especially based on software business for the sustainable flourish in Korean venture ecosystem. Investors including accelerator, Angel investors and VCs should be less risk-aversion and therefore prefer stake purchase to solely giving subsidies. The role of governors should be limited to be a middleman of the network, connecting each people in need inside the ecosystem and their reward program should focus on nurturing the growing ones, not just multiplying the numbers of startups to expand the size of entrepreneurial ecosystem. Since this study indicated that entire revision of startup ecosystem should be applied to make a better one, it could be used to design future entrepreneurial infrastructure and the ways of activating startup ecosystem elsewhere in Korea. 세계 각국의 창업 활성화를 위한 노력과 더불어 한국의 창업에 대한 관심 역시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한국의 창업생태계는 발전을 거듭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성공 모델을 지속적으로 양성하지 못한다는 한계를 지닌다. 이에 본 연구는 한국의 서울, 중국의 청두를 지리적 표본으로 선정하여 해당 지역의 창업생태계에서 기술창업 중심의 창업보육센터 종사자, 창업가와 인터뷰를 진행하고 그 결과를 사회, 경제, 정책적 부분으로 나누어 비교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한국의 창업생태계의 발전을 위해 먼저 창업에 대한 인식이 생계형 창업에서 소프트웨어 기반 기술창업으로 이전되어야 하며, 투자환경 내 투자자는 단발적 지원금 대신 합자, 지분 매수와 같은 적극적인 투자방법을 써야 한다는 시사점을 제공했다. 또한 정부는 단순히 창업기업의 수를 늘리는 것이 아니라 스타트업의 성장에 초점을 맞추어 지원해야 한다는 결론을 도출했다는 점에서 향후 창업인프라 조성과 창업생태계 활성화 방안 마련 등의 정책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중소·벤처기업의 창업 성공요인에 대한 상대적 중요도 분석

        이설빈 한국벤처창업학회 2017 벤처창업연구 Vol.12 No.3

        With increasing the importance of venture startup in the national economy, a trend shows that the government's policy support for venture startup is not only strengthened, but also entrepreneurial enthusiasm is increasing. In order for this trend to continue as an ongoing phenomenon, not a temporary phenomenon, venture startups should continue to grow with survival competitiveness. In this respect, there is a time when it is necessary to study the factors affecting the success of venture startups more than ever. There is a limit to seeing main factors, which affect the entry into the growth stage with survival competitiveness for the success of venture startups, as only ‘entrepreneur capacity’ and ‘differentiation strategy’ claimed by existing previous studies. As a more fundamental factor, entrepreneurial behavior is important in terms of opportunity discovery and opportunity utilization, but research into this falls short of expectations. This study is intended to look into success factors of venture startup. To achieve this, a survey was empirically carried out to CEOs in 100 small and medium venture startups through AHP analysis. The results are as follows. As stated above, entrepreneurship of success factors in venture startups is considered most critical, followed by innovation, economics, and technology. And ‘entrepreneur's competency’, ‘positive entrepreneurial motivation’, ‘creative technology utilization’, and ‘continuous investment in technical development’ are considered most critical for ‘entrepreneurship’, ‘innovation’, ‘technology’, and ‘economics’ as sub-factors, respectively. Consequently, entrepreneur's entrepreneurship that has been required in general startups is a critical factor to be also in common required in venture startups. This means that they can secure the competitiveness of venture startup along with continuous investment support in business startup with a positive mindset and their own technological competence as innovators to overcome the risk and uncertainty of business startup as entrepreneurship that marks the start of a new enterprise. 벤처창업이 국가경제에서 차지하는 중요성이 증가함에 따라 벤처 창업에 대한 정부의 정책적 지원도 강화되고 있고, 창업 열기도 점점 확산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이러한 추세가 일시적 현상이 아닌 지속적으로 이어지기 위해서는 벤처창업기업이 생존 경쟁력을 갖춰 성장세를 이어갈 수 있어야 한다. 이러한 점에서 벤처창업기업의 성공에 미치는 영향요인에 대한 연구가 그 어느 때보다 필요한 시점이다. 벤처창업기업의 성공을 위한 생존 경쟁력을 갖추고, 성장단계로 진입하는데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으로 기존 선행 연구에서 주장하는‘창업가 역량’,‘차별화 전략’만으로는 한계가 있다. 보다 근원적인 요인으로 기회발견과 기회활용이란 측면에서창업행동이 중요성을 갖는데 이에 대한 연구는 상대적으로 미흡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벤처창업의 성공요인을 밝히는데 목적을 갖고 중소·벤처경영기업 100개사 CEO를 대상으로 AHP분석 방법을 통해 실증 조사하였으며, 그 결과를 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벤처창업 성공요인으로 창업가정신이 가장 중요시되는 것으로 나타났고 그 다음 혁신성과 경제성, 기술성 순으로 상대적 중요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하위요인에서의 창업가정신에서는 창업자의 역량과 혁신성에서는 긍정적 창업동기, 기술성에서는 창조적 기술 활용이 경제성에는 기술개선을 위한 지속적인 투자지원을 가장 중요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일반 창업에서 가장 요구돼왔던 창업자의 기업가 정신이 벤처창업에서도 공통적으로 요구되는 요인임을 실증해 주었다. 또한 새로운 기업의 시작을 알리는 창업정신으로서의 창업의 위험과 불확실성을 극복하기 위한 혁신자로서의 긍정적인 마인드와 독자적 기술역량을 가지고 창업에 임할 때 지속적인 투자지원과 함께 벤처창업의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음을 시사해 준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 벤처기업 입지와 고급노동력의 공간적 관계성에 관한 연구

        기정훈 한국벤처창업학회 2006 한국벤처창업학회 학술대회 Vol.2006 No.11

        지금까지의 벤처기업에 관한 연구에서는 어떤 산업에서 벤처기업의 창업이 활발한가에 관한 것이었다면, 최근의 관심은 산업이라기보다는 특정 전문직종이나 개인의 경제 사회적인 특징에 관한 것이다. 특별히 대학(교)이상의 학위를 가지고 있는 고급노동력의 인적자원들이 성공적인 벤처기업을 창업 및 운영하고 있다는 점이 주목받고 있으며, 이들의 공간적 특성과 관계성에 대한 연구는 의미를 갖는다. 벤처기업협회의 벤처기업입지에 관한 자료와 통계청에서 제공하는 지역별, 교육수준별 인구통계를 이용하여 그 관계성을 분석하였다. 우리나라의 지역들 중에서 경기도는 벤처기업이 가장 활발하게 창업되고 있는 지역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는 단순히 대학(교) 교육 이상을 받은 고급노동력이 경기도로 몰려오기 때문만은 아니다. 경기도로 오는 인적자원들은 실제로 기업가정신(entrepreneurship)이 왕성한 고급노동력들인 것이다. 이와 함께, 대전/충남지역 역시 그 지역의 고급노동력의 비율에 비해서 높은 비율로 벤처기업이 창업되고 있음이 발견되었다. 서울과 인천과 같은 수도권 지역 역시 벤처창업이 상대적으로 왕성함이 발견되었다. 반면에 수도권과 충청권을 제외한 지방지역에서는 각 지역들이 보유하고 있는 고급노동력에 비해서 벤처기업의 수가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나고 있다. 이에 대한 지방정부 차원에서의 노력이 요망되며, 특별히 연구개발기능의 유치와 지역대학의 연구기능 강화를 위한 대책이 마련되어야 한다.

      • KCI등재

        근거이론 접근법을 이용한 소셜벤처 창업 현상에 관한 고찰

        설병문,김영락 한국벤처창업학회 2023 벤처창업연구 Vol.18 No.1

        The social venture start-up phenomenon is found from the perspectives of social enterprise and for-profit enterprise. This study aims to fundamentally explore the start-up phenomenon of social ventures from these two perspectives. Considering the lack of prior research that researched both social and commercial perspectives at the same time, this paper analyzed using grounded theory approach of Strauss & Corbin(1998), an inductive research method that analyzes based on prior research and interview data. In order to collect data for this study, eight corporate representatives currently operating social ventures were interviewed and data and phenomena were analyzed. This progressed to a theoretical saturation where no additional information was derived. The analysis results of this study using the grounded theory approach are as follows. As a result of open coding and axial coding, 147 concepts and 70 subcategories were derived, and 18 categories were derived through the final abstraction process. In the selective coding, 'expansion of social venture entry in the social domain' and 'expansion of social function of for-profit companies' were selected as key categories, and a story line was formed around this. In this study, we saw that it is necessary to conduct academic research and analysis on the competitive factors required for companies that pursue the values ​​of two conflicting relationships, such as social ventures, to survive with competitiveness. In practice, concepts such as collaboration with for-profit companies, value combination, entrepreneurship competency and performance improvement, social value execution competency reinforcement, communication strategy, for-profit enterprise value investment, and entrepreneur management competency were derived. This study explains the social venture phenomenon for social enterprises, commercial enterprises, and entrepreneurs who want to enter the social venture field. It is expected to provide the implications necessary for successful social venture startups. 본 연구는 최근 늘어나고 있는 소셜벤처 창업 현상을 사회적기업의 관점과 영리기업의 관점에서 분석하여, 두 가지의 상이한 또는 대립적이기도 한 관점에서 공통적으로 설명될 수 있는 소셜벤처의 창업 현상을 근원적으로 탐색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소셜벤처에 대한 사회적 관심의 증가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사회적기업과 영리기업의 두 가지 관점에 기반하여 접근한 선행연구가 부족하여, 본 연구는 연구 방법으로 선행연구와 인터뷰 자료를 바탕으로 현상을 분석하는 귀납적 연구 방법인 Strauss & Corbin(1998)의 근거이론 접근법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를 위한 자료 수집을 위하여 현재 안정적 매출이 발생하고 있는 소셜벤처기업의 대표 8인을 인터뷰하고 현상 분석을 진행하였다. 인터뷰는 추가적인 정보가 도출되지 않는 이론적 포화상태까지 단계적으로 진행하였다. 근거이론 접근법을 사용한 본 연구의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개방코딩과 축코딩의 결과 개념 147개, 하위범주 70개가 도출되었으며, 최종 추상화 과정을 통해 범주 18개를 도출하였다. 선택코딩에서는 핵심범주로‘사회적 영역의 소셜벤처 진출 확대’와‘영리기업의 사회적 기능 확대’를 선정하고, 이를 중심으로 스토리라인을 구성하였다. 본 연구에서 소셜벤처와 같이 두 가지의 갈등관계의 가치를 추구하는 기업이 경쟁력을 갖추고 생존하기 위하여 요구되는 경쟁요인에 대한 학문적 연구와 분석이 필요함을 보았다. 실무적으로는 영리기업과 협업, 가치 결합, 창업자 역량 및 성과 개선/사회적 가치 실행역량 강화, 소통전략, 영리기업의 가치 투자, 창업자 경영역량 등의 개념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소셜벤처 창업 현상에 대한 고찰은 소셜벤처 영역에 진입하고자 하는 사회적기업과 영리기업, 그리고 소셜벤처 창업자에게 현상의 사회적 맥락을 설명하고, 성공적 소셜벤처 창업 유인과 활성화에 필요한 시사점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한다.

      • KCI등재

        2002-2012년의 한국 벤처창업정책의 특징 연구

        하규수,홍길표,이춘우 한국벤처창업학회 2017 벤처창업연구 Vol.12 No.1

        This research is focused on how the venture-startup policies of South Korea has changed for the last ten years and then scope on its outcomes, limits and suggestions. Several policies for venture-startup has begun when “Small Business Startup Support Law” was developed in 1986. Government’s support policies for venture and startup and development of venture had made a turning point in 1997 “Act on Special Measures for the Promotion of Venture Business” and venture companies has achieved remarkable growth with Information Technologies(IT). However, with the global IT bubble and the enrichment of venture companies, a number of venture companies experienced considerable difficulties due to multiple thresholds. There were a lot of efforts to revitalize venture-startup ecosystem such as fostering innovative SMEs and one-person creative enterprise support policy. From 2002 to 2004, Korean Government focused on preventing moral hazards of Korean Venture Business. From 2005 to 2006, It focused on fostering the role of venture capitals , and From 2007 to 2012, Single start-up business has been fostered by government policies. Generally speaking, it can be said that venture-startup policy was emphasized on building the hardware infrastructure of venture-startup and supporting with the funds. 본 연구는 2002년부터 2012년까지의 우리나라 벤처창업정책이 어떤 기조로 변화해왔는지를 살펴보고 그 성과와 한계점을 고찰하고 과제를 제언하는데 초점을 두었다. 우리나라 정부의 벤처창업 정책은 1997년에 제정된 “벤처기업 육성에 관한 특별조치법”을 계기로 시작되어 2002년부터 2004년까지는 벤처기업 옥석 가리기 등 벤처산업 건전화 정책이 주요 기조를 이루었고, 2005년부터 2006년까지는 벤처캐피탈의 역량과 투명성을 제고하는 벤처창업정책이 주요 기조였다. 그리고 2007년부터 2012년까지 기술창업활성화와 청년창업활성화의 정책 기조를 띠었다. 2002년부터 2012년까지의 한국 벤처창업정책은 IT를 중심으로 한 벤처기업의 내실 있는 성장을 촉진하는데 주안점을 두었으며, 혁신형 중소기업 육성, 1인 창조기업 지원 등 벤처창업의 하드웨어적인 인프라를 구축하고 자금을 지원하는데 역점을 두었다고 평가할 수 있다.

      • KCI등재

        주요 국가의 기업가정신 교육 현황 및 효과 연구: 2016년 글로벌 기업가정신 지수의 비교

        남정민,이환수 한국벤처창업학회 2017 벤처창업연구 Vol.12 No.6

        This study analyzes the current state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and start-up foundations by country in order to find ways to improve the domestic entrepreneurial environment and to promote the recognition of desirable entrepreneurship practices. It also investig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entrepreneurship, entrepreneurial will, and the level of opportunity-based entrepreneurships, by using data from the 2016 Global Entrepreneurship Trend Report (GETR). First, the results show the urgent need for the expansion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in Korea. In the GETR category of 'experience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in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Korea was ranked very low (19th place), among the 20 countries. In the 'college' and 'lifelong entrepreneurship education' categories, it procured a mid-level ranking (15th). While entrepreneurship education for all ages is being promoted globally, entrepreneurship education for middle-aged individuals in Korea is relatively weak. This implies that the expansion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to lifelong education and education for employees and retirees is required. Second, the individual's entrepreneurial intention in Korea was 3.8 points, implying a mid-level ranking (15th), and it ranked the lowest in terms of opportunity-based entrepreneurship (20th). In comparison to China (4.55) and the United States (4.01), the entrepreneurial intention of Koreans was found to be low. The level of opportunity-driven entrepreneurship was also found to be very low, compared to China (4.35), Japan (4.04) and the United States (4.59). In general, the proportion of the level in opportunity-driven entrepreneurship, increases from the factor-driven and efficiency-driven, to the innovation-driven type. In Korea, the percentage of entrepreneurial ventures centered around involuntary entrepreneurship and small businesses is high. It is also interpreted that opportunity-based entrepreneurships are low in number because of this high proportion of involuntary start-up and small businesses. Last, the entrepreneurial intention in all types (factor-driven, efficiency-driven, and innovation-driven) was exceptionally high. It has been confirmed that exposure to all entrepreneurship education (elementary, junior high, university, and lifelong education) in innovation-driven countries, greatly increases entrepreneurial intention. In the case of Korea, which is an innovation-driven country, qualitative improvement based on quantitative expansion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is expected to be a major driving force for individuals’ entrepreneurial intention to obtain a mid-level ranking (15th). 본 연구는 국내 창업 환경 개선 및 바람직한 창업 인식 조성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2016 글로벌 기업가정신 트렌드 보고서(GETR)의 데이터(20개국 40,354명)를 활용하여 주요 국가의 기업가정신 교육 현황 및 국가별(유형별) 창업 실태, 그리고 기업가정신과 창업 의지 및 기회형 창업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먼저 한국은 기업가정신교육의 확대가 시급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한국의 ‘초중고 기업가정신교육 경험’은 20개국 중 최하위수준(19위)이었으며, ‘대학’ 및 ‘평생교육’은 중위권(15위)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전 세계적으로 기업가정신교육은 연령대를 불문하고 활성화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국내 중고령자에 대한 기업가정신교육은 상대적으로 미약한 수준이었다. 이는 향후 평생교육 차원의 교육 확대가 요구되며, 재직자 및 은퇴예정자 대상 기업가정신 교육 개발 및 확대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둘째로, 한국인 개인의 창업의지는 3.8점으로 중하위권(15위)이었고, 기회형 창업수준은 최하위(20위)였다. 중국(4.55) 및 미국(4.01)과 비교할 때 한국인의 개인 창업의지는 상대적으로 낮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기회형 창업 수준 또한 한국은 3.43점으로 중국(4.35), 일본(4.04), 미국(4.59)에 비해 매우 낮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일반적으로 요소주도형→효율주도형→혁신주도형으로 전환될수록 기회형 창업의 비중은 높아지는데, 한국의 경우 비자발적 창업 및 소상공 중심의 창업 비중이 높아 기회형 창업 수준이 낮은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요소주도형, 효율주도형, 혁신주도형 모든 유형에서 기업가정신교육 참여에 따른 창업의지는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혁신주도형일수록 모든 기업가정신 교육(초중고, 대학, 평생교육) 참여여부에 따라 신규창업의지는 크게 증가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혁신주도형인 한국의 경우 기업가정신교육의 양적 확대를 기반으로 질적 제고를 이룬다면, 지금의 중하위권(15위)에 머문 국민의 창업의지를 상승시킬 주요한 원동력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 KCI등재

        한국 벤처캐피탈리스트의 투자결정에 미치는 요인 연구

        구중회,김영준,이수용,김도현,백지연 한국벤처창업학회 2019 벤처창업연구 Vol.14 No.4

        Venture capitalists (VCs) play an important role in finding and growing innovative venture companies with high growth potential but high risk. Venture capital investment does not depend on the system, unlike the investment for listed companies. Korea's venture capital industry has entered a period of growth, but lack of data has led to a lack of research on venture capital. Based on this background, this study attempts to analyze various factors affecting investment decision criteria of Korea VCs. In this study, I examined the major factors that VCs consider in decision making of investment through literature review, and I have drawn the research question accordingly. I will focus on the characteristics of founders, products / services, markets, financials, and networks that scholars share common investment decision criteria in Korean VCs.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the questionnaire surveyed by investment vetters working in current venture capital and analyzed using AHP analysis. Through this study, I tried to understand the Korean venture capital which has been poorly studied and what criteria and priorities Korean VCs make investment decisions in the Korean venture investment environment.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will contribute to the vitalization of venture investment, which is important for the upbringing of companies, by providing guidelines for establishing investment attraction strategies of venture companies. 벤처캐피탈리스트(VCs)는 높은 성장 잠재력을 가지고 있으나 위험도(risk)가 높은 가진 혁신적인 벤처기업을 발굴하고 성장시키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벤처기업의 투자는 상장기업 투자와는 달리 시스템에 의존하지 않고 벤처캐피탈에 소속된 VCs 개인의 의사결정에 따라 투자가 결정된다. 한국의 벤처캐피탈 산업은 성장기에 진입하였으나 데이터의 부족으로 벤처캐피탈에 관한 연구가 부족한 상황이다. 이러한 배경을 바탕으로 이 연구에서는 한국 VCs,의 투자 의사결정 기준에 영향을 미치는 여러 가지 요인을 분석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문헌고찰을 통해 VCs가 투자 의사결정시 고려하는 주요 요인들을 선행 연구하여 검토하고 이에 따라 연구 질문을 도출하였다. 한국 VCs의 투자 의사결정기준을 학자들이 공통으로 제시하는 창업자, 제품/서비스, 시장, 재무, 네트워크 특성을 중심으로 연구를 진행하고자 한다. 이 연구를 위해 현직 벤처캐피탈에 근무하고 있는 투자심사역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여 AHP분석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그 간에 연구가 부진했던 한국 벤처캐피탈의 이해와 더불어 한국의 벤처투자환경에서 한국의 VCs가 어떤 기준과 우선순위로 투자 의사결정을 하며 그 기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무엇인지에 대해 이해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 투자의 결과는 벤처기업의 투자유치전략 수립에 가이드라인을 제시함으로써 기업육성에 중요한 벤처투자의 활성화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본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