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논픽션의 올바른 자리매김을 위한 시론

        이승하(Lee, Seung-Ha) 픽션과논픽션학회 2019 픽션과논픽션 Vol.1 No.1

        Fiction is a story of fabrication, whereas non-fiction is a work based upon the truth that is not created. Therefore, it is interesting to discuss the point at which fiction and fact (non-fiction) are separated and distinguished. For example, we can first mention Arirang , a documentary literature and reportage, written by Nym Wales; in Korea, there is Dong-Woo Yu’s autobiography called The Cry of a Stone , Beyond Death and Beyond the Darkness of Times by Suk-Young Hwang, Operation Order Splendid Vacation by reporter Jae-Geol Yoon, etc. Additionally, travel essays or travelogues that document expeditions and travels, such as Marco Polo’s The Travels of Marco Polo , also fall into the non-fiction category. A representative work from Korea would be Memoir of the Pilgrimage to the Five Kingdoms of India written by Hye-Cho. Modern books of travel include Traveler’s Account of the Soviet Union by Tae-Joon Lee, Traveler’s Account of the Coast by Tae-Joon Kim, and No-Ma-Man-Ri by Sa-Ryang Kim. Works in the form of biographies or critical biographies can be seen as a branch of history beyond the category of a personal story. For instance, examples include the Gospel of Jesus, Socrates, and the heroic tales of Plutarchos. Furthermore, Oriental biographical literature can be represented by Sima Qian’s Historic Chronicles (史記), while among the Korean biographies, The Critical Biography of Dong-Ju Yoon is considered excellent work. Of course, a diary can also be great non-fiction as an autobiographical record. Works like Admiral Sun-Shin Yi’s Nanjung-Ilgi are pieces of literature in the form of a diary with essential material value in social and political history. As for diaries of modern times in Korea, the diary of Chi-Ho Yun is mentionable, and of the present-day there is Seong-Chil Kim’s diary. Autobiographies and memories are the products of efforts to leave records of life, like Les Confessions of Augustinus, Memoirs of Lady Hyegyeong by Crown Princess Hong, and Baekbeomilji by Kim-Gu. In addition, Gandhi’s autobiography became a word-class bestseller. There is also a unique genre for diaries written in prison: Oscar Wilde, Louise Rinser, Gwang-Sup Kim, Yeong-Bok Shim, etc. are writers of such genre. We must also notice that some view the scriptures of the world’s three major religions as non-fiction. Overall, we can comprehend the long history and influence that non-fiction has brought to us. Thus, we can only hope that the prejudice and devaluation against non-fiction work will be demolished in order to embrace diverse types of literature. 픽션은 창작해낸 허구의 이야기이고, 논픽션은 허구적 창작물이 아닌 사실에 입각하여 쓴 작품이다. 논픽션이 픽션과 변별되는 지점, 사실(fact)과 허구(fiction)의 변별되는 지점을 고찰해볼 수 있다. 기록문학인 르포르타주로 님 웨일즈의 『아리랑』을 꼽을 수 있고, 국내저작으로는 유동우의 수기 『어느 돌멩이의 외침』, 황석영의 『죽음을 넘어 시대의 어둠을 넘어』와 윤재걸 기자의 『작전명령 화려한 휴가』 등을 들 수 있다. 마르코 폴로의 『동방견문록』처럼 탐험과 여행을 기록하는 형식의 기행문이나 여행기도 논픽션의 범주에 들어간다. 한국의 대표작으로 혜초가 쓴 『왕오천축국전』이 있다. 근대의 여행기로는 이태준의 『소련기행』, 김태준의 『연안기행』, 김사량의 『노마만리』를 들 수 있다. 전기 혹은 평전 형식의 작품은 개인사의 범주를 넘어 역사의 한 갈래로도 볼 수 있다. 예수의 복음서를 비롯해 소크라테스, 플루타르코스 영웅전 등의 거대서사에서 그 예를 찾아볼 수 있다. 동양의 전기 문학은 사마천의 『사기』를 들 수 있다. 국내 전기물 중에 뛰어난 저작으로 『윤동주 평전』이 있다. 일기 역시 자전적인 기록으로 훌륭한 논픽션이 될 수 있다. 이순신의 『난중일기』와 같은 작품은 사회사ㆍ정치사적 중요한 자료적 가치를 갖는 일기형식의 문학의 한 예다. 국내 작가의 대표적인 일기로는 근대는 윤치호, 현대는 김성칠의 것을 꼽을 수 있다. 자서전과 회고록은 삶에 대한 기록을 남기려는 의식의 산물로 아우구스티누스의 『고백록』을 예로 들 수 있다. 혜경궁 홍씨의 『한중록』, 김구의 『백범일지』와 같은 작품이 있다. 간디의 자서전은 세계적 베스트셀러가 되었다. 옥중기라는 특이한 장르도 있다. 오스카 와일드, 루이제 린저, 김광섭, 심영복 등이 옥중기를 집필했다. 세계 3대 종교의 경전을 논픽션으로 보는 시각도 존재한다. 이를 통해 우리는 논픽션의 유구한 역사와 영향력을 짐작해 볼 수 있다. 이 땅에서도 앞으로 논픽션에 대한 편견과 평가절하가 사라져 다양한 문학을 포용할 수 있게 되는 날이 오기를 바란다.

      • KCI등재후보

        두 연어 이야기에 나타난 픽션과 논픽션 : 고형렬 『은빛 물고기』와 안도현 『연어』의 서사구조 비교

        이병철(Lee, Byung-Chul) 픽션과논픽션학회 2020 픽션과논픽션 Vol.2 No.1

        고형렬의 『은빛 물고기』는 시인인 저자가 10년 넘게 연어의 일생을 추적하며 쓴 장편 산문이다. 장편 산문이라는 외부 형식은 물론 한 편의 문학작품 안에서 픽션과 논픽션이 끊임없이 교차하며 시적 은유와 잠언, 소설적 서사, 자전적 에세이, 자연과학적 사실이 공존하는 내부 구조는 보기 드문 것이다. 강원도 양양에서부터 캄차카반도, 아무르 강, 오호츠크 해, 베링 해로 이어지는 대자연에 대한 시적 묘사, 탄생과 성장, 죽음 등 인간의 실존적 고뇌에 대한 깊은 성찰의 언어는 우리말이 지닌 아름다움의 놀라운 진경을 보여준다. 안도현의 『연어』 역시 시인인 저자가 쓴 작품으로, ‘어른을 위한 동화’라는 부제가 붙었다. 연어를 의인화하여 사랑, 연민, 외로움, 슬픔, 자기존재의 주체성 모색 등 인간 보편의 감정과 존재론적 성찰을 담아낸 『연어』는 1996년 초판 발행 후 지금껏 무려 100만부가 팔린 스테디셀러다. 시적인 문체와 연어의 생태에 기초한 간결하면서도 속도감 있는 스토리 전개로 대중 독자의 사랑을 받았다. 하지만 이 두 연어 이야기를 연구한 논문은 좀처럼 찾아볼 수 없다. 이 글은 그 사실에 대한 안타까움에서부터 출발했다. 『은빛 물고기』와 『연어』가 지닌 서사예술로서의 가치에 주목하여 자연과학적 논픽션과 문학적 상상력이 교차하며 서사를 이뤄나가는 과정을 추적하면서, 여러 장르의 글쓰기가 한 텍스트 안에서 결합하는 구조적 특징, 연어의 일생을 서사로 구성해나가는 방법 등을 비교분석한 글이다. The Silver Fish is a long prose work written by the poet Goh Hyeong-ryeol tracking the life of the salmon for over ten years. It is unique in its external form called long prose. It is also a rare work for its internal structure characterized by ongoing crossing between fiction and nonfiction within a literary work and the coexistence of poetic metaphors, aphorisms, fictional narratives, autobiographical essays, and natural scientific facts. In this work, the poet s poetic depictions of Mother Nature from Yangyang of Gangwon Province through Kamchatka Peninsula, the Amur River and the Sea of Okhotsk to the Bering Sea show the surprising spectacle of beauty inherent in the Korean language along with the words of profound reflection on human existential agony including birth, growth, and death. The Salmon is also written by a poet called Ahn Do-hyeon. Its subtitle is Children s Stories for Grown-Ups. This work personifies the salmon and offers universal human emotions and existential reflection including love, compassion, loneliness, sadness, and search for the independence of self-existence. It is a steady seller whose sales have surpassed 1,000,000 since its first edition in 1996. It has been loved by popular readers for its poetic style of writing and its simple and speedy development of stories based on the life of the salmon. There have been no papers on these two works on the salmon. This study was conceived by a pity for the fact. Tracing the process of natural scientific nonfiction and literary imagination crossing each other and creating a narrative by focusing on the values of The Silver Fish and The Salmon as narrative art, the study compared and analyzed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various genres of writing being combined within a text and the methods of organizing the life of the salmon into a narrative.

      • KCI등재후보

        안성의 어제와 오늘과 내일

        이승하(Lee Seung-ha) 픽션과논픽션학회 2021 픽션과논픽션 Vol.3 No.1

        본고는 안성의 어제와 오늘을 문화‧예술적 관점에서 개관하고 미래를 예측하고자 한다. 안성의 어제는 임진왜란 의병 근거지이자 일제강점기 속 격렬한 만세운동의 도시, 즉 반골기질의 역사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역사 속에서 안성에서는 문화‧예술적으로 남사당패와 안성유기가 꽃피웠다. 남사당패의 전설적인 꼭두쇠 바우덕이는 안성의 오늘에 남아 ‘안성바우덕이축제’로 전승되어, 세계의 축제로 공식적으로 인정받고 있다. 안성유기 또한 일제강점기와 한국전쟁으로 인해 수난을 겪었지만, 중요 무형문화재 제77호로 등재되어 맥을 이어나가고 있다. 조선시대의 문신들, 100명 가까이 되는 삼일 만세운동에 참가한 민초들, 근대문학 초기의 안국선‧안막‧안회남, 여러 분야의 영화감독과 작곡가, 코미디언과 더불어 안성의 문학을 풍요롭게 만든 안성 출신의 문인들을 우선은 안성이 낳은 인물로 언급한다. 안성은 한반도 역사를 관통하는 문화재와 사적지를 지닌 도시이다. 풍요한 문화‧예술적 자원을 기반으로 한 각종 문학관과 기념관 또한 설립되어 있다. 하지만 현재 철로나 지하철이 들어서지 않아 교통이 불편한 실정이다. 교통 접근성이 만족되어 관광지로 개발된다면, 안성의 미래는 그야말로 한국의 안성맞춤 도시가 될 것이다. This paper aims to provide an overview of Anseong yesterday and today from a cultural and artistic point of view and predict the future. Yesterday in Anseong can be said to be a base for voluntary soldiers during the Imjin War and a city of fierce national independence movement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that is, the history of unyielding temperament. In this history, Namsadangpae(traveling entertainers) and Anseong Yugi(brassware) blossomed culturally and artistically in Anseong. The legendary Baudeogi of Namsadangpae remains in Anseong today and is handed down as the ‘Anseong Baudeogi Festival’, and is officially recognized as a festival around the world. Anseong Yugi also suffered hardships due to the Japanese colonial rule and the Korean War, but it has been registered as Important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No. 77 and continues its legacy. The civil minister of the Joseon Dynasty, the people who participated in the 3.1 Independence Movement of nearly 100 people, Ahn Guk-seon, Anmak, and Ahn Hoe-nam in the early days of modern literature, film directors, composers, and comedians in various fields, and writers from Anseong enriched Anseong’s history. Anseong is a city with cultural properties and historic sites that penetrate the history of the Korean Peninsula. Various literary halls and memorial halls based on abundant cultural and artistic resources have also been established. However, there are currently no railways or subways, so transportation is inconvenient. If transportation accessibility is satisfied and it is developed as a tourist destination, the future of Anseong will be the perfect city for Korea.

      • KCI등재후보

        문학비평에서 마르크스 변용의 한 양상

        염인수(In-Su Yum) 픽션과논픽션학회 2022 픽션과논픽션 Vol.4 No.1

        Kim In-hwan's criticism contains a great many references which are hidden under textures. The primary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acceptance and adaptation of Marxist theory in Kim In-hwan's critical writings. To this end, I try to find the Marxian thoughts included in Kim In-hwan's two axes of critical theory, one is his principles theory and the other is his stages theory, and try to explain the meaning and intention of strange formulas in his criticism. Capital is a massive book. If we want to look out upon the relationship between literature and reality, we cannot bypass Marx's thoughts contained in the book. It can be understood that the formulas inserted in Kim In-hwan's critical writings are intended to summarize the entire contents of Capital Vol.Ⅰ, Vol.Ⅱ, and Vol.Ⅲ without citing Marx's lines directly. Insofar as literature is bound to social reality, the summingup of Marx’s Critique of political economy enabled Kim In-hwan's critical writings to connect science as an objective recognition of reality with literature as a denial of fetishism in reality, and provide the criteria to judge literary works and authors. this study will consider what feeble hope the speculativity that literary criticism inevitably possesses can convey to us. 김인환의 비평 텍스트에는 수없이 많은 전거들이 압축되어 있다. 이 글은 김인환의 비평 텍스트에서 마르크스가 수용되고 변용되는 양상을 살피는 것을 일차적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김인환의 문학비평이론의 두 축인 원리론과 단계론에 내포된 마르크스적 사유를 찾아보고, 또 김인환 비평 텍스트에서 가장 낯선 모양이라 할 수식 표현의 의미와 의도를 해명하고자 한다. 『자본』은 큰 책이다. 문학과 현실의 관계 맺음을 조명하기 위해서는 이 큰 책에 담긴 마르크스의 사유를 우회할 수 없다. 김인환의 비평 텍스트에 삽입된 수식들은 마르크스의 사유를 인용하지 않고 『자본』 제Ⅰ권, 제Ⅱ권, 제Ⅲ권의 내용을 요약 제시하기 위한 것으로 읽어낼 수 있다. 이럼으로써 김인환의 비평 텍스트들은 현실의 객관적 인식으로서의 과학을 현실의 물신에 대한 부정으로서의 문학과 연결 짓고, 문학이 사회 현실과 연결된 한에서 작품 또는 작가를 판단할 나름의 기준을 마련했다. 궁극적으로 이 글은 문학비평이 벗어날 수 없는 사변적 성격이 현재 미약하게나마 어떤 희망을 전할 수 있는지 생각해볼 것이다.

      • KCI등재후보

        개인의 체험에 깃든 공동의 장소성 : 안회남의 중편소설 「탄갱」에 나타난 장소성을 중심으로

        강민희(Kang Minhee) 픽션과논픽션학회 2020 픽션과논픽션 Vol.2 No.1

        장소성은 주로 개인적인 차원에서 다루어져 왔다. 그러나 특정한 공간에 형성된 개별적인 기억이 총체적인 기억으로 전환하는 과정에서 공동의 장소성이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장소성은 물리적 공간에 깃든 개인과 개인, 개인과 조직, 조직과 조직 등 다양한 사회적 관계와 의식의 변화를 살피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특히 장소성에 공통성과 역사성이 더해지면 내·외부적인 이유로 기록되지 못했던 정치·경제·문화·이념의 다채로운 스펙트럼을 파악하는 계기가 될 수 있으리라. 논자는 공동의 장소성이 지니는 가능성에 기대어 오토픽션의 성격을 띄는 안회남의 「탄갱」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소설의 공간을 “악마의 목구멍”으로 불리며 일제의 폭력성과 야만성이 응축된 ‘탄갱’, “그립고 가고시펐으나” 과거시제로만 서술되는 유토피아인 ‘고향’, 그리고 ‘탄갱’과 작가, 그리고 시대의 헤테로토피아로 기능하는 ‘제일협화요’로 나눌 수 있었다. 이 과정에서 역사적 사건이 강제동원자들의 장소성과 변화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사실도 마주했다. 「탄갱」을 중심으로 오토픽션에 깃든 공동의 장소성을 살핀 이 논의는, 해당 장르가 개인의 차원을 넘어 시대와 공동체의 서사로도 의미 있음을 확인하는 자리라는 점에서, 2019년에야 해제가 이루어져 활발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연구대상을 소개한다는 점에서 학술적 의미를 더할 수 있을 것이다. Space has been discussed mainly on a personal level. However, space is a field where community experience is formed. In this case, space can serve as an opportunity to understand the texture of various social relationships resulting from physical landscapes and the various experiences. And it can be a clue to how many people perceive space and how this perception changes. In particular, text containing testimonies from people who have experienced the same space can help to scrutinize the context of individuality, commonality and historicality, and to gauge what content the records do not contain. On this premise, the researcher studied A Coalpit(炭坑) about Ahn, Hoe-nam(安懷南)’s novel. So we looked at the common place in Auto-fiction, and studied the changes. As a result, the space described in the novel could be divided into the following; 1) Coalpit condensed with Japanese violence. 2) A hometown that missed and wanted to go but couldn’t go back. 3) A heterotopia of the Coalpit era; and ‘Dormitory Number One (缧击坏墇忩)’. And in the process, it also reached a tentative conclusion that text could be a novelist and a heterotopia of colonial Joseon. The academic value of this study is as follows; 1) Analyzed the placeability of forced mobilization described in the text. 2) Identified the nature of Auto-fiction and presented various literary interpretations. 3) We discussed the new research topic, A Coalpit by Ahn Hoe-nam.

      • KCI등재후보

        김수영 문학에서 망각에 관한 연구

        김태선(Kim, Tae-Seon) 픽션과논픽션학회 2019 픽션과논픽션 Vol.1 No.1

        This study focused on problem of Oblivion in Kim Su-Young s Later Literature. In General, Oblivion means forgetting a memory; but Su-Young looked at Oblivion as an essential movement related to poetry writing in the thought that reached the last winter of his life. At that time, Su-Young was thinking about way of beyond the limit of I that blocked sees things from the inside as the recognition according to the established order. WaSeon [lying meditation] is the article in which Su-Young s inquiry of such a thought appeared. Su-Young introduces the method of meditation called WaSeon and talks about passive attitude because he saw that it makes him approach to the essential place of Things that can not be approached by active action such as the capacity of the subject. Thus we looked at Kim Su-Young s passive attitude with referring to the passive synthesis as the first synthesis of time on Deleuze s theories about time. Passive synthesis is the movement towards contraction in which different things meet and become individualized before the action of intelligence that makes it aware when the subject recognizes something, which foundation for images and memories. But image of thought ready-made concealed the encounter with such process of generating. The reason why Su-Young argued that things should be seeing from inside is to approach the process of generating that could not be approached in the active instance of the subject I . Su-Young said the waiting , WaSeon and passive attitude in way to get a gaze to see the inside of things. Kim Su-Young discusses the way to poetry by passive attitude , which is done through reminiscence in the oblivion. And writing poetry and poetry performs the movement of oblivion that erases itself, which is what appears in Händel s music. Heidegger discussed Brave Oblivion which is distinguished from oblivion[forgetting] in general sense in Andenken [reminiscence]. Brave Oblivion is a process that approaches the essential dimension of the double movement of Being as appearing and disappearing, and an experience of ecstase[Ekstase] that leaves I outside I , and opens oneself and performs the movement to enter into the inside of others as the things. The attitude to writing poetry that Su-Young called passive attitude is aimed to reach such a movement. In addition, Oblivion is the condition of reminiscence as recalling the disappearances, and in this case, the returning does not reappear as they once appeared. They are partial objects of what are potential in the qualifications of the pure past, and appear to constantly change their appearance and place. This movement is the double movement of Being, in which something is a movement to oblivion, and is manifested as constantly erasing itself and appearing. This is also the movement of Oblivion performed by poetry, which Su-Young wanted to refer to Handel s music. Therefore, Kim Su-Young s Oblivion and the writing of Oblivion as the movements of differential generation that reveals themselves as the differences. With Oblivion, writing becomes a movement to participate in the experience of Being and to express the experience itself. The writing of oblivion is a movement that erases itself and expresses itself, and through such movements, it produces a generation that brings small but certain changes. 이 연구는 김수영 후기 시론의 ‘망각’에 관한 문제를 탐구하였다. 망각이란 일반적으로 어떤 기억을 잊는 일을 뜻하지만, 김수영은 자신의 생애 마지막 겨울 무렵에 이른 사유에서 ‘망각’을 시 쓰기에 관련된 어떤 본질적인 움직임으로 살폈다. 당시 김수영은 ‘사물을 내부로부터 보는 일’을 가로막는 ‘나’의 제한, 즉 기성의 질서에 따른 인식의 태도를 넘어서는 일을 사유하고 있었는데, 그 방법의 하나로 ‘망각’의 문제에 관심을 가졌다. 이 연구에서 김수영의 시론에 나타난 ‘망각’을 주목하는 까닭은, 김수영이 ‘사물을 내부로부터 보는’ 일을 방해하는 ‘나’의 제한, 즉 기성의 질서에 따른 인식의 태도를 넘어설 수 있게 하는 한 방법으로 ‘망각’의 문제에 관심을 가진 것으로 보았기 때문이다. 그와 같은 사유의 탐구가 개진된 산문 중 하나가 바로 「와선」이다. 김수영이 ‘와선’이라는 명상의 방법을 통해 ‘수동적 태세’를 운운한 까닭은, 그 방법으로써, 주체의 능력이라는 능동적 행위에 의해서는 다가갈 수 없는, 사태의 본질 영역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한다고 보았기 때문이다. 김수영이 ‘수동적 태세’라 한 움직임 강조한 까닭을 고찰하기 위해서 이 글에서는 들뢰즈의 시간론 중, 첫 번째 시간의 종합에 나타난 수동적 종합을 참조하였다. 수동적 종합은, 주체가 무언가를 인식할 때 그것을 어떤 앎으로 만드는 지성의 작용에 앞서 나타나는, 서로 다른 것들이 만나며 개체화되는 ‘수축’의 움직임이며, 이는 이미지나 기억 등을 형성하는 정초의 역할을 한다. 그러나 기성의 사유이미지는 그와 같은 발생적인 것과의 만남에 틀을 덮어씌운다. 김수영이 사물을 외부가 아닌 내부에서 바라볼 것을 주장한 까닭은, 바로 ‘나’라는 주체의 능동적 심급이 가리고 있던 그 발생적 차원으로 다가가기 위해서이다. 김수영은 사물의 내부를 보는 시선에 이르기 위해 ‘와선’이라는 기다림을, 그 ‘수동적 태세’를 말하였던 것이다. 김수영은 ‘수동적 태세’로써 ‘시’에 이르는 길을 주장하는데, 이는 망각 가운데에서의 ‘상기’ 혹은 ‘회상’을 통해 이루어진다. 이때 시와 시 쓰기가 이행하는 것은 김수영이 헨델의 음악에서 본, 스스로를 지우는 망각의 움직임이다. 하이데거는 「「회상」」에서 일반적인 의미에서의 망각과 구분되는 ‘대담한 망각’을 논의한다. ‘대담한 망각’은 생성과 소멸의 이중운동이라는 존재의 본질적 측면에 이르는 한 과정이자, ‘나’를 ‘나’ 바깥에 놓아두는 ‘탈자태’의 경험으로, 자신을 열어 사물 혹은 사태라는 타자의 내부로 들어가는 움직임을 수행한다. 김수영이 ‘수동적 태세’라 한 시 쓰기의 태도는 바로 그와 같은 움직임에 이르기 위한 것이다. 또한, 망각은 사라져간 것을 다시 불러오는 회상 혹은 상기의 조건으로, 이때 되돌아오는 것은 자신이 한 때 현현했던 모습 그대로 다시 나타나지 않는다. 그 것들은 순수 과거의 자격에서 잠재적인 것의 한 부분대상들로, 끊임없이 스스로의 모습과 자리를 바꾸는 것으로 나타난다. 여기서 잠재적 대상들의 움직임은, 무언가가 망각에 이르는 움직임이자, 끊임없이 스스로를 지워나가는 동시에 나타나는 것으로 현성하는, 존재의 이중 운동에서 볼 수 있는 그 움직임이다. 이는 김수영이 헨델의 음악을 통해 전하고자 했던, 시가 이행하는 망각의 움직임이기도 하다. 본 연구에서 살핀 김수영의 망각, 그리고 그 망각의 글쓰기는 스스로를 부단히 차이짓는 차이로서 드러내는 미분적인 생성의 움직임이다. 망각과 함께 글쓰기는 존재 경험에 참여하는 것이 되는 동시에 그 경험 자체를 표현하는 움직임이 되는 것이다. 망각의 글쓰기는 스스로를 지워나가는 동시에 또한 표현하는 움직임으로, 그와 같은 이행을 통해서 작지만 확실한 변화를 가져오는 생성을 이루어낸다.

      • KCI등재후보

        증언과 기록, 사실과 허구를 가로지르는 ‘한 명’들의 삶 : 위안부 서사와 김숨의 『한 명』

        서영인(Seo, Youngin) 픽션과논픽션학회 2019 픽션과논픽션 Vol.1 No.1

        김숨의 『한 명』은 위안부 피해자들의 증언록을 바탕으로 하여 쓴 소설이다. 1991년 공개증언이 시작된 이래 많은 증언집이 발간된 바 있고 기록이 축적될수록 기록자들은 증언자들의 증언을 어떻게 재현할지 고민했다. ‘역사적 실상’을 파악하는 증거로 채록되었던 증언들은 점차 증언자들을 그들이 살아온 삶 전체의 주체로 인정하고 그 주체적 시선을 담는 방향으로 변화해갔다. 『한 명』 이전에 위안부 피해자들의 증언을 기록한 기록물이 있었고, 이 기록물들은 『한 명』의 전(前)텍스트였다. 기록의 대상이었던 위안부 피해자들이 기록의 과정을 거쳐 복합적이고 역동적인 주체로 재현될 수 있었던 과정을 『한 명』은 따르고 있다. 사실의 기록이 허구화되어가는 과정을 『한 명』이 참조한 텍스트를 통해 더 분명히 알 수 있다. 증언이 끝난 곳에서 이 역사적 사실을 어떻게 더 상상하고 말할 수 있을까. 이는 『한 명』 이후 위안부 서사의 과제이기도 하다. Kim Sum’s One Person (Han Myeong) is a novel written based on the testimony of Japanese Military Sexual Slavery (known as ‘Comfort Women’). Since the public testimony in 1991, a lot of testimony books have been published and as the documents have been accumulated, recorders ponder on how to represent those testimonies. The testimonies considered as evidences of “historical realities” have eventually regarded as something in which witnesses are recognised as subjects of their whole lives and their subjective gazes are embodied. Before One Person , the documents recorded the testimonies of Comfort Women had existed, and they were pre-texts of One Person . One Person follows the process through which an object of record(Comfort Woman) could be represented as a complex, dynamic subject. Through the reference text of One Person , the fictional process of factual record could be revealed more obviously. From the place where the testimony ends, how can we imagine and speak more this historical fact? This is the mission of the narrative of Comfort Women after One Person.

      • KCI등재후보

        상생을 위한 장소특정적 연극의 활용 사례 연구

        최민아(Min-A Choi) 픽션과논픽션학회 2022 픽션과논픽션 Vol.4 No.1

        It is meaningful that <Haenyeo's kitchen>, where people can experience site-specific performances, the complex space for theatre and dining, is a creative place with local history and culture. The site that was remodeling a fish market and had an identity of Haenyeo's living foundation is now the flexible place that performers flexible use. <Haenyeo's Kitchen> strengthens its uniqueness and authenticity by creating specific Haenyeo characters based on real stories. Moreover, it serves a special meal with seafood Haenyeo catches from the sea and the audience/customer experiences the taste with five senses. Furthermore, Haenyeo actively gets involved <Haenyeo's kitchen> and becomes a community with them. Finally, the audience also can feel solidarity with them through their performance. <해녀의 부엌>은 제주도의 지역적 자산을 활용하여 연극관람과 다이닝이라는 복합적인 기능을 구현한 상업적 장소이기도 하지만 역사와 문화가 담긴 장소를 몸과 감각으로 경험케하는 장소특정적 공연이 이루어지는 예술창작 공간이라는 점에서 의미를 가진다. 해녀들과 그들의 삶의 터전이라는 장소의 정체성을 놓치지 않고, 버려진 어판장을 활용하여 기존의 공연장과는 다른, 공간의 유연함을 부여한 공간을 창조하였다. <해녀의 부엌>은 이러한 장소특정적 공연의 미학을 바탕으로 한정적인 공연이 아닌, 지역 공동체와 상생하며 지속적인 공연을 이어갈 수 있도록 장소특정적 공연의 특징을 활용하고 확장한다. 관객들을 공감하게 만드는 보편성의 가치는 실제 해녀들의 구술을 기반으로 한 구체적인 스토리텔링과 실존하는 생생한 캐릭터로 인해 고유성과 진정성을 확보하고, 해녀들이 채취한 해산물로 그들이 만들어낸 한 끼는 관객들의 오감을 자극하여 다양한 체험적 공연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해녀의 부엌>은 지역 공동체인 해녀들의 적극적인 개입을 유도하여 유대감과 공동체성을 형성하고, 관객들 또한 그들이 만들어내는 공연을 경험하며 공동체 안으로 흡수되어 정서적으로 깊은 유대를 느낄 수 있게 돕는다.

      • KCI등재후보

        전경린 소설의 여성정체성 찾기의 패턴분석 : 전경린의 중·단편소설을 중심으로

        김정인(Kim, Jung-in) 픽션과논픽션학회 2019 픽션과논픽션 Vol.1 No.1

        본고는 전경린 소설에서 여성정체성을 다루는 패턴이 있다고 보고, 전경린의 중·단편소설 「염소를 모는 여자」, 「맥도날드 멜랑콜리아」, 「천사는 여기 머문다 2」를 통해 이를 찾아내고 분석하고자 한다. 전경린의 소설에서 패턴은 다음과 같이 세 단계로 나뉜다. 먼저 가부장제 아래에서 사회적, 경제적으로 소외되어 있는 여성이 등장한다. 이들은 가부장제 아래 지속적으로 방치되어 왔음에도 불구하고, 잘못된 것을 감지하고 있는 여성들이다. 다음으로는 집밖에 존재하는 타자들을 통해 여성인물들이 자신의 상황을 각성하게 만드는 단계다. 먼저, 여성인물들이 머물고 있는 ‘집’이 가지고 있는 억압적 의미를 분석하고, 여성인물들을 각성하게 만드는 존재들 역시 가부장제 밖의 존재이며 이들과의 관계를 통한 각성을 이야기한다. 마지막으로 집밖의 타자로 각성된 새로운 삶에 대한 욕구가 여성인물들의 결단과 행동에도 불구하고 좌절하게 되는 ‘구원의 실패’ 단계다. 이는 개인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사회가 바뀌지 않을 것이라는 작가의 절망적 인식을 나타내기도 한다. 이러한 반복적인 패턴은 작가가 가진 메시지의 통일성을 보여주나 창의성이 중요한 창작의 영역에서 한계점으로 작용하기도 하며 결국 전경린 작품의 사회적 역할이 약해진 이유 중 하나로도 볼 수 있을 것이다. This paper sees a pattern dealing with feminine identity in Jeon Gyonglin s novel, and attempts to find and analyze it through the middle and short novels in the A Woman Driving a Goat , Angel Stays Here2 , Mcdonald Melancholia . In her novel, the pattern is divided into three stages: First, women who are socially and economically alienated under patriarchy appear. These are women who feel something uncomfortable, despite their continued neglect under patriarchy. The next step is to have female characters awaken their situation through others outside the home. Firstly, it analyzes the oppressive meaning of the house in which women s characters reside, and the beings that arouse women s characters are also outside the patriarchal system and talk about their awakening through their relationship with them. Lastly, the desire for a new life awakened as an outside stranger is a “failure for salvation” that frustrates women despite their determination and actions. This shows the artist s desperate perception that society will not change despite personal efforts. This repetitive pattern shows the unity of the artist s message, but it also acts as a limit in the area of creativity where creativity is important and can be seen as one of the reasons why the social role of Jeon Gyonglin s novel has weakened.

      • KCI등재후보

        ‘되는’ 문학과 전환기의 상상력

        김효숙(Kim, Hyo-Suk) 픽션과논픽션학회 2020 픽션과논픽션 Vol.2 No.1

        첨단 모바일 기능의 지원으로 작가-독자 간 실시간 접속을 원활하게 할 수 있는 시대다. 상호 열린 대화적 관계가 이뤄지면서 일인칭 서사들은 최근 더욱 다양해지고 있다. 뿐만 아니라, 특정 장르의 서사가 다른 매체로 이동하면서 새로운 생성물을 생산하기도 한다. 이때 누군가의 사생활 공개가 매우 투명하게 이뤄질 수 있다. 미디어가 투명하게 이동하는 만큼, 사용자의 사생활과 존엄도 치명적으로 훼손된다. 이 논문은, 최근의 오토픽션 표절 시비의 핵심이 사생활 침해 문제와 관련한다는 사실에 착안하였다. 매체와 플랫폼의 다양성을 기반으로 일인칭 서사가 빠르게 확산하는 현상을 이해하기 위해 자전(Auto)의 범주에서 논의를 진행하였다. 먼저, 자전에서 분배된 세부 요소 중 작가가 등장하는 허구를 자전소설로 보고, 해방공간에서부터 해당 작품을 찾아보았다. 나아가 1990년대에 포스트모더니즘이 쇄도하면서 반소설(反小說) 형식의 소설가소설, 그리고 메타픽션이 등장한 경위를 살펴보았다. 2010년대 한국문학 장에서 빠르게 확산하는 일인칭 서사와 오토픽션 장르의 연관성을 심리 차원에서 접근함으로써, 오토픽션이 자전소설의 하위 범주에 있는, 멀티미디어 시대의 변이종이라는 사실과, 자전소설 작가들이 펼친 장르 실험이 특히 역사 전환기에 활발하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is an era where real-time access between writers and readers can be made smoothly with the support of advanced mobile functions. First-person narratives have become more diverse in recent years as mutually open and interactive relations take place. In addition, narratives of certain genres move to different media, producing new products. At this time, the disclosure of someone s private life can be made very transparent. As the media moves with transparency, the user s privacy and dignity are also critically damaged. This paper conceived the fact that the core of the recent autobiographic fiction plagiarism dispute relates to the privacy infringement matter. Discussion was progressed in the category of auto- to understand the rapid spread of first-person narratives based on diversity in media and platforms. First, among the detailed elements distributed in the autobiography, a fiction featuring the writer was regarded as a autobiographical novel, and the corresponding works were searched from the space of liberation. Further, as postmodernism flooded in the 1990s, the paper looked into how anti-fiction novel and Metafiction appeared. Through a psychological approach to the connection between the fast expanding first-person narratives and autobiographic fiction genre in the Korean literature field in the 2010s, it was confirmed that genre experiments conducted by autobiographical novel writers were particularly active during the period of history transition perio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