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중학생이 인식하는 특성화 고등학교 이미지 분석

        김영훈,김태훈 대한공업교육학회 2013 대한공업교육학회지 Vol.38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e line data for right concept and identity establishment of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 to identify recognition of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 to analyze image of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 recognized by middle school student. The population was all middle school third year students in Korea. Using random sampling technique, 50 classes of 61 schools were sampled for the study. A survey questionnaire used Semantic Differential(SD) suggested by Osgood(1957). SD consisted of a number of adjective pairs, finally, this study used 11 adjective pairs to have validity. 1,198 out of 1,441 questionnaire were returned (a return rate of 83.14%),among which 935 were used for the analysis after data cleaning. An alpha level of 0.05 was established a prior for determining significance. All data analysis was accomplished using the SPSS 20.0 Win. Based on the finding of the study, the major results of the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Higher average is female students’ image of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 than male students’ that, but,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samples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2. It was only 20% that receive career education of Vocational high school. It is necessary to accomplish and expand career education of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 for proper career education from middle school, to realize career exploration and decide one's career path based on one's specialty. 3. They have positive images who hope for going on to the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 of education than the others. 4. It is necessary to accomplish and expand career education of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 for proper career education from middle school, to realize career exploration and decide one's career path based on one's specialty, because the result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5. They have the more possitive image of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 the more know it, totally. 이 연구의 목적은 중학생의 배경 변인에 따른 특성화고의 이미지를 조사하여 특성화고에 대한 인식을 확인함으로써, 특성화고의 올바른 인식 확대 방안 및 발전방안 마련에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연구의 모집단은 전국 중학교 3학년 학생이며, 2012년 교육통계연보를 기준으로하였다. 협조를 허락해주신 학교를 대상으로 편의표집을 통한 학급 선정을 통해 최종적으로 50개의 학교에 3학년 한 학급씩을 선정하였다. 자료의 수집을 위한 조사 도구로는 Osgood(1957)이 제안한 의미분별법을 사용하여 최종적으로 11개의 형용사 군을 선정하였다. 자료의 수집은 방문과 우편을 통하여 이루어졌고, 총 1,441매의 설문지가 배포되어 그 중 1,198매가 회수되어 83.14%의 회수율을 나타냈으며, 이 중 불성실한 응답을 제외한 935매의 설문지가 분석에활용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0 Statistics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이때 통계적 유의수준은 0.05로 설정하였다. 이 연구의 주요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성별에 따른 특성화고 이미지의 평균은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긍정적이었으나 유의미한 차이는 11개 항목 중에서 5개 항목에서만 나타났다. 둘째, 특성화 고등학교에 대한 진로 교육을 받은 학생은 20%에 불과하였다. 보다빠른 진로에 대한 탐색과 적성에 맞는 진로 결정이 이루어지기 위하여 중학교 단계에서부터 진로 교육이 제대로 이루어져야 한다. 셋째, 특성화 고등학교 진학을 희망하는 학생들의 이미지가 다른 고교 진학을 희망한 학생보다 특성화 고등학교에 대하여 9개 항목에서 긍정적인 이미지를 가지고있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넷째, 진로 교육 유무별 특성화고 이미지 차이에서도 8개의 항목에서 유의미한차이가 나타났는데, 특성화 고등학교에 대한 진로 교육이 확대될 필요성이 있음을나타내는 것이다. 다섯째, 특성화 고등학교에 대한 인지의 차이에 따른 특성화고 이미지 차이에서는7개 항목에서 특성화 고등학교에 대하여 잘 알고 있을수록 특성화 고등학교에 대한이미지가 긍정적이었다. 이는 진로 교육이나 홍보 활동을 통하여 특성화 고등학교에대한 인식의 폭을 증대시켰을 때, 그에 따른 효과가 긍정적이라는 것을 의미한다.

      • KCI등재

        교원의 보직 유무에 따른 중소기업특성화고 인력양성사업 성과 목표 우선순위 비교 연구

        이병욱,이상현 대한공업교육학회 2018 대한공업교육학회지 Vol.43 No.2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importance and performance of performance goal of workforce training project of SMB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s by existence of teaching staff's assignment and compare difference of the priority for performance goal of two groups by IPA. Research problems for them are as follows. First, how about differences of the importance for performance goal of workforce training project of SMB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s by existence of teaching staff's assignment? Second, how about differences of the performance for performance goal of workforce training project of SMB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s by existence of teaching staff's assignment? Third, how about differences of the priority for performance goal of workforce training project of SMB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s by existence of teaching staff's assignment? Results obtained by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performance goal of workforce training project of SMB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s that teaching staffs recognize the most importantly regardless of the existence of assignment was 'improvement of students' adaptation to the filed' in area of 'employment competency strengthening'. Second, performance goal of workforce training project of SMB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s that teaching staffs recognize the degree of high performance regardless of the existence of assignment was 'expansion of SMB employment opportunity' in area of ‘employment connection'. Third, regardless of the existence of teaching staff's assignment, areas of high priority in performance goal of workforce training project of SMB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s were 'improvement of teaching staff's understanding for SMB' and 'improvement of SMB understanding for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 in area of ‘improvement of SMB mind for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 이 연구는 교원의 보직 유무에 따른 중소기업특성화고 인력양성사업의 성과 목표에 대한 중요 정도와 수행 정도를 비교하고, IPA기법을 통해 두 집단의 성과 목표에 대한 우선순위 차이를 비교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설정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원의 보직 유무에 따른 중소기업특성화고 인력양성사업의 성과 목표에 대한 중요 정도의 차이는 어떠한가? 둘째, 교원의 보직 유무에 따른 중소기업특성화고 인력양성사업의 성과 목표에 대한 수행 정도의 차이는 어떠한가? 셋째, 교원의 보직 유무에 따른 중소기업특성화고 인력양성사업의 성과 목표에 대한 우선순위의 차이는 어떠한가? 이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보직 유무와 관계없이 교원들이 가장 중요하게 인식하는 중소기업 특성화고 인력양성사업의 성과 목표는 ‘취업역량강화’ 영역의 ‘학생의 현장적응력 제고’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보직 유무와 관계없이 교원들이 수행 정도가 높다고 인식하는 중소기업 특성화고 인력양성사업의 성과 목표는 ‘취업연계’영역의 ‘중소기업 취업 기회 확대’인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중소기업특성화고 인력양성사업 성과 목표에서 우선순위를 두어야할 영역에 대해 교원의 보직 유무와 관계없이 ‘중소기업 특성화고 마인드 제고’영역의 ‘중소기업에 대한 교원의 이해 증진’, ‘특성화고에 대한 중소기업의 이해 증진’의 우선순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특성화고등학교 교사의 변화몰입과 교사효능감, 학교풍토 및 학교장 변혁적 리더십의 인과적 관계

        조성웅,나승일 한국농·산업교육학회 2011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Vol.43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a causal relationship among teachers's commitment to change, efficacy, school climate, and principal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in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s.The population for this study was teachers in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s. However, random sampling method could not be applicable because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s have been done since 1998 and changing circumstances in the school is different for each school. Therefore, this study was restricted to the target population as teachers who working in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s which recent changing. Especially, target population was set as the teachers working in the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s involved in 'the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s foster program by government departments.' The data were collected by mail survey. A Total of 366 out of 450 questionnaires were returned, of which 343 were used for analysis after data cleaning. Both descriptive and inferential statistics were employed for data analysis. To estimate parameters of proposed research model, covariance structure analysis were used. All data analysis was accomplished using the SPSS 18.0 and Amos 18.0 version. An alpha level of 5% was established prior for determining significance.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causal model of this study is suitable to empirical analysis on research variables. second, teachers' efficacy, school climate, and principal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in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s have direct effect on teachers' commitment to change. Third, principal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in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s has indirect effect on teachers' commitment to change with partial mediation effect of school climate. However, teachers' efficacy has now indirect effect on it. Forth, school climate of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s has indirect effect on teachers' commitment to change with the medication effect of teachers' efficacy. 이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특성화고등학교 교사의 변화몰입과 교사효능감, 학교풍토 및 학교장 변혁적 리더십 간의 인과적 관계를 구명하는데 있었다. 이 연구의 모집단은 2010년 학교 체제가 개편 중에 있는 특성화고등학교에 재직하고 있는 전체 교사이다. 단, 이미 학교체제 개편이 완성된 특성화고등학교의 교사들의 변화몰입을 측정하는데 제한이 있을 수 있기 때문에 정부부처 특성화고등학교 육성 사업에 참여한 84개교(농림수산식품부 19개교 제외)에 재직하고 있는 교사를 목표모집단으로 설정하였으며, 최종적으로 343명의 자료가 최종분석에 사용되었다. 자료 분석은 Windows SPSS 18.0과 AMOS 18.0을 활용하여 구조방정식모형으로 분석하였으며, 추리통계 결과에 대한 통계적 유의성은 .05를 기준으로 판단되었다. 이 연구의 결론으로는 첫째, 학교장 변혁적 리더십이 교사효능감 및 학교풍토를 통해 교사의 변화몰입에 대한 직·간접적인 인과관계는 학교장 변혁적 리더십과 교사효능감의 관계를 제외한 모든 인과관계가 확인되었다. 둘째, 특성화고등학교의 교사효능감, 학교풍토 및 학교장 변혁적 리더십은 교사의 변화몰입에 직접적인 정적 영향을 미친다. 셋째, 특성화고등학교장 변혁적 리더십은 학교풍토를 매개하여 교사의 변화몰입에 간접적인 정적 영향을 미치나 교사효능감을 매개하여 변화몰입에 간접적인 정적 영향을 미치지 않고, 학교풍토는 교사효능감을 매개로 하여 변화몰입에 간접적인 정적 영향을 미친다.

      • KCI등재

        정부부처 직업계고 지원 사업에 대한 특성화고 교원의 인식과 개선 방안에 대한 연구

        안재영 한국직업교육학회 2020 職業 敎育 硏究 Vol.39 No.3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investigate teacher's perception and problems of vocational high schools supported by government ministries (governmental vocational high schools), and to analysis the importance, difficulty, and need analysis of teachers regarding the operation of those schools.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ing. First, the degree of recognition, degree of agreement, effectiveness, and necessity for the governmental vocational high school were generally high. The educational areas that the governmental vocational high school changed positively were job-related activities and career exploration activities. Second, the major problems of governmental vocational high schools were ‘insufficient research in areas requiring high school graduates’, ‘lack of specialized manpower training by government departments’, ‘insufficient business consultation and cooperation between government departments’, insufficient participation of ordinary subjects teachers’, ‘the lack of linkage between the project operation time and the school schedule.’Third, out of the operation factors of the governmental vocational high schools, teachers had relatively high needs for ‘finding partner companies’, ‘signing an industrial-academic cooperation MOU’, ‘workplace learning’, ‘promoting a school’, ‘analysis of demand and prospect of labor market for industry. 이 연구의 목적은 정부부처 직업계고 지원 사업에 대한 특성화고 교원의 인식과 문제점을 조사하고 정부부처 직업계고 지원 사업의 운영 요인에 대한 중요도·난이도와 교육요구도 및 우선순위를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정부부처 직업계고 지원 사업을 운영하는 특성화고의 교원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정부부처 직업계고 지원 사업에 대한 인지 정도, 동의 정도, 효과성, 필요성은 대체로 높게 나타나 정부부처 직업계고 지원 사업에 대한 교원의 인식과 평가가 긍정적이라고 평가된다. 정부부처 직업계고 지원 사업이 긍정적으로 변화시킨 교육영역으로 취업연계 활동(71.2%)과 진로탐색 활동(49.1%)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둘째, 특성화고 교원의 정부부처 직업계고 지원 사업의 문제점에 대한 동의 정도는 ‘고졸 인력 요구 분야에 대한 파악 미흡’ 3.68, ‘부처별 특화 인력양성 미흡’ 3.54, ‘각 부처 간 업무 협의 및 협력 미흡’ 3.52, ‘보통교과 교사의 참여 미흡’ 3.51, ‘사업 운영시기와 학사 일정과의 연계성 부족’ 3.42, ‘부처 간 인력양성 분야 중복’ 3.41, ‘정부부처 특성화고 종합정보관리 미흡’ 3.38의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정부부처 직업계고 지원 사업의 운영 요인 중에서 ‘협력기업 발굴’, ‘산학협력 MOU 체결’, ‘산업체 파견 현장실습’, ‘학교 홍보’, ‘해당 산업 분야의 요구분석 및 노동시장 전망’ 이 교육요구도가 높고 최우선순위로 분석되었다.

      • KCI등재

        특성화고와 마이스터고 선취업 후진학 관련 연구 동향 분석

        김현수,유기웅 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22 敎育問題硏究 Vol.35 No.4

        This study seeks to explore research trends related to the Work First-then to College System for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 and Meister High School graduates through analysis of academic papers published in Korea. For this study, 57 papers related to Work First-then to College System learning at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 and Meister High School among papers published in domestic journals including research for subjects, methods, and variables were analyz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first, research in the field of the Work First-then to College System at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 and Meister High School has been steadily published since 2017. Second, it was found that the Work First-then to College System were being conducted in academic journals related to lifelong ability and vocational education. Third, the research subjects were mainly conducted on learners, and among them, the most studies were conducted on the Work First-then to College System students. Fourth,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research topic, the research related to the Work First-then to College System was found to be the most frequent. Fifth, looking at the results of the complementary analysis according to the research method, quantitative research was found to be far more frequent than qualitative research in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 and Meister High School. Sixth, as a result of analysis of related variables, social support, individual characteristics, and corporate characteristics were the most frequent. Finally, based on the results derived from this study, research directions related to the Work First-then to College System at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 and Meister High School were presented in the future. 본 연구는 국내에서 발간된 학술 논문 분석을 통하여 특성화고와 마이스터고 졸업생의 선취업 후진학 관련 연구 동향을 탐색하였다. 나아가 직업교육 분야 연구의 흐름을 이해하고 탐색 과정에서 도출된 결과의 해석을 통해 우리나라 직업교육이 나아갈 방향에 대한 연구 과제를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2012년부터 2021년까지 국내 학술지에 게재된 논문 중 특성화고와 마이스터고 선취업 후진학 관련 논문 57편을 대상으로 연구연도, 게재학술지, 연구대상, 연구주제, 연구방법, 관련변인을 분석의 틀로 내용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는 첫째, 특성화고와 마이스터고 선취업 후진학 분야의 연구는 2017년부터 꾸준히 발표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평생능력개발과 직업교육 관련 학술지 등에서 선취업 후진학 연구가 진행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연구 대상은 주로 학습자를 대상으로 이루어 졌고 그 가운데 선취업한 대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연구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연구 주제를 분석한 결과 선취업 후진학 정책에 관련된 연구가 가장 많은 빈도로 나타났다. 다섯째, 연구 방법에 따른 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특성화고와 마이스터고 선취업 후진학 관련 연구는 양적연구가 질적연구보다는 월등히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관련 변인 분석 결과로 사회적지지, 개인특성, 기업특성이 가장 많은 빈도를 나타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에서 도출된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특성화고와 마이스터고 선취업 후진학 관련 연구 방향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정부부처 위탁 지원 특성화고 운영 활성화 방안

        나승일,김기용,문세연,민상기 한국농·산업교육학회 2009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Vol.41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strategies for revitalizing the management of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s supervised by government ministries. To achieve the purpose, the persons concerned with five government ministries such as Ministry of National Defense, The Ministry for Food,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eries,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Small &Medium Business Administration, and Korean Intellectual Property Office, one hundred six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s and education offices in cities and provinces were invited in conferences and workshops, interviewed, and surveyed. These results were synthesized to develop model and strategies for revitalizing the management of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s supervised by government ministries, and were verified by the panels of expert committee. First, in current status of the program, some specific plans need to be re-established according to the launch of new administration. And, MOU should be performed, interaction among government ministries, education offices and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s need to be strengthened, and each ministry and school should be specialized their program. Second, the major needs were; to design for enhancing the management system of this program; to differentiate each ministry's specialized domain for developing the customized human resources; to develop and perform the specialized program in each school; and to grant greater autonomy to each school. Third, thirty three strategies for revitalizing the management of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s supervised by government ministries were identified in management systems, specialized directions, and specialized education such as curriculum, teachers, students, finances, equipments and instruments, and academic-industrial cooperation. Forth, suggestions for realizing the these strategies were presented;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need to play a role as a mediator and supporter the institutions or persons who participate this program; education offices in cities and provinces need to strengthen the administrative and financial supports; and all of member in each schools should be endeavor to gain expected results. 이 연구의 목적은 정부부처 위탁 지원 특성화고 운영 활성화 방안을 마련하는데 있었다. 이를 위해 정부부처 위탁 지원 특성화고 육성 사업에 참여하는 5개 지원 부처(국방부, 농림수산식품부, 문화체육관광부, 중소기업청, 특허청)와 지원 대상 특성화고 106개교, 시도교육청 관계자를 대상으로 부처협의회, 워크숍, 심층인터뷰 및 설문조사가 실시되었으며, 이를 통해 활성화 모형 및 과제를 개발하고 전문가들로부터 타당성을 검토받았다. 첫째, 정부부처 위탁 지원 특성화고 육성 사업에 대한 추진성과와 문제점 분석 결과, 체결한 MOU를 준수하고, 사업주체간 교류를 강화하며, 특성화 분야와 프로그램을 차별화해야 할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둘째, 운영 활성화를 위한 주된 요구사항으로는 사업운영 체제를 강화하기 위한 방안을 마련하고, 정부부처별로 특성화 분야별 인력양성을 강화하고, 단위학교에서는 차별화된 특성화 교육프로그램을 개발․운영할 것이 요구되었다. 이 외에 단위학교의 교육과정 편성, 재정운영 등에 대한 자율성을 강화하고, 지원 부처와 시도교육청에서 교원, 산학협력 등에 대한 지원을 확대해 줄 것이 요구되었다. 셋째, 운영 활성화를 위하여 사업운영 체계, 특성화 방향, 특성화 교육영역(교육과정, 교원, 학생, 재정, 시설/기자재, 산학협력)의 활성화 영역별로 2~5개씩 총 33개 추진과제가 도출되었으며, 사업주체인 정부부처, 지원 대상 특성화고 및 시도교육청의 추진과제가 도출되었다. 넷째, 활성화 추진을 위한 제언으로 교육과학기술부는 관계자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위한 조정 및 행정적 지원 역할을 수행하고, 지원 부처에서는 효과적인 사업운영을 위한 체계를 마련하며, 시도교육청에서는 관련 행․재정적 지원을 강화하고, 지원 대상 특성화고에서는 모든 교직원이 합심하여 성과창출을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 KCI등재

        특성화고 출신 전문대생의 고교교육 경험에 대한 이해

        전은희 ( Jeon Eun-hee ),김명진 ( Kim Myung-jin ) 한국교육인류학회 2018 교육인류학연구 Vol.21 No.2

        이 연구에서는 질적접근에 기초하여 특성화고 출신 전문대생들의 고교교육 경험과 그 의미에 대해 살펴보았다. 학생들이 특성화고를 선택하는 배경에는 낮은 성적과 인문계고에 대한 기피, 취업의지, 유리한 내신, 교육과정의 매력, 특성화고의 학교홍보와 근거리 등 다양한 이유들이 있었다. 특성화고에서 학생들은 비경쟁적 분위기와 풍부한 재정적 투자 속에서 전공공부를 즐기며 여유로운 학교생활을 하는 가운데, 의미있는 인간관계를 경험하고 있었다. 그러나 전공에 대한 실망과 방만한 교육과정 운영으로 학업에 대한 회의를 경험하고 있었으며, 차별과 성추행 등 부조리한 학내문화로 힘들어하고 있었다. 또 취업압박이 심한 교내분위기에서 인격적 모욕을 경험하고 있었으며, 취업전망의 부재와 좌절 속에서 대학진학을 결심하고 있었다. 대학진학 준비는 학교로부터의 도움 없이, 개인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었다. 결과적으로 특성화고는 이들에게 입시공부의 비용 없이 대학진학에 이른, 자신을 발견하고 넓은 세상을 경험할 수 있었던 긍정적 경험으로 이해되고 있었다. 그러나 인문계고생과 비교한 보편경험과 기초적 지식의 부재, 특성화고 교육과정과 공부에 대한 아쉬움, 특성화고생에 대한 사회적 편견 등의 부정적 의미화도 동시에 발견되었다. 이상을 기초로 특성화고 교육현실에 대하여, 첫째, 취업의 책임을 특성화고에 전가하는 작금의 특성화고 정책에 대한 개선, 둘째, 특성화고의 정체성 및 고교체제에 대한 근본적인 재고, 셋째, 특성화고의 부조리한 관습 및 비도덕적 학내문화에 대한 문제제기의 세 가지로 논하였다. 아울러 연구의 함의를 다섯 가지로 정리하고 후속연구에 대해 제언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the high school educational experience of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 graduates through a qualitative approach. There are various reasons for the students to choose the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 such as low grades and disillusion on academic high school, willingness to work, favorable academic records, attractiveness to the curriculum, school promotion and attracting students, and proximity of location. In a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were experiencing satisfaction with their majors, relaxed and pleasant school life, and meaningful teacher and student relationships in a non-competitive atmosphere among their classmates. However, they have been experiencing skepticism about their studies due to the disappointment of their major and disgruntled curriculum, and have been struggling with narrow human relationships and unreasonable school culture. In addition, they feel insulted in the atmosphere that forces them to work and go to college in spite of the reality that employment prospects are lacking. However, they did not get much help from the school while preparing for college, and they were getting ready to go to school through friends, acquaintances, and the Internet. Finally, they understand that it was a meaningful experience in which they discovered themselves and recognized reality. They were able to experience challenges and pioneering through the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 and experience the growth that could not have been achieved with stereotyped high school life. At the same time, however, they felt sorry about social prejudices caused by the minority position of the graduates of the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 and the fact that they could not have a universal experience such as entrance examination in the general high school. Based on the above, we discussed the significanc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 KCI등재

        교사가 인식하는 특성화 고등학교 교육의 문제점

        이용환,금지헌,안선영 한국농업교육학회 2007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Vol.39 No.4

        이 연구의 목적은 특성화 고등학교에 근무하는 교사가 특성화 고등학교에 근무하면서 인식하는 문제점을 파악하고,특성화 고둥학교가 나아가야할 방향을 제시하는데 있다. 이 연구는 교사가 인식하는 문제점을 파악하기 위해 델파이 방법으로 연구되었다. 델파이 패널은 특성화 고등학교로 신설 및 전환된 지 5년 이상 된 학교의 특성화 또는 실과 부장 교사 18명으로 구성되었다. 3차의 델파이 조사가 이루어 졌다. 1차 델파이 질문지는 개방형으로 교사가 인식하는 특성화 고등학교의 문제점을 자유롭게 기술하도록 하였다. 2차 댈파이 질문지는 1차 델파이 조사를 통해 얻은 문제점 54개에 대해 전문계 고등학교의 입장과 특성화 고등학교의 입장 두 가지 측면에서 문제의 심각성을 체크하도록 하였고 추가적인 의견도 들었다. 3차 텔파이 조사는 2차 델파이 조사 결과 얻은 33개의 문제점에 대해 사분위수를 제시하고 심각성을 체크하도록 하였다. 이 때 사분 위수를 벗어나게 되면 그 이유를 적고,추가적인 의견도 받았다. 그 결과 29개의 문제점이 도출되었으며 그 중 심각성이 높은 13개의 문제점은 학생,교사,교육과정,인식 둥에 관한 것은 아래와 같다. 학생과 관련한 문제점: ① 학생들의 대부분이 진학을 희망한다. ② 전반적인 학생의 가정환경 열악하다. ③ 우수한 학생을 확보하기 어렵다. 교사와 관련한 문제점: ① 교사의 행정업무가 과다하다. ② 우수한 특성화 분야 교원을 확보하기 어렵다. ③ 전공교과 교사의 수업시수가 과다하다. 교육과정과 관련한 문제점: ① 학생의 다양성을 충족할 수 있는 특별교육과정 운영을 위한 예산이 부족하다 ② 특성화 프로그램 벤치마킹 대상이 부족하다. 인식과 관련한 문제점: ① 직업교육에 대한 사회 전반적인 인식이 부족하다. ② 특성화 교육에 대한 학부모의 인식이 부족하다. ③ 특성화 교육에 대한 중학교 교사의 인식이 부족하다 기타 문제점: ① 지속적인 지원이 미흡하다. ② 기초기능 함양의 전문 프로그램 제공처가 부족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major problems that teachers perceived in implementing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 education,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s are promoted as the main national policy to improve vocational education and strongly support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Human Resources Development. The Delphi technique for obtaining group consensus was employed to achiev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A panel was composed of 18 head teachers as expert participants selected purposively from 22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s which were established over 5 years after transferring as a specialized system. Each panel participant received questionnaires to fill-up through e-mail and responded to it. Three sets of questionnaires were prepared by the researchers. The first questionnaire was an open style to express freely each one's opinion on problems related to specialized vocational education. The second and the third questionnaires composed of questions on scale using the Likert type. Several problems were identified, Problems related to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were as follows: ① Most of the students want to go to college/university instead of entering the workplace, ② Generally, they are from a socioeconomically disadvantaged background. ③ It is difficult to attract talented students, which has been a chronic problem for vocational high schools, Problems related to teachers were as follows: ① There are excessive clerical work for teachers ② It is difficult to recruit qualified and competent teachers for the specialized areas ③ Teachers are over-burdened with teaching too many hours of vocational classes, Problems related to the curriculum were as follows: ① There are few programs to benchmark specialized vocational education programs and ② There are no systematic assistance to improve basic academic skills of the students, Problems related to recognition were the following: ① Specialized vocational education carries an unfavorable image, ② There is a lack of parents' recognition of the specialized vocational education and ③ Middle school teachers do not have sufficient information or hold unfavorable perception of specialized vocational schools. Other problems identified include ① There are inadequate financial resources to operate the specialized education programs particularly in coping with student's diversified needs and ② There is a lack of continuous governmental support for the specialized vocational education programs.

      • KCI등재

        실업계 고등학교의 특성화 전략

        이광호 한국상업교육학회 2006 상업교육연구 Vol.13 No.-

        이 연구의 목적은 실업계 고등학교 특성화의 문제점을 분석하여 이에 대한 개선점을 제시하기 위한 것이다. 현재 추진되고 있는 특성화의 여러 가지 문제점 중에서 가장 큰 문제점은 특성화 전략이 불명확하다는 점이다. 특성화 전략을 수립ㆍ실행하는 과정에서 체계적이고 효과적인 접근이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기 때문에 특성화의 성공 여부가 불투명하다. 특성화 전략 수립ㆍ실행의 기본 전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실업계 고등학교의 특성화는 산업구조 및 직업구조의 변화에 부응하는 방향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둘째, 실업계 고등학교의 특성화는 학생과 학부모의 요구를 고려하여 추진해야 한다. 셋째, 실업계 고등학교의 특성화는 실업계 고등학교의 내부 역량을 고려하여 추진해야 한다. 넷째, 실업계 고등학교의 특성화가 성공하기 위해서는 특성화에 필요한 물적ㆍ인적ㆍ제도적 인프라가 갖추어져야 한다. 다섯째, 실업계 고등학교의 특성화는 수직적ㆍ수평적 차별화를 의도하면서 추진해야 한다.특성화 전략의 수립ㆍ실행과정의 구성요소는 특성화의 비전과 목표 정의, 환경 분석, 내부능력 분석, 전략수립, 전략실행, 전략통제 등이며, 특성화가 성공하기 위해서는 이런 요소들이 체계적으로 분석ㆍ추진되어야 한다. 그리고 실업계 고등학교의 특성화가 성공하기 위해서는 직업 교육과정 체제 개발 절차에 따라 특성화된 교육과정을 개발해야 하며, 특성화의 효과를 체계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평가 체제를 확립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roblem of specialization of vocational high school and present the improvement of specialization of vocational high school. The biggest problem of specialization of vocational high school is that the strategy of specialization is imprecise. The basic propositions of specialization strategy of vocational high school are as follows. First, the specialization of vocational high school should be carried out with consideration of change of industrial structure and job structure. Second, the specialization of vocational high school should be carried out with consideration of need of students and students’ parents. Third, the specialization of vocational high school should be carried out with consideration of inside capacity of vocational high school. Fourth, the physical and systematic infrastructure should be equipped so that the specialization of vocational high school succeed. Fifth, the specialization of vocational high school should be carried out with consideration of vertical and horizontal differentiation. The components of specialization strategy are vision and goal of specialization, environment analysis, inside capacity analysis, strategy establishment, strategy execution, strategy control etc. These elements should be analyzed and carried out. Also, specialized curriculum should be developed so that the specialization of vocational high school succeed. And it is important to develop the evaluation system that can evaluate the effect of specialization of vocational high school systematically.

      • KCI등재

        특성화 고등학교 학생의 취업장벽과 관련 변인

        이지혜,정철영 한국농·산업교육학회 2010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Vol.42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levels of employment barriers of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and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employment barriers and its variables. The population of this study was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The population for this study consisted of 22,243 senior-year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of which 850 students were selected as the sample. The survey instrument was used in the research for data collection. The survey instrument includes the following scales; employment barriers scale, student characteristic scale, job-seeking efficacy scale, educational aspiration scale, career indecision scale, school-life characteristic scale and family characteristic scale. The data was collected between 19 Oct and 5 Nov 2009 through mail responses or interviews. A total of 1,038 results were collected and a total return rate of 87.2% was achieved. From the 1,038 results, 767 were filtered out for analysis.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reached through the analysis: 1)employment barriers of Korea's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may be considered relatively high because of discrimination and lack of preparation. 2)the employment barriers shows the diversity under the sex and major of students. 3)job-seeking efficacy, educational aspiration, career indecision, high school records, work experience, certificate of qualification number, education level of parents, level of household income of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turned out to be less relevant. 4) employment barriers that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recognized were all except from educational aspiration, certificate of qualification number, and education level of mother. 5)the four factors that explain the employment barriers of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are career indecision, job-seeking efficacy, high school records, and work experience. 6)Support for various work experience 7)Form policies that will help male students not to worry about military service once they get a job. 8) Carry out special sessions that address topics such as the way to write resumes, interview preparation, and image making, especially to improve male students' job-seeking efficacy. 9)Build systematic career education, career advice center and job experience to help students make decisions to choose jobs. 이 연구의 목적은 특성화 고등학교 학생들이 인식하는 취업장벽 수준을 측정하고, 취업장벽과 관련된 변인과 그들의 설명력을 구명하는데 있었다. 이 연구의 모집단은 초·중등교육법시행령 제91조에 근거한 시·도 교육청에 지정된 특성화 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3학년 학생들이고, 모집단은 총 125개교의 특성화 고등학교의 3학년 학생 22,243명이었으며, 유층화 군집표집과 유층화 비율표집을 활용하여 총 850명을 표본집단으로 선정하였다. 자료 수집은 우편 및 방문조사를 통해 이루어졌고, 불성실 및 무응답 질문지를 제외한 767부가 최종 분석에서 사용되었으며, 회수율은 87.2%였다. 자료의 분석은 기술 통계 및 추리통계를 사용하였다. 이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우리나라 특성화 고등학교 학생의 취업장벽 수준은 보통보다 다소 높은 수준이었으며, 차별, 취업준비 부족 요인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둘째, 성별 및 계열에 따른 특성화 고등학교 학생의 취업장벽 수준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며, 남학생>여학생, 그리고 공업 > 상업·관광 > 가사보건 > 농업 계열 순으로 취업장벽이 높게 나타났다. 셋째, 특성화 고등학교 학생의 구직효능감, 교육포부, 진로미결정, 학교성적, 취업관련경험, 자격증 수, 부모의 교육수준, 가구소득 수준은 다소 낮은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특성화 고등학교 학생이 인식하는 취업장벽은 교육포부, 자격증 수, 어머니의 교육수준을 제외한 모든 변인이 0.01의 유의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상관을 가지고 있었으며, 특히 구직효능감과 취업장벽은 높은 부적 상관관계를, 진로미결정 변인과 취업장벽간에는 높은 정적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었다. 다섯째, 특성화 고등학교 학생의 취업장벽을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설명하는 변인으로는 진로미결정, 구직효능감, 성적, 취업관련경험으로 총 4개의 변인이었으며, 특히 진로미결정이 가장 높은 설명력을 지니고 있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