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로렌스의 시와 망각의 주제

        강필중 ( Pil Joong Kang ) 한국로렌스학회 2009 D.H. 로렌스 연구 Vol.17 No.1

        This essay is a thinking aroused by D. H. Lawrence`s poems, "The Ship of Death" especially, a thinking that ventures into the theme of oblivion, rigorously disclosing the groundlessness of the idea that oblivion is obliteration. One way of this thinking phrasing itself is to say that oblivion is the obliteration of the idea itself. The idea presupposes substantially whatever we know about ourselves, what we know as ourselves, which then is supposed to be obliterated, or nullified, through death and oblivion. That this presupposition and supposition is groundless is a great lesson Lawrence`s poems bring home to us, for when we are purely ourselves, any knowledge of ours of ourselves is like a fallen leaf cut out of the tree of life. Our fear of death and oblivion is the work of an uprooted idea rooting itself deep into our minds. One idea fixed in our minds is the idea that death is outside us. We usually say, without thinking, that we are dying. We are not dying in the sense that we are heading toward death outside us. Rather, we are dying in the sense that we are living and dying at the same time, partially dying and forgetting as if we were preparing for the consummation of ourselves through death and oblivion. Sometimes, even for one moment, we forget ourselves like a flower. An instant is enough, however, for us to lapse into self-consciousness. Self-consciousness and mental self-images it produces are already in the continual process of being forgotten, so whatever is supposed to be obliterated through oblivion is in no way secure. Whatever it is, it is not rooted in our being, in our being purely ourselves. Oblivion purifies our being of ideal impurities of whatever kind. It is not death only that we do not know. We do not know life itself, and we do not know ourselves. The only difference is that we know about life, while we don`t know about death. Knowledge about life is information and we have no information about death. Lawrence leads us to the way of oblivion to do without information. Unknown and unknowable, death and oblivion is our way of being ourselves. Insofar as our will to know persists, death is objectified in our minds as `the unknown and unknowable,` as an impurity. Frustration caused by the failure to know is an impurity too. Frustration drives us to our last escape. One of the rigors we need is that with which we see into the emptiness of the presumed fact that we simply are, because that is the stronghold we blindly hold to in the face of death outside. Like an empty bowl with no food in it, the very fact gives its holder nothing but pale obstinacy. A pathetic abstraction it is. Oblivion is change. And only the oblivion of man is change. A flower is purely itself embodying oblivion, and change, if any, is always and already done in its being itself. Change through the voyage of oblivion awaits man. Man that enters the unknown enters it as the unknown. We cannot tell one from the other, so `the ship of death` is seen nowhere on her voyage. A thinking of `the ship of death` is an adventure because as all that we know we are, namely `the old self,` is forgotten, there remains nothing left for us but the unknown itself, which is beyond all description. In a sense, however, the voyage is safe. All put in the name of `the old` is, in its very nature, the kind that is washed away as is experienced intermittently in the process of our lives. The old self is the one that perishes. Delusion persists, and perishes. Hence `faith` remains. The faith in `the ark of faith` is not fear-begotten. We are with God when we are purely ourselves, having left off knowing, Lawrence says. Seen nowhere, the ship is somewhere. As for the work of renewal, faith does the rest, as the last two sections of "The Ship of Death" envision it beautifully.

      • KCI등재후보

        김수영 문학에서 망각에 관한 연구

        김태선(Kim, Tae-Seon) 픽션과논픽션학회 2019 픽션과논픽션 Vol.1 No.1

        This study focused on problem of Oblivion in Kim Su-Young s Later Literature. In General, Oblivion means forgetting a memory; but Su-Young looked at Oblivion as an essential movement related to poetry writing in the thought that reached the last winter of his life. At that time, Su-Young was thinking about way of beyond the limit of I that blocked sees things from the inside as the recognition according to the established order. WaSeon [lying meditation] is the article in which Su-Young s inquiry of such a thought appeared. Su-Young introduces the method of meditation called WaSeon and talks about passive attitude because he saw that it makes him approach to the essential place of Things that can not be approached by active action such as the capacity of the subject. Thus we looked at Kim Su-Young s passive attitude with referring to the passive synthesis as the first synthesis of time on Deleuze s theories about time. Passive synthesis is the movement towards contraction in which different things meet and become individualized before the action of intelligence that makes it aware when the subject recognizes something, which foundation for images and memories. But image of thought ready-made concealed the encounter with such process of generating. The reason why Su-Young argued that things should be seeing from inside is to approach the process of generating that could not be approached in the active instance of the subject I . Su-Young said the waiting , WaSeon and passive attitude in way to get a gaze to see the inside of things. Kim Su-Young discusses the way to poetry by passive attitude , which is done through reminiscence in the oblivion. And writing poetry and poetry performs the movement of oblivion that erases itself, which is what appears in Händel s music. Heidegger discussed Brave Oblivion which is distinguished from oblivion[forgetting] in general sense in Andenken [reminiscence]. Brave Oblivion is a process that approaches the essential dimension of the double movement of Being as appearing and disappearing, and an experience of ecstase[Ekstase] that leaves I outside I , and opens oneself and performs the movement to enter into the inside of others as the things. The attitude to writing poetry that Su-Young called passive attitude is aimed to reach such a movement. In addition, Oblivion is the condition of reminiscence as recalling the disappearances, and in this case, the returning does not reappear as they once appeared. They are partial objects of what are potential in the qualifications of the pure past, and appear to constantly change their appearance and place. This movement is the double movement of Being, in which something is a movement to oblivion, and is manifested as constantly erasing itself and appearing. This is also the movement of Oblivion performed by poetry, which Su-Young wanted to refer to Handel s music. Therefore, Kim Su-Young s Oblivion and the writing of Oblivion as the movements of differential generation that reveals themselves as the differences. With Oblivion, writing becomes a movement to participate in the experience of Being and to express the experience itself. The writing of oblivion is a movement that erases itself and expresses itself, and through such movements, it produces a generation that brings small but certain changes. 이 연구는 김수영 후기 시론의 ‘망각’에 관한 문제를 탐구하였다. 망각이란 일반적으로 어떤 기억을 잊는 일을 뜻하지만, 김수영은 자신의 생애 마지막 겨울 무렵에 이른 사유에서 ‘망각’을 시 쓰기에 관련된 어떤 본질적인 움직임으로 살폈다. 당시 김수영은 ‘사물을 내부로부터 보는 일’을 가로막는 ‘나’의 제한, 즉 기성의 질서에 따른 인식의 태도를 넘어서는 일을 사유하고 있었는데, 그 방법의 하나로 ‘망각’의 문제에 관심을 가졌다. 이 연구에서 김수영의 시론에 나타난 ‘망각’을 주목하는 까닭은, 김수영이 ‘사물을 내부로부터 보는’ 일을 방해하는 ‘나’의 제한, 즉 기성의 질서에 따른 인식의 태도를 넘어설 수 있게 하는 한 방법으로 ‘망각’의 문제에 관심을 가진 것으로 보았기 때문이다. 그와 같은 사유의 탐구가 개진된 산문 중 하나가 바로 「와선」이다. 김수영이 ‘와선’이라는 명상의 방법을 통해 ‘수동적 태세’를 운운한 까닭은, 그 방법으로써, 주체의 능력이라는 능동적 행위에 의해서는 다가갈 수 없는, 사태의 본질 영역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한다고 보았기 때문이다. 김수영이 ‘수동적 태세’라 한 움직임 강조한 까닭을 고찰하기 위해서 이 글에서는 들뢰즈의 시간론 중, 첫 번째 시간의 종합에 나타난 수동적 종합을 참조하였다. 수동적 종합은, 주체가 무언가를 인식할 때 그것을 어떤 앎으로 만드는 지성의 작용에 앞서 나타나는, 서로 다른 것들이 만나며 개체화되는 ‘수축’의 움직임이며, 이는 이미지나 기억 등을 형성하는 정초의 역할을 한다. 그러나 기성의 사유이미지는 그와 같은 발생적인 것과의 만남에 틀을 덮어씌운다. 김수영이 사물을 외부가 아닌 내부에서 바라볼 것을 주장한 까닭은, 바로 ‘나’라는 주체의 능동적 심급이 가리고 있던 그 발생적 차원으로 다가가기 위해서이다. 김수영은 사물의 내부를 보는 시선에 이르기 위해 ‘와선’이라는 기다림을, 그 ‘수동적 태세’를 말하였던 것이다. 김수영은 ‘수동적 태세’로써 ‘시’에 이르는 길을 주장하는데, 이는 망각 가운데에서의 ‘상기’ 혹은 ‘회상’을 통해 이루어진다. 이때 시와 시 쓰기가 이행하는 것은 김수영이 헨델의 음악에서 본, 스스로를 지우는 망각의 움직임이다. 하이데거는 「「회상」」에서 일반적인 의미에서의 망각과 구분되는 ‘대담한 망각’을 논의한다. ‘대담한 망각’은 생성과 소멸의 이중운동이라는 존재의 본질적 측면에 이르는 한 과정이자, ‘나’를 ‘나’ 바깥에 놓아두는 ‘탈자태’의 경험으로, 자신을 열어 사물 혹은 사태라는 타자의 내부로 들어가는 움직임을 수행한다. 김수영이 ‘수동적 태세’라 한 시 쓰기의 태도는 바로 그와 같은 움직임에 이르기 위한 것이다. 또한, 망각은 사라져간 것을 다시 불러오는 회상 혹은 상기의 조건으로, 이때 되돌아오는 것은 자신이 한 때 현현했던 모습 그대로 다시 나타나지 않는다. 그 것들은 순수 과거의 자격에서 잠재적인 것의 한 부분대상들로, 끊임없이 스스로의 모습과 자리를 바꾸는 것으로 나타난다. 여기서 잠재적 대상들의 움직임은, 무언가가 망각에 이르는 움직임이자, 끊임없이 스스로를 지워나가는 동시에 나타나는 것으로 현성하는, 존재의 이중 운동에서 볼 수 있는 그 움직임이다. 이는 김수영이 헨델의 음악을 통해 전하고자 했던, 시가 이행하는 망각의 움직임이기도 하다. 본 연구에서 살핀 김수영의 망각, 그리고 그 망각의 글쓰기는 스스로를 부단히 차이짓는 차이로서 드러내는 미분적인 생성의 움직임이다. 망각과 함께 글쓰기는 존재 경험에 참여하는 것이 되는 동시에 그 경험 자체를 표현하는 움직임이 되는 것이다. 망각의 글쓰기는 스스로를 지워나가는 동시에 또한 표현하는 움직임으로, 그와 같은 이행을 통해서 작지만 확실한 변화를 가져오는 생성을 이루어낸다.

      • KCI등재

        망각의 번역과 자기구원의 서사 -임철우의 『백년여관』을 중심으로-

        서동수 ( Dong Soo Seo ) 한국현대문예비평학회 2013 한국문예비평연구 Vol.- No.42

        임철우의 장편소설 『백년여관』은 한국의 근현대사 속에서 피 맺힌 원한과 고통 가운데 살아가는 역사적 희생자들의 비극적 운명을 그리고 있다. 비극적인 역사와 개인의 운명 가운데 작가가 특히 주목하고 있는 점은 ‘망각’이다. 『백년여관』은 ‘망각과의 투쟁의 과정이라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로 망각은 서사의 중심축을 이룬다. 작품의 서사구조 역시 망각의 존재들이 백년여관에 모여 망각의 정체를 다시 기억해내고 자기구원의 가능성에 이르는, 이른바 ‘망각-기억-구원의 모색’의 과정을 보여주고 있다. 임철우에게 망각과 기억은 곧 생의 의지와 에토스와 연결되고 있다. 작품 속의 망각은 발터 벤야민의 잃어버린 아담의 언어의 파편들이다. 작중의 소설가는 망각되고 실어증에 걸린 그들의 침묵을 다시 번역하기 시작하고, 이를 통해 잊고 있었던 낙원의 파편들을 만나게 된다. 역사의 피해자들의 기억을 복원하는 것은 고통의 재발견이 아니다. 피해자들의 파편적 기억이란 모두 역사라는 장 속에서 연결되어 있으며, 고통의 파편은 도리어 그들이 돌아가야 할 낙원의 모습을 보여준다. 결국 임철우에게 망각과의 투쟁이란 역사적 진실의 증언과 함께 근원성에 대한 지향이기도 하다. A novel of Im Cheol-woo, A Hundred Years` Inn, depicts the tragic destinies of historical victims living in the bruised grudge and pain in the early modern history of Korea. The author pays particular attention to "oblivion" in the middle of tragic history and individual fate. As a matter of fact, oblivion is such a central axis of narrative in the novel that it is no exaggeration to say that the novel presents a "process of struggle with oblivion." The narrative structure of the novel shows the process of so-called "pursuit of oblivion-recalling-salvation," in which the beings of oblivion get together in A Hundred Years` Inn, recall the identity of each oblivion, and reach the possibility of their own salvation. Forgetting and recalling are connected to will for life and ethos of life to the author. In the work, oblivion is the fragments of Adam`s language lost by Benjamin. In the novel, the novelist restarts to translate the silence of those who are forgotten and have aphasia, thus facing the fragments of the paradise he has forgotten. Restoring the memories of historical victims is not re-discovering pain. The fragmentary memories of the victims are all intertwined each other in the venue of history, and the fragments of pain rather display the aspects of the paradise to which they should return. In the end, struggle with oblivion is also orientation toward fundamentality along with the testimony of historical truth to the author.

      • KCI등재

        영상문학으로서 TV드라마의 문학성 - <쓸쓸하고 찬란하神 도깨비>를 중심으로 -

        최혜경 글로벌 문화콘텐츠학회 2018 글로벌문화콘텐츠 Vol.0 No.34

        This paper is a research which extracts literary value within the TV Drama ‘Goblin(Dokebi): The Lonely and Great God’ to find literary potential of TV dramas. In this paper, the analysis of ‘Goblin’ is based on that the text gives rich literary value when it is consistent in dealing with essence of human matters. TV drama ‘Goblin’ addresses essential & critical questions of life: life-death and remembrance-oblivion. First, ‘Goblin’ embodies concepts of life and death by setting a character confrontation between the immortal goblin and the death angel. Moreover, ‘Goblin’ not only illustrates fateful irony of goblin & his bride with dramatic situations/lines to portray attributes of life and death, which are not able to co-exist, it also shows aspects of life & death by showing many unknown people’s deaths. Not only does the drama integrally present life & death as an essential matter of life during its running time, the drama also shows the way Euntak deals with death to bring up issues such as how to live life, what’s the meaning of valuable death, etc. In embodying remembrance & oblivion, ‘Goblin’ reveals the characteristics contrasting the goblin who remembers everything with the death angel who remembers nothing. Unlike traditional concepts of remembrance & oblivion, ‘Goblin’ describes remembrance as pain, while oblivion as god’s consideration. This approach has an identical root with Nietzsche’s philosophy, which insists that oblivion’s formative function is necessarily required for a well-balanced life. ‘Goblin’ embodies the fact that a well-balanced life can be maintained only when remembrance & oblivion are actively recognized through Sunny’s will and digs deeply into the essential problems of humans through According to the above analysis of ‘Goblin’ from a literary viewpoint, it is possible to ensure that video literature is able to have literary value if it takes fundamental matters of life as its discourses and if it deals with them consistently. 본고는 문학적 관점에서 TV드라마 <도깨비>에 내재된 문학성을 도출하여 영상문학으로서 TV드라마의 문학적 가능성을 살피고자 한 연구이다. 텍스트가 인간의 본질적인 문제를 통일성 있게 다룰 때에 문학성으로 집약된다는 점에 기초하여 TV드라마 <도깨비>를 분석하였다. 드라마 <도깨비>는 생과 사, 기억과 망각이라는 중차대한 인생의 본질적인 문제를 다루고 있었다. 드라마 <도깨비>는 불멸의 도깨비와 죽음의 사신인 저승이라는 대립되는 인물 구도를 설정해 생과 사를 구체화하고 있었다. <도깨비>는 또, 도깨비와 도깨비 신부의 운명적 아이러니를 극적 상황과 대사로 그리며 공존할 수 없는 생과 사의 속성을 묘사하는가하면, 이름 모를 수많은 사람들의 죽음을 제시하며 일상에 상존하는 삶과 죽음의 양태를 보여주었다. 드라마 <도깨비>는 생과 사라는 인생의 본질적 문제를 드라마 전반에 걸쳐 제시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극 중 인물 은탁이 죽음에 대처하는 모습을 보여줌으로써 삶을 어떻게 살 것인가, 가치 있는 죽음은 무엇인가 등에 대한 화두를 던지고 있었다. 기억과 망각을 형상화함에 있어서도 <도깨비>는 모든 것을 기억하는 도깨비와 기억하지 못하는 저승을 대조시키면서 기억과 망각의 속성을 드러내었다. 전통적인 기억과 망각의 개념과 달리 <도깨비>는 기억은 고통으로 망각은 신의 배려로 묘사하고 있는데, 이는 균형적인 삶을 위해 망각의 조형적 기능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주장한 니체의 철학과 맥락을 같이 한다. 기억과 망각조차도 능동적 자세로 인식할 때 균형감 있는 삶을 유지할 수 있다는 것을 <도깨비>는 써니의 의지를 통해 형상화함으로써 인간의 본질적인 문제를 깊게 파고들고 있었다. 이상 드라마 <도깨비>를 문학적 관점으로 살펴본 바에 따르면, 삶의 근원적 문제를 담론으로 삼고 그것을 통일감 있게 다룬다면 영상문학도 문학성을 확보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 KCI등재

        베트남전쟁의 기억과 망각, 정체성 전쟁 -안정효의 『하얀전쟁』을 중심으로-

        이평전 제주대학교 탐라문화연구원 2022 탐라문화 Vol.- No.70

        This thesis examines the dialectical relationship between memory and oblivion of the Vietnam War, which is represented as a ‘memory war’ through Ahn Jung-hyo’s ‘White Badge’. In Korea, the Vietnam War is officially remembered as a war that can be defined as a national identity or is being transformed into various forms in the process of selective memory and oblivion. In this context, re-reading Ahn Jung-hyo’s ‘White Badge’ is a process of reading the distortion of our memories in the previous Cold War system, and at the same time exploring the present of memory. In the meantime, research on Vietnam War novels has been conducted in a state where the premise of the war reproduced and interpreted through the memory of an individual or group and the premise of its inhomogeneous memory have not been sufficiently discussed. In relation to this, in this article, the meaning and aspect of recollection of the Vietnam War in Ahn Jung-hyo’s ‘White Badge’,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emories and oblivion of the Vietnam War, which are in progress, are elucidated. ‘The White Badge’ provides a meaningful path to understanding the essential nature of the Vietnam War, which has the meaning of identity war and memory war. Reading Vietnam War novels at this point in time has to rely on memories as faint as in the past, but paradoxically, it allows us to approach objective reality through a sober gaze. Above all, in the distorted, refraction, exaggerated and even erased memories of memories, traces of war and its essence can be found. In this process, the process of forming the identity of individuals and groups who were directly or indirectly mobilized in the Vietnam War and the war that we remember and forget today is confirmed. The search for this is to discover the potential and limits of ethical practice art towards a fair memory, apart from its literary achievements. 이 논문은 안정효의 『하얀전쟁』을 통해 ‘기억전쟁’으로 표상되는 베트남전쟁의 기억과 망각의 변증법적 관계를 살핀다. 한국에서 베트남 전쟁은 국가 정체성을 상징하는 전쟁으로 공식적으로 기억되고, 선택적 기억과 망각의 과정에서 다양한 모습으로 변주되고 있다. 이런 맥락에서 안정효의 『하얀전쟁』을 새롭게 읽는 것은 앞선 냉전 체제 속 우리 기억의 왜곡을 읽어내는 과정이면서 동시에 기억의 현재를 탐사하는 일이라고 할 수 있다. 그동안 베트남전쟁 소설에 관한 연구는 한 개인이나 집단의 기억을 통해 재현되고 해석된 전쟁의 모습과 그 불균질한 기억에 대한 전제가 충분히 논의되지 않은 상태에서 이루어져 왔다. 이 글에서는 안정효의 『하얀전쟁』 속 베트남전쟁에 대한 기억 재생의 의미와 양상, 그리고 진행형에 놓여 있는 베트남전쟁의 기억과 망각의 상관관계를 해명한다. 『하얀전쟁』은 정체성 전쟁과 기억전쟁의 의미를 지닌 베트남전쟁의 본질적 성격을 이해하는 데 의미 있는 경로를 제공해 준다. 현재 시점에서 베트남전쟁 소설을 읽는 것은 지난 시간만큼 희미한 기억에 의존해야 하지만, 역설적으로 냉정한 시선을 통해 객관적 실체에 다가설 수 있다. 기억의 왜곡이나 굴절 혹은 과장된 그리고 심지어는 지워진 기억 속에서 전쟁의 흔적과 그 본질을 발견하고, 그 과정에서 현재의 우리가 기억하고 망각하는 베트남전쟁과 전쟁에 직간접적으로 동원되었던 개인과 집단의 정체성이 형성되는 과정을 확인하게 된다. 이것에 대한 탐색은 그 문학적 성취와 별개로 공정한 기억을 향한 윤리적 실천 예술로서의 가능성과 그 한계를 발견하는 일이다.

      • KCI등재

        기억과 망각의 서사― 옌거링(嚴歌苓) 소설 《방화(芳華)》가 문화대혁명을 서술하는 방식

        손주연 한국중국소설학회 2019 中國小說論叢 Vol.58 No.-

        2017년 4월에 출판된 옌거링(嚴歌苓)의 《방화(芳華)》는 문화대혁명을 배경으로 한 소설로, 많은 부분 옌거링 자신이 경험했던 이야기를 바탕으로 하여 서술되었다. 《방화》는 샤오쑤이쯔(蕭穗子)의 1인칭 시선으로 30여 년 전 문화대혁명시기 문예공작단에 속해있던 젊은이들이 격변하는 시대 속에서 겼었던 사랑과 역경을 그린 작품이다. 특히 주인공인 류펑(劉峰)과 허샤오만(何小曼)은 소설 속에서 각각 기억과 망각을 대변하고 있는데, 이러한 요소들은 문화대혁명이라는 역사적 사건과 한데 어우러져 독특한 맥락을 지니게 된다. 여기에 옌거링 특유의 서술기법이 더해지면서 독자들은 자신의 추억을 점검해보고 그 기억 속 자기 자신의 역사적 책임을 물어보게 된다. 이에 본고는 ‘기억’과 ‘망각’을 키워드로 하여 옌거링이 문혁을 회고하고 서술하는 방식에 대하여 고찰해보고자 한다. 특히 1인칭의 시점으로 서술된 《방화》의 서술 기법에 집중하는 한편, 기억과 망각을 통해 인물들이 구성되는 방식을 중점으로 하여 저자가 소설을 통해 독자들에게 전달하고자 하는 바를 추적해 본다. Yan Geling’s Youth, published in April, 2017, is a novel which depicts events which occurred during the Cultural Revolution, it is based on stories that Yan Geling herself had experienced. Youth is written in Xiao Suizi’s first-person narrative, and depicts the love and conflict of a young soldiers who were members of the Literary Arts Group of the Cultural Revolution 30 years ago. In particular, the heroines Liu Feng and Hou Xiaoman represent the memory and oblivion, respectively, and these elements have a unique context in harmony with the historical events of the Cultural Revolution. As Yan Geling’s unique narrative technique is added to it, readers look back to their memories and ask for their own historical responsibilities in them. Through analysis, this paper aims to examine how Yan Geling recalls and describes Cultural Revolution with the keywords ‘memory’ and ‘oblivion’. To further extent, this paper explores the narrative technique of Youth described in the first person perspective, and trace what the author wants to convey to the readers through the novel focusing on the way in which the characters are composed through memory and oblivion.

      • KCI등재

        채무관계를 통한 기억과 망각 그리고 양심의 가책에 대한 계보학적 분석 - 니체의 『도덕의 계보』와 소설 『너의 이름은。』을 중심으로

        김선희,최종문 한국니체학회 2017 니체연구 Vol.32 No.-

        주지하다시피 니체는 『도덕의 계보』의 「서문」 1절을 저 유명한 “우리는 자기자신을 잘 알지 못한다.”라는 문장으로 시작함으로써 결국 우리 자신에게 우리자신이 익명적 존재임을 고지한다. 따라서 니체는 우리가 누구이며, 우리를 지배하고 있는 도덕은 어디에서 왔으며, 그것은 우리의 삶에 어떤 영향력을 어떤방식으로 행사하고 있는지에 대한 답변을 이 책에서 집중적으로 시도하고 있다. 그리고 도덕에 대한 이와 같은 계보학자의 연구대상인 익명화된 도덕이 바로 그의미를 해독하기 어려운 ‘상형문자’임을 고지하고 있다. 나아가 그는 이 상형문자와 같은 도덕이 작동하는 중심기관인 양심과 양심의 가책을 「제2논문: ‘죄’, ‘양심의 가책’ 그리고 그와 유사한 것들」에서 집중적으로 다루고 있다. 그리고 이와같은 양심의 가책이라는 기관의 형성이나 유지와 관련하여 가장 치열한 과정을망각과 기억 사이의 긴장감에서 찾고 있다. 이 전체 과정을 드러내기 위하여 니체는 제2논문 1절에서는 ‘약속할 수 있는 동물’의 유래를, 2절에서는 ‘책임’의 유래를, 3절에서는 ‘기억술(Mnemotechnik)’의 유래를, 그리고 4절부터 드디어 그모든 것의 발생의 최종 목적인 ‘죄의식’, ‘양심의 가책’에 대한 음울한 유래를 드러낸다. 니체의 계보학적 방법은 근거에 대한 검토 없이 주어진 도덕을 긍정하거나 부정할 때 결정적인 영향력을 행사하는 양심의 가책의 근거와 가치를 검토하는 것을 돕는다. 이로써 우리가 우리의 행동의 숨은 원인인 양심의 가책을 절대화하여 맹목화하는 경향성으로부터 거리를 취하는 것을 돕는다. 우리의 삶에는 양심의 가책의 정당성에 대한 검토가 아니라 그것의 짓눌림으로 인한 고통의 무게를어찌할 수 없어서 양심의 가책에 순종하며 살아가는 허무주의적 순간들이 있다. 니체의 계보학적 물음은 양심의 가책의 기원을 탐구하고 주어진 가치나 관습의가치를 묻는 작업을 통하여 상형문자와도 같은 양심의 가책의 의미를 계보학적으로 해독해나감으로써 그것이 삶에서 갖는 의미 여부와 정도를 가늠하게 한다. 이 글의 본론 1절은 『도덕의 계보학』의 「서문」 과 「제1논문: ‘선과 악’. ‘좋음과 나쁨’」 그리고 「제2논문: ‘죄’, ‘양심의 가책’ 그리고 그와 유사한 것들」을 중심으로 니체의 계보학과 양심의 가책의 관계를 다루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한편으로는 최고의 가치의 탈가치화 현상으로서 허무주의 현상에 대한 분석을, 그리고 다른 한편으로는 양심의 가책에 대한 계보학적 진단을 채무관계에 대한 분석을 통해 전개할 것이다. 그리고 2절에서는 1절의 이론적 관점을 바탕으로 소설『너의 이름은。』에 드러나는 양심의 가책을 분석할 것이다. 특히 이 마을을 지배하는 신앙인 ‘무스비’를 중심으로 기억과 망각 그리고 양심의 가책의 관계를분석하며, 다시 이를 채무관계를 통하여 분석할 것이다. 이로써 포스트 모더니즘적 전통에서 수용되었던 계보학적 방법이 주로 기존 가치의 무의미를 폭로하는 해체적 경향성이 강했다면, 본 논문은 망각으로 인해 무의미화된 가치의 가치 여부와 내용을 검토해보고자 한다. As everyone knows, Nietzsche starts ‘Preface’ Section 1 of Genealgogy of Moral with the well-known sentence “We do not know ourselves well.” and informs us that we ourselves are an anonymous existence. Therefore, Nietzsche attempts to answer the questions of Who are we?, Where the morality dominating us came from?, and What kind of influence and with what type of method it casts on our life intensively in this book. And he also notifies that the anonymized morality which is the object of research of genealogists about morality like this is just ‘hieroglyphics’ difficult to decode the meaning. Further, he covers the scolding of conscience which are the main organ where the moralities like this hieroglyphics work in 「2nd Thesis: ‘Guilt’, ‘Scolding of Conscience’ and the similar things」 intensively. He searches for the fiercest process in respect of the formation or the maintenance of the organs of this scolding of conscience in the tension between oblivion and memory. In order to reveal this overall process, Nietzsche discloses the origin of ‘an animal to promise’ in Section 1, the origin of ‘responsibility’ in Section 2, the origin of ‘Memory technique(Mnemotechnik)’ in Section 3, and finally from Section 4, he reveals a gloomy origin as to ‘guilty sense’, ‘scolding of conscience’ which is the ultimate objective of all occurrence. Nietzsche’s genealogic method helps to review the ground and value of the conscience forming the scolding of conscience(schlechtes Gewissen) which exercises a decisive influence when affirming or denying the morality given without checking the ground. Herewith it helps us take the distance from the tendency to absolutize and blind the scolding of conscience which is a hidden cause of our behavior. In our life, we meet a nihilistic moment when we live obeying the conscience not controling the weight of agony owing to being pressed down instead of checking justification of the scolding of conscience. Nietzsche’s genealogic question encourages us to inquire the origin of the pang of conscience, decode the significance of the pang of conscience like hieroglyphics genealogically through the work to ask the given value or the value of custom and weigh up its meaning and extent in life. In Section 1 of the body of this thesis, we intend to inquire into the relationship between Nietzsche’s genealogy and the scolding of conscience focused on ‘Preface’ of Genealgogy of Moral and ‘Thesis 1: ‘Good and Evil’. ‘Goodness and Badness’’ and ‘Thesis 2: ‘Guilt’, ‘Pang of Conscience’ and the similar things’. For this study, on one hand, we’ll deploy this Section through the analysis on a nihilistic phenomenon as the devalorization phenomenon of the top values, and on the other hand, through the analysis on the liability relation with genealogical diagnosis about the scolding of conscience. And in Section 2, we are going to analyze the pang of conscience revealed in Novel Your Name。 based on the theoretical viewpoint of Section 1. Especially, we’ll analyze the relationship among memory, oblivion and pang of conscience with the center of musubi(“むすび) which is the religious belief governing this village, and analyze this through the liability relationship. While a genealogic method accepted in post-modernistic tradition had a strong deconstructive tendency which reveals mainly the meaninglessness of previous values, this thesis deployed through Novel Your Name。 examine into the existence of values and its content become meaningless owing to oblivion.

      • KCI등재

        SF 서사에 나타난 기억과 정체성의 모티프: 영화 <오블리비언>을 중심으로

        노시훈 문학과영상학회 2017 문학과영상 Vol.18 No.1

        This study aims to illuminate how the motif of memory expands into those of identity in the SF narratives with the case of the film Oblivion (2013). The motif of ‘memory’, which is not frequently shown in narratives, often appears in SF genres, not only because the possibility of the ‘memory manipulation’ like ‘memory erasure’ and ‘memory implant’ becomes more stronger with the development of the modern science and technology, but also because the awareness that the manipulation can make great problems of human identity is increased. The SF film Oblivion gives us an opportunity of deep consideration about ‘memory’ and ‘identity’ since this film talks about almost every problem of the memory like ‘development of science/technology and dystopia’, ‘memory manipulation and personal identity’ and ‘cultural memory and collective identity.’ First, this film warns us of the worst dystopia that the development of science and technology can bring about by showing that the memory manipulation is able to cause the extinction of the human being, which is not like any other SF work. Second, the film shows us well that it is the memory that guarantees a personal identity in the best way, and makes us know that it is a succession of memories that can make possible the survival of the mankind as a ‘succession of selves’, a ‘river of selves.’ Finally, the movie lets us know that it is only in society that people acquire their memories and recall them, and that the collective memory is a cultural memory which relies heavily on its media like letters and images, but we can point out the issue restricting the human cultural memory to the popular culture as an American memory space in Oblivion. The meaning of this study is to illuminate with an exact case how the SF narratives accept and expand the anxiety that the development of science and technology can influence human memory and menace the identity and the existence of the mankind. It is also a result of this study to reveal that the problems concerning memory and identity are bound up with each other.

      • KCI등재후보

        영화 <님은 먼 곳에>에 드러난 베트남 전쟁의 젠더 재현 양상 연구

        권현정 부산대학교 여성연구소 2016 여성학연구 Vol.26 No.1

        This writing is about gender revival and aspect study of Vietnam War expressed in the move <Sunny(My love is far away)> by Director Lee Jun-Ik. The movie, <Sunny(My love is far away)>, has a historical significance reenacted the Vietnam War in the 2000s, because it can make people remind and discuss about the war that covered up and forgot for ages in Korea society. However, it is not focused on depth reflection and criticism based on historical fact, only using the war as a writing material for the sake of arousing interest. The description of the movie has showed only disguising a real story based on history, but also showing embellished historical figures excluded violence to Vietnamese by Korea military. Excepting these, it shows as if only U.S.A is to blame for the war by expressing that Korea military has an abhorrence of the imperialism for war, while Korea military had exploited Vietnam same way as we had been squeezed out by the imperialism. Even though It is truth, the movie did not mention any of the truth. Through these reasons, minorities such as Vietnam and Vietnamese suffered by the war have been drowned out. In this context, I demand a lot of reflection on the movie <Sunny(My love is far away)> the latest represented the Vietnam War was not enough to express fact so far. In this context, it is necessary to pay attention to why <Sunny(My love is far away)>, the latest movie to realize the Vietnam War, can’t help being realized by this conclusion. It is because media characteristics of movie has a problem co-related with collective memory descending from the Park Chung-hee era. Korea has still maintained the logic of oblivion and exclusion in terms of the Vietnam War by not designating any national holidays related with it. It was because the Vietnam War has been ceaselessly justified targeting Korean people by setting economic development and modernization at the head and finding the appropriateness of our nation since the Park Jung-hee regime. In respect of the logic, the violence lied behind it was all concealed and sank into oblivion. This logic of oblivion became Korean collective memory about the Vietnam War and is still working until now. Korean collective memory like this was realized as a epic of oblivion and exclusion by operating on the ground of <Sunny(My love is far away)>, the movie realizing the Vietnam War. 본고는 이준익 감독의 <님은 먼 곳에>에 드러난 베트남 전쟁의 젠더 재현 양상 연구에 대해 살펴 본 글이다. 2000년대에 접어들어 다시 한 번 베트남 전쟁을 재현한 <님은 먼 곳에>는 베트남 전쟁이라는 역사적 사실을 환기시키고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는 작품이다. 그동안 한국사회에서 은폐하고 망각했던 베트남 전쟁을 다시 꺼내 놓으며 논의를 할 수 있는 장을 만들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영화는 베트남 전쟁이라는 소재만을 다시 끌어와 사용하고 있을 뿐 역사적 사실에 기반한 진지한 성찰이나 비판의 지점은 찾아보기 어려울 정도로 약소하게 그렸다. 이는 영화의 서사가 실상 허스토리를 가장한 히스토리에 불과했다는 점, 순이라는 여성 인물의 욕망과 몸을 국가와 가부장의 이데올로기 아래에서만 소비하고 있다는 점, 또 한국군이 자행한 폭력의 행위는 배제되고 미화된 모습으로만 제시되고 있다는 점 등을 통해서도 확인할 수 있다. 이 외에도 영화는 순이라는 인물을 중심으로 서사 속에서 민족주의를 구현하는 모습을 보이며 반미 감정을 내비쳤고 베트남 전쟁 또한 미국에게 모든 책임이 있다는 듯이 제시했다. 그러면서도 한편에서는 제국주의를 모방하여 베트남을 이전에 한국이 당했던 것과 똑같이 착취했다. 그런데 영화 속에서는 이에 대한 어떠한 비판도 찾아볼 수 없었다. 이 때문에 영화에서는 베트남 전쟁으로 인해 고통받은 베트남, 베트남인 등의 수많은 소수자들의 목소리는 수장되고 있다. 이런 맥락에서 가장 최근에 베트남 전쟁을 재현한 영화인 <님은 먼 곳에>가 어째서 이러한 결론으로 재현될 수밖에 없었는지를 주목해볼 필요가 있다. 이는 영화라는 매체 특성이 박정희 시대에서부터 이어져왔던 집단 기억과 상관관계를 갖는 문제다. 영화는 제작과정에서부터 많은 사람과 많은 비용을 수반하여 만들어지는 것인 만큼 그에 대한 수익을 창출해야만 하는 매체다. 따라서 영화는 매체 특성상 대중과 시대의 욕망을 가장 근저에서 읽어내고 반영할 수밖에 없다. 대중에게 형성되어 있는 집단 기억과 집단 욕구가 곧 수익 창출로 직결되는 것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한국은 베트남 전쟁과 관련된 국가 기념일은 지정하지 않는 등 여전히 베트남 전쟁에 대해서는 망각과 배제의 논리를 보여주고 있다. 이는 박정희 정권에서부터 한국 국민들을 대상으로 베트남 전쟁을 두고 경제 개발, 근대화 등을 앞세워 끊임없이 민족적 당위성을 찾아 정당화하였기 때문이다. 이 같은 논리 앞에서 그 이면에 놓인 폭력들은 모두 은폐되고 망각되었다. 그런 망각의 논리는 베트남 전쟁에 대한 한국인의 집단 기억이 되어 오늘날에까지도 마찬가지로 작동하고 있다. 이 같은 한국인의 집단 기억은 베트남 전쟁을 재현한 <님은 먼 곳에>라는 작품의 근저에서 또한 작동하여 망각과 배제의 서사로 재현된 것이다. 그러나 한국은 배제되고 정당화된 베트남 전쟁이라는 역사의 민얼굴을 끊임없이 돌아보고 반성하며 성찰해야 할 것이다.

      • KCI등재후보

        불교에서의 의례의 위치와 역할-본유(本有) 중심 일생의례의 대안과 확산을 위한 제언-

        민순의 사단법인한국교수불자연합회 2018 한국교수불자연합학회지 Vol.24 No.3

        The ritual is a formalized and repeated mode of action in which the human minds and the abstract values are expressed. In some cases it has been designed intentionally in order to express human minds and values. In other cases it was a natural and traditional human action, which has been explicated to have so alternative meanings as to express a new minds and values. The more some minds and values are realized in the personal action, and the more personal actions are explicated according to some minds and values, the minds and values have a critical effect on the personal actor, or the action-doer. And the more such individual action-doers appear, the larger the effect of the minds and values on the folklore and culture is. Therefore, in the end, when the minds and values expressed in the ritual actions are handed down naturally of no wonder in the oblivion of the origin, futhermore when the other traditional actions is explicated in the context of the minds and values, the minds and values are deeply permeated in the folks to be a firm cultural basis. This is also the logic that explains that the religious effect on folklore and culture can be larger through the religious ritual. I focus especially on the lifetime ritual because it is the most suitable means by which religions can become the deep-rooted tradition permeated in folks and culture. The lifetime ritual can make a specific religion and folklore recreated into a new tradition through mutual oblivion and through the confusion caused from the very oblivion. Buddhist teaching has had little doctrine about the lifetime ritual practised in the personal live state, which is called Bon-yu[본유, 本有] in Buddhism. Buddhism of these days needs to build newly up the lifetime rituals, though. I have several alternative proposals to build it up. For example, I think contemporary Korean Buddhism needs especially to cultivate the rituals of the anniversaries for juveniles, the ceremonies for the couples and the pray rites for long life for seniors. The successful cultivation will be able to realize the Buddhist teaching, Buddhist minds and Buddhist values on this modern times. 의례는 인간의 정신과 추상적 가치가 표현된 일정한 행위 양식이다. 그것은 정신과 가치를 표현하기 위해 의도적으로 고안되기도 하지만, 때로는 인간의 본유적 특성 또는 문화적 전승 속에서 이미 양태가 갖추어져 존재하던 활동(들)에 새로운 의미와 해석이 가해지면서 일련의 정신과 가치를 표현하는 것으로 정리되기도 한다. 어떤 정신과 가치를 내포한 행위가 더 많이 개인의 삶 속에서 구현될수록, 그리고 개인의 삶을 채우는 활동들이 더 많이 어떤 정신과 가치에 따라 해석될수록, 그 정신과 가치는 행위주체에게 더 큰영향력을 미친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그러한 개인들이 점점 더 많은 비중을 점유함에 따라 그 정신과 가치의 사회문화적 영향력 또한 증대되는 것이다. 그리하여 마침내 일련의 의례행위와 그로써 표현된 정신과 가치들이 그 유래와 기원조차 망각된 채 개인들의 삶 속에서 부지불식간에 당연한 것으로 수행되고 환기되어 세대를 따라 전승될 때, 나아가 그 망각과 함께 그와 무관했던 기존의 행동들까지 그 일련의 정신과 가치로 해석될 때, 이 정신과 가치는 비로소 해당 사회 속에 깊이 침윤되어 확고한 문화적 근간으로 재창조되었다고 말할 수 있는 것이다. 의례의 장악을 통한 종교의 사회문화적 영향력 확산은 바로 이러한 논리로 설명될 수 있다. 본고는 종교가 인간의 사회문화에 침윤되어 전통으로 깊이 정착할 수 있는 가장 적절한 의례 수단으로서 일생의례를 주목하였다. 일생의례야말로 특정종교와 민속문화가 상호 망각에 의한 습합으로써 새로운 전통으로 재창조될 수 있는 최적의 조건을 지닌다고 보았기 때문이다. 그 과정에서 불교가 교리와 역사적 전개의 특수성으로 인해 생존기간[본유(本有)] 위주의 일생의례에서 약점을 보여왔음과,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유 단계 일생의례의 중요성과 그 정립 확산의 필요성을 확인하고, 이를 위한 몇 가지 대안을 제시하였다. 현대 한국의 사회문화에서 불교는 본유 단계의 일생의례로 성장의례와 혼인의례 그리고 축수의례를 주목하여, 사회적 요구와 시대적 가치에 부응하며 불교적 정신을 구현해야 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