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아동의 외현적 문제행동에 대한 부모훈련 프로그램의 효과? -인지행동적 부모훈련과 행동적 부모훈련의 비교

        박중규,오경자 한국임상심리학회 2004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Vol.23 No.4

        This study evaluated the comparative effects of cognitive-behavioral parent training(CBPT) and behavioral parent training(BPT) on mothers of children(ages 6-11 years) with disruptive behavior disorders. BPT consisted of basic behavior modification procedures such as improving parental selective-attending skills, improving parental deliverance of commands, improving children's play behavior, parental use of time out, behavior contracting with response cost as disciplinary methods, and parental planning/ activity scheduling as problem prevention measures. Additionally, CBPT consisted of BPT procedures and more component such as cognitive reattribution of the disruptiveness of one's children(changing dysfunctional parent thoughts), problem solving training, anger control training, and enhancing communication skills of parents. 26 mothers of children with disruptive behavior disorders were recruited from 3 child psychiatric clinics in Seoul. Among them, 14 mothers were assigned to CBPT and 12 mothers to BPT with consideration of children's similarities on age, sex, and clinical problems. Both of parent training programs have 6 one and half hour sessions over the course of 6 weeks. After 6 weeks of training, there was significant improvement in children's disruptive behaviors, parent stress, dysfunctional thoughts, parent efficacy, and subjective satisfaction of family members in both CBPT and BPT groups with repeated ANOVA procedure, The improvement in both of parent training groups were maintained in the 6 weeks follow-up as supporting clinical effects of parent training. The post and follow-up assessment compared to pre-assessment, there were no differences between the two parent training groups on most of the outcome measures. Finally, limitations of the present study and suggestions were discussed for further studies.

      • KCI등재

        영유아기 부모의 양육 민감성 증진을 위한 비디오 피드백 개입 (VIIPS) 효과

        이경숙,정석진 한국심리학회 산하 한국발달심리학회 2017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Vol.30 No.3

        This study examined effectiveness of parent training using by Video-feedback Intervention to improve Parenting Sensitivity(VIIPS) of parents of young children aged two to three years who had socioemotional and behavioral problems. Subjects included 21 parents (nine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12 in the control group) and the training, consisting of psychological education and video feedback intervention, covered (1) understanding of development of young children and recognition of their mental health; (2) examination of environmental factors of parenting; (3) investigation of attachment behaviors of parents to enhance parenting sensitivity; (4) video feedback I & II on parent-child interactions to improve parenting sensitivity; and (5) video feedback III and recognition of changes in sensitive parenting attitude based on the video feedbacks. The parent training consisted of six sessions each of which was conducted with a small group of parents (four to five people) for 90 minutes. In order to verify effectiveness of the parent training, assessment of parent-child interactions by video recording, Korean version of Parenting Relationship Questionnaire-Preschool (K-PRQ-P), Child Behavior Checklist (K-CBCL 1.5-5), and Infant Toddler Social Emotional Assessment (ITSEA) were administered to the experiment and the control groups before and after the parent training. The findings are: (1) the experiment group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 in sensitive interaction skills, parent-child relationship after the training; (2) children of the parents in the experiment group showed significant decrease in terms of behavioral problems after the training. These findings clearly show parent training by video feedback aimed at enhancing parenting sensitivity is effective in improvement of sensitive interaction skills, enhancement of parent-child relationship, and decline of behavioral problems of children. 본 연구는 사회정서 행동문제를 지닌 2-3세 영유아 자녀를 둔 부모를 대상으로 양육 민감성 증진을 위한 비디오 피드백 개입을 사용한 부모교육 및 훈련 프로그램(Video-feedback Intervention to improve Parenting Sensitivity: VIIPS)을 실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부모 21명(실험집단 9명, 통제집단 12명)이다. 프로그램은 심리교육과 비디오 개입 방법으로 구성되었다. (1) 영유아 자녀의 발달특성과 정신건강의 중요성 인식 (2) 자녀의 양육환경 탐색 (3) 양육 민감성 증진을 위한 부모의 애착양육행동 탐색 (4) 양육 민감성 증진을 위한 부모-자녀 상호작용 비디오 피드백 I, Ⅱ (5) 양육 민감성 증진을 위한 부모-자녀 상호작용 비디오 피드백 IIL과 자녀의 정신건강 증진을 위한 민감한 양육 태도 습득으로 이루어져 있다. 부모교육은 총 6회기이며, 매 회기는 1시간 30분이고, 4-5명 가량 소집단으로 실시되었다. 부모교육 효과검증을 위해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은 부모교육 실시 전, 실시 후에 부모-자녀 상호작용 평가(비디오 녹화), 한국판 부모자녀관계척도-유아용(K-PRQ-P), 유아 행동 평가척도(K-CBCL1.5-5), 영유아 사회정서 측정도구(ITSEA)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실험집단은 통제집단에 비해 어머니 측면에서는 민감한 상호작용 기술이 증진되고, 부모자녀관계가 향상되었고, 영유아 측면에서는 문제행동이 감소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양육민감성 증진을 위한 비디오 피드백 부모교육이 민감한 상호작용 기술 및 부모자녀관계 향상과 자녀의 문제행동 감소에 효과가 있음을 나타내었다.

      • KCI등재

        메타분석을 통한 부모교육프로그램의 효과 연구

        정필연(Pilyeon Jung),임동선(Dongsun Yim)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11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16 No.4

        배경 및 목적: 아동의 언어 및 의사소통능력 발달에 있어서 부모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중재효과의 일반화를 촉진하기 위해 부모교육의 필요성이 대두되었고, 언어장애아동부모를 대상으로 다양한 부모교육프로그램이 실시되어져 왔다. 본 연구는 메타분석을 통해 현재까지 이루어진 부모교육프로그램을 체계적으로 검토하고, 언어장애아동부모에게 실시한 부모교육이 아동의 언어 및 의사소통 능력과 부모의 상호작용 및 의사소통능력에 효과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방법: 주제어를 통해 국내외 관련문헌을 검토한 후 연구의 포함과 제외기준에 따라 체계적으로 20개의 문헌을 선정하였다. 부모교육을 통한 아동의 언어 및 의사소통능력과 부모의 상호작용 및 의사소통능력의 효과크기는 무선효과모델(random effect model)을 사용하여 산출하였다. 결과: 부모교육프로그램의 효과에 대한 연구는 언어발달장애, 발달장애 및 자폐스펙트럼장애아동의 부모를 대상으로 많이 이루어졌고, 부모교육프로그램의 유형은 Hanen 프로그램을 가장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는 첫째, 부모교육은 아동의 수용 및 표현언어능력, 문법, 주고받기, 반응성 등 언어 및 의사소통능력에서 긍정적인 효과를 나타내었다. 둘째, 부모의 상호작용능력에서 긍정적 효과를 나타내었다. 마지막으로 언어발달장애, 발달장애 및 표현언어지체아동 집단에서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논의 및 결론: 부모교육프로그램은 아동의 언어 및 의사소통능력과 부모의 상호작용능력에서 모두 효과적이며 임상에서 부모교육을 적극적으로 적용하여 실시하는 것이 필요하다. Background & Objectives: Parents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ir children’s language and communicative development. In order to facilitate the generalization of language intervention, parent training programs have been widely implemented. The purpose of the present metaanalysis study was to systematically investigate the extant literature on parent training and to evaluate its effectiveness on both children’s and parents’ language and communication skills. Method: Using Meta-Analysis (CMA2, Comprehensive Meta-Analysis-Ⅱ, 2005), 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approach was taken to analyze 20 studies which met the inclusive and exclusive criteria of our research. Effect sizes for children’s and parents’ overall language and communicative skills were analyzed via the random effect model. Results: There were three main findings. First, the Hanen Program was found to be the most utilized parent training program. Additionally, the general target population for parent training was children with language impairment, developmental disorders and autistic spectrum disorders. Second, the meta-analysis results indicated that a parent training program has a positive effect on children’s language and communicative skills, receptive, expressive language, grammaticality, turntaking, responsiveness, and parent interaction. Lastly, three groups, children with language impairment, developmental disorders and expressive language delay, benefited most from the parent training. Discussion & Conclusion: The results from the present study suggest that parent training programs are effective and helpful for both children and their parents in increasing language and communicative skills. Thus, parent training programs should be actively implemented in the field of speech-language clinics for the best communicative outcome.

      • KCI등재후보

        자폐 범주성 장애 아동의부모 참여 중재에 관한 국외 연구 분석 : 1996년부터 2007년까지의 실험연구를 중심으로

        박나리 이화여자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2008 특수교육 Vol.7 No.1

        This article provides a systematic overview of the current empirical researches (1996-2007) on Parent education/Parent training for Autism Spectrum Disorders. Twenty- one studies coded for overview. This article was compared in three main areas: (1) purpose of Parent education/Parent training intervention, (2) research methodology, age of participant children and method used to assess outcome (3) Parent education/Parent training procedures: setting of Parent education/Parent training, format of Parent education/Parent training, instructional methods and Parent education/Parent training program contents. Results indicate that there are three main results: (1) The areas targeted in intervention is improving parenting practices, increase child development, improve child behavior management, improve parent-child relationship and increase parental stress management. (2) The most frequently used experimental design was a single subject design and almost age of participant childrens was under age 5. (3) The most frequently used setting of Parent education/Parent training was home, The most frequently used format of Parent education/Parent training was individual family. Instructional methods were employed at least two techniques that include manual or written materials, didactic instruction, trainer modeling, role-playing and feedback. Parent education/Parent training program contents were various for individual family and children. The practical implications of this research and future study were recommended. 본 연구는 자폐 범주성 장애 아동의 부모 참여 중재에 관한 국외 연구들을 분석하여 부모 교육/훈련의 목표, 부모 교육/훈련 환경, 양식, 방법, 내용 요인들을 고찰 하였다. 1996년 이후부터 2007년까지 부모 참여 중재가 포함된 국외 연구들이 분석 대상이 되었으며, 연구 대상에 부합한 논문은 총 21편이었다. 부모 참여 중재의 목표로는 가정에서 부모의 교육적인 역할/기능, 아동의 발달에 관한 연구가 가장 많았고, 그 외의 아동의 문제 행동 조절, 올바른 반응, 부모와 아동의 상호작용, 부모의 정신 건강을 중재 목표로 하였다. 연구 방법으로는 단일 대상 연구가 대부분이었고, 대상 아동의 연령은 5세 미만의 영유아가 많았다. 중재 환경은 주로 가정과 기관을 함께 병행하였으며, 중재 양식은 개별적인 교육/훈련이 가장 빈번하였다. 중재 방법은 강의, 교재, 시범, 역할 놀이, 피드백 제공 등 다양한 방법이 사용되었으며, 중재 내용은 중심축 반응 훈련(PRT)이 가장 빈번하였고 그 외 개별 아동과 부모에게 적합한 다양한 내용의 중재가 이루어졌다.

      • KCI등재

        발달장애 아동의 부모를 위한 행동주의적 부모교육의 효과성 연구: 이론교육과 실습교육의 비교

        신혜연,정경미 한국임상심리학회 2014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Vol.33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two types of behavioral parent training programs for parents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44 mothers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wenty six mothers were randomly assigned to one of two groups: theory-based training (14 mothers) and practice-based training (12 mothers). An additional nine mothers were assigned to the waitlist control group. Both treatments (theory-based training, practice-based training) consisted of 12 sessions (90~120 minutes per session). Mothers who participated in theory-based training learned basic behavior principles in depth. Mothers who participated in practice-based training learned basic behavior principles in a condensed, brief format, and were instructed to apply the skills to their children. Parent-report questionnaires were administered at the beginning and end of the training period. Direct observations of parent-child interactions were also collected. According to the results, in the practice-based training, positive child behaviors showed a significant increase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In both groups, negative child behaviors showed a significant decrease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based on the parent-report questionnaires and observed behaviors of parents. Implications, limitations, and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discussed.

      • KCI등재

        ADHD 아동을 위한 인지증진훈련, 사회기술훈련, 부모교육 병합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박현진,허자영,김영화,송현주 한국정서ㆍ행동장애아교육학회 2011 정서ㆍ행동장애연구 Vol.27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주의력결핍 및 과잉행동장애 아동에 대한 조기 개입 방안 마련을 위해 인지증진훈련과 사회기술훈련, 부모교육이 병합된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성을 검증하는 데 있다. 문헌연구와 현장전문가, 교사, 학부모 요구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20회기의 아동 프로그램과, 10회기의 부모교육 프로그램이 개발되었다. 경기, 전남, 강원, 경북의 7개 지역에서 개발된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통제집단을 구성한 후 사전, 사후 주의력장애진단시스템(ADS), 한국판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 평정척도(K-ARS), 사회기술평정척도(SSRS), 부모양육효능감, 부모 양육스트레스 검사 결과에 대한 T-test와 공변량분석을 실시하였다. 효과성 검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지증진, 사회기술훈련, 부모교육 병합 프로그램은 아동의 시각충동성 및 청각부주의 감소와, 부모가 지각한 아동의 부주의 감소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인지증진, 사회기술훈련, 부모교육 병합 프로그램은 부모와 교사가 지각한 아동의 사회기술 증가에 있어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셋째, 개발된 프로그램은 부모로서의 효능감 증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나, 양육 스트레스 감소에는 유의미한 차이를 가져오지 않았다. 즉, 인지증진훈련, 사회기술훈련, 부모교육 병합 프로그램은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아동의 증상 감소와 바람직한 사회기술향상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며, 부모의 양육효능감 증진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시사점과 더불어 본 연구의 한계점을 논의하고 후속연구를 제안하였다. This study was intended to develop a counseling intervention program for ADHD children and their parents and to test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Literature review, and needs assessment with field experts, teachers and parents and conducted, and the 20-session of cognitive enhancement - social skills training program for children and the 10-session of parent training program were constructed. The program was conducted at a counseling center in 7 different areas. 26 children and their parents were participated in this study. 13 of them participated in the program. The other 13 were alloted in the control group. In order to test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participants rated on the ADS, K-ARS, SSRS, Parenting Efficacy Scale, and Parenting Stress scale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cognitive enhancement - social skills training program affected positively in the reduction of participated children's visual impulsitivity, auditory inattention, and overall inattention which is rated by their parents. Second, the program influenced positively in the enhancement of social skills among participating children. Lastly, while parenting efficacy has been significantly increased among participating parents upon the completion of the program, there was no significant change in the level of parenting stress. Overall, the cognitive enhancement-social skill training program for ADHD children and parent training program for their parents positively affected in those children's symptom reduction and social skills, and also increased their parents' parenting efficacy. Limitations and suggestions for future studies are also discussed.

      • KCI등재

        발달장애 아동의 부모를 위한 인지-행동적 부모훈련 프로그램의 효과

        최지영,김재환,양윤란 한국임상심리학회 2004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Vol.23 No.1

        The present study examined the effectiveness of a cognitive-behavioral parent training program targeting parents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orders. The program focused on the acquisition of parenting skills such as behavioral modification techniques and responsive interaction skills. In addition, the program included cognitive strategies such as modification of parents' dysfunctional thinking, anger management skills, and problem solving training. 25 mothers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orders(ages 3-7 years) particicipated in the study. 13 mothers in training group were compared with 12 mothers in the control group. The results showed a significant decrease in the withdrawal of the Korea Adaptive Behavior Scale. Furthermore, a significant improvement in the parenting stress resulting from parent-child relationship was found. A significant change in dysfunctional attitudes and parenting sense of competence was not found. Observer-rated responsiveness in parent-child interactions as well as severity in mothers' report of problem behaviors declined significantly for mothers in the training program.

      • KCI등재후보

        의사소통 훈련 부모교육 프로그램이 초등학부모의 양육태도와 부모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김미경(Kim, Mikyong),김성현(Kim, Sunghyun) 한국학부모학회 2018 학부모연구 Vol.5 No.1

        이 연구에서는 의사소통 훈련 부모교육 프로그램이 초등학부모의 양육태도와 부모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연구가 진행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이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의사소통 훈련 부모교육 프로그램은 초등 학부모 양육태도에 어떠한 효과가 있는가 둘째, 의사소통훈련 부모교육 프로그램은 초등 학부모의 부모효능감에 어떠한 효과가 있는가 이다. 본 연구에서의 대상은 J시 초등 학부모 22명이었다. 조사도구로는 양육태도 척도와 부모효능감척도를 사용하였고, 분석방법으로는 빈도, t-검증, 공변량분석(ANCOVA)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의사소통 훈련 부모교육 프로그램이 초등 학부모의 양육태도에 증진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의사소통 훈련 부모교육 프로그램은 초등 학부모의 부모효능감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를 통해 초등학부모를 위한 의사소통훈련에 시사점을 제공한다고 볼 수 있다. In this study, the research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Communication Training Parent Education Program on parenting attitude and parental efficacy of elementary parents. In this study, research problem was set as follows. First, the effect of Communication Training Parents Education program on the parenting attitude of elementary parents. Second, Communication Training Parent Education Program has effects on parental efficacy of elementary parents.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22 elementary parents in J city. We used the parenting attitude scale and the parental efficacy scale as the survey instruments. Frequency, t-test, and covariance analysis (ANCOVA) were used as the analysis method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Communication Training Parent Education program promotes parenting attitude of elementary parents. Second, Communication Training Parents Education program improved parental efficacy of elementary parents. This study provides suggestions for communication training for elementary parents.

      • 긍정적 부모역할 프로그램 (Positive Parenting Program) 의 국내도입을 위한 기초연구

        김연수 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연구센터 2004 이화사회복지연구 Vol.4 No.-

        본 연구는 부모를 대상으로 하여 가족의 기능을 강화하고 아동의 문제를 예방하기 위한 목적으로 호주에서 실시되고 있는 대표적 프로그램의 하나인 '긍정적 부모역할 프로그램(Positive Parenting Program)'의 국내도입을 위한 기초연구이다. 긍정적 부모역할 프로그램은 사회학습이론 에 바탕을 둔 행동적 가족개입모델에 이론적 근거를 두고, 아동의 사회적 능력을 증진시키며, 발달적 및 행동적 문제를 예방하기 위한 목적으로 부모에게 필요한 아동양육의 구체적 지식 및 기술을 훈련하는 구조화된 프로그램이다. 단계별 개입에 있어서 긍정적 부모역할 프로그램은 지역사회 내의 모든 부모와 아동양육자들을 대상으로 한 예방적 차원의 정보제공에서부터 복잡하고 다양한 아동문제와 가족문제를 가진 부모를 대상으로 한 집중적 프로그램 실시에 이르기까지 점층적으로 강도를 높여 개입하는 총 5단계로 구성된 다차원적 프로그램이다. 프로그램의 토대를 이루는 기본원칙은 아동에게 안전하고 흥미로운 환경구성하기, 긍정적인 학습 환경 만들기, 명료한 훈육방법 사용하기, 현실적인 기대감 갖기, 그리고 부모로서 자기 자신 돌보기로 구성되어 있다. 긍정적 부모역할 프로그램은 호주와 뉴질랜드, 미국, 캐나다, 서독 등의 서구국가 뿐 아니라 홍콩, 싱가폴 등의 동양문화권 국가에서도 활발하게 적용 및 실천되고 있으며 그 효과성이 입증되고 있으나 현재까지 국내에는 소개되지 않은 프로그램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긍정적 부모역할 프로그램을 기존에 국내에 도입되어 실시되어온 대표적 부모역할 프로그램인 부모효율성훈련(Parent Effectiveness training), 체계적 부모역할훈련(Systemic Training for Effective Parenting), 그리고 적극적 부모역할훈련(Active Parenting Today)과 비교분석하고, 국내 적용 시 기대되는 실천적 함의에 관하여 논의해보았다. 이 연구는 지역사회를 기반으로 하여 가족기능을 강화하기 위한 구체적 실천도구가 부족한 사회복지계의 현실을 가만할 때, 실천현장에서 가족을 대상으로 구체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소개하였다는 점과, 나아가 사회복지실천 프로그램으로서 '긍정적 부모역할 프로그램'의 국내도입 및 활용가능성을 모색하기 위한 논의의 기초를 제공하였다는 측면에서 의의가 있다. This study is about Positive Parenting Program(Triple P) in Australia, which aims to enhance family functioning and prevent preadolescent children's problems through the systemic approach based on Behavioral Family Intervention Model. The program has a multilevel system which provides five levels of intervention of increasing strength from a universal population-level media information campaign to family programs for children at risk with more severe behavioral problems. The program uses flexible delivery modalities including individual, group, and self-directed programs provided depending on the requirements of individual families. However, the program hasn't been introduced to Korea in spite of the effectiveness and wide range of practice in many countries. Therefore, in this study. Positive Parenting Program was introduced and compared with the other programs which were already practiced in Korea, such as Parent Effectiveness training(PET), Systemic Training for Effective Parenting(STEP), and Active Parenting Today (APT) in terms of program theory, principles, and contents. Also, the applicability into Korea and practical usefulness of the program was discussed in the perspective of community based social work practice for families. In conclusion, this study can contribute to introduce a new parenting program for enhancing parent's competence and strengthening family in the community level and to explore the applicability of Positive Parenting Program into Korea as a family intervention tool. I suggest it is needed that the Program into be actually practiced and evaluated the effectiveness as a community based family supporting program in Korea.

      • KCI등재

        학부모-교사 간 협력 관계 증진을 위한 교사 연수의 방향

        서현석(Seo Hyun seok),김월섭(Kim Wol seop),진미정(Chin Mi j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5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5 No.10

        교사와 학부모의 파트너십은 양자 간의 협력과 소통을 근간으로 이루어지며 학교 교 육에 중요한 기반이다. 우리나라의 학부모의 학교 참여는 아직까지 초보적인 수준으로 조사된 바 있는데, 이는 학부모-교사 간 협력 관계의 강화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이 연구 는 면접조사와 설문조사를 통하여 학부모의 학교 참여에 대한 학부모와 교사의 인식과 요구를 파악하고 ‘학부모-교사 간 협력 관계’의 문제점을 구체화함으로써 이들의 협력 관 계를 지원하는 ‘교사 연수 프로그램’의 방향을 탐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의 주요 결과 를 요약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면담 조사 결과 교사들은 학부모가 학교(교사)에 과도한 기대와 요구를 한다는 인식을 가지고 있었고, 학부모들은 학교(교사)가 학부모와의 소통을 거부한다고 생각하 고 있어 기본적인 인식의 차이가 큼을 파악할 수 있었다. 또한, 다양한 매체를 통한 사소 통의 방법에 대한 인식의 차이, 교사의 특성이나 성향에 기인하는 학부모와의 의사소통 적 어려움을 교사와 학부모의 양 쪽의 입장에 포착되어 이에 대한 지원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둘째, 학부모-교사 간 협력 관계 증진을 위한 교사 연수 프로그램의 방향을 설정하기 위한 설문 조사 결과를 통하여 다음과 같은 정보를 도출할 수 있었다. 응답한 교사의 90%이상이 학부모와의 소통이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으나 부담감도 상당히 느끼고 있 는 것으로 조사 되었다. 응답자의 절반에 가까운 교사들은 ‘학부모의 권리와 역할, 관심 과 요구, 의사소통, 학부모 관련 업무에 대한 연수’ 경험이 한 번도 없었으며, 학부모와의 의사소통 방법에 관한 교사 연수 내용에 대한 선호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결론에서는 질적, 양적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학부모-교사 간 협력 관계 를 증진하기 위한 교사 연수 프로그램’의 개발 방향을 1) 교사 특성과 성향에 따른 맞춤 형 프로그램 제공 2) 학부모와 교사 간 의사소통에 대한 정보 구축 및 양자 간 공유를 위 한 체험형 프로그램 운영 3) 교사의 부담을 덜어주는 정책적 지원 등으로 제안하였다. The partnership between teachers and parents is achieved on the basis of cooperation and communication, and is fundamental to school education. In the case of Korea, parental participation in their children’s education remains only at the elementary level, which suggests the need to reinforce the partnership between parents and teachers. This research aims to explore the course of a ‘Training Program for Teachers’ that supports the ‘parent-teacher partnership’, by examining the demands of parents and teachers regarding parental participation, and by specifying the problems related to the ‘parent-teacher partnership’, through interviews and surveys. The summaries of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ccording to the interviews, teachers thought that parents expect too much from school(teachers) regarding their children, and parents perceived that school(teachers) refused to communicate at all regarding their requirements, showing a big gap between their perception. Also, there were differences between their perceptions of various methods of communication, and difficulties communicating were spotted in both parents and teachers, showing the need for support. Second, the survey result, aimed to set the course of training programs for teachers, in order to enhance parent-teacher cooperation, shows the following: 90% of teachers recognize the need to communicate with parents, but also felt a significant burden. Nearly half of the teachers surveyed never had the experience of ‘training programs for parental rights and needs, communication, and parent-related work’, and preferred to have training programs about methods of communication with parents. At the end of this research, based on the results of empirical, quantitative, qualitative research we suggest that the course of a ‘training program for teachers to enhance the parent-teacher partnership’ do the following: 1) provide a customized course tailored to the teachers’ characteristics, 2) run a participatory program to set up a shared information system to assist parent-teacher communication, 3) to support a policy to lift the burden from teach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