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일제강점기 신라사 사료비판론의 전개-≪三國史記≫ 新羅本紀 초기기사를 중심으로-
이부오 신라사학회 2009 新羅史學報 Vol.0 No.17
新羅本紀 초기기사에 대한 근대적 연구는 1890년대 일본인 연구자들에 의해 시작되었다. 이들은 일본의 고대 사서를 중시하는 관점에서 신라본기 초기기사의 신빙성을 낮게 평가하고, 신빙 가능한 시점을 탈해왕대~법흥왕대 이후로 다양하게 설정했다. 러・일전쟁 이후 滿鮮史가 강조되면서 신라본기 초기기사의 비교대상으로서 중국 사료가 강조되었다. ≪三國志≫ 韓傳을 기준으로 신라의 건국시기는 2・3세기 이후로 설명되었다. 특히 前秦에 대한 사신 파견을 근거로 신라의 왕통이 4세기에 시작되었다는 견해가 주류를 이루었다. 초기 왕대에 대해서는 혁거세대~흘해대의 16왕에 대한 조작설이 제기되었고, 실제 시기를 수정하려는 시도가 이루어졌다. 이 시기의 대외교섭 기사는 거의 무시된 반면, 任那日本府가 가야지역을 장악해 신라에도 영향력을 행사했다는 ≪日本書紀≫의 기록은 중시되었다. 이러한 사료비판론은 신라본기 초기기사의 문제점을 드러냄으로써 합리적 해석의 단서를 제공했다. 그러나 신라본기 초기기사에 대해서는 엄격한 비판을 가하면서도 중국・일본 사료에 대해서는 특별한 의심 없이 받아들이는 편향적 태도를 보였다. 이는 근대적 사료비판론의 외형을 갖추면서도 이를 위한 구성요건을 결여했다고 생각된다. 이러한 태도는 최근까지 한국인 학자들의 연구에도 커다란 영향을 미쳐 왔다. 신라상고사의 복원을 위해서는 이를 극복하는 한편, 신라본기 초기기사에서 드러나는 모순점에 대해 체계적 분석이 요청된다.
최호원(Choi, Ho-won) 신라사학회 2020 新羅史學報 Vol.0 No.49
고구려가 멸망한 뒤 신라는 본래의 목표인 백제 故地를 차지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었으며, 이로 인해 신라와 당 사이의 갈등은 심화되어 갔다. 신라는 670년 상반기까지는 고구려 유민세력을 진압하려는 입장이었으나, 7월경에 이러한 방침은 바뀌게 되었다. 그 계기는 웅진도독부측의 불온한 움직임 및 영토 획정에서 나타난 당의 압력이었다. 검모잠 등 유민세력은 안승을 왕으로 한 한성 고구려를 세운 뒤 신라에 인정을 요청하였으며, 신라는 670년 8월 안승을 고구려왕으로 책봉하였다. 여기에는 유민측에서 온 책봉 요청을 받아들임으로써 그들의 공격 가능성을 차단하고자 한 신라측의 의도, 고구려에 대한 신라의 원한이 백제보다 적었던 점 등이 작용하였다. 그리고 유민세력은 도움을 청할 만한 세력이 없던 당시의 상황과 보장왕대 대신라정책에 대한 일면의 반성, 책봉 요청을 함으로써 신라의 공격으로부터 자신들을 지키려는 의도 등이 작용하여 신라에 도움을 청하게 되었다. 그러나 유민세력 지도부 내에서는 고구려 부흥에 대한 인식에 차이가 있었다. 안승이 고구려 국가 자체의 부흥보다 유민들을 존속시키는 데 중점을 두었다면, 검모잠은 안승에 비해 한성 고구려를 유지하려는 의지가 강했던 것으로 보인다. 여기에 한성 고구려의 실권자였던 검모잠에 대한 안승의 불만도 작용하고 있었으며, 고연무는 이러한 안승의 조력자였다. 마침내 당군과의 전투와 한성 고구려의 유지를 놓고 생긴 전략적인 시각 차이는 검모잠의 죽음을 초래하였고, 673년 윤5월의 호로하 전투를 계기로 한성 고구려는 사실상 소멸하였다. 안승은 신라로 간 이후인 674년 보덕왕에 봉해졌고 이후 신라에 대한 예속도가 점점 강화되어 갔다. 그러나 유민 세력 내에는 684년 대문 등 보덕국 잔여 무리의 반란이 말해주듯 안승과 다른 생각을 지닌 이들도 잔존하였다. 결국 신라는 684년의 반란을 평정한 이후에야 고구려 유민들에 대한 완전한 통제를 할 수 있었다. After the fall of Goguryeo, Silla tried to acquire the old territories of Baekje which had been its original goal. Consequently, the conflict between Silla and the Tang Empire deepened. Until the first half of 670, Silla’s policy was to suppress the Goguryeo refugees; however, Silla changed its policy around July, triggered by the suspicious activities of Ungjin Commandery and the pressure exerted through the territorial demarcation by the Tang Empire. Goguryeo refugees led by Geommojam re-established Hangseong Goguryeo and crowned Anseung as the new king. In August 670, Silla proclaimed Anseung as the King of Goguryeo. This move was prompted by Silla’s intention to prevent an attack from Goguryeo refugees by granting their request for investiture as well as by the fact that Silla hold lesser grudges against Goguryeo than Baekje. The refugees turned to Silla for help because of the following reasons: the situation at the time was such that there was no one else they could have asked for help, they regretted King Bojang’s policy toward Silla, and they wanted to protect themselves against a possible attack from Silla by requesting an investiture. However, within the leadership of the refugee force, there were disagreements about how to revive Goguryeo. Anseung prioritized the survival of the refugees over the revival of Goguryeo as a state, while Geommojam had a stronger volition to retain Hanseong Goguryeo. This disagreement also stemmed from Anseung’s dissatisfaction with Geommojam who was the de facto leader of Hanseong Goguryeo, and Goeyeonmu was an ally of Anseung. Eventually, the disagreements over the strategy of battle with the Tang Empire and the revival of Hanseong Goguryeo led to the death of Geommojam, and after the Battle of Horoha in leap May 673, Hanseong Goguryeo almost disappeared. Anseung was crowned King Bodeok in 674 after joining Silla, following which Silla’s domination over him and Goguryeo refugees strengthened. However, within the refugees, there were people who disagreed with Anseung as is evident by the 684 rebellion by the remaining force of Bodeokguk including Daemun. Silla was only able to control the Goguryeo refugees after it quelled the rebellion of 684.
김수태(Kim, Soo-tae) 신라사학회 2014 新羅史學報 Vol.0 No.32
신라 중대와 관련된 논쟁 가운데에서도 현재까지 계속적으로 이어지고 있는 주제는 신라의 삼국통일과 관련된 문제이다. 삼국통일을 위한 전쟁이었는가, 백제통합만을 위한 전쟁이었는가 하는 것이다. 신라가 처음부터 삼국통일을 의도하고 전쟁을 벌였던 것은 아니었다. 당시 신라로서는 백제와 고구려에 대해서 통일전쟁을 벌일 의지를 키워나가기는 어려운 사정이었다. 백제멸망이 신라의 목표였던 것이다. 그러나 이후 고구려 내부의 혼란이 진행되자 신라는 고구려멸망까지를 계획하고 주도해나갔다. 신라의 삼국통일론이 형성된 시기는 671년 무렵이었다. 신라가 삼국을 통일했다는 언급이 처음 나오기 때문이다. 중국의 당나라가 천하를 통일했다면, 신라는 삼국을 통일했다는 것이다. 이는 신라가 고구려와 백제와 신라를 분리시켜 지배하려는 당의 움직임을 받아들일 수 없다는 것이다. 신라와 고구려와 백제는 이미 하나가 되었다는 것이다. 한편 신라는 삼국통일론이란 천하관에 이어, 삼한통일론을 새롭게 주장하였다. 이제 삼국이라는 국가의 통일만이 아니라, 그 국가를 구성하고 있는 종족의 통일을 언급하게 된 것이다. 삼국이 서로 동질성을 가지고 있다는 것이다. 삼한통일론은 673년 김유신의 죽음을 앞둔 시기에 처음으로 등장한다. 이는 당나라와의 전쟁을 벌이고 있던 신라의 입장에서 삼국인들의 단결을 바라는 현실적인 필요성에서 나온 것이었다. 또한 내부의 통일 없이는 삼국의 진정한 통일을 기대하기 어렵다는 점도 작용하였다. 신라의 삼국통일론이 실질적으로 추구된 시기에 대해서 문무왕대 나당전쟁에서 승리한 676년, 혹은 신문왕대 9주가 설치된 685년을 들기도 한다. 그러나 옛 고구려의 영역을 당나라가 거의 대부분 장악하고 있던 상태였기 때문에 그렇게 보기는 어렵다. 그보다 늦은 시기인 성덕왕대 나당관계가 개선되고, 당나라와 신라가 발해의 움직임에 공동으로 대처하는 735년에야 그것은 달성되었다. 당나라가 대동강이남 지역에 대한 신라의 지배를 비로소 인정한 것이다. 선덕여왕대 당나라의 태종과 신라의 김춘추 사이에 맺은 약속이 이제야 이루어진 것이었다. 그동안 신라가 추구해온 독자적인 천하관이 당나라에 의해서 마침내 받아들여진 것이다.
신가영(Shin, Ka-young) 신라사학회 2023 新羅史學報 Vol.- No.57
이 글에서는 대가야와 신라의 ‘國婚’을 통해 양국 관계의 추이를 살펴보았다. 국혼 과정에서 나타나는 신라 衣冠과 ‘變服’ 문제를 복식의 정치적 의미에서 분석하였다. 6세기에 들어서면서 대가야는 백제와 신라의 위협에 직면하였다. 이에 대응하여 대가야는 신라에 국혼을 요청하였다. 대가야는 신라와의 국혼을 통해서 백제와 신라의 군사적 위협에서 벗어나 독자성을 유지할 수 있었지만, 신라와의 관계는 점차 신라에 복속되어 가는 방향으로 전개되었다. 전근대 복식은 禮的 질서의 확립을 위해 활용된 수단이다. 신라 의관은 국혼의 성립 과정에서부터 논의된 주요 안건이었다. 대가야에 파견되었던 신라인들은 신라 의관을 착용하고 있었고, 대가야의 여러 지역에 배치되었다. 대가야왕에 의해 신라인들이 배치되었던 점을 고려한다면, 대가야가 신라의 대가야 잠식 의도를 알고 있었더라도 이들에게 일정한 임무를 부여하고 그 역할에 대해 기대했던 바가 있었을 것이다. 이후 신라에서는 공식적으로 대가야에서 신라 복식으로 활동했던 신라인들을 통해 대가야에 대한 영향력 확대를 꾀하였고, 국혼 관계를 유지하면서 점진적으로 대가야를 흡수・병합하려고 했다. 이 과정에서 대가야인의 ‘變服’ 문제가 대두하게 되었다. 대가야인의 ‘變服’으로 인해 대가야 내부에 갈등이 생겼고, 대가야인들이 신라를 선택하게 되는 상황이 점차 늘어나게 되었다. 즉, 대가야인의 ‘變服’은 결국 신라가 가야 제국을 복속・통합하는 데에 있어서 효과적으로 활용되었다. 대가야는 점진적으로 신라에 복속되었고, 562년에 최종적으로 소멸하게 되었다. 국혼 관계에서 나타나는 신라 의관과 ‘變服’은 신라가 가야 제국을 복속・통합하기 위한 조치 중의 하나였음을 알 수 있다. This paper explores the development of the relationship between Daegaya and Silla through the royal marriages conducted between them. Specifically, the symbolism of Sila’s clothing and undergoing a “Changing Clothes” in the process of royal marriages is analyzed in terms of the political meaning of clothing. With the onset of the 6th century, the Daegaya faced threats from Baekje and Sila. In response to this struggle, Daegaya requested conducting royal marriages with Silla. These royal marriages helped Daegaya evade the military threats of Baekje and Silla, while also allowing Daegaya to maintain its independence. However, as a result, Daegaya’s status gradually developed into one of subjugation under Silla. During pre-modern times, clothing was used as a means to establish ceremonial rank. Silla clothing was an important issue that was discussed from the establishment of the royal marriage system. Many people from Silla were dispatched across various regions of the Daegaya, wearing the traditional clothing of the Silla. An important point to consider is that these individuals were di spatched under the command of Daegaya’s king. As such, even if the people of Daegaya had been aware of Silla’s intention to encroach on their territory, the dispatched individuals would have been given certain tasks and would have been expected to fulfill them accordingly. Afterwards, the Silla sought to expand its influence on Daegaya through the Silla people who were officially active in Daegaya wearing Silla’s traditional clothing. Furthermore, Silla and Daegaya upheld the custom of royal marriages, as a means of the former’s attempt to gradually absorb and merge the land and people of Daegaya. It was through this process that the “Changing Clothes” of the Daegaya people became an important issue. Conflicts arose within Daegaya due to the noticeable changes in their fellow people, and there were increasing instances in which the Daegaya people chose Silla over their own identity. In other words, the transformation of Daegaya was effectively utili zed in Silla’s subjugati on and integration of Daegaya and its people. Daegaya was gradually subjugated under the Silla, and finally disappeared completely in 562. Silla’s clothing and “Changing Clothes” that appear in the national relationship were one of Silla’smeasures to subjugate and unify the Gaya.
장원섭(Chang, Won-seob) 신라사학회 2018 新羅史學報 Vol.0 No.43
7세기 후반 한반도를 무대로 벌어진 삼국통일 전쟁을 어떻게 볼 것인가는 한국고대사에서 주요 쟁점 중의 하나이다. 이 전쟁의 결과로 신라의 삼국통일이 이루어졌다는 시각이 통일 직후부터 형성되었다. 그러나 조선 후기 역사지리학자들에 의해 발해와의 병립에 주목한 남북국시대론과 고려를 최초의 통일왕조로 보는 시각이 제기되면서, 이후 신라의 삼국통일을 둘러싼 다양한 논쟁이 이어졌다. 신라삼국통일론에 대한 논쟁은 크게 나당동맹 결성에서 비롯된 외세의 이용, 나당전쟁을 통한 외세 극복과정, ‘一統三韓’ 의식의 형성 시기, 영토적으로 불완전한 통일, 통일 후 국토 재편과 민족통합정책 등을 중심으로 전개되어 왔다. 이에 대한 견해는 신라 삼국통일에 대한 긍정론과 부정론으로 이어지고, 부정론은 ‘남북국시대론’과 ‘후기신라론’ 그리고 ‘고려 최초 통일론’과 ‘백제통합전쟁론’ 등으로 제기되었다. 신라와 당의 관계 또한 단지 대외문제로서 이해하기 보다는 삼국의 정세와 관련지어 이해할 필요가 있다. 신라는 오랜 숙적이었던 백제를 滅하는 것이 1차적인 목적이었지만, 처음부터 고구려 멸망을 궁극적인 목적으로 하는 당과 동맹을 결성하면서 북방의 위협세력이었던 고구려 멸망을 2차적인 목표로 설정하고 있었음은 충분히 짐작할 수 있는 일이다. 신라가 唐을 전략적 파트너로 선택한 것은, 자신들의 국력이 백제와 고구려에 비해 상대적으로 열세인 상황에서 고려할 수 있는 최선의 선택이었다. 나당동맹 체결은 바로 신라가 백제, 고구려와의 외교전에서 승리한 결과라고 평가할 수 있다. 신라 삼국통일의 역사적인 의의에 대한 평가도 각각의 논점에 따라 그 의미를 달리 부여해 왔다. 7세기 후반 이후 동아시아 국제질서의 재편을 끌어낸 역사적 사건인 신라 삼국통일을 정확하게 이해하기 위해서는 그 결과에만 천착할 것이 아니라 정치, 경제, 사회, 문화적 動因을 고려하여 종합적으로 파악하여 해석하는 거시적 접근이 필요하다. How to view the Three Kingdoms war on the Korean Peninsula in the late 7th century is one of the major issues in ancient Korean history. As a result of the war, the view that Silla was able to unify the three kingdoms of the Korean Peninsula was formed right after the unification. However, as historians of history and geography in the late Joseon Dynasty focused on the conflict with Balhae and saw the theory of the South Sea as the first unified dynasty, various disputes ensued. The dispute over the unification of the three kingdoms of Silla was largely based on the use of foreign powers resulting from the establishment of the Nadang Alliance, the process of overcoming foreign forces through the war, and the formation of national unification. This view led to positive and negative views on the unification of the three kingdoms of Silla, including the "South Sea State Age", "Later Silla" and "Baekje War". The relationship between Silla and Tang also needs to be understood in relation to the situation of the three kingdoms rather than just understanding as an external matter. Silla"s primary purpose was to destroy its longtime rival, Baekje, but it established a party and an alliance with the ultimate goal of the collapse of Goguryeo, as a secondary goal. Silla chose Tang as its strategic partner when its national power was relatively inferior to Baekje and Goguryeo. The signing of the Nadang alliance is the result of Silla"s victory in diplomatic wars with Baekje and Goguryeo. Evaluation of the historical significance of the unification of the three kingdoms of Silla has also given different meanings according to each issue. The political, economic, social, and cultural factors are the only things that we need to look into in order to accurately understand the unification of the three Shilla kingdoms, which led to the reorganization of East Asia"s international order since the late 7th century. It needs to be reaffirmed that Silla"s unification of the three kingdoms was not a product of chance as a result of the war in the late 7th century, but a result of its long accumulation of national capabilities.
권덕영(Kwon, Deok-young) 신라사학회 2016 新羅史學報 Vol.0 No.38
최근 중국의 국토개발 과정에서 당나라 금석문을 포함한 수많은 역사자료가 새롭게 발견되었다. 그런데 비록 빈도가 높지 않으나 고대 한반도 삼국과 발해 관련 당 금석문도 가끔 발견된다. 이런 점에서 중국금석문은 한국고대사 연구 자료에 대한 갈증을 다소나마 해소시켜준다고 할 수 있다. 현재 중국에는 1만여 점의 당대 금석문이 공식적으로 조사, 보고되었다. 그 가운데 신라 관련 금석문 38점이 포함되어 있다. 그러한 금석문은 크게 在唐 新羅人 관련 자료와 唐人의 신라 내왕자료로 대별되고, 자료의 내용은 신라와 당 사이의 사절 왕래와 전쟁, 求法과 문화교류가 중심이 된다. 사실 신라 관련 당 금석문이 신라의 정치, 경제, 사회, 문화 전반을 광범위하게 補正 할 수 있을 정도로 풍부한 정보를 제공하지 못한다. 그럼에도 이러한 자료를 효과적으로 활용한다면, 당 금석문은 신라사의 일부를 보완하는데 충분히 유익하다고 할 수 있다. 본고는 ‘당 금석문을 활용한 신라사 복원’이라는 구상을 실현하기 위해 설정한 기초 연구 작업이다. 따라서 여기서는 특정한 결론을 이끌어내기 보다 신라와 관련한 당 금석문을 광범위하게 조사하고 정리, 분석하는 것으로 만족할 수밖에 없다. 추후 이러한 자료를 바탕으로 신라사 補正 작업을 본격적으로 진행할 예정이다. Recently a lot of historical materials including T’ang epigraphy have been excavated and found in China. Although the frequency is not high, sometimes T’ang epigraphy related to Silla history are found. This situation supplement somewhat the lack of Korea ancient historical resources. More than ten thousands of T’ang epigraphy officially have been investigated and reported until now. Among them, 38 items of T’ang epigraphy related to Silla are included. We can classify them into two broad categories in terms of content. That is to say, one is politics and foreign affairs, the other society and cultural exchange. Although they are not quantitative enough for research, they can not be denied that it is useful. This article is a basic research to realize such a T’ang epigraphy to supplement the Silla history. So rather than draw specific conclusions here, I would like to be satisfied with broadly investigating and organizing T’ang epigraphy related to Silla. Based on these data, I plan to work on supplementing Silla history in earnest.
이부오(Lee, Bu-o) 신라사학회 2020 新羅史學報 Vol.0 No.50
본고는 신라의 가야지역 지배 과정에서 가야유민의 역할과 위상 변화를 밝히기 위해 작성되었다. 가야유민은 524~527년 사이에 신라가 금관국을 정복하면서 발생하기 시작했다. 그 지배세력은 아직 자치권을 유지했으나, 532년 仇亥王이 신라로 항복해 阿干支에 가까운 경위를 받았다. 금관국 내에서는 그의 친족이 구해의 식읍을 관리하고 지역세력과 신라의 관계를 조정했다. 일반 干層의 일부도 지방관의 업무에 협조했다. 금관국의 유민이 우대받은 배경은 이들이 자발적으로 항복한 점 외에도 5세기 이후 양국의 우호관계와 신라의 영향력에 있었다. 신라가 고구려의 압박과 백제와의 긴장에 대응하기 위해 남변을 안정시키려 했던 정책도 작용했다. 안라국에서는 친신라 세력과 가야 제국 및 백제, 왜와 연대하려는 세력이 대립했다. 후자는 560년경 신라의 안라국 정복으로 상당 부분 제거되었다. 관산성전투 후에 즉위한 대가야의 道設智王은 신라의 간섭을 거부하다가 562년 신라군의 정복으로 기존 嘉實王 세력과 함께 제거되었다. 반면 522년 異腦王과 신라 왕족 사이에 태어난 月光은 대가야인들을 회유하기 위한 상징적 인물이 되었다. 신라가 안라국과 대가야에서 강압정책을 구사한 것은 이들이 신라의 압력에 저항했기 때문이다. 백제가 관산성전투의 충격으로부터 벗어나는 데 집중했고 고구려가 대내외 문제의 해결에 골몰했던 것도 그 배경이 되었다. 이 기회에 신라는 옛 가야지역을 확실하게 장악하려 한 것이다. 565년 신라는 大耶州를 설치하여 내지의 지역지배체제를 가야유민에게 적극적으로 이식했다. 阿良村(함안)에는 邏頭가, 휘하의 노함촌・칠토에는 道使가 파견되어 外位의 협조를 받아 통치했다. 6세기 후반~말에는 성산산성이 구축되어 군치의 역할을 했다. 이를 위한 물자동원은 대부분 낙동강 중상류에서 이루어졌지만, 인근 가야유민의 노역이 적지 않게 동원되었다. 이러한 노력으로 적어도 591년까지 가야지역에서도 군・성(촌)이 편성되었다. 이로써 신라는 백제・고구려와 경쟁하기 위한 후방의 안전판을 마련했고, 가야지역에서 인적・물적 자원도 안정적으로 확보할 수 있었다. 가야유민은 이제 신라의 공민으로 변화했다. This a rticle was written to investigate the role change of Gaya’s people in Silla’s domination of this region. When Geumgwan State collapsed between 524 and 527, the ruling forces still maintained their autonomy. King Guhae surrendered to Silla and was awarded Gyeongwi(京位) in 532. His relatives and common Gan(干)-class cooperated in the work of local official in the Geumgwan region. The reason why the ruling power of Geumgwan State were favored was that they voluntarily surrendered despite friendly relations with Silla since the 5th century. Silla’s efforts to cope with the tensions with Goguryeo and Baekje were also responsible. In Anra State, pro-Silla forces and pro-Gaya・Baekje・Wai(倭) ones were at odds with each other. The latter was removed in 560 when Silla conquered this state. In Daegaya(大加耶), which collapsed in 562, King Doseolji and the former King Gasil were removed. On the other hand, Wolgwang, who was born between King Inoi and Silla royalty, became a symbolic figure to appease the Daegaya people. Silla’s coercive policies in Anra State and Daegaya were made because these co untries resisted. This was also due to Baekje’s efforts to escape the shock of its defeat in the Battle of Guansan Castle and the fact that Goguryeo was bent on solving internal and external problems. On this occasion Silla a ttempted to dominate t he Gaya region strongly. Silla established Daeya Ju(州) to systematically control the people of Gaya in 565. Nadu(邏頭) was dispatched to Aryangchon(村), Dosa(道使) to Nohamchon and Chilto for ruling with the cooperation of Woewui(外位). Seongsan Fortress was constructed to become the center of Kun(郡) from the late 6th century to the end of that. Most of the supplies were requisitioned in the upper-middle reaches of the Nakdong River, but the labour force in the nearby Gaya region. In the end, Kun・Seong(城)(Chon村) were established in Gaya until 591. Silla secured a safety zone in the rear to compete with Baekje and Goguryeo, and gaineds table human and material resources in the Gaya region. The Gaya people changed into the citizen of Silla.
최희준 신라사학회 2019 新羅史學報 Vol.0 No.45
Silla had their own reception ceremonies for welcoming Japanese envoys. To list these procedures of the reception in order, when the Japanese envoys arrived at the port of Ch'ŏng Province (Ch'ŏngju 菁州), their arrival was reported to Silla’s king. If the envoys’ entrance to the capital (王京) was decided, Reception Envoy (Yŏnyŏngsa 延迎使) was sent to Ch'ŏng Province and the envoy will lead the Japanese envoys to the capital. When the Japanese envoys reached to the outskirt of the capital (郊), there was welcome ceremony at the outskirt (Kyoyŏng 郊迎). Later, the envoys stayed in the guesthouse within the capital, while Silla received the state document and state-letter from Japanese emperor. In this procedure, Silla’s king sent officials in the rank of Sop'an (蘇判) or Ich'an (伊湌) to proceed the ceremony; this shows a distinct difference from the ceremony to receive the Tang emperor’s state document, since Silla’s king received the document in person. The reason Silla had a distinction in ceremonies was that they adopted the courtesy between a suzerain and vassal state’ to the Tang dynasty, while they had the ‘courtesy for a neighboring country’ to Japan. Afterward, the Japanese envoys was granted an audience with Silla’s king in the main hall, and received Silla’s return gifts before their return to Japan. At this procedure, instead of writing a reply to the Japanese state letter, Silla’s king let the Japanese envoys listen to his verbal answer and report it to Japan; this attitude was Silla’s diplomatic policy against Japan’s unilateral and continuous demands to Silla’s submission of memorial from since the eighth century, whereas maintaining their relationship with the impartial courtesy. During the Japanese envoys’ stay, Silla held parties several times for them. Accomplishing their mission after these procedures, the Japanese envoys were on their way to their homeland with the guidance and escort from Silla’s emissaries the king appointed, taking the above procedures in reverse order. 본 논문은 신라가 자국을 방문한 일본사신을 어떠한 영접 절차에 따라서 맞이하였고, 그 속에 내포된 의례상의 특징은 무엇이었는지를 구명한 결과물이다. 신라는 일본사신들을 영접하기 위한 나름의 체계화된 영접의례를 갖추고 있었는데, 이를 영접의 절차에 따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일본사신이 선박을 이용하여 신라의 邊關 浦口에 내착하면, 그 사실이 신라국왕에게 보고되었다. 신라국왕이 일본사신의 입경을 결정하면 사신이 대기하고 있던 내착지로 延迎使를 파견하여 王京까지 호위・인솔해 왔다. 사신이 郊에 이르면 郊迎을 베풀고 왕경 내 객관에 안치시킨 다음, 일본천황의 國書와 國信을 전달받았다. 이때 신라국왕은 蘇判이나 伊湌의 관등을 지닌 신하를 보내 의식을 진행하였는데, 이는 당황제의 국서를 신라국왕이 직접 전달받았던 점과 뚜렷한 차이를 보였다. 신라가 이 같은 영접의례 상의 차이를 둔 까닭은 당에 대해서는 ‘君臣의 禮’를 취한 반면, 일본에 대해서는 그 보다 격을 낮춰 ‘交隣의 禮’를 취했기 때문이었다. 이후 신라국왕은 일본사신을 正殿으로 불러 접견하였고, 일본사신의 귀국 전에 신라 측의 答禮品을 전달하였다. 이때 신라국왕은 答書를 작성해 전달하는 대신 일본사신에게 자신의 답변을 청취한 뒤 귀국 후 口頭로 그 내용을 보고하도록 하였다. 이는 지속적으로 ‘表文’을 요구한 일본 측의 일방적 요구에 대응하여 亢禮를 유지하면서 관계를 지속하기 위한 신라의 외교적 방책이었다. 일본사신의 체류 기간 동안 신라에서는 연회를 베풀었고, 이상의 과정을 거쳐 임무를 모두 완수한 일본사신은 신라국왕이 임명한 사자의 호위와 인솔을 받으며 입경의 역순으로 귀국길에 올랐다.
채미하 신라사학회 2018 新羅史學報 Vol.0 No.44
These thesis is studying the records on envoys between Silla and Japan during king Aejang and king Heongang and their making use of it in the domestic politics. Japan during king Aejang dispatched envoys just after breaking nations’ relationship between Silla and In the third year of king Aejang, the reason Japan sent envoy to Silla is that they wanted to have assurance of safety in the sea and get help at their arrival in relation to Kyondangsa dispatch. King Aejang in his 2ndreigning year, tried to install a fake prince and send him to Japan as the envoy and in his fourth year, traded with Japan. King Aejang was active in relation with Japan because it was related to his opposition about China’s centered world order internationally. Domestically king Aejang made use of the diplomatic relation with Japan as one way to establish his direct ruling from Kim Unseong’s rule as regent. After beginning direct ruling, King Aejang held in check Tang and kept close relation with Japan. That is, when Tang’s Goaesa concurrent positioned Chekbongsa visited Silla in King Aejang ‘s 4thyear, they were treated poorly, but Japan’s envoy was greeted in Jowon-Jeon and treated hospitably in King Aejang’s 7thyear and 9thyear. And King Aejang tried to establish order internally and extenally through Binrye which was royal authority ceremony, and other various revolutionary politics helped King Aejang to have power centered around himself. In King Heongang’s period, the envoys between Silla and Japan visited each country. Japan’s envoy was sent in King Heongang 4thyear because pirates from Silla invaded Japan and there were worries of Silla’s invading Japan so Japan wanted to know the circumstances. At those days, Silla got through Hwangso’s uprising so they could not send envoys to Tang and also the politics were insecure internally and externally. King Heongang did ingyon the envoys at Jowon-jeon and tried to rid their worries and also tried to overcome the difficulties internally and externally at those days through effects of the ceremony. And at King Heongang’s 8th and 9th year, Japan’s envoy visited again to know news from Tang which caused King Heongang sent envoys to Tang in those years and sent envoys to Japan in his 10th and 11thyear. The reason why around King Heongang’s 10thyear, the king sent envoys to those two countries was related to the king’s feeling of insecurity about the successor to the throne at his late ruling years. Therefore King Heongang colluded with Hyo’s mother in his 10thyear and Hyo became King Hyogong later, and also through his diplomatic relation with Tang and Japan around his 10thyear, he tried to achive strengthening royal authority as well as stability of royal family. 본 논문은 애장왕대와 헌강왕대 신라와 일본의 사신 왕래 기사를 검토하고 애장왕과 헌강왕이 이것을 대내 정치에 활용한 측면을 생각해 본 것이다. 신라와 일본의 국교가 단절된 직후인 애장왕대 일본은 신라에 사신을 보낸다. 애장왕 3년 일본이 신라에 사신을 보낸 이유는 遣唐使 파견과 관련하여 신라로부터 해로의 안전을 보장받고 견당사가 漂着할 때 도움을 받고자 한 것이었다. 애장왕은 왕 2년에 假王子를 책봉하여 일본에 사신을 보내려고 하였고 왕 4년에는 일본과 ‘交聘’하였다. 애장왕이 대일본 외교에 적극적으로 나선 것은 대외적으로는 당 중심의 세계 질서에 대한 반발과 관련있었다. 대내적으로는 김언승의 섭정을 받았던 애장왕이 攝政期에 親政 구축을 위한 하나의 방편으로 대일본 외교를 활용하였다. 친정 이후에도 애장왕은 당을 견제하고 일본과 긴밀한 관계를 유지하였다. 즉 왕 6년 신라에 온 당의 告哀使 겸 冊封使를 홀대하였지만, 왕 7년과 9년에 신라에 온 일본 사신은 朝元殿에서 引見하고 후대하였다. 그리고 애장왕은 왕권의례인 賓禮를 통해 대내외의 질서를 확립하려 하였고, 이와 연동되어 행해진 다양한 개혁정치는 애장왕에게 권력을 집중시켰다. 헌강왕대 역시 신라와 일본 사신은 왕래하였다. 헌강왕 4년 일본이 신라에 사신을 보낸 이유는 신라 해적의 침입과 신라가 침공한다는 우려가 팽배했기 때문에 그 사정을 알기 위해 온 것이라고 하였다. 당시 신라는 황소의 난으로 당에 사신을 보내지 못하였고 대내적으로는 정국이 불안정하였다. 헌강왕은 때마침 신라에 온 일본 사신을 조원전에서 인견함으로써 우선 일본의 우려를 불식시키려고 하였고, 의례가 지닌 기능을 통해 당시의 대내외적인 어려움을 극복하려고 하였다. 헌강왕 8년 일본 사신은 당의 소식을 알기 위해 신라에 왔는데, 헌강왕은 이를 계기로 왕 8년과 9년에 당에 사신을 보냈고 왕 10년과 11년에는 일본에도 사신을 파견하였다. 헌강왕 10년을 전후하여 헌강왕이 양국에 사신을 보낸 것은 헌강왕 후반기 왕위계승권자에 대한 불안감과 관련있다고 하였다. 이에 헌강왕은 왕 10년 觀獵에서 후일 효공왕이 되는 堯의 생모와 野合하였고, 왕 10년 전후 당과 일본과의 외교관계를 통해서는 왕권 강화와 왕실의 안정을 꾀하였다고 보았다.
권덕영(權悳永) 신라사학회 2013 新羅史學報 Vol.0 No.27
한국학중앙연구원은 두 차례에 걸쳐 ≪삼국사기≫를 번역, 주석하였다. 이때 필자는 ≪삼국사기≫ 신라본기를 담당하였다. ≪삼국사기≫ 신라본기 역주 작업은 필자에게 힘들고 고된 훈련과정이었다. 그런 만큼 얻은 것도 많았다. 漢籍 사료에 대한 해독능력을 증진시킬 수 있었고, 한국고대사 연구 성과를 두루 섭렵할 수 있는 계기가 되었으며, 한국은 물론 중국과 일본의 다양한 사료를 탐색하고 활용할 수 있는 안목을 기를 수 있었다. 또한 이 작업을 통하여 역사 탐구에 필요한 인내심을 배우게 되었다. ≪삼국사기≫ 신라본기를 번역, 주석하면서 많은 것을 느꼈다. 첫째는 ≪삼국사기≫ 신라본기를 명실상부한 `본기`라 할 수 있을까 하는 점이고, 둘째는 신라 무열왕과 문무왕 본기의 서술이 매우 상세하면서도 주체적이라는 사실이다. 그리고 셋째는 신라본기의 金春秋 입당기사에 여러 가지 문제가 있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고, 넷째는 신라본기를 정확하게 이해하기 위해서는 신라시대 금석문뿐만 아니라 중국 당나라 금석문까지 널리 섭렵할 필요가 있다는 점을 절감하였다. 뿐만 아니라 ≪삼국사기≫에 수록된 다양한 천변지이 기사를 과학적이고 합리적으로 설명할 필요가 있으나, 이번 신라본기 역주에서는 그러지 못한 점이 있어 아쉽게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