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부모-자녀관계 조화, 부모역할수행, 양육지식이 양육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최금미(Choi Keum Mi),류정희(Lyu Jeong Hee) 한국학부모학회 2018 학부모연구 Vol.5 No.1

        본 연구는 부모-자녀관계 조화, 부모역할수행, 양육지식이 청소년기 자녀를 둔 부모의 양육효능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탐색하였다. 이를 위해 광주․전남지역에 거주하고 있는 청소년 자녀를 둔 어머니 총 256명을 대상으로 부모-자녀관계 조화, 부모역할수행, 양육지식, 양육효능감 척도를 활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한 자료는 상관분석과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여 검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자녀관계 조화 하위요인 중 조화행동, 조화정서, 조화신체가 양육효능감에 영향을 미쳤다. 둘째, 부모역할수행 하위요인 중 훈육, 보호, 애정, 학업진로, 정서지도가 양육효능감에 영향을 미쳤다. 셋째, 부모의 양육지식 중 자녀와의 갈등 원인을 알기 위한 대화 기술, 자녀의 학교생활 향상을 위해 필요한 지식, 부모 자신 스스로의 자아 탐색, 자녀가 가족들과 관계를 원만히 하는데 필요한 지식이 양육효능감에 영향을 미쳤다. 이 연구는 부모-자녀관계 조화, 부모역할 수행, 양육지식이 양육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는데 의의가 있다. 이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과에 근거하여, 부모의 양육효능감 향상을 위한 부모상담 및 부모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대한 시사점을 논하였다. In this study, we explored how sub factors of parent-child relationships harmony, the performance of the role of parent, and parenting knowledge influence on the parenting efficacy with young children. The subject is a total of 256 mothers with children aged 11~19 living in Gwangju and Jeonnam province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child relationships and parenting efficacy shows that harmonic emotion, harmonic behavior, and harmonious body affect the parenting efficacy. Seco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erformance of the role of parent and the parenting efficacy shows that the performance of the role of the parent related to discipline, protection, emotional guidance, affection, and academic career would affect the parenting efficacy. Third,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ing knowledge and parenting effectiveness shows that the communication skills to understand the causes of conflict with children, the knowledge needed to improve children s school life, their own self-discovery, and the knowledge that children need to make family relationship better affect the parenting efficacy. Theoretical implications of the results were discussed. In addition, practical implications for the development of intervention programs for parents were presented.

      • KCI등재

        부모 양육스트레스 잠재집단에 따른 아동학대의 차이와 예측요인 분석

        호종갑,이희복,허무녕 한국학부모학회 2025 학부모연구 Vol.12 No.1

        본 연구는 부모 양육스트레스에 따른 잠재집단을 분류하여 잠재집단별 아동학대의 차이를 파악하고 잠재집단의 분류를 예측하는 요인의 영향력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대상은 한국아동패널 14차년도 조사에 응답한 1,140명의 자녀와 그 부모이며, 연구방법은 잠재프로파일분석(LPA)과 카이제곱 검증, 다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부모 양육스트레스에 따른 잠재집단의 수는 5개로 나타났으며, 각 잠재집단은 ‛부모 양육스트레스 저수준 집단’과 ‛부모 양육스트레스 중수준 집단’, ‛부모 양육스트레스 고수준 집단’, ‛부 양육스트레스 우세집단’, ‛모 양육스트레스 우세집단’으로 명명되었다. 둘째, 잠재집단별 아동학대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부모 양육스트레스 저수준 집단’의 아동학대 수준이 가장 낮아 아동학대의 저위험 집단으로 나타났고 ‛부모 양육스트레스 고수준 집단’과 ‛부 양육스트레스 우세집단’의 아동학대 수준이 가장 높아 고위험 집단으로 나타났다. 셋째, 부모의 우울과 주관적 행복감, 결혼만족도는 부모 양육스트레스에 따른 잠재집단 분류를 유의하게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각 요인의 영향력은 잠재집단에 따라 상이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부모 양육스트레스 잠재집단을 분류하고 부모 양육스트레스의 양상에 따른 아동학대의 차이를 살펴봄을 통해 부모 양육스트레스와 아동학대 간 관계를 확인하였으며, 아동학대의 예방을 위해 잠재집단별로 맞춤형 개입 방안에 관한 함의점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aims to classify latent profiles based on parental parenting stress, identify differences in child abuse across latent profiles, and analyze the predictive influence of various factors on the classification of latent profiles. The study participants comprised 1,140 children and their parents who responded to the 14th wave of the Korean Children’s Panel Survey. The study methods included latent profile analysis(LPA), chi-square tests, and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five latent profiles of parenting stress were identified: 'Low-level Parenting Stress Profile,' 'Moderate-level Parenting Stress Profile,' 'High-level Parenting Stress Profile,' 'Father-dominant Parenting Stress Profile,' and 'Mother-dominant Parenting Stress Profile.' Second, regarding differences in child abuse across latent profiles, the 'Low-level Parenting Stress Profile' showed the lowest levels of child abuse, making it a low-risk profile for child abuse. In contrast, the 'High-level Parenting Stress Profile' and the 'Father-dominant Parenting Stress Profile' exhibited the highest levels of child abuse, categorizing them as high-risk profiles. Third, parental depression, subjective happiness, and marital satisfaction significantly predicted the classification of parenting stress latent profiles, with the influence of each factor varying by latent profile. This study classified parenting stress latent profiles and examined differences in child abuse across these profiles, confirming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ing stress and child abuse. Furthermore, the findings highlight implications for tailored intervention strategies to prevent child abuse based on latent profile characteristics.

      • KCI등재

        중국 중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방식과 자기분화의 관계

        쉬슈오,임성택,홍송이 한국학부모학회 2022 학부모연구 Vol.9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of perceived parenting styles and self-differentiation among Chinese middle school students. The sample comprised of 200 Chinese middle school students in Liaoning province, China.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of perceived parenting styles and self-differentiation by gender and grade, but only by the type of parent. Middle school students from traditional families (with biological mother and father) had a significantly higher perception of their parents' emotional warmth in parenting style than those of single-parent families. The scores of cognitive and emotional functions, integration of self, and family regression of the participants in traditional familie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in single-parent families. When types of parents were controlled, the perceived rejective parenting style was found to be a significant predictor of cognitive and emotional functions, integration of self, family projection process, emotional cutoff, and family regression. The perceived emotional warmth parenting style was found to be a significant predictor of integration of self, emotional cutoff, and family regression. The perceived overprotective parenting style predicted only family regression which is a component of self-differentiation. The practical implications of these findings were presented for Chinese parents, educators, and educational policy makers. 본 연구는 중국 중학생의 성별, 학년, 부모 형태에 따라 지각된 양육방식, 자기분화에 차이가 있는지를 검증하고, 그들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방식과 자기분화의 관계를확인하기 위한 것이다. 연구대상은 요녕성 중학생 200명이었다. 연구목적의 달성을 위해 먼저 독립표본 t검증을 활용하여 성별에 따라 지각된 부모 양육방식과 자기분화에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였고, 일원변량분석과 Scheffe 사후검증을 활용하여 학년과 부모 형태에 따라 지각된 부모 양육방식, 자기분화에 차이가 나타나는지 확인하였다. 또한 위계적 회귀분석을 활용하여 부모 형태를 통제한 상태에서 지각된 부모 양육방식이 중학생의 자기분화를 예측할 수 있는지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성별과 학년에 따른 집단 차이는 없었고, 부모 형태에 따른 점수 차이만 나타났다. 양친부모 가정의 중학생은 한부모 가정의 중학생보다 부모의 애정적 양육방식을 유의미하게 높게 지각하고 있었다. 자기분화의 경우, 양친부모 가정 중학생들의 인지정서기능, 자아통합, 가족 퇴행 영역 점수가 한부모 가정 중학생들보다 유의미하게 높았다. 부모 형태를 통제하였을 때 지각된 거부적 양육방식은 자기분화의 하위요인인 인지정서기능, 자아통합, 가족투사 과정, 정서적 단절, 가족 퇴행을 모두 예측하는 변인임이 밝혀졌으며, 지각된 애정적 양육방식은 자아통합과 정서적 단절, 가족 퇴행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각된 과보호적 양육방식은 자기분화의 하위요인 중 가족 퇴행만을 유의미하게 예측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중국 중학생의 자기분화에 영향을 미치는 부모 형태와 부모 양육방식 연구가 지니는 의의에 대하여 논의하였고 중학생의 자기분화를 높일 수 있는 시사점을 기술하였다.

      • KCI등재

        공동육아 조합 어린이집의 ‘부모 되어가기’

        마유미,정선아 한국학부모학회 2021 학부모연구 Vol.8 No.1

        This study began with the awareness of problems that are emphasized only in the aspects of parental participation or community, although parents are the main subjects in cooperative parenting associations. Therefore, this study tries to explore the ontological aspect of becoming-parent of a communal childcare cooperative. As a result of the study, we were able to see parents opening up a world of ignorance, unknown, and oblivion, parents as ainfinite possibilities's diversities instead of 1/N, parents who experience daycare like mutants, and parents who connect knowledge and life. Through this, parents in co-parent care centers should be seen as emergence multiplicity, suggesting that parents in co-parent care centers should check the striated spaces and be present in smooth spaces. 본 연구는 공동육아 조합에서 부모가 운영과 교육을 책임지는 주체로 존재하나, 공동육아 부모들에 대한 이해가 부모 참여 또는 공동체성의 측면으로만 강조되고 있는 문제의식에서 시작되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공동육아 조합 어린이집 부모의 ‘되어가기’ 과정을 탐구하는데 있다. 연구결과 부모들은 끊임없이 되어가는 존재로서 무지, 미지, 망각의 세계를 열어가는 부모, 1/N이 아닌 무한의 가능성을 지닌 다양체로서의 부모, 돌연변이 생물 같은 어린이집을 체험하는 부모, 앎과 삶을 연결하며 부단히 ‘되어가는’ 부모의 모습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공동육아 조합 어린이집 부모는 발현적 다양체이며, 명시적 규칙들이 만들어진 홈 패인 공간을 견제하고 끊임없이 새로운 대안을 모색하고 합의의 과정을 지속함으로써 변화 가능성을 지닌 매끈한 공간에서 되어가는 존재임을 알 수 있었다.

      • KCI등재후보

        의사소통 훈련 부모교육 프로그램이 초등학부모의 양육태도와 부모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김미경(Kim, Mikyong),김성현(Kim, Sunghyun) 한국학부모학회 2018 학부모연구 Vol.5 No.1

        이 연구에서는 의사소통 훈련 부모교육 프로그램이 초등학부모의 양육태도와 부모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연구가 진행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이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의사소통 훈련 부모교육 프로그램은 초등 학부모 양육태도에 어떠한 효과가 있는가 둘째, 의사소통훈련 부모교육 프로그램은 초등 학부모의 부모효능감에 어떠한 효과가 있는가 이다. 본 연구에서의 대상은 J시 초등 학부모 22명이었다. 조사도구로는 양육태도 척도와 부모효능감척도를 사용하였고, 분석방법으로는 빈도, t-검증, 공변량분석(ANCOVA)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의사소통 훈련 부모교육 프로그램이 초등 학부모의 양육태도에 증진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의사소통 훈련 부모교육 프로그램은 초등 학부모의 부모효능감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를 통해 초등학부모를 위한 의사소통훈련에 시사점을 제공한다고 볼 수 있다. In this study, the research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Communication Training Parent Education Program on parenting attitude and parental efficacy of elementary parents. In this study, research problem was set as follows. First, the effect of Communication Training Parents Education program on the parenting attitude of elementary parents. Second, Communication Training Parent Education Program has effects on parental efficacy of elementary parents.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22 elementary parents in J city. We used the parenting attitude scale and the parental efficacy scale as the survey instruments. Frequency, t-test, and covariance analysis (ANCOVA) were used as the analysis method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Communication Training Parent Education program promotes parenting attitude of elementary parents. Second, Communication Training Parents Education program improved parental efficacy of elementary parents. This study provides suggestions for communication training for elementary parents.

      • KCI등재

        학령전기 부모의 생애주기별 맞춤형 지원 방안 연구

        김현정 한국학부모학회 2022 학부모연구 Vol.9 No.2

        This study examines the needs and tasks to be solved by life cycle of parents of preschooler, and followed up with the customized policy support suggestion. To perform this study FGI was conducted for parents of preschoolers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parents in pregnancy and childbirth demands healthy and safe childbirth, health care after childbirth, selection of market information, and overcoming of difficulties in using facilities according to economic ability. Preparing a forum on public discussion to recognize pregnancy and childbirth as a social responsibility, to provide credible information and to enhance various accessibilities, and to solve problems of pregnancy, childbirth, and childcare was proposed. Second, parents of infants want to deal with their children’s emergencies and avoid social isolation. Accordingly, they suggested providing information for infant health, preparing a government-level infant care manpower training program, and supporting the growth of parents. Third, early childhood parents are required to form a lifestyle for their children, to create a safe environment, and to provide practical parental education. Consequently, it was suggested to establish a parent education system linked with social support and to support the growth of parents using the parent community. 이 연구는 학령전기 부모들이 그들의 일상적인 삶 안에서 생애주기별로 마주하는 자녀 관련 혹은 자녀 이외의 과제와 필요를 생생하게 파악하고, 이에 따른 맞춤형 정책 지원 방안을 제안하였다. 연구 수행을 위해 학령전기 부모를 대상으로 초점집단 면담(FGI)을 진행하였고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임신·출산기 부모는 건강하고 안전한 출산과 출산 후 건강관리, 시장화 된 정보 선별, 경제적 능력에 따른 시설 이용 편차 극복을 요구하였다. 이를 위해 임신과 출산을 사회적 책임으로 인식하고 공신력 있는 정보 제공과 다양한 접근성을 제고하며 임신·출산과 보육 문제해결을 위한 공론의 장 마련을 제안하였다. 둘째, 영아기 부모는 자녀의 응급상황에 대처하는 것과 부모의 사회적 고립 방지를 원하였고 이에 따라 영아 건강을 위한 정보 제공, 정부차원의 영아 보육인력 양성과정 마련, 영아 부모의 인간적인 성장 지원을 제안하였다. 셋째, 유아기 부모의 경우 자녀의 생활 습관 형성과 안전한 환경 조성, 일상에서 적용 및 활용 가능한 실용적인 부모교육을 필요로 하였고 이에 사회적 지원과 연동한 부모교육 시스템 구축, 부모 커뮤니티를 활용한 부모의 성장 지원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다문화가정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와 우울 간의 종단관계 연구: 자기회귀교차지연모형을 적용하여

        고은선,전한성 한국학부모학회 2021 학부모연구 Vol.8 No.1

        This study ultimately verifies the positive parent-rearing attitudes and changes in depression that multicultural youths were late for and their impact on the two variables. For this purpose, the data of MAPS for the fourth year of the first year of the middle school to the seventh year of the first year of the high school were analyzed. The data were analyzed through the verification of autoregressive cross-lagged modeling, which sets the parent-rearing attitude and depression of teenager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late as potential variables. The main results of the verification are as follows: First, the parent-rearing attitude at the previous time over the period subject to investigation was stably predicted at the later date. Second, over the period studied, depression at the previous time was reliably predicted at the depression at the subsequent time. Third, over the period subject to investigation, the parent-rearing attitude at the previous time was stable in predicting depression at the subsequent time. In addition, the parent-rearing attitude at the time of depression in the previous period was predicted stably.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rearing attitude and depression that multicultural youths are late for is ultimately interrelated. The impact of positive parent-rearing attitudes on depression was lower than that on positive parent-rearing attitudes. This means that the positive parenting attitude of the parents recognized by teenager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can lower their chances of experiencing depression. Based on these results, the implications for preventing and intervening in depression were derived for teenager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본 연구는 다문화가정 청소년이 지각한 긍정적인 부모양육태도와 우울의 변화양상과 두 변수 간에 미치는 영향을 종단적으로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다문화청소년패널조사(MAPS) 자료 중 중학교 1학년(4차년도)부터 고등학교 1학년(7차년도)까지의 자료를 분석대상으로 하여 부모양육태도와 우울을 잠재변수로 설정한 뒤 자기회귀교차지연모형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조사대상 기간에 걸쳐 이전 시점의 긍정적인 부모양육태도[]는 이후 시점의 긍정적인 부모양육태도[+1]를 지속적으로 유의미하게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조사대상 기간에 걸쳐, 이전 시점의 우울[]은 이후 시점의 우울[+1]을 지속적으로 유의미하게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조사대상 기간에 걸쳐, 이전 시점의 긍정적인 부모양육태도[]는 이후 시점의 우울[+1]을 안정적으로 예측하였으며, 이전 시점의 우울[]도 이후 시점의 긍정적인 부모양육태도[+1]를 안정적으로 예측하였다. 이는 다문화가정 청소년이 지각한 긍정적인 부모양육태도와 우울 간의 관계가 종단적으로 상호인과성이 있음을 의미한다. 긍정적인 부모양육태도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은 우울이 긍정적인 부모양육태도에 미치는 영향보다 낮게 나타났다. 이는 다문화가정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의 긍정적인 양육태도가 이들의 우울 경험 가능성을 낮출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우울 예방과 개입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 KCI등재

        여고생의 진로스트레스가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부모-자녀 의사소통과 자기격려의 매개효과

        도숙희(Suk Hee Do),주동범(Dong-Beom Ju,) 한국학부모학회 2022 학부모연구 Vol.9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여고생의 진로스트레스가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부모-자녀 의사소통과 자기격려의 매개효과를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B시, D시, P시 3개 도시의 일반고 여자고등학생 367명을 대상으로 진로스트레스, 심리적 안녕감, 부모-자녀 의사소통, 자기격려에 대한 기술통계분석과 변인 간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Hayes가 제안한 매개모형의 절차에 따라 경로분석을 실시하여 부모-자녀와의 의사소통과 자기격려의 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여고생의 진로스트레스는 부모-자녀 의사소통을 매개로 심리적 안녕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여고생의 진로스트레스는 자기격려를 매개로 심리적 안녕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여고생의 진로스트레스가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부모-자녀 의사소통과 자기격려가 완전 매개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여고생의 심리적 안녕감을 높이기 위해 부모-자녀 의사소통을 원활히 할 수 있도록 돕고, 자기격려를 잘할 수 있는 개입이 필요하며, 여고생의 심리적 안녕감을 증진시키기 위한 다양한 교육과 프로그램 개발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mediating effects of parent-child communications and self-encouragement on the impact of female high school student’s career stress on psychological well-being. For this purpose,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on career stress, psychological well-being, parent-child communications, and self-encouragement and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the variables were conducted for 367 female general high school students in 3 cities of B, D, and P cities. And the mediating effect of parent-child communications and self-encouragement was analyzed by conducting path analysis according to the procedure of the mediating model proposed by Hayes.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female general high school student’s career stress affects psychological well-being through parent-child communications. Second, female general high school student’s career stress was found to affect psychological well-being through self-encouragement. Third, parent-child communications and self-encouragement were completely mediated in the impact of female general high school student’s career stress on psychological well-be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in order to increase female high school student’s psychological well-being, it is necessary to help facilitate parent-child communications, intervene to improve self-encouragement, and develop various education and programs to enhance female high school student’s psychological well-being.

      • KCI등재

        부모 자녀 간 의사소통과 청소년 자녀의 우울 및 자아탄력성의 관계

        양영미(Yang Yeong-mi):홍송이(Hong Song Ee) 한국학부모학회 2018 학부모연구 Vol.5 No.1

        본 연구는 부모 자녀 간 의사소통과 청소년 자녀의 우울 및 자아탄력성과의 관계를 분석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연구의 표집을 위해 4개(강원, 경기, 서울, 대구)지역 40여개 학교 중학생 총 433명 중 남학생 198명, 여학생 23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부모 자녀 간 의사소통이 개방적일수록 청소년 우울은 낮아지고 부-자녀 간 의사소통이 역기능적일수록 청소년 우울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부모 자녀 간 의사소통은 개방적 의사소통과 역기능적 의사소통의 두 하위요인에서 모두 자아탄력성과 정적관계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셋째,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과 청소년 우울 관계에서의 자아탄력성의 조절효과는 유의미한 상관을 보이지 않았다. 위의 결과를 바탕으로 청소년 자녀의 우울에 대한 부모 자녀 간 의사소통과 자아탄력성의 중요성에 대해 논의하였으며, 청소년 자녀가 우울을 경험하지 않도록 하기 위한 부모의 노력과 청소년 자녀의 내적 면역력이라고 할 수 있는 자아탄력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지원할 필요가 있음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child communication, adolescent depression, and self-resilience. The survey used a sample of 433 students, 197 boys and 235 girls, from 40 middle schools in four different districts (Gangwon, Gyeonggi, Seoul, and Daegu).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dolescent depression is lower when parent-child communication is open and becomes higher when father-child communication is dysfunctional. Second, there are positive relationships between both open and dysfunctional communication and self-resilience. Third, there is no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 of self-resilience for relationships between parent-child communication and adolescent depression. Based on the above results, the importance of parent-child communication and self-resilience related to adolescent depression is discussed. It is also suggested that the educational program is needed to improve self-resilience, also called internal immunity, which is defined as roles in the home and personal ability that help an adolescent resist experiencing depression.

      • KCI등재

        커뮤니티형 부모교육 프로그램의 사회적 임팩트에 대한 탐색적 연구

        정효정,이성아,김민정 한국학부모학회 2022 학부모연구 Vol.9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based on the participants' perceptions, how the community-type parenting education program contributed to making changes in the participants' personal lives, family lives, and even society from the perspective of social impact. To this end, we conducted interviews with 22 people who experienced participation in the community-type parent education program, and qualitatively analyzed them to derive exploratory results. Participants in the community-type parent education program felt that positive changes occurred in terms of mental and spiritual health, physical health, relationships with others, community, community, hobbies, careers, and financial status at the individual level. The participants recognized that the community-type parenting education program contributed to raising confidence and satisfaction as parents, while lowering parenting stress. In addition, they responded that healthy lifestyles such as support, sharing, listening, and explaining appeared more naturally in the home. Furthermore, community-type parenting education helped to make parents' lives and families healthy, and confirmed the possibility of contributing to community well-being by building trust in society and community. 본 연구의 목적은 커뮤니티형 부모교육 프로그램이 사회적 임팩트의 관점에서 참여자들의 개인의 삶, 가족의 삶, 나아가 사회 안에서의 변화를 만들어가는 데 어떻게 이바지하였는가를 참여자들의 인식을 토대로 규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커뮤니티형 부모교육 프로그램 참여자 22명을 대상으로 인터뷰를 진행하고, 이를 질적으로 분석하여 탐색적 결과를 도출하였다. 커뮤니티형 부모교육 프로그램 참여자들은 개인적 차원에서 정신적·영적 건강, 신체적 건강, 타인과의 관계, 커뮤니티, 공동체, 취미생활, 커리어(진로), 재정상태와 관련하여 긍정적인 변화가 나타났다고 느꼈다. 참여자들은 커뮤니티형 부모교육 프로그램이 부모로서의 자신감, 만족감을 높이는데 기여한 반면, 양육 스트레스는 낮추었다고 인식하였다. 또한, 지지하기, 함께하기, 경청하기, 설명하기와 같은 건강한 삶의 모습이 가정 안에서 더욱 자연스럽게 나타났다고 응답하였다. 나아가 커뮤니티형 부모교육은 부모의 삶과 가정을 건강하게 만드는 데 도움을 주고, 사회와 공동체에 대한 믿음을 갖게 함으로써 커뮤니티 웰빙에 기여할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