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강용훈 ( Yong Hoon Kang ) 한국현대문예비평학회 2011 한국문예비평연구 Vol.- No.34
1910년을 전후로 발표된 문학에 관한 논의들은 보편적 차원의 문학에 대해서만 언급했을 뿐, 조선문학의 현재적 상황에 대해서는 면밀하게 분석하지 않았다. 당대의 조선문학을 비평 대상으로 창출해내는 과정은 1920년대 월평의 도입을 통해서 가능해졌다. 월평이 시도된 1920년대 초반은 문예비평이 개별적 장르로 인지되기 시작하던 시기였으며 월평의 도입은 문예비평이 여타의 글쓰기로부터 분화된 과정과 맞물려 있다. 또한 월평 쓰기는 1920년대 전반에 걸쳐 지속되었기에 월평의 형성 과정을 살펴보는 일은 문예비평의 변화 양상을 분석하는 데 유효한 참조점을 줄 수 있다. 이 글은 ① 『창조』·『백조』·『폐허』를 중심으로 월평이 도입되던 1920년대 초, ② 『개벽』에 월평이 정기적으로 연재되고 『조선문단』 합평회가 진행되던 1925년, ③ 『개벽』이 폐간된 이후 『조선지광』에 문예시평이 연재되던 1927년에 주목하여 월평의 형성 과정을 서술했다. 그 과정에서 본 연구는 월평 방식의 변화 양상에 초점을 맞추었다. 월평은 1개월이라는 제한적 시간 내에 발표된 복수의 작품을 비평대상으로 설정하고 있다는 점에서 이전 시대의 비평적 글쓰기와는 변별된다. 월평 쓰기가 시도되었다는 것은 비평적 평가를 받을 수 있는 복수의 작품이 발표되었으며, 그 작품을 실을 수 있을 만큼의 매체가 간행되었다는 점을 가리킨다. 1920년대 초 월평은 3·1 운동을 전후로 식민지 조선의 매체 환경이 변화했기에 도입될 수 있었다. 초창기 월평은 문예 지면이 확대된 상황에 비판적으로 대응하며 동시대 작품들 중 미적 가치가 있는 작품을 선별하여 소개하려고 시도했다. 월평의 대상이 될 작품을 선정하는 과정은 문단의 경계를 가시화하는 작업과도 연결된다. 1925년에는 『개벽』 문예란에 월평이 정기적으로 연재된 동시에 『조선문단』 합평회가 진행되었다. 월평이 제도화된 1920년대 중반, 평자들은 자신의 미적 판단을 타인과 독자들에게 충실히 전달하려 시도했으며 그 과정에서 평자들이 공통적으로 사용하는 용어가 나타나기 시작했다. 본 연구는 각기 다른 문학관을 지닌 평자들이 공통적으로 사용한 ``실감``이라는 용어에 초점을 맞추어 당대의 평자들이 지니고 있던 공통감각을 살펴보려고 시도했다. 공통의 비평 술어 ``실감``은 당대의 평자들이 ``사실과 같은 느낌``을 가져다주는 소설을, 가치 있는 소설로 판단하고 있었음을 드러내준다. 월평을 통해 평자들이 확립해낸 공통의 언어적 지반은 김기진과 박영희 사이에 벌어진 내용·형식 논쟁의 기원을 이룬다. 이 글에서는 김기진과 박영희 사이에 벌어진 논쟁을 공통의 비평 술어였던 ``실감``의 위상을 재정립하려는 시도로 해석했다. 내용·형식 논쟁이 진행되던 1927년, 『조선지광』에는 「문예시평」이라는 이름 아래 지속적으로 월평이 실렸다. 『조선지광』 월평의 대상은 문단 제도·문학담론·연극과 영화와 같은 공연예술로까지 확대되었다. 그러나 『조선지광』의 문예시평은, 김기진과 박영희의 내용·형식 논쟁에서 도출되었던 다층적 문제의식을 이어받지 못했고 개별 작품 속에 방향 전환 담론의 흔적이 담겨 있는지의 여부에만 초점을 맞췄다. 작품비평의 틀을 표준화된 원리에 종속시켜 버린 『조선지광』의 「문예시평」의 문제점은 개별 작품이 만들어내는 감각이나 정서의 층위를 탐색하지 못했던 프로문학 비평의 한계를 드러내준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formation of monthly-review and changeable aspects of critical method. The discourse of literature mentioned universal dimension of the literature in 1910s. But it didn`t analyze contemporary situation of Chosun`s literature. The monthly-review made contemporary literature the object of criticism. And the monthly-review lasted during 1920s. So to analyze the formation of monthly-review becomes a reference point for studying about literature criticism. This study describe a formation process of monthly-review three step. First this study focus on the early part of 1920s. The monthly-review of this period had been affected by extension of media. The monthly-review of this period tried to select a work which is the aesthetic value. Second this study attention to the year of 1925. In this year 『Gae-Byeok』 published serially the monthly-review and 『Chosunmundan』 began a meeting for a joint review. 『Gae-Byeok』 and 『Chosunmundan』 referred to each other. So the critics reflected on one`s own criteria. In the middle of 1920s the critics of the monthly-review tried to convey one`s own aesthetic judgement to other critics. So the critics use the common term. ``SilGam`` is a typical case of commom term. ``SilGam`` means not only reality but also visual vividness. ``SilGam`` was interpreted to common sense of 1920s in this study. A different position of ``SilGam`` made an argument about form and contents between Kim, Ki-jin and Park, Young-hee. In 1927, 『Chosunjikwang』 published serially the monthly-review. The objects of the monthly-review has been extended to literary world · literary discourse · drama and movies. But the monthly-review of 『Chosunjikwang』 normalized criticism of the work. So the monthly-review of 『Chosunjikwang』 could not explore a sense and feeling of the work.
장은영 한국현대문예비평학회 2019 한국문예비평연구 Vol.- No.62
2000년대 이후 등장한 온라인 문예지는 상호작용성, 익명성, 개방성, 자발성 등 인터넷 매체의 특성을 기반으로 문예지에 대한 독자의 새로운 요구를 수용하며 인쇄 매체와는 다른 자기 영역을 확보하고 있다. 본 논의는 한국 문학장 안에서 담론을 생산하는 주요 매체인 문예지의 한계와 전망을 살펴보기 위해 온라인 문예지 <문장웹진>, <비유>, <문학3>을 중심으로 기존 문예지와 다른 변화의 지점 및 문예지 공공성의 구현 가능성을 검토해보았다. 한 소설가의 표절 사태에서 불거진 문예지의 공공성 담론은 그간 암묵적으로 용인해왔던 문학의 사회적 가치와 효용에 관한 문제를 제기하며 문단 권력과 그것의 중심이 된 문예지에 대한 비판으로 확산되었다. 문예지의 공공성 자체를 부정하는 의견도 없지 않았으나 문예지의 공공성은 문단만이 아닌 인문학 전반의 문제와 연동된다는 점에서 주목되는 문제이다. 문예지의 공공성 논쟁 이후 외적 환경의 변화와 함께 문예지의 위상이 변화하는 가운데 기존 문예지에서 벗어나려는 대안적 문예지들이 등장했고 그 가운데 온라인 문예지는 작가와 독자의 위상 변화, 문학적인 것의 개념과 권위 탈피, 읽고 쓰는 행위에 대한 다양한 구현 등을 모색하며 독자들과 소통하고 있다. 특히 공공성이란 측면에서 볼 때, 온라인 문예지는 더 많은 이들이 접속할 수 있는 기회를 만들고 그들이 문학을 공유하고 소통하며 스스로 발언할 수 있는 장을 마련함으로써 문학장을 하나의 공적 영역으로 전환해가는 중이다. 물론 모든 이의 의견이 수용되는 것은 아니지만 하나로 합의되지 않은 독자들의 욕망은 궁극적으로는 문예지의 방향에 영향을 끼치는 동력이 된는 점에서 온라인 문예지는 독자 대중이 지닌 차이를 드러내는 장소로서 기능하게 된다. 물론 온라인 문예지의 운영을 위해서는 문예지의 자율성을 침해하지 않으 수 있는 물적 기반이 필요하다는 점을 인정해야 한다. 사적 자본에 의해 제작되는 경우 유료화 정책이 불가피하다는 점과 그에 따른 접근의 한계라는 문제를 어떻게 극복할 것인지는 이제부터 논의되어야 하는 문제이다. This study researches on the limitations and prospects of literary magazines, the main medium for producing discourse within the Korean literary field. We looked at the potential of the publicness of existing literary sites and other changes, focusing on webzines <Munjang Webzine>, <View>, <Munhak3>. In 2015, a novelist's plagiarism dispute spread to criticism of literary power and literary magazines. And it extended to the publicness discourse of literary magazines. After the controversy over the publicness of literary, while the status of literary magazines has changed, alternative literary magazines have emerged to break away from the existing ones. Webzines are communicating with readers, seeking to change the status of writers and readers, break away from the authority of literature and various ways of communication. In terms of publicness, webzines have created opportunities for more people to connect and communicate. Webzines are transforming the literature field into a public domain by providing a forum for readers to speak on their own. Unagreed readers' desires ultimately affect the direction of the literary-field. In this regard, webzines are the places that reveal differences. Of course, you have to admit that you need a material base to operate webzines. It is also undeniable that a paid-for policy is inevitable if webzines are produced by private capital. How to overcome limitations of access on a material basis should now be discussed.
다문화 아동을 위한 한국어 교재 개발방안 연구 -문학텍스트를 활용한 한국어 교육을 중심으로-
이가원 ( Ka Won Lee ) 한국현대문예비평학회 2014 한국문예비평연구 Vol.- No.43
본 연구는 다문화 배경을 가진 아동을 위해 ‘문학텍스트를 활용한 한국어 교재 개발 방법’을 모색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최근 다문화 아동의 수는 4만 6000명에 달하며 앞으로도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다문화 아동 대상 교육 문제가 대두되고 연구 성과도 누적되고 있으나, 아직도 이들을 위한 여러 제반 조건들은 매우미홉한 상황이므로 다문화 아동을 위한 교재와 교수 학습방법 연구는 무엇보다도 시급한 과제라고 할 수 있다. 다문화 아동 대상 한국어교육은 단순히 언어교육과 문화교육만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 아니라 그들의 특별한 상황으로 인한 심리적인 문제점들가지 고려해야 할 것이다. 따라서 독서의 과정을 통해 문제점들을 긍정적으로 순화할 수 있다는 점에서 문학 텍스트를 활용한 한국어 교재의 개발은 매우 의미 있다고 할 수 있다. 본고에서는 다문화 아동들이 한국 문화와 역사에 대해 자연스럽게 접근할 수 있도록 역사동화를 포함한 문학 한국어 교재 개발을 제안하여 그 구체적 방안을 제시하였다. 역사동화는 교훈성과 문학성을 동시에 가지고 있어 한국문화와 역사에 대해 쉽게 이해하게 할 수 있다. 이는 사실을 전달하는 설명적인 글을 읽을 때와는 달리 호기심과 문학적인 상상력을 발휘하여 감상할 수 있게 하기 때문이다. 다문화 아동을 위한 문학 한국어 교재는 다문화가정 아동에게 학습동기와 흥미를 유발하여 한국어 능력을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이며, 학습자의 자신감을 신장시켜 적극적이고 긍정적인 사고방식을 기르는데 기여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how to develop a Korean language textbook geared toward children with a multicultural background by using literary texts. There are lately 46 thousand children with a multicultural background, and the number of these children is expected to keep growing in the future. So how to educate these children is now one of social issues, into which prolonged research efforts have been directed, achieving results. In fact, however, their situations and environments can never be said to be good enough, and it`s urgently required to develop separate textbooks, teaching methods and learning methods for their sake.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re likely to face psychological problems due to their peculiar situations, and developing a Korean reading textbook by utilizing literary texts is especially worth doing in that it`s possible for them to not only receive language education and cultural education but also cleanse their psychology in reading process. In this study, how to develop a literary Korean language textbook by using historical fairy tales to make Korean culture and history more accessible to children with a multicultural background was suggested in detail. Historical fairy tales make it easier to understand Korean culture and history dye to their lessons and literary value. Another reason is that learners are able to exert their literary imagination while they appreciate these fairy tales, which cannot happen when they read an expository writing that describes facts. A literary Korean language textbook for children with a multicultural background stirs up learning motivation and interest and thereby is effective at improving Korean proficiency, and that is expected to instill confidence in learners to foster their positive thinking as well.
문학텍스트를 활용한 한국어교육방안 연구 - 외국인 유학생을 대상으로 한 패러디(Parody) 활동 중심으로 -
이가원 한국현대문예비평학회 2012 한국문예비평연구 Vol.- No.38
The importance of education for Korean culture and literary education has been stressed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as a foreign language over a few decades, and prolonged research efforts have been channeled into that.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a literary text not only serves as a material of language learning but as a means to have a more extensive understanding of Korean culture. Foreign readers are able to improve their knowledge of the Korean language and language ability based on the context of literature, and they are able to foster both of their elementary and advanced language skills thanks to the attributes of literature such as a figure of speech or symbol. Learners cannot grasp the meaning of words just by looking them up in a dictionary when they are used in literature, and they should find their by exerting their imagination and in consideration of the backdrop of the literary work, the personality of the characters and the contexts. They are able to improve their Korean language skills and literary competence in that cour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how to make use of literary texts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foreign students who stayed in our country for academic purposes to foster their Korean language skills and literary appreciation skills. It's specifically meant to explore the educational applicability and effects of parody and to suggest how to provide Korean language education by utilizing parody, as parody has been highlighted as one of major new cultural phenomena. When the needs of the selected Korean language learners were analyzed, it's found that they had a lot of interest in Korean literature. As for the reason, they were initially interested in literature or wanted to foster their Korean language skills or understand Korean culture through literature. They were ever exposed to Korean literature such as poetry, novels or essays while they received education about the Korean language, and many felt the need for literary instruction. After they took lessons by utilizing simple parody activities, their understanding was checked, and a survey was conducted. As a result, the parity activities were found to have significant effects on Korean language skills, Korean literature understanding and appreciation skills. When Korean literature education is provided for foreigners, the utilization of parody is expected to provide an opportunity for them to learn a wide variety of vocabulary, to appreciate literary texts, to have a more profound understanding of Korean culture and to improve their appreciation skills. They will get interested in literature, casting away any possible prejudice that literature is boring or difficult to read. And that will enable them to take their Korean language skills and literary competence to another level, and serve to motivate them to compose a literary work by stirring up their will to compose. In this study, parody was utilized primarily to encourage learners to appreciate Korean literary works with interest and in a spontaneous manner. That will become one of major activities that could lead to self-reflective writing. 최근 수년간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에서 한국문화·문학교육의 중요성이 제기되었고, 이에 대한 꾸준한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선행연구를 통해서도 알 수 있듯이 문학텍스트는 단순히 언어 학습의 자료로서 뿐만 아니라 한국 문화에 대한 이해와 인식의 폭을 확장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또한 문맥을 통해 한국어 지식과 언어수행 능력을 키워줄 뿐만 아니라 일상어와 달리 비유나 상징을 통한 의미의 확장을 보여주므로, 초보적 언어 능력 함양만이 아닌 고급스러운 언어 학습을 할 수 있는 통합적 기회를 제공한다. 본고에서는 학문목적 외국인 유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한국어교육에서 문학텍스트를 활용한 교육 방안에 대해 제안하였다. 학문목적 유학생의 경우 한국어 능력 중급 이상의 의사소통 능력을 지니고 있으나 대학수학 시에 어려움을 겪는 학습자가 많은데, 이는 의사소통 위주의 교육에서 간과하기 쉬운 언어의 문화적인 인식 부족과 전문 학문 분야에 대한 기초 지식 습득 부족, 사회적·문화적 맥락에서의 적절한 언어 사용능력 부재에서 비롯된다. 따라서 언어적·문학적·문화적 측면을 모두 고려하여 학습 목적이 상향 조정된 외국어 학습자의 요구를 충족시켜 줄 수 있는 문학 교수 방안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문학텍스트의 교육적 가치를 인정하면서도 ‘문학은 접근이 어렵고 난이도가 높은 자료’라는 인식과 정해진 교육과정과 시간 내에 심도 있는 교육이 어려운 점 등 때문에 실제적인 활용도는 낮은 실정이다. 이에 본고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방안으로서 한국어 학습자들의 문학읽기 자료의 이해를 돕고 흥미를 가지고 접근할 수 있는 방안으로, 패러디의 교육적 활용 가능성과 그 효과에 대해 살펴보고 이를 활용한 한국어교육 방안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교육방안 제시에 앞서 실시한 학습자 요구 분석을 통해 학습자들의 한국 문학에 대한 높은 관심도를 확인할 수 있었는데, 개인의 문학적 관심, 문학을 통한 한국어 능력 향상, 문학을 통한 한국 문화 이해 원함 등이 그 이유로 조사되었다. 학습자들은 한국어교육 과정에서 시, 소설, 수필 등의 한국문학을 접한 경험이 있으며, 이를 통해 문학수업의 필요성에 동감하는 비율이 높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패러디를 활용한 수업 후 학습자들의 이해도 평가 및 설문 조사를 통해 패러디 활동이 한국어능력 및 한국문학 이해, 감상능력에 유의미한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를 통하여 외국인을 대상으로 하는 한국문학교육에서 패러디를 활용한 문학교육을 통해 학습자가 다양한 어휘를 체험하고 문학 텍스트를 감상하여, 보다 다각적이고 깊이 있는 이해와 감상 능력을 기를 수 있으리라 예상할 수 있다. 또한 기존에 문학에 대한 ‘어렵다’거나 ‘지루하다’라는 선입견에서 벗어나 문학에 흥미를 가질 수 있어 보다 깊이 있는 한국어능력 및 문학 능력을 기를 수 있고, 나아가 창작 의욕과 창작 동기를 제공 받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한국문학작품감상의 흥미와 자발성을 갖게 하는 것이 본고에서 다루는 패러디의 역할이며 이는 진지한 자아 성찰적 글쓰기로 연계가 가능한 중요한 활동이 될 것이다.
한국 현대 희곡의 `비극성` 발현 양상 연구 - 로컬리즘과 샤머니즘 수용 작품을 중심으로 -
이미나 ( Lee Mi-na ) 한국현대문예비평학회 2017 한국문예비평연구 Vol.- No.55
희곡에서 `비극성`은 인간의 불가피한 고통에서 얻는 비극적 기쁨의 미학으로 나타나며, 고통을 초월하기 위해 고통을 보여주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한국 현대 희곡사에서 `비극성`에 대한 논의는 그 중요성에 비해 부족한 실정이며, 구체적인 논의의 필요성이 제기되는 상황이다. 이에 본고는 한국 현대 희곡에서의 `비극성`이 발현되는 양상을 토속적 특징을 지닌 작품을 중심으로 갈등구조와 제의적 요소를 통해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첫 번째 장에서는 로컬리즘의 특성을 지닌 사실주의 희곡을 대표하는 차범석의 「산불」과 천승세의 「만선」을 중심으로 `비극성`의 발현 양상을 살펴보고, 두 번째 장에서는 샤머니즘을 수용한 작품인 오태석의 「백마강 달밤에」와 이윤택의 「문제적 인간 연산」을 중심으로 제례의식을 통한 `비극성`의 표출 양상을 고찰하였다. 차범석의 「산불」과 천승세의 「만선」은 1950년대 이후 극도로 피폐해진 한국의 비극적인 상황과 그 현실을 살아가야 하는 민족들의 애환과 고통을 사실적으로 그리고 있다. 두 작품은 모두 해방 이후 사실주의 희곡의 대표적인 작품으로 평가받으며, 농어촌 사람들의 삶을 충실히 반영한 로컬리즘의 토속성을 지니고 있다는 공통점을 지닌다. 두 작품에서 농어촌의 배경은 인물들의 비극적인 상황을 극대화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산불」에서는 삶의 터전인 뒷산의 대밭이 불에 타면서 비극성이 강조되며, 「만선」에서는 마지막 남은 아들을 바다에 띄워 보내는 것에서 비극성이 극대화된다. 이처럼 두 작품은 농어촌이라는 공간과 그 공간에서 살아가는 인물들의 갈등구조를 통해 `비극성`이 표출되는 양상을 보인다. 오태석의 「백마강 달밤에」와 이윤택의 「문제적 인간 연산」은 작품에서 `굿`을 활용하여 비극적 상황을 보여주고 있다는 샤머니즘의 특징을 갖는다. 역사극이면서도 조상신을 모시는 무속제의의 굿을 형상화하고 있다는 공통점을 지닌 두 작품은 제례의식을 통해 비극성을 표출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두 작품에서 제례의식인 굿은 중요한 모티프로 활용되며, `비극성`을 표출하는 매개로 작용하고 있다. 이처럼 한국 현대 희곡의 `비극성`은 토속적 풍속을 그린 로컬리즘과 토속적 신앙형태인 샤머니즘을 수용한 작품에서 한국 희곡의 특징적인 요소와 함께 발현되고 있다. 사실주의 희곡의 로컬리즘과 토속적 신앙형태인 샤머니즘을 모티프로 한 반사실주의 희곡의 대표적인 작품들을 통해 `비극성`을 살펴보는 것은 한국 희곡의 특징적인 요소를 함께 고찰하는 일이라고 할 수 있다. The debate on `tragic characteristics` in Korean modern drama is inadequate compared to its importance and the need for specific discussion is raised.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examine the manifestation of `tragic characteristics` in contemporary Korean dramas through shamanism and locality with focusing on works which have traditional characteristics. In the first chapter, expression aspect of `tragic characteristics` through ritual ceremony in Oh Tae Suk, 「In a Moonlight Night of Baekma River」and Lee Yun Taek「Problematic Human Yeoun-San」have been researched. And in the second chapter, the aspects of Cha Bum Suk「forest fire」and Chun Seung Se「Ship filled with Fish」have been focused. Cha Bum Suk「forest fire」and Chun Seung Se「Ship filled with Fis h」are realistically depicting about tragic situation in Korea, which has become extremely devastated situation after the Korean War and the afflictions and sufferings of the people who had to live the reality at that time. Both works are evaluated as representative works of realistic plays since liberation and have the commonality of localism that faithfully reflects people`s life in rural areas. And in these two works, it can be understood that the background of farming and fishing village makes it possible to maximize the tragic characteristics situation of people through the medium of nature. Oh Tae Suk, 「In a Moonlight Night of Baekma River」and Lee Yun Taek「Problematic Human Yeoun-San」have similarities in case that they use exorcism in their works to overcome the tragic circumstances. These two works which have commonality that they form ritual ceremony for ancestral gods that is, exorcism of ritual ceremony as well as forming historical drama which also can be said that two works have expressed tragic characteristics through ritual ceremony. In both works, the exorcism as ritual ceremony serves an important motif to express the tragic characteristics. The `tragedy` of Korean modern drama is expressed in the works of localism that depicts the local culture of shamanism and local customs along with the characteristic elements of Korean drama. The study of `tragedy` in Korean contemporary drama is in lacked compared with its importance which means various discussions in specific aspects should be actively carried out from now on.
이성혁 한국현대문예비평학회 2020 한국문예비평연구 Vol.- No.66
After the dissolution of KAPF, Korean criticism falls into chaos in the absence of guiding ideology. What was introduced in this situation was Choi Jae-seo's intellectualism theory. Intellectualism is not a literary trend but a literary theory that attaches importance to an intelligent attitude. Choi Jae-seo, who studied British Romanticism in University, thought that there was a limit to the romanticism in modern chaos. He thus derives the Intellectualism from the modern criticism of England and presents it as an alternative literary theory of modern chaos. At that time, Kim Ki-lim also suggested a intellectual method, but that was a way to reflect the cheerfulness of modernity in poetry. On the other hand, Choi Jae-seo suggested that the characteristics of modernity were chaotic and divisive, and that he proposed Intellectualism to heal them. Choi Jae-seo’s Intellectualism excelled in the actual criticism of modernist literature that was being produced in the mid – 1930s. He invited the author to a critical attitude toward modernity and presented ‘the satirical literature’ with this attitude to literature. He highly appreciated the sarcastic character of 『Kisangdo』. He also paid attention to the sharp “self-satire” about 「the Wing」. But for 「the Wing」 there was no moral and criticized the limit. After criticizing 「the Wing」, Choi argued that it could gain morals through self-criticism. According to him, Moral is formed and individuality is established as the subject constantly responds to external Morality through intelligence. This is because the intelligence of ‘Intellectualism’ he has accepted and leaned on has been a formality except Morality. That's why he couldn't form his own Moral, even though he asked the author for Moral. In the end, he abandoned the pursuit of intelligence and the formation of individuality and internalized the external Morality of Emperor Fascism, taking the path of rebirth as a subject loyal to the empire. 카프의 해산 후 한국 비평계는 지도이념의 부재 속에 혼돈에 빠진다. 이 상황에서 소개된 것이 최재서의 주지주의론이었다. 주지주의는 문학유파가 아니라 지성적 태도를 중시하는 문학론이다. 대학교에서 영국 낭만주의를 연구한 최재서는, 현대의 혼돈을 헤쳐 나가는 데 낭만주의에는 한계가 있다고 생각했다. 이에 영국의 현대 비평으로부터 주지주의를 도출하여 현대의 혼돈에 대한 대안적인 문학론으로서 문학계에 제시했다. 당시 김기림도 주지적 방법을 제시했지만 그것은 현대의 명랑성을 시에 반영하기 위한 방법이었다. 반면 최재서는 현대의 특성이 혼돈과 분열에 있다고 보고 이를 치유하기 위해 주지주의를 제시한 것이었다. 최재서의 주지주의는 1930년대 중반 산출되고 있었던 모더니즘 문학에 대한 실제 비평에서 그 진가를 발휘했다. 그는 현대에 대한 날카로운 지성이 발현되는 비평적 태도를 작가에게 권유하고, 이러한 태도가 구현된 ‘풍자문학’을 문학계에 제시했다. 그는 『기상도』의 풍자적 성격에 대해서 높은 평가를 내리고. 「날개」에 대해서도 날카로운 ‘자기풍자’에 주목했다. 하지만 「날개」에는 모랄이 없음을 들어 그 한계를 비판하면서, 그는 자기비판을 위한 모랄의 획득을 주장하기 시작했다. 그에 따르면 주체가 외부의 모랄리티에 대해 끊임없이 지성을 통해 대응해나가면서 모랄이 형성되고 이와 함께 개성이 성립된다. 하지만 그는 모랄과 개성의 형성에 바탕이 되는 지성을 더 이상 작동시킬 수 없었다. 그가 받아들이고 기대어 온 주지주의의 지성은 모랄리티를 뺀 형식적 지성이었기 때문이다. 그렇기에 그는 작가에게 모랄을 요구했음에도 불구하고 정작 자기 자신의 모랄을 형성할 수 없었다. 결국 그는 지성의 추구와 개성의 형성을 포기하고 천황제 파시즘이라는 외부의 모랄리티를 내면화하면서, 제국에 충성하는 주체로 재탄생하는 길을 걸었다.
해방과 분단의 공간에 나타난 예술가들의 이념적 행보 -안막의 문학과 삶을 중심으로
라기주 ( Gee Joo Rah ) 한국현대문예비평학회 2011 한국문예비평연구 Vol.- No.34
본고는 해방과 분단의 공간에서 시인이요 프로문예 비평가이며 문화예술가로 활동한 안막의 문학과 삶을 탐구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그는 1910년 한일합방이 조약된 해에 태어난 식민지 지식인들과 사회의 구조적인 모순과 대립하며 한국문학의 이론적 정초를 마련하는데 기여했다. 특히 1930년대 좌파와 우파의 양대 진영 속에서 프로문학을 주도하며 예술의 창작과 내용방법에 대한 사회주의 리얼리즘을 표방했다. 그러나 카프의 1·2차 검거 사건으로 프로문학의 정치투쟁이 불가피하게 되자, 예술 창작 방법의 내용과 형식의 논쟁에 가담하지 않고 독자적인 길을 선택했다. 이러한 문화예술운동의 방향전환은 무용가 최승희와의 결혼에서 비롯된다. 그는 사회혁명의 도정에서 ``프로문예 비평가``에서 ``문화 예술가``로 탈바꿈하고 최승희의 무용 내용과 형식까지 결정하는 감독이자 안무가로 변모했다. 안막과 최승희 역시 그 시기에 새로운 예술방향을 모색했고, 예술의 성숙도를 높이기 위해서 사회주의 혁명 대신 문화예술적인 방법을 선택했다. 특히 이들은 조선 춤의 현대화작업을 구현하며 예술의 대중화와 현대성을 확립하는 일에 몰두했다. 처음엔 일본의 저항의식에서 출발한 문화운동이었지만 안막부부는 조선적인 것의 세계화를 위해서 자발적으로 친일활동을 하며 일본의 내선일체를 수용했다. 이들의 친일행각은 새로운 질서를 수용하기 위한 전략이었고 더 나아가서 조선 독립이었다는 점에서 이중적인 속성을 갖는다. 그러나 일본이 패망하자, 안막은 사회변혁의 과정에서 북한의 사회주의 리얼리즘의 정책을 수용했다. 그리고 뒤늦게 월북한 최승희와 함께 예술의 창조성을 기획하고 구축하는데 앞장섰다. 하지만 그는 북한에서의 예술과 정치권력의 최고 경지에 도달했던 1958년경에 연안파의 숙청작업에서 제거되었다. 그의 가족 또한 숙청되지만 최승희는 북한 무용의 골격을 마련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고 평가되어 1969년경에 연안파의 한설야, 박팔양과 함께 복권되었다고 전해진다. 안막은 이렇게 사회혁명의 도정에서 자신을 버리고 새로운 기법을 차용하며 ``프로문예 비평가``와 ``문화 예술가``, 그리고 ``문예 정책가``로 활동하며 다양한 의식세계를 보여주었으나 이데올로기의 희생물이 되었다. 결과적으로 안막의 부부는 문학적 기질과 예술의 재능을 지녔음에도 모순에 가득한 제도와 새로운 대표자들에 의해서 제대로 평가받지 못하고 파멸의 길을 가고 말았다. 그러나 탄생 100주년을 기념하여 안막의 문학적 행로가 새롭게 재조명되고 있다. 그에 대한 연구와 평가는 한국문학사의 재조명을 위해서 중요한 작업이다. 앞으로 실증적인 자료가 발굴되어서 문학사적 위치 설정을 위한 연구가 계속 이루어지길 기대한다. This study set out to investigate the literature and life of Ahn Mak, who was a poet, proletarian literary critic, and cultural artist in the space of liberation and division. Ahn stood opposite to the structural contradictions of the society along with the colonial intellectuals born in 1910 when the convention on Japanese annexation of Korea was concluded but, at the same time, made a contribution to the establishment of the foundation of Korean literature. In the 1930s, in particular, he led proletarian literature in the struggle between the left and right wing and represented socialist realism about the creation and content method of art. Once proletarian literature was forced to take on political fights after the first and second arrests of KAPF members, however, he no longer participated in the controversy over the contents and forms of art creation methods and chose to pursue his own way. His change of direction in the movement of culture and art was caused by his marriage to Choi Seung-hee, a dancer. In the course of social revolution, he transformed himself from a proletarian literary critic into a cultural artist and further director and choreographer that decided the contents and forms of Choi`s dance. In that period, both Ahn and Choi were in search of new directions in art and adopted cultural and artistic methods instead of socialist revolution in order to increase artistic maturity. They were especially engrossed in establishing the popularity and modernity of art, engaging in the modernization of Joseon dance. It was a cultural movement that originated in their resistance against Japan at the beginning. With time passing, however, the couple started to do pro-Japanese activities and voluntarily accepted Japan`s Naeseonilche for the sake of the globalization of what was Joseon. Their pro-Japanese actions have dual nature in that they were part of their strategy to accept a new order and ultimately sought after Joseon`s independence. After Japan collapsed, however, Ahn accepted North Korea`s policies of socialist realism in the course of social reform and took a lead in planning and establishing artistic creativity along with his wife Choi, who crossed the border into North Korea later. In 1958 when art and political power reached a peak in North Korea, however, he was eliminated by the purge operation of Yeonan Party. His family shared the same fate with him, but it has been said that his wife Choi was reinstated in 1969 along with Han Seol-ya and Park Pal-yang of Yeonan Party, being recognized for her critical roles in the formation of North Korean dance framework. Ahn showed his diverse conscious worlds, discarding himself, adopting new techniques, and turning into a cultural artist in the course of social revolution, only to be a victim of ideology. The couple ended up walking down the road to destruction, not being judged right by the system full of contradictions and new representatives despite the fact that they demonstrated excellent literary dispositions and artistic talents. Today his literary journey receives new illuminations to commemorate the 100th anniversary of his birth. Given that his evaluations are important in shedding new light onto the history of Korean literature, further researches will follow to find his position in the literary history.
한국현대문예비평학회 한국현대문예비평학회 2007 한국문예비평연구 Vol.- No.23
Study on Transfigured Process of novelist Mr. Gubo(Myongji University)Hong, Sung-Sik
자유주제 : 2천년대 한국시 연구 -"무한’, "반복’, "과잉"을 중심으로-
박상수 ( Sang-su Park ) 한국현대문예비평학회 2015 한국문예비평연구 Vol.- No.46
‘외설비평’은 인간성의 중핵이지만 상징계의 원리로는 포섭하거나 파악할 수 없는 불가해한 정념과 실재계적 파열의 지점을 포착하여 기존윤리비평의 한계-즉 ‘정치적, 윤리적으로 옳아서 좋다’를 벗어나 ‘정치적, 윤리적으로 옳다고 단정하기는 어렵지만 이상하게 좋은데, 과연 그이상한 초과 지점은 무엇인가’의 관점에서 시에 접근하려는 방법론이다. ‘외설비평’은 ‘윤리비평’과 차원이 다른 또 하나의 독립된 사태가 아니라‘윤리비평’에 근원적으로 내재된, ‘윤리비평’이라고 하는 정상성을 지탱하는 동시에 언제든지 ‘윤리비평’을 전복하는 시각을 제공해 줄 수 있는 예외지점임을 인식하려는 ‘시차적(視差的) 관점’의 다른 이름이기도 하다. 이와 같은 외설비평의 관점에서 2천년대 시인들의 작품을 분석하기 위한 개념으로 ‘무한’, ‘반복’, ‘과잉’을 제안한다. 이미 윤리적 가치판단이 전제된 ‘자아/주체’의 분석틀보다는 윤리적 전제에서 비교적 자유로운 다른 개념이 필요하다는 판단 때문이다. 이에 김언, 이준규의 작품을 분석 대상으로 삼고자 한다. 이 둘의 작품은 표면적으로, 쉽게 이해하기힘든 언어구조를 선보이고 있지만 ‘무한’, ‘반복’, ‘과잉’이라고 하는 2천 년대 한국시의 경향을 적절하게 자기 시의 내적 동력으로 삼고 있다. 먼저 김언의 시는 세계라는 사태, 타자라는 사태가 자신에게 균열을 만들고, 욕망을 자극하고, 상처를 주고, 불안을 만들어내는 것을 막기위해 자신을 둘러싼 모든 것을 강박적으로 “확실하지 않은” 것으로 만들려는, 철저하게 의식적인 노력의 산물이다. 김언의 시적 주체는 정신을 잃지 않기 위해 자신과 사건의 잠재성을 애써 과도하게 찾아내거나이미 발생한 것을 지우고 모든 사태와 타자를 불가능한 것으로 만들어중화시키기를 반복한다. 결과적으로 이는 자신을 무한으로 개방함으로써, 타자의 향유 대상으로 제공하지 않게 만든다. 자신의 현실성과 실정성을 지우면 타자의 욕망에 응답해야 할 이유도, 근거도 사라지기 때문에 타자와 대면하여 불필요한 불안에 시달릴 이유도 없어지는 것이다. 이것은 ‘강박적 생각’의 반복인데 구체적으로는 모든 가능성을 반복적으로 다시 검토하는 추론행위로 나타난다. 한편 이준규의 시는 표면적으로 불필요한 ‘반복’과 불필요한 ‘과잉’이무의미하게, 무한히 지속되는 것처럼 보인다. 이준규의 시적 주체는 강박적으로 ‘의심하는 주체’이다. 이준규의 시적 주체는 ‘A/~A’라고 하는 단순한 논리를 표준모듈로, 즉 ‘긍정판단/부정판단’을 한 쌍으로 겹쳐서 눈앞의 모든 사태를 불확실한 무한으로 만들어낸다. 역시 강박증자의 원리를 미적 방법론으로 채택한 이준규의 시적 주체에게 대상과 사물들은 그것들 간의 관계가 긴밀하고 중요해서라기보다는 제각기 어떠한 정서와도 분리된 채 무심히 나열될 수 있다는 그 사실 때문에 쾌락을 가져다준다. 그의 시가 한없이 길어지면서 ‘과잉’의 상태로 가는 것에는 이유가 있다. 이준규의 시적 주체가 생각을 멈추려면 뭔가를 긍정하거나 믿을 수 있어야 한다. 생각의 고정점이 필요한 것이다. ‘의심’에서 ‘긍정’으로 옮겨가는 일은 생각을 멈추고 현실의 한 사람으로 타자를 만나고 행동하고 관계를 맺으며 세계의 일부로 존재해야함을 받아들이는 일이기도 하다. 이제 시의 결론을 맺는 일은 곧 현실의 자기 상처와 균열을 맞닥뜨리는 일이 된다. 따라서 타자와 세계가 자신에게 결핍을 상기시키며 그 영향력을 행사하는 상황에서 벗어나기 위해 이준규의 시적주체는 다시 ‘A/~A(not A)’의 문장구조를 반복하면서 자기 앞의 모든 것을 의심하고, 의심을 반복하고 번복하면서 ‘단순한 무한’의 세계로 돌아오려고 한다. 그에게 이것은 바로 ‘과잉의 시’를 쓰는 일이다.결국 김언과 이준규의 시가 개성적인 것은 자신과 타자와 세계를 무한으로 개방시켜 무화시키고, 어떤 것과도 관계 맺지 않고, 책임에서 비교적 자유롭고자 하는 외설적 쾌락에 근거하기 때문이다. 이처럼 ‘외설비평’의 도입은 2천년대 시인들의 작품뿐만이 아니라 이후 한국 시를 훨씬 더 종합적인 각도에서 살펴볼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할 수 있으며동시에 시를 더 풍부하게 조망할 수 있는 하나의 관점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이제 한국 시비평은 ‘정치적, 윤리적으로 옳아서 좋다’는 관점에 더하여 ‘정치적, 윤리적으로 옳다고 단정하기는 어렵지만 이상하게 좋은 초과 지점은 무엇인가’에 대해서도 말해야 한다. 2천년대 한국시단에 등장한 젊은 시인들은 바로 이러한 윤리적 초과지점을 도입하여 비로소 새로운 문학작품을 생산할 수 있었기 때문이다. ``Obscene criticism`` captures the passion and the real bursting, can not understand the point of rupture in the symbolic. ``Obscene criticism`` approaches not ``political, ethical, it is a good fit’ but in terms of ‘political and moral right to conclude it is difficult, but good weird, really weird beyond the point’. ``Obscene criticism`` and ``ethical criticism`` is not yet even a rather different situation independent of each other. ``Obscene criticism`` should support the sanity called ``ethical criticism. At the same time provide a vision to overthrow the ``ethical criticism`` at any time, and it is also the name of another ``parallax (視差的) perspective. Such a concept in terms of obscenity criticism to analyze the second millennium poets of the work, we propose an ``infinite``, ``repeat``, ``excessive``. Relatively free concept is more important than the ethical premise framework of ethical value judgments have already been made ego / subject. So this study will analyze the work of ‘Kim Un’ and ‘Lee Jun-gyu’. On the surface, the work of the two has a difficult language structure easy to understand. However, they possess ``Infinite``, ``repeat``, ``excessive`` that are second millennium of the characteristics of modern Korea poetry. First, Kim Un’s poetic subject prevents to that the others, and the world will create a crack, stimulate desires, to hurt, and anxiety producing. For this purpose he makes that "not sure" everything surrounding himself with compulsive. This is the result of a thorough conscious effort. The poetic subject of Kim Un is trying to avoid losing consciousness. He is looking at the potential for excessive struggled with his own case, made clear that it has already occurred, and all things will be impossible for others to repeat the neutralization. As a result, this action is to open ourselves to the infinite, does not make himself available to the enjoyment of the other targets. The reason you need to respond to the desires of the other Clearing his reality also, evidence disappears. So why face-to-face with the other vanishes also suffer unnecessary anxiety. This is a repeat of the ``obsessive thoughts. Specifically, it appears to infer the act of repeatedly re-examined all possibilities. Meanwhile, on the surface, Lee Jun-gyu work is unnecessary ``Repeat``, unnecessary ``excess`` meaningless appear to be sustained indefinitely. Lee Jun-gyu poetic subject is obsessive with ``suspicion that the subject``. Lee Jun-gyu poetic subject has the simple logic called ``A /~A`` standard modules, he making it the ``affirmation/negation determining’ and then, making re-birth in the front as well as all things uncertain infinite. Lee Jun-gyu is the methodology adopted by the Obsessive-Compulsive``s aesthetic principles. Target and things to poetic subject of Lee Jun-gyu will not have to close and important relationship between them. Rather, they give each bring emotion and pleasure because of the fact that no one could be listed in no less than a discrete sense. As long as his work endlessly to go into a state of ``excess`` is a reason. The poetic subject of Lee Jun-gyu something positive to stop thinking and be able to believe it. There needed to fixed point of the ideas. Moving to ``positive`` from ``suspect`` means that he must act to stop thinking. As one of the means to act to meet the real person. This will also accept that he is part of the world. After all, tied to the conclusion of this work is to meet the self-cuts and cracks of reality. Therefore, Lee Jun-gyu poetic subject is again repeating the sentence structure of the ``A/~A (not A)``, while in front of all his doubt. He repeated and reversed the question and enter the world of "simple infinite. He continued to write ‘excessive poetry’. Finally, Kim Un and Lee Jun-gyu discards their self and others and the world. Because of this reason, their work may obtain personality. They do not relate to anything, not responsible for anything. This takes place in their obscene pleasure here. Obscene criticism is very important. This will give you access to Korea portry provided a point of view as well as the second millennium poets in a much more comprehensive angle. At the same time, it is possible to present a good viewpoint overlooking the poetry richer. Now, Korea poetry criticism must overcome the perspective of ‘ethics criticism’, they can party with ethical aspects. Now we have to say that ``political, ethical, it is difficult to conclude right. But it is strangely something good point certainly. 2000s young poets of Korea has just introduced a starting point for such obscene. This made it possible for the new literature. Do not forget this.
한국현대문예비평학회 한국현대문예비평학회 2008 한국문예비평연구 Vol.- No.25
The life of Ju Yo-han and poetic response (Sangji University)Kim, Eun-Cheo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