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미숙아에서 경구 포도당액, EMLA^(R)크림, 노리개 젖꼭지(pacifiers)의 통증 감소 효과에 대한 비교

        윤영훈,노영일,김은영,박상기 朝鮮大學校 附設 醫學硏究所 2004 The Medical Journal of Chosun University Vol.29 No.2

        Background and Objectives : We compared the pain reducing effect of orally administered glucose with that of EMLA cream and pacifiers during venipuncture in preterm infants. Material and Method : Twenty two preterm infants were included for this study. We performed four methods in al1 preterm infants. First, control group, second, received EMLA cream on the skin, third, received 30% glucose orally administered, and fourth, received pacifiers. Symptoms associated with pain at venipuncture were measured with the Premature Infants Pain Profile (PIPP) scale. Result : Among the subjects, 14 (63.6%) was male, 8 (36.4%) was female. The distribution of gestational age was as follows ; gestational age 30~34 was 2, 32333 was 2, 34-35 was 10, 36-37 was 8. The comparison of PIPP score between groups was as follows : control group was 12.73±2.45, EMLA group was 10. 05±3.59, 30% glucose group was 6.45±2.06, pacifiers group was 9.18±2.32 (P<0.001). The percentage of patients with PIPP score above 12 was as follows : control group was 68.5%, EMLA group was 31.8%, 30% glucose group was 0%, pacifiers group was 14.5%. The mean heart rate change between before and after venipuncture was as follows : control group was 22.32±4.09, EMLA group was 31.91±3.53, 30% glucose group was 7.00±4.14, pacifiers group was 9.36±2.15. Conclusion : Our study supports the use of oral glucose, EMLA, and pacifers is the effective intervention at venipuncture in preterm infants. The most effective method was oral glucose. 목 적 : 미숙아에서 포도당의 경구 투여, 국소 마취 크림인 EMLA^(R)와 노리개 젖꼭지의 통증 감소 효과를 비교하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 법 : 2003년 3월부터 8월까지 조선대학교 병원 신생아실에 입원한 재태연령 37주 미만의 미숙아를 대상으로 4가지 방법으로 통증 감소를 측정하였다. 제 1 군(대조군)은 아무것도 투여하지 않은 군, 제 2군은 EMLA^(R) 크림을 바른 군, 제 3군은 30% 포도당액을 먹인 군, 마지막 제 4군은 노리개 젖꼭지를 물린 군으 로 나누어서 통증을 감소를 비교하였다. 통증의 평가는 PIPP 점수와 최고 심장 박동수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결 과 : 1. PIPP 접수 비교 대상아이의 PIPP 점수를 보면 대조군 12.73±2.45, EMLA^(R) 크림군 10.05±3.59, 30% 포도당군 6.45♀2.06, 노리개 젖꼭지군이 9.18±2.32로 대조군에 비해서 다른 군들이 유의하게 낮았다(모두, P<0.001). 30% 포도당군이 EMLA^(R) 크림군의 PIPP 접수에 비해 유의하게 낮았으며 (P<0.05), 노리개 젖꼭지군의 PIPP 점수에 비해서도 유의하게 낮았다(P<0.05). 2. 통증을 느끼는 PIPP 6점 이상 비율의 비교 통증을 느끼는 PIPP 6점 이상의 비율을 비교하면 대조군 100% (22명), EMLA^(R) 크림군 86% (19명), 30% 포도당군 50% (11명), 노리개 젖꼭지군은 90% (20명) 으로 30% 포도당군에서 가장 낮았다. 3. 심한 통증을 느끼는 PIPP 12점 이상 비율 비교 심한 통증을 느끼는 PIPP 12점 이상의 비율을 비교하면 대조군 68.6% (15명), EMLA^(R) 크림군 31.8% (7명), 30% 포도당군 0% (0명), 노리개 젖꼭지군은 14.5% (1명) 으로 30% 포도당군이 가장 낮았다. 4. 최고 심장 박동수의 변화 비교 최고 심장 박동수의 증가를 비교하면 대조군 22.32±4.09, EMLA^(R) 크림군 13.91±3.53, 30% 포도당군 7.00±4.14, 노리개 젖꼭지군이 9.36±2.15로 대조군에 비해서 다른 군들이 유의하게 낮은 증가를 보였다(모두, P<0.001). 30% 포도당군의 최고 심장 박동수의 증가가 EMLA^(R) 크림군에 비해 유의하게 낮았으나(P<0.001), 노리개 젖꼭지군과 비교하면 두 군간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0.05). 결 론 : 미숙아에서 통증의 감소에 EMLA^(R) 크림, 포도당액의 경구 투여, 노리개 젖꼭지가 효과가 있었으며, 포도당액의 경구 투여의 경우에는 빠른 시간에 효과가 나타나서, 이용이 용이할 것 같다.

      • SCOPUSKCI등재

        신생아의 정맥천자시 통증 감소 효과 : 경구 포도당액, EMLA<sup>Ⓡ</sup> 크림 및 노리개 젖꼭지

        박상기,김은영,Park, Sang Kee,Kim, Eun Young 대한소아청소년과학회 2006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CEP) Vol.49 No.4

        목 적 : 신생아에서 포도당의 경구 투여, 국소 마취 크림인 $EMLA^{(R)}$와 노리개 젖꼭지의 통증 감소 효과를 비교하고자 하였다. 방 법 : 2003년 3월부터 12월까지 조선대학교병원 신생아실에 입원한 신생아들을 대상으로 4가지 방법으로 통증 감소를 측정하였다. 제 A군(대조군)은 아무것도 투여하지 않은 군, 제 B군은 $EMLA^{(R)}$ 크림을 바른 군, 제 C군은 10% 포도당액을 먹인 군, 제 D군은 30% 포도당액을 먹인 군, 마지막 제 E군은 노리개 젖꼭지를 물린 군으로 나누어서 통증의 감소를 비교하였다. 통증의 평가는 PIPP 점수를 측정하였다. 결 과 : 미숙아와 만삭아 사이에서 평균 PIPP 점수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각 군의 평균 PIPP 점수를 보면 A군 $12.5{\pm}2.5$, B군 $10.1{\pm}2.6$, C군 $9.4{\pm}2.0$, D군 $6.5{\pm}2.1$, E군이 $8.7{\pm}2.3$로 대조군에 비해서 다른 군들이 유의하게 낮았다($EMLA^{(R)}$ 크림군 P<0.05, 그 외 모두, P<0.001). D군의 평균점수가 B, C, E군들의 평균 PIPP 점수에 비해 유의하게 낮았다(각각, P<0.001, P<0.005, P<0.05). 통증을 느끼는 PIPP 6점 이상의 비율을 비교하면 A군 100%, B군 82%, C군 56%, D군 40%, E군은 70%로 D군에서 가장 낮았다. 심한 통증을 느끼는 PIPP 12점 이상의 비율을 비교하면 A군 72%, B군 30%, C군 22%, D군 0%, E군은 14%로 D군이 가장 낮았다. 결 론 : 신생아에서 통증의 감소에 포도당액의 경구 투여, $EMLA^{(R)}$ 크림, 노리개 젖꼭지가 모두 효과가 있었으며, 특히 30% 포도당액의 경구 투여가 가장 효과적이었다. Purpose : We compared the pain reducing effect of orally administered glucose solution with EMLA cream and pacifiers during venipuncture in newborn infants. Methods : Fifty newborn infants(30 prematures) were enrolled in this study. We performed these four pain-reducing methods to all infants in serial order. Group A(control) did not receive any treatment; to group B, EMLA cream was applied on the skin for 1 hour; group C(or D) received 10 percent(or 30 percent) glucose solution orally; group E used pacifiers. Symptoms and signs associated with pain at venipuncture were measured with the Premature Infants Pain Profile(PIPP) scale. Results :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PIPP scores between preterm and fullterm infants. The mean PIPP scores of groups were A : $12.5{\pm}2.5$, B : $10.1{\pm}2.6$, C : $9.4{\pm}2.0$, D : $6.5{\pm}2.1$ and E : $8.7{\pm}2.3$; the mean scores of groups B, C, D and E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group A(all, P<0.001 except B(P<0.05)), and the mean score of D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of B, C and E(P<0.001, P<0.005, P<0.05, respectively). The percentages of patients with PIPP scores above 6, which means pain, were A : 100 percent, B : 82 percent, C : 56 percent, D : 40 percent and E : 70 percent. The percentages of patients with PIPP scores above 12, which means severe pain, were A : 72 percent, B : 30 percent, C : 22 percent, D : 0 percent and E : 14 percent; that of group D was clearly lowest. Conclusion : These results support the use of oral glucose solution, EMLA, and pacifiers for pain reduction as effective intervention at venipuncture in newborn infants. The most effective method was a 30 percent oral glucose solution.

      • KCI등재

        미숙아 통증완화를 위한 포도당 코팅 노리개젖꼭지의 적용 효과

        김미진,최미혜 병원간호사회 2006 임상간호연구 Vol.11 No.2

        Purpose: To determine efficacy of the dextrose-coated pacifier for relieving pain in preterm infants. Method: In a nonequivalent contol group pretest-posttest and a crossover trial, pain was assessed in 98 preterm infants using the PIPP following three randomly ordered interventions during heel lnac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the SPSS program(Ver. 11.0) using Chi-spuare test, One-wat ANOVA, and Tukey post hoc. Result: Pain responses of the dextrose-coated pacifier group and the pacifier group are different from that of the control groups significantly(p=.000), with the lowest PIPP scores in the dextrose-coated pacifier group. Pain physiologic responses(Heart rate & SpO₂) of the dextrose-coated pacifier group is different from those of the pacifier group and the control group significantly(Heart rate: p=.003, SpO₂: p.=022). Heart rate and SpO₂changes of the dextrose-coated pacifier group is less than others with Tukey post hoc. Pain behaviour responses(Brow bulge, Eye squeeze, Nasolabial furrow) of the dextrose-coated pacifier group and the pacifier group are different from that of the control group significantly(Brow bulge: p=.001, Eye squeeze: p=.000, Nasolabial furrow : p=.000). Conclusion: The dextrose-coated pacifier shows pain relief effect. Accordingly, the dextrose-coated pacifier should be applied nursing intervention for pain management as heel lances in preterm infants

      • KCI등재후보

        신생아에서 비약물적 통증조절을 위한 25% 경구 포도당과 인공 젖꼭지 사용의 효과

        김민경,김인아,정민희,한명기,박기영,김봉성,진현승 대한신생아학회 2011 Neonatal medicine Vol.18 No.2

        Purpose: The goal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efficacy of oral 25% dextrose treatment or/and pacifier for analgesia in healthy newborns during intramuscular injection of a hepatitis B vaccine. Methods: A prospective, randomized, partially blinded, clinical trial was performed in 132 healthy newborns. They were assigned randomly to 4 treatment groups: control group (2 mL distilled water), dextrose group (2 mL 25% dextrose), pacifier group, dextrose+pacifier group (pacifier coating with 25% dextrose) during intramuscular injection of hepatitis B vaccine. For all groups, Neonatal Infant Pain Scale (NIPS), Neonatal Facial Coding System (NFCS), Premature Infant Pain Profile (PIPP) scores were evaluated before the injection, during the injection, and at 2 minutes after the injection. Pain scores were compared among the 4 groups. Results: Maternal and neonatal characteristics were similar among the 4 groups. 25% dextrose treatment led to lower NIPS pain scores during injection (6.4±0.9 vs. 5.5±1.7, P=0.01) and after injection (1.6±2.0 vs. 0.6±0.9, P=0.01) and NFCS pain scores after injection (1.5±2.3 vs. 0.7±0.8, P=0.04) than control group. The number of neonates who feel the pain (indication of scores: NIPS≥4,NFCS≥3) decreased (9 (23.1%) vs. 0 (0%), P=0.04 via NIPS, 7 (17.9%) vs. 0 (0%), P=0.02 via NFCS). However, all treatment groups did not decreased PIPP scores,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Conclusion: Oral 25% dextrose is effective than distilled water or using pacifier with or without 25% dextrose in reducing pain during intramuscular injection of hepatitis B vaccinations. Further study based on this preliminary study need about nonpharmacologic management of pain in newborns. 목적: 건강한 신생아를 대상으로 B형 간염 예방접종 시 25%경구 포도당과 인공젖꼭지의 진통효과를 알아보고자 전향적부분적 무작위 임상실험을 시행하였다. 방법: 132명의 신생아를 대상으로, 출생 6시간 이후 B형 간염예방접종을 근육 내 주사하여 비약물적 통증조절 방법을 비교하였다. 4가지 번호가 담긴 성별에 따라 구분된 상자를 통해 무작위 추첨으로 각 실험군을 정하였고, 주사 투여 2분 전에 증류수를 먹인 군을 대조군으로 25% 경구 포도당을 먹인 군(포도당처치군), 주사 투여 전 2분 동안 인공젖꼭지만 물린 군(인공젖꼭지 처치군) 및 25% 경구 포도당을 인공젖꼭지에 묻혀 물린 군(포도당+인공젖꼭지 처치군)으로 총 4개의 군으로 구분하여 진행되었다. 모든 군에서 접종 전, 접종 시, 회복 시의 Neonatal Infant Pain Scale (NIPS), Neonatal Facial Coding System (NFCS), Premature Infant Pain Profile (PIPP) 점수를 구하여 비교하였다. 결과: 산모와 대상아의 임상적 특징은 4개의 군 사이에 차이가 없었고, 대조군과 비교하여 포도당 처치군에서 NIPS 점수상접종 시(6.4±0.9 vs. 5.5±1.7, P=0.01)와 회복 시(1.6±2.0 vs. 0.6±0.9, P=0.01), NFCS 점수상 회복 시(1.5±2.3 vs. 0.7±0.8,P=0.04)에 통증점수가 유의하게 낮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각 통증평가 점수상 통증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는 대상(NIPS점수≥4점, NFCS점수≥3점)의 숫자가 의미 있게 감소하였다(9명(23.1%) vs. 0명(0%), P=0.04 via NIPS, 7명(17.9%) vs. 0명(0%),P=0.02 via NFCS). 반면 모든 군 사이 PIPP 점수 혹은 중등도 혹은 심한 통증 PIPP 점수 대상수(PIPP점수≥7점)의 비교에서는통계상 의미가 없었다. 그러나 대조군과 비교하여 인공젖꼭지처치군에서 오히려 NIPS와 NFCS 점수가 각각 회복 시 통계상유의하게 증가하였고(1.6±2.0 vs. 2.7±2.6, P=0.003 via NIPS,1.5±2.3 vs. 2.9±2.6, P=0.023 via NFCS), 포도당+인공젖꼭지처치군에서는 통계상 유의하지 않았다. 결론: 25% 경구 포도당을 이용한 통증조절은 효과가 있어 보이나 인공젖꼭지 혹은 25% 포도당을 묻힌 인공젖꼭지의 경우에는 효과가 없었다. 저자들은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신생아의 비약물적 통증조절에 대한 추가적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한다.

      • KCI등재후보

        신생아 통증완화를 위한 자당 코팅 노리개 젖꼭지의 적용 효과

        정윤정,조결자 한국아동간호학회 2005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Vol.11 No.3

        Purpose: This study is to assess and compare the analgegic effects of 25% sucrose coating pacifier and pacifier. Method: The participants are 75 healthy infants of neonatal age 1-7 days and randomized to receive heel prick before 2 minutes to blood sampling and physiological test in Nursery of A Medical Center from 24, January to 28, February, 2003. The experimental group assigned to one of three treatment groups: no treatment, a pacifier, 25% sucrose coating pacifier.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the SPSS 11.0 program using χ²-test, one-way ANOVA and Scheffe, repeated mesured ANOVA. Results: The pain score of 25% sucrose coating pacifier is lower than no treatment group and pacifier group. In heart rate, there were statistical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ree groups. In repiratory rate, there were no statistical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ree groups. In SaO₂, there were statistical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ree groups. Conclusion: The 25% sucrose coating pacifier showed pain relief effect in behavior responses and heart rate and SaO₂. Accordingly, the sucrose coating pacifier should be applied nursing intervention for simple pain management as heel prick.

      • KCI등재

        한국과 서양의 고전극에 나타난 해원 방식의 비교

        박진태 ( Park Jin-tae )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2007 고전문학과 교육 Vol.13 No.-

        1. In Korean tales the malignant spirits are pacified by three methods; respect, satisfying sexual desire and revenge. 2. The malignant spirit is pacified by the method of respect or satisfying sexual desire in Korean drama. But it is pacified by method of revenge in European classic drama. 3. In Korean classic drama the phase of pacifying the malignant spirit was dramatized and the phases of dying with a grudge and pacifying the malignant spirit were dramatized also. but in European classic drama only the phases of dying with a grudge and pacifying the malignant spirit were dramatized. 4. Korean mask drama is a comedy. But European classic drama is a tragedy.

      • 포도당 코팅 노리개 젖꼭지 제공이 미숙아의 정맥주사 시 통증 반응에 미치는 효과

        서정숙 ( Jung Suk Seo ),권인수 ( In Soo Kwon ),김희 ( Hee Kim ),정영란 ( Young Ran Jung ),조성진 ( Sung Jin Jo ),황주영 ( Ju Young Hwang ),강현선 ( Hyun Sun Kang ) 부모자녀건강학회 2010 부모자녀건강학회지 Vol.13 No.2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pain reducing effects of the dextrose-coated pacifier on venipuncture in premature infants. Methods: The design of this study is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and a crossover trial. The analysed cases were 40 premature infants (20 in experimental group and 20 in control group) in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of a University Hospital, Gyeongnam Province, Korea.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April to October, 2009. The experimental treatment was carried out nursing 20% dextrose-coated pacifier on venipuncture for IV injection. The instruments were O2 saturation and heart rate on pulse oxymeter monitor to measure physiologic pain responses, and NIPS to measure behavioral pain responses.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x2 test, t-test using SPSS program. Results: The effects of the 20% dextrose-coated pacifier were found in the physiologic (only heart rate) and behavioral pain response on venipuncture. Conclusion: These finding is suggested that the dextrose-coated pacifier could be an effective nursing intervention for reducing pain on venipuncture in premature infants.

      • KCI등재

        무당굿에 나타난 고혼 위무의 보편성과 특징 -수륙재․감로탱․여제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이경엽 남도민속학회 2020 남도민속연구 Vol.40 No.-

        The pacification of the lonely spirit or revengeful spirit is an old tradition of shamanism. There are related rituals that are transmitted in various manners nationwide. On the other hand, the pacification of lonely spirits is not only a shamanistic act but also the subject of Suryukjae. In addition, in nectar ritual paintings, there is a form of lonely spirits, and it was the main subject of Yeoje which was the national ancestral rites in the Joseon Dynasty. In consideration of such circumstances, the similarity in the form of lonely spirits in mudang gut, Suryukjae, nectar ritual painting, and Yeoje has been reviewed and their characteristics will be been examined through the method of formalizing lonely spirits in mudang gut. From this, it is expected that the universality and the characteristics of pacifying lonely spirits in mudang gut will be understood. Mudang gut, Suryukjae, nectar ritual painting, and Yeoje are different religious traditions which share a lot in common. From this, the tradition of soothing lonely spirits are not from a specific religion or faith, but it is a universality of the Eastern religious traditions. However, the social function each performs is different so the categories and the types of lonely spirits they objectify differ. In the case of Yeoje, the category of lonely spirits is restricted relatively. Mudang gut, Suryukjae, and nectar religious painting have a lot in common. Of particular, they share ‘everyday life․occupation’ of lonely spirits, which is not included in Yeoje. The fact that kings and civil and military officials appear in Suryukjae and nectar religious painting is related to the Joseon Dynasty and it is the result of reflecting the faith of Suryukjae which aspires the egalitarianism that accepts high and low and the rich and poor alike. According to the religious tradition,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formalization of lonely spirits and the soothing. In Suryukjae, it is summoned as lonely spirits of egalitarianism, and in nectar religious painting, it is pictorially depicted, while in Yeoje, it is called upon as the aid object of the ruler. In mudang gut, there are calling style and reenacting style, of which the latter is of particular interest. In mudang gut, lonely spirits appear as the main character of each episode. In the drama reenacted by a shaman, the spirits talk about their misfortune and they undergo the process of objectification. The ‘self-uttering’ is similar to the contemporary art therapy, which calls for interest. As such, in mudang gut, the position of lonely spirits are histrionically reenacted and formalized in multi-dimension. It is the characteristic of pacifying lonely spirits in mudang gut. 고혼 또는 원혼을 위로하고 달래는 것은 한국 무속의 오래된 전통이다. 전국적으로 관련 의례들이 다양하게 전승되고 있다. 한편 고혼 위무는 무속만이 아니라 불교 수륙재의 주제이기도 하다. 더불어 감로탱화에도 고혼 형상이 등장하며, 조선시대 국가제사였던 여제의 주된 대상이기도 했다. 이런 점을 고려하여 무당굿과 수륙재․감로탱․여제에 나오는 고혼의 유사성을 검토하고, 무당굿에 나타난 고혼 형상화 방식의 특징을 살펴보려고 한다. 이를 통해 무당굿에 나타난 원혼 위무의 보편성과 특징을 파악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무당굿, 수륙재․감로탱화, 여제는 서로 다른 종교 전통인데도 전체적으로 유사한 부분이 많다. 이것으로 본다면 원혼 위무의 전통은 특정 종교나 신앙이 아닌, 동양 종교 전통이 지닌 보편성이라고 할 수 있다. 하지만 각각이 수행하는 사회적 기능이 다르므로 대상화하는 고혼들의 종류가 같지 않다. 여제의 경우 고혼의 범주가 상대적으로 제한돼 있다. 무당굿과 수륙재․감로탱화는 일치하는 항목이 많은 편인데 특히 여제에 없는 ‘일상․생업’의 고혼들에서 유사성이 있다. 그리고 수륙재․감로탱화에 왕이나 문무관료 등이 등장하는 것은 조선시대 자료라는 점과 관련이 있고, 귀천․빈부를 망라한 무차평등회를 지향하는 수륙재의 이념이 반영된 결과라고 해석할 수 있다. 비교 대상에 따라 고혼의 형상화와 그 위무 방식이 다르게 나타난다. 수륙재에서는 무차평등회의 고혼으로 소청(召請)되며, 감로탱화에서는 구체적인 행색이 회화적으로 묘사되며, 여제에서는 통치자의 구휼 대상으로 호명된다. 무당굿은 이름 나열식과 연극적으로 재현하는 방식이 있는데 특히 후자가 특징적이다. 무당굿에서 고혼들은 각 에피소드의 주인공으로 등장한다. 무당이 재현한 연극 속에서 잡귀잡신들은 스스로 불우한 처지를 말하고 객관화하는 과정을 거친다. 여기에서 보이는 ‘스스로 말하기’는 요즘 자주 거론되는 예술치유 방식과 유사하다는 점에서 관심을 모은다. 이처럼 무당굿에서는 고혼들의 처지를 연극적으로 재현하고 입체적으로 형상화한다. 무당굿에 나타난 고혼 위무 방식의 특징이라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伎伐浦 戰鬪와 羅唐戰爭의 終了

        김병희 신라사학회 2019 新羅史學報 Vol.0 No.46

        This study aimed to reinterpret the Gibeolpo(伎伐浦) Battle through reflecting in the latest research findings of the War between Silla(新羅) and T'ang(唐). So the writer restudied Xue Rengui(薛仁貴)’s whereabouts at that time, and checked how the people that lived in those time realized the direction of the battle and the end point of the war. From these processes, the writer deduced the following conclusion. According to 『Old Book of T'ang(舊唐書)』, Xue Rengui was living in exile during the era of Shangyuan(上元, 674~676). However, the writer looked into the high possibility that he was a general of T'ang’s troops in the Korean peninsula. Especially considering the international situation of East Asia in the middle and late of 7th century, the writher made a conclusion that most likely, he was sent into exile after the Cheon-seong(泉城) Fortress Battle rather than before the Gibeolpo Battle. So the writer estimated the Gibeolpo Battle was started in November, 675 year. Since, according to the article of 『Zi-Zhi-Tong-Jian(資治通鑑)』, the government of T'ang headed the chinese officers of 'the Protectorate-General to Pacify the East(安東都護府)' to stop working in Feburary, 676 year while moving 'the Protectorate-General to Pacify the East' and 'the Ungjin Commandery(熊津都督府)' to each the old fortress of Liaodong(遼東) and Geonan(建安). Finally, the Gibeolpo Battle lasted till the early of 676 year. And Xue Rengui’s troop won first amphibious warfare. However, after the first win, his troop defeated in 22 battles in a row by the troops of Silla. There’s a historical significance that Silla banished 'the Protectorate-General to Pacify the East' and 'the Ungjin Commandery' from the territory of Silla. Accordingly, the last battle of the War between Silla and T'ang was the Dolim-seong(道臨城) Fortress Battle. However people who lived in those times did not recognize that the war was finished. The ruller class of Silla started to recognize that the war was ending after the expulsion of 'the Protectorate- General to Pacify the East' and 'the Ungjin Commandery' in Febuary, 676 year. And then they did follow up on that. The time that two countries recognized the end of the war was when these countries sent and received the envoys of the other country because of the demise of King Munmu(文武王) and the enthronement of King Sinmun(神文王). The Kim Heumdol(金欽突) revolt in 681 year is a case in point. If the war was not finished, the revolt could not break out. After the suppression of the rebellion, King Sinmun was proclaimed as King by the T'ang’s envoy that Emperor of Gaozong(高宗) of T'ang sent. After the ceremony, the King hold a performing rite at a shrine and pardoned the prisoners. And he established the foundation that efficiently ruled Silla that had the extended territory and increased population during his reign. The mainspring of his achievement proceeded from the influence of the victory of the Gibeolpo Battle and the awareness of those days about termination of war. 필자는 나당전쟁 시기에 벌어진 기벌포 전투에 대해 최신 연구 성과를 반영하여 새롭게 해석해보려는 시도를 하였다. 그리하여 학계에서 논쟁이 되어 온 설인귀의 행적과 관련된 문제들을 재검토하고, 전투의 전말과 나당전쟁의 종료 시점에 대한 당대의 인식이 어떠하였는가를 확인해보았다. 이에 대한 내용 및 이를 통해 도출할 수 있는 기벌포 전투의 역사적 의미를 정리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설인귀의 행적은 『구당서』에서 상원 연간(674년 8월 ~ 676년 11월)에 유배를 간 상태라 하였지만, 이 기간 동안 당의 한반도 전선에 장수로 투입될 여지 또한 충분함을 살펴보았다. 특히 필자는 7세기 중・후반의 동아시아 국제정세를 고려할 때 설인귀가 천성 전투 이전 보다는 기벌포 전투 이후에 유배를 갔을 가능성이 더 높다고 판단하였으며, 기벌포 전투가 실제로 발생한 시점은 675년 11월로 판단하였다. 필자가 그렇게 판단한 이유는 676년 2월에 당이 안동도호부와 웅진도독부를 각각 요동고성과 건안고성으로 옮기면서 安東官을 맡았던 ‘華人’들을 모두 罷하였다는 『자치통감』의 기사에 그 근거를 둔다. 결국 기벌포 전투는 다음 해인 676년 초까지 지속되었으며, 설인귀 부대의 상륙전 승리 이후 크고 작은 22번의 교전이 있었지만 이를 신라군이 모두 승리하면서 곧바로 안동도호부와 웅진도독부가 축출되는 쾌거를 이룬 것에 그 의의가 있다. 이에 따라 나당전쟁의 마지막 전투는 676년 7월의 도림성 전투가 되지만, 도림성 전투 직후 나당 양국 간에 전쟁이 종료되었다고 인식한 것은 아니다. 신라의 지배층은 당시의 국제정세를 감안할 때 안동도호부와 웅진도독부가 철수한 676년 2월부터 조금씩 전쟁이 종료되어 간다는 인식을 갖고 內治와 관련된 조치를 취해나갔지만, 양국 모두 나당전쟁이 종료되었다고 인식하게 된 계기는 681년 7월 문무왕의 사망과 신문왕의 즉위 때 조공・책봉 사절의 교환이 이루어지면서부터라고 할 수 있다. 이를 뒷받침하는 대표적인 사례가 681년에 벌어진 김흠돌 등의 모반 사건이다. 신라 사회에서 언제 당이 쳐들어올지 모르는 긴장 국면이 지속되고 있었던 상태라면 이러한 사건의 발생은 쉽게 납득하기 어렵다. 어찌되었든 김흠돌 등이 주도한 내란을 진압한 뒤 신문왕은 682년 정월에 당 고종이 파견한 사신들을 통해 책봉을 받은 다음 곧바로 신궁에 제사를 지내고 죄수들을 크게 사면하는 조치를 취하였다. 나아가 재위 기간 동안 신문왕은 각종 제도를 구축・완비하며, 증가한 인구와 넓어진 영토의 신라 사회를 효과적으로 통치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였다. 신문왕이 이와 같은 업적을 쌓을 수 있었던 원동력은 선왕인 문무왕 대에 있었던 기벌포 전투 승리의 영향과 나당전쟁이 사실상 끝났다는 당대의 인식에서 비롯된 것이다.

      • KCI등재

        The Implications of the Democratic Peace Theory for the Korea Peace-Building

        ( Tae Hoi Huh ),( Woo Young Chang ) 북한연구학회 2006 北韓硏究學會報 Vol.10 No.1

        한반도에서의 민주주의 정착과 평화체제의 달성은 어떤 관계를 갖는 것인가? 본 논문은 이 주제에 접근하는 데 있어 최근 구미 학계에서 널리 유행하고 있는 민주적 평화론(Democratic Peace Theory)의 이론적·경험적 실체를 규명하여 적용하려고 하였다. 탈냉전시대에 들어 구미학계는 소위 신자유주의 흐름이 일면서 민주주의가 평화를 이끈다는 소위 민주적 평화론에 큰 관심을 보이고 있으며, 이러한 학문적 관심을 배경으로 최근 미국은 냉전시대의 대외정책 전략인 `봉쇄정책`으로부터 탈피하여 `민주주의 확산(Democratic Enlargement) 전략`을 채택하고 있다. 이러한 민주적 평화론의 요지는 민주주의의 두 가지 요소인 민주적인 제도의 정착과 민주주의 가치·규범의 확립이 국가들의 일방적이고 강경한 대외정책을 억제하며 물리적 힘보다 평화적인 갈등해결과 타협을 선호하게 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이론적인 주장에 대하여 비록 아주 결정적인 것은 아니지만 상당한 경험적·역사적인 증거가 존재한다는 것이 본 연구의 분석 결과이다. 따라서 본 논문은 한반도에 있어 통일달성이나 평화가 정착되기 위해서는 남한의 민주화 공고화 과정이 시급히 이루어지고 북한의 민주화가 선행되어야 할 이론적인 근거를 찾을 수 있었다. 특히 민주주의의 공고화라는 과정이 민주적 가치·규범이나 실천이 정치문화에 뿌리내리는 것을 의미한다면 남한의 민주주의 공고화는 대북정책의 활성화나 통일문제의 공론화에 필수적이며, 민주주의로의 전환과정이 일인 독재로부터 민주적 경선이나 자유를 통한 민주주의 제도의 확립을 의미한다면 북한의 민주체제로의 전환은 북한의 일방적이고 호전적 인 대외정책을 억제하고 책임 있는 평화통일정책으로 나가게 하는 데 필수적이다. 결론적으로, 민주적 평화론이 구미학자들의 자유주의 믿음에 근거한 서구중심적 편견일 수 있지만, 이러한 민주적 평화론에 대한 역사적 경험적 증거가 상당히 신빙성이 있기 때문에 한반도에서의 평화나 통일달성의 문제는 북한의 민주주의 제도 확립과 남한의 민주적 가치규범의 확산에 귀결될 수 있으며, 이러한 이유로 한반도의 평화적 통일은 한반도를 둘러싼 외부적 상황이상으로 한반도의 내부적인 민주화 과정에 더 좌우 될 수 있다는 것이 본 논문의 결론이다. In an attempt to explore the implications of democratization process in Korea for the Korean peace-building, this study examines and evaluates the relationships between democracy and interstate peace. First, the present study brings into account some relevant works and articulates a theoretical linkage between democracy and international peace. Second, if this democratic peace perspective is correct and holds truth, spreading or consolidation democratic values and institutions in the Korean peninsula may have profound implications not only for the domestic politics of two Koreas but for their reunification and peace-building process. Thus, appreciating the theoretical importance of the democratic peace, this study evalu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democracy and international peace with some historical and empirical evidence. Based upon the main findings of this research, there is some historical and empirical evidence to support the proposition that democracies in general are relatively peaceful toward each other, though not necessarily towards other kinds of states. Although this relationship is not quite so strong and consistent as the Western Scholars argue, the democratic peace argument has its own merits enough to be a theoretical basis for the construction of inter-korea peace or a peaceful Korean unification. Thu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democratization in Korea is more likely to reduce the sustained conflicts between two halves of Korea and facilitate a peaceful resolution of their long-due conflicts. To improve the prospects for the peaceful reunification, the democratic institutions and norms that can restrain two Korea`s hostile postures toward each other must be consolidated further. To the degree that two Korean systems are stable and democratic over time, minimizing the resort to violence to settle their internal disputes, the better the chances for avoiding violence between them and approaching to their peace-mak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