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빈곤가정 청소년의 심리사회적 적응 : 위험요인과 보호요인의 탐색

        오경자,김은이,도레미,어유경 한국임상심리학회 2005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Vol.24 No.1

        본 연구에서는 기초생활보호대상인 빈곤가정 청소년 146명(남 78, 여 68)과 비교집단 청소년 327명(남 160, 여 167)의 심리사회적 적응수준을 비교하고, 환경요인, 개인적 특성, 사회적 지지요인 등 이들의 심리적 적응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위험요인과 보호요인의 역할을 조사하였다. 조사 결과 빈곤가정 청소년과 비교집단은 우울, 외현화 문제행동 등 적응지표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전반적으로 가족 및 또래환경요인은 우울과 외현화 문제행동에 모두 중요한 영향력을 가지는 반면 사회적 지지요인은 우울에는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였으나 외현화 문제행동에 대한 설명력은 매우 적었고, 개인의 스트레스 대처방식은 대체적으로 두 가지 적응지표와 고른 상관관계를 보였다. 구체적인 위험요인으로는 가족의 정서적 환경, 친구의 비행성향, 그리고 회피적 대처방식이 우울, 외현화 문제행동 등 부적응의 지표와 유의한 부적 상관을 보여 중요한 위험요인으로 나타났고, 부모, 또래의 사회적 지지는 열악한 환경의 부정적 영향을 완화시켜주는 보호요인으로 작용함을 시사하였다. 위험요인과 보호요인의 전반적인 내용은 빈곤집단과 비교집단의 남녀 청소년에서 유사한 양상으로 나타났으나 부모지지의 보호적 기능은 빈곤집단에서 상대적으로 약화되는 경향이 있어 집단의 특성과 환경적 맥락에 따라 그 비중이 달라질 수 있음을 시사하였다.

      • KCI등재

        빈곤가정 청소년의 심리사회적 적응 : 가족위험요인과 부모자녀관계의 매개효과 검증

        오경자,문경주 한국임상심리학회 2006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Vol.25 No.1

        483 adolescents from grade 7 and 8 were sampled from a school in an area with heavy concentration of low income families. Family risk factors, parent-child relations were assessed with self-report measures at time 1; depression and externalizing behavior problems were assessed at time 2, 1 year later. SEM analysis of data from 331 adolescents(162 boys and 169 girls) who participated in both assessments revealed that adverse effects of poverty might operate through different pathways for boys and girls. For girls, family risk factors and poor parent-child relations mediated adverse effects of poverty on both depression and externalizing behavior problems. Family risk factors also had direct influence on depression in girls. Mediating effects of family risk factors and parent-child relations were significant for depression in boys, but their mediating effects for externalizing behavior problems were not supported by boys' data. Direct path from family risk factors to boys' externalizing behavior problems was nearly significant. The results were discussed in terms of implications for preventive intervention programs for adolescents in poverty. 빈곤이 청소년의 심리사회적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기제를 밝히고자 빈곤가정 밀집지역 중학교 1, 2학년 청소년 483명을 대상으로 가족위험요인, 부모자녀관계를 자기보고식 설문으로 평가하고 1년 후에 우울 및 외현화 문제행동을 평가하였다. 1, 2차 평가에 모두 참여한 331명(남 162명, 여 169명)의 자료를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하여 분석한 결과, 빈곤의 부정적 영향이 작용하는 기제가 성별과 부적응의 유형에 따라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여학생의 경우에는 빈곤이 부모의 부부갈등, 문제성 음주 등 가족위험요인 및 부모자녀관계를 매개변인으로 하여 우울 및 외현화 문제행동으로 이어지는 매개모형이 지지되었으며, 우울에 대해서는 가족위험요인이 추가적으로 직접적인 영향력을 미쳤다. 남학생 집단에서는 우울은 여학생과 마찬가지로 가족위험요인과 부모자녀관계의 매개효과가 지지되었으나, 외현화 문제행동은 부모자녀관계의 매개경로는 유의하지 않았으며, 가족위험요인과의 직접경로만이 유의한 수준에 접근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가 지니는 예방적 개입에 대한 시사점이 논의되었다.

      • KCI등재

        청소년기 사회불안의 발생과 유지의 심리적 기제 Ⅱ: 6개월 추적조사

        오경자,양윤란 한국임상심리학회 2003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Vol.22 No.3

        In an attempt to assess the stability of social anxiety in childhood and adolescence and identify variables contributing to the stability, a total of 1255 children and adolescents(364 4th-5th graders, 518 7th-8th graders, and 373 10th-11th graders) were given self-report measures of social interaction and performance anxiety, retrospective account of behavioral inhibition, traumatic experience, family environment, dysfunctional cognition, depression and interference. The same measures of social interaction and performance anxiety were repeated 6 months later. The correlation between the 1st and 2nd social anxiety scores in the 3 age groups ranged from .54-.74. and approximately half of the high anxiety group (with anxiety score 1SD above the mean) showed a drop in their anxiety scores below the criterion at the 6 month follow-up.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revealed the level of social interaction and performance anxiety at the 1st assessment, behavioral inhibition and traumatic experience to be significant contributing factors to the social interaction and performance anxiety at the 2nd assessment. In addition, internalizing behavior problems emerged as a significant contributing factor in the group of 10-11th graders. Those with high level of anxiety at both assessments had higher initial anxiety level, behavioral inhibition, and traumatic experience scores compared to those with transient anxiety. The persistent anxiety group also had higher depression and negative cognition measures.

      • 학교정신보건사업의 두 가지 모델 : 서대문구 학교정신보건사업과 오산시 초등학교 보건사업의 비교

        오경자,하은혜,배주미,김영아,고려원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1999 연세교육과학 Vol.47 No.-

        Two models of mental health service programs for elementary school children were reviewed. The Sudaemoonkoo School Mental Health Project which was designed to Provide basic mental heatlh services for children in two elementary schools in Sudaemo7nk7o with special emphasis on early identification and treatment of children with mental health problems consisted of the following components ; comprehensive assessment programs for children identified to be at risk for behavior disorders at the initial screening process, telephone consultation service open to parents, mental health education for teachers and parents, bimonthly mental health consultation sessions for teachers, social skills training for children with mild school adjustment problems, and monthly newsletters with information on child mental health. A university-based school mental health team consisting of psychiatrists, clinical psychologists and college student volunteers provided services in the Sudaemoonkoo project. The Osansee Public Health Center Elementary School Mental Health Program included registration of children with mental health problem, mental health education for teachers and parents as well as the campaign for children's mental health via mass media, and crisis intervention program. A nurse at the public health center with a consulting psychiatrist provided services for the Osansee Elementary School Mental Health Program. Evaluation of the two programs suggested that university-based model such as Sudaemoonkoo Project is more appropriate where the option is available and the participating school is ready for more intensive programs, while public health center model is more approapriate where professional manpower is limited and motivation for school mental health program in the community is not high. It was suggested that institutional support and professional manpower within the school system are important conditions for success of school mental health programs.

      • 有吉佐和子硏究『紀ノ川』論

        吳敬子 誠信女子大學校 1993 硏究論文集 Vol.33 No.-

        『기별천』論에서는 女主人公 花를 中心으로 하며 구가사대에 걸친 女子의 生을 그린다. 時代에 想하는 여성상을 造型한 社회背景과의 關連性에 焦點을 맞추었다. 특히 花는 明治社會가 造型한 家靈的 存在 賢母良妻의 女性이지만, 同時에 優雅함을 간직하면서도自己主張을 잃지 않는 女性임을 밝힌다. 論文構成에 따라 槪要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Ⅰ.『紀별川』의 素材를 제供한 自然背景인 <紀州>와 <紀별川>에 관하여 文獻을 通해 調사하였다. < 기별천>氣質은 豊乃이나 花 · 文제에 나타나 있다. 푸르고 유유히 흐르는 <기별천>는 겉보기와는 달리, 강가에서 삶을 궁우하는 자를 두렵게 하는 면이 있다. 作者는 <기별천>의 흐름 속에서 女子의 一生을 발見하고 花의 人間型을 造型하고 있다. 社會背景에서는 時代相과 人物造型과의 관連性을 歷史 · 政治史 · 풍俗史의 側面에서 考察하였다. Ⅱ.『기별천』의 構想의 모티브는 흐름(流れる)에 있다. 강물의 흐름처럼 人間의 生命은豊乃로부터 시작하여 四代째의 華子로 이어져간다. 作品 속의 흐름을 총括하고 있는 것은 花이다. 全분 흐름속에서 花는 自己自身의 意志를 끝까지 지켜나간다. 作品 構成面에 있어서 花의 죽음을 象徵하는 白蛇의 죽음의 場面設定과 이야기(物語)의 마지막 場面의 望遠鏡의 셔터가 끊어짐과 同時에 作品도 幕을 내린다는 뛰어난 手法을 보이고 있다. Ⅲ. 豊乃는 家門의 格보다는 한 집안의 기둥이 될 수 있는 ??谷敬策의 ????性을 보고花를 시집보낸다. 여기서 豊乃는 近代女性의 先구者로서의 女性像을 提時하고 있다. 花는 <女大학>(女子의 修身書)의 가르침을 지키며 <家>를 掌握하게 된다. 「忍종이라고는 생각하지 않고 열심히」오로지 앞을 向하는 姿勢로 생활하면서, 裏面에서 남편을 돕고 出世의 길에 오르게끔 激려한다. 花는 新女性像을 가슴 안에 품고 있는 明治時代의 女成像을 浮刻시키고 있다. 花의 長女, 文제는 大正데모크라시의 물결을 타고 新時代意識에 사로잡혀 있다. 그러나 아내가 되고 어머니가 됨으로서 化나 낡은 전統에 대한 反撥과 拒否는 무너지고 賢母良妻像을 보이게 된다. 文자의 딸 華子는 ??개생활분검??자이며, 戰後 苦學하여 女大를 卒業한 後 出版社에서 일하고 있는, 말하자면 戰後社會의 OL像을 提示하고 있다. 어린 시절을 外國에서 보낸 華字는 日本的인 아름다운 것에 鄕愁를 안고 있다. 華字는 日本의 女性으로서 훌륭하게 삶을 이룬 花의 피가 自身의 체內로 「콸콸 쏟아지는」 것을 느끼면서, 隔世遺전-T.S. 엘리오트(Eliot)의 전통론을 한층 더 强하게 感知한다. 華字에 의해 止揚(Aufheben)된 전統論은 作者의 전統論이기도 하다.

      • KCI등재
      • 詩の效用 : 日本の近代詩ㆍ現代詩を中心に

        吳敬子 誠信女子大學校 1990 硏究論文集 Vol.30 No.1

        詩라는 것은 詩人이 人生, 自然, 世上 등에 대해서 남달리 느낀 바를 一定한 法則에 따라서 表現한 文學의 한 쟝르이다. 말하자면 詩의 主題는 人間이 삶을 營爲해 나가는데 있어서의 즐거움, 괴로움, 안타까움, 사랑 등이나 봄, 여름, 가을, 겨울 등 四季節에 걸친 自然의 神秘함, 놀라움, 그리고 그 自然 속을 旅行하면서 느끼는 새로운 世界에 대한 感嘆 등이 詩의 主題가 되고, 나아가서 人間들이 살아가고 있는 環境으로서의 社會에 대한 날카로운 洞察 또한 主要한 詩의 主題이기도 하다. 이와같은 主題들을 一定한 法則에 알맞게 表現하는 것이다. 一定한 法則이라는 것은 壓縮되고 凝固된 말과 文章, 精鍊되고 硏磨된 말과 文章 등으로 表現하되 適切한 리듬을 갖고 文體로 되는 것이다. 이러한 것이 詩의 特性이다. 그러나 이것으로 詩가 詩로서의 使命을 다하는 것은 아니다. 詩는 詩人만의 것이 아니라 讀者의 것이기도 하다. 讀者가 詩人의 詩를 읽고 거기서 無限한 共感을 느끼며, 그렇게함으로써 詩人과 讀者가 하나의 共有世界를 形成했을 때, 비로서 詩는 詩로서의 存在가 確認되는 것이다. 讀者가 詩人의 詩를 읽고 거기서 얻는 즐거움, 흐뭇함, 勇氣, 깨달음, 感嘆 등을 통해서 詩人과 情緖的으로 하나가되는 現象이야말로 詩가 詩로서의 存在理由를 立證하는 것이다. 이와같은 詩人과 讀者가 詩를 사이에 두고 하나의 共感帶, 共有世界를 이룩하는 現象이야말로 詩의 效用이라고 할 수 있다. 詩의 效用은 人間들에게 情緖의 醇化와 勇氣, 즐거움이나 爽快함, 社會의 不合理에 대한 날카로운 告發, 自然의 深奧함에 대한 覺醒등 數많은 機能을 가지고 있다. 이 論文에서는 詩의 一般的인 定義와 效用에 關하여 理論的으로 살펴본 후에 詩의 效用을 잘 드러내고 있다고 느껴지는 몇몇 詩를 골라서 그것들을 鑑賞하고 讀者들의 마음에 무엇이 일어날것인가를 解說하고 分析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