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젠더 정체성을 통한 여성기자의 이미지 고찰 - 부산 여성기자를 중심으로 -

        하정화 ( Jeong Hwa Ha ) 부산대학교 여성연구소 2010 여성학연구 Vol.20 No.-

        본 논문은 지역 언론사에서 가시적, 비가시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성차별의 특징들을 여성주의 개념 속에서 규명하고, 언론사 내부와 지역 사회 기저에 깔려 있는 다양한 성차별에 맞서고 있는 여성기자들의 젠더 정체성과 이미지를 분석한 글이다. 연구방법으로는 질적 연구방법의 하나인 내러티브 인터뷰를 선택했다. 연구참여자는 총 26명으로 전 현직 여성기자, 남성기자 등 1년부터 20년의 경력의 기자들이다.언론 조직과 일상생활에서의 여성기자의 젠더 경험은 젠더화된 문제의식을 가지게 해주는 한편, 여성기자로서의 정체성과 이미지에도 변화를 가져다준다. 여성기자는 남성 중심의 언론 조직에 적응하는 과정에서, 대개의 경우 젠더에 대한 인식을 배제한 채 기자에게 요구되는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 남성지향적 기자 이미지를 드러냈다. 아니면 ‘여성’이라는 인식과 ‘기자’라는 역할 사이에서 선택적 공존을 하는 여성지향적 기자 이미지를 보이기도 했다. 어느 단계에서는 여성기자로서의 융합을 보이는 가운데 젠더 정체성, 즉 페미니스트 기자 이미지로 나타나기도 했다. 이러한 다중적인 여성기자 이미지는 젠더에 대한 인식, 성차별 경험 정도, 기자 경력 등에 따라 차이를 보였다. 여성기자의 젠더 경험은 여성기자가 ‘기자’가 아닌 ‘여성기자’로 불리는 것을 거부하게도 했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부산 지역 제1세대 여성기자들에게 여성기자로서의 인식을 투철하게 만드는 요인으로 작용함으로써 페미니스트 정체성을 인식하게 해주는 계기가 되었다. Female reporters are professional workers as producers of media content and are also opinion leaders. Compared with their male counterparts, however, female professionals are handicapped by their gender in their workplace. They experience gender issues in a social framework of patriarchy. The Working conditions for female reporters force them to change their identity. From the start, females could hardly be found in the field of media and they tended to display the identity of a neutral sex, neither of a man or a woman, to adapt themselves to their circumstances. However over time, they felt confused between their identity of a reporter and a woman. The levels of their gender experiences and identity changes vary depending on their careers. Furthermore, they put feminism into practice as an owner of their own life while addressing local issues from the perspective of feminists with self-consciousness as female reporters.In this article I will attempt to analyze the different types and causes of discrimination and explore various strategies to address this inequality and carry out feminism in the local area of Busan. This will be conducive to improving the situation and voicing women's rights as a representative subject. This study on a local area and local people criticizing and opposing social gender discrimination from a feminist perspective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overall studies of women’s issues.

      • KCI등재후보

        ‘정치의 여성화’와 젠더 정치의 동학: 영국 노동당과 보수당을 중심으로

        이진옥 부산대학교 여성연구소 2015 여성학연구 Vol.25 No.3

        This paper aims to analyze the dynamics of gender politics in the course of ‘feminizing politics’ in the UK, which has been steadily increasing since 1997 when the Labour Party finally succeeded to win the election by tracing back its trajectory, which began from 1979 when Margaret Thatcher became the first female prime minister. While many studies have focused merely on the results of the increased number of women MPs of the Labour Party from 37 in 1992 to 101 in 1997 with its total number doubled from 60 to 120 by highlighting the effect of All Women’s Shortlist (AWS) introduced by the Labour, this paper pays much attention to the dynamics of gender politics, by which internal and external factors the AWS was introduced in the Labour and its effects on its rivalry, the Conservative Party in the U.K. While contagion theory has much to offer to analyse how Labour's experience has transferred to the Conservative, this paper will begin with a critical analysis of the contagion theory by focusing on the dynamics of internal gender party politics. In conclusion, this paper will draw implications of the feminization of politics in the U.K. for the discourses of women’s representation and gender quota, particularly in the context of Korean politics. 이 논문은 1997년 이후 꾸준하게 지속되고 있는 영국 ‘정치의 여성화’ 과정을 전염이론의 비판적 적용을 통해 분석한다. 1979년 마가렛 대처의 집권 이후부터 진행된 노동당 내부의 여성 조직의 강화와 연속된 선거 패배 후 도입·강화된 여성선거인명부(AWS)의 실행을 통해 1997년 노동당은 집권에 성공하고, 이는 여성의원 수의 급격한 증가를 동반하며 영국 정치의 여성화의 결정적 계기를 마련하였다. 그리고 연속된 패배 이후 보수당 여성 조직의 활성화와 할당제와 유사한 A 리스트 등의 적용을 통해 여성 대표성 강화를 당의 현대화 전략으로 내세우면서 보수당은 2010년 집권에 성공하였고, 이는 노동당과 마찬가지로 상당한 폭의 여성의원 증가와 동반하였다. 이 논문은 이러한 정치의 여성화 과정을 각 정당 내외부에서 작동하는 젠더 정치의 동학의 관점에서 분석하고 그를 통해 영국의 경험이 여성 대표성 및 할당제 논의에 지니는 있는 함의를 도출하고자 한다.

      • KCI등재후보

        기초의회 여성의원 증가에 따른 입법활동 변화에 관한 연구 -부산시 기초의회를 중심으로

        박영애,안정화,김도경 부산대학교 여성연구소 2011 여성학연구 Vol.21 No.1

        최근 10년에 걸쳐 각 선거시기별로 보완되어온 정치관계법 개정으로 부산지역은 제4대(2002년) 기초의회에서 여성의원 비율이 2.3%였으나 제5대(2006년)에서는 18.7%로 증가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기초의회에서 여성의원의 증가가 남녀의원들의 입법활동에 어떤 변화를 유도하였는지를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부산지역 16개 기초의회의 조례발의 현황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제4대에 비해 제5대에서 전체 의원들의 조례발의가 9.2% 증가하였으며 여성의원의 경우 17.8% 증가하였다. 특히 여성의원의 증가는 여성ㆍ복지분야 조례발의를 크게 증가시켰고, 남성의원의 여성의제에 대한 관심도에도 영향을 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보건ㆍ환경, 교육ㆍ문화, 경제ㆍ건설ㆍ교통 등의 분야에서도 조례발의를 적극적으로 함으로써, 여성의원들은 협력과 경쟁으로 기초의회에서 의원들의 입법활동에 적극성을 높이는 데 기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ratio of female members in the 4th basic local assembly(in 2002) was a mere 2.3%, but the ratio increased in the 5th basic local assembly(in 2006) by 18.7% due to the Political Relation Law, which has been supplemented over the last 10 year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how the increase of female members has led to changes in the legislative activities of male and female members of basic local assembly. To do this,the current status of basic local ordinances proposed from 16 basic local assemblies in the Busan area was analyzed. As it turned out, the number of ordinance proposals increased by 9.2% in the 5th assembly compared with the 4th, and the number of proposals made by female members increased by 17.8%. In particular, the study revealed that the increase of female members greatly contributed to an increase of ordinance proposals in sectors related to women and the public welfare, while at the same time influencing the interest of male assembly members in women’s issues. In addition, female members proved to contribute to the pro-activeness of members in legislative activities in the basic local assemblies, in part through collaboration and in part through competition, actively proposing ordinances in the areas of public health, environment, education, culture, economy, construction, transportation, and more.

      • KCI등재후보

        결혼이주여성의 직업의 유무에 따른 연결망비교분석 - 부산 경남 거주 결혼이주여성을 대상으로 -

        천정훈,최정욱 부산대학교 여성연구소 2012 여성학연구 Vol.22 No.1

        This study is about social networks of women in international marriages in Korea who have an immigrant background. The total of 32 female married migrants were interviewed, 12 of whom were employed and 20 were not employed. Results showed that women in international marriages without employment are stronger involved in networking with others regardless of sex and ethnic differences. On the other hand, women in employment are less involved in networking with others. As a reason they stated their lack of time. In fact, women in employment worked long hours and had holidays on days different from each other. Also they were in competitive relations with other ethnic groups at work. Such conditions made these women unwilling to start networking. Therefore, female married migrants, who are employed, are less active and less willing to forge relationships than women without employment. This implies that regardless of employment status, time is a crucial factor in establishing social networks together with others. 본 연구는 직업유무에 따른 결혼이주여성의 연결망형성을 분석하였다. 부산과 경남지역에 거주하는 12명의 직업이 있는 결혼이주여성과 20명의 직업이 없는 결혼이주여성을 면접하였다. 총 32명의 결혼이주여성을 대상으로 3-4회의 면접을 시행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직업유무에 따른 연결망형성의 차이를 비교하였다. 면접에서는 직업을 가진 이유를 포함하여 모임 수, 모임의 구성원, 참석여부, 정보교환형식 등을 질문하였다.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직업은 모국의 가족과 이주국의 가족을 부양하기 위한 선택이었던 것으로 응답되었다. 따라서 직업과 연관된 정보취득을 위한 자민족중심의 모임이 이들 여성에게 선호되고 있었다. 하지만 장시간의 노동과 피로, 사업장에서의 경쟁관계, 서로 다른 휴일로 인해 모임 참석률은 저조하였다. 이에 반해 직업이 없는 결혼이주여성은 다른 민족들과의 모임형성에도 거부감이 없었고 참여율도 높았다. 이웃, 친구, 커뮤니티 활등 등의 다국적 모임을 유지하고 있었으며 필요와 공유 정도에 따라 모임참석도 결정되었다. 모임 수는 거주기간과는 무관하였다. 따라서 결혼이주여성의 연결망은 여유시간에 매우 의존적인 것으로 해석된다.

      • KCI등재후보

        민족 전통으로서의 여성 할례와 성적 억압 : 앨리스 워커의 『기쁨의 비밀을 간직하며』

        홍성주 부산대학교 여성연구소 2016 여성학연구 Vol.26 No.2

        In Possessing the Secret of Joy, Alice Walker explores an African woman who experiences genital mutilation and criticizes ritual female circumcision as patriarchal sexual oppression of women. Walker not only condemns female circumcision as institutionalized sexual oppression of women but also indicts women on charges of being accomplices in the practice of clitoridectomy. In this text, the women who experience female circumcision don’t deny the edict of silence; consequently; they help the perpetuation of woman’s collective suffering from generation to generation. Also, Walker particularly shows that under colonial influence, the ritual clitoridectomy and infibulation of the Olinka tribe has significance as a means of resisting tribal colonization through the female protagonist Tashi’s journey. Gender oppression is often ignored and a tradition which oppresses women’s sexuality is romanticized as the traditional culture in a liberation movement. Tashi chooses circumcision as anti-colonial activity to assert her tribal identity, but after following her voluntary circumcision, she recognizes that the practice is to limit women’s sexuality. Thus, this study analyzes Tashi’s victimization by the tribal belief system and examines women as agents of their own domination within nationalist discourse. 여성할례, 즉 음핵절제는 여성의 성욕과 생산성을 통제하고자 남성중심사회에서 전통적으로 행해져온 가부장적 기제이다. 할례가 행해지는 나라들에서 여성 음핵절제는 전통적 관습임에도 불구하고 이를 공공연히 언급하는 것은 금기이다. 제 1세계 흑인여성작가인 앨리스 워커는 『기쁨의 비밀을 간직하며』에서 제 3세계에서 여성에게 행해지는 음핵절제 관습의 과정과 그것의 부당함을 부각시키며, 발화가 금지된 관습을 공적인 논의의 장으로 이끌어내고 있다. 또한 워커는 작품의 배경으로 제국주의 하에 처해있는 아프리카 부족을 선택하고 있는데, 이를 통해 식민지인의 주체성을 찾기 위하여 전통 문화에 집착하는, 특히 음핵절제와 같은 여성 억압적 행위들을 전통 계승의 일부로 두고 그것을 고수하려하는 식민지 민족주의 문제를 비판한다. 워커는 여성에게 관습이라는 이름으로 고통을 가하는 식민지 민족주의의 폭력성을 비판하며, 이러한 여성 억압적 전통이 민족주의 혹은 고유문화의 계승이라는 ‘의무’로 낭만화 되어 여성 스스로 전통을 지켜나가도록 하고 있다고 말한다. 이것을 바탕으로 워커는 오랜 시간 동안 가혹한 전통이 유지될 수 있었던 이유를 여성들 자신에서도 찾으려 한다. 그러므로 이 논문에서는 식민지 상황에서 민족주의 이데올로기가 여성 억압적 관습에 어떠한 작용을 하고 있는지 살펴보는 한편, 여성 할례의 존속 이유 및 민족주의 이데올로기에 순응하며 관습의 유지에 협조하고 스스로 희생자이면서 같은 여성을 희생시키는, 즉 자신들의 문제를 침묵하고 억압적 상황에 동조함으로써 스스로 역사 속에서 지워진 여성들의 문제를 논의하였다.

      • KCI등재

        마산수출자유지역 초국적기업 자회사의 구조조정과 여성 노동의 유연화

        허은 ( Heo Eun ) 부산대학교 여성연구소 2019 여성학연구 Vol.29 No.2

        본 연구의 목적은 1987년 이후 마산수출자유지역에 입주해 있던 초국적기업 자회사들의 구조조정이 어떻게 전개됐는지를 자본축적 전략의 변화, 노동과정의 재조직 양상, 그리고 노사관계의 특성을 중심으로 살펴보는 데 있다. 1987년 이후 경제 환경의 급격한 변화에 직면한 마산수출자유지역 초국적기업 자회사들은 강도 높은 구조조정을 통해 모기업의 생산 명령을 집행하는 분공장 지위에서 벗어나 개발, 조달, 생산, 판매에 이르는 전 과정에 대한 독자적인 경영 역량을 갖추기 시작했다. 완제품 기업 자회사의 경우 다른 자회사들과의 생산량 경쟁에서 우위를 점하기 위해 부품 조달 및 생산 관리 기능을 체계화하는 데 집중했고, 부품 기업 자회사의 경우 독자적인 영업망과 생산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가격 및 품질 경쟁력 제고를 위한 관리 기능을 강화함으로써 시장 점유율을 높이고자 하였다. 새로운 자본축적 전략에 따라 저임금 노동력의 대규모 동원과 억압적 노동통제에 근간했던 노동과정은 비정규 고용과 외주 생산을 통해 노동력 비용을 절감하고 수량적 유연화를 극대화하는 방식으로 재조직되었다. 이 과정에서 단행된 정규직 감원의 주된 대상은 여성 노동자들이었고, 비정규 고용과 외주 생산의 주력 노동자 역시 여성 노동자들이었다. 노동과정의 이 같은 전면적인 재편은 여성 노동자에 대한 차별과 배제를 기반으로 구축된 남성 중심 노동조합과의 협력적 관계를 기반으로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었다. 자본은 성차별적인 인사 관행 및 임금 정책을 유지하는 한편 유연화의 압력이 여성 노동자들에게 집중되도록 함으로써 남성 노동자를 주축으로 운영되는 노동조합과의 갈등을 우회하고 협력적 노사관계를 공고히 할 수 있었다. 이 같은 방식으로 새로운 이윤 창출 방식을 안착시킨 초국적기업 자회사들은 성장을 거듭했지만, 여성 노동자의 현실은 이에 조응하지 않았다. 여성의 정규직 일자리는 대폭 줄어들었고, 여성 노동자의 고용 및 임금 불안정성이 심화되었으며, 성별임금격차는 더 크게 벌어졌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look at how transnational corporations’ subsidiaries that have been operating in Masan Free Export Zone (MAFEZ) since 1987 have been restructured with a focus on the changes in capital accumulation strategies, the reorganization of labor processes, and the characteristics of industrial relations. Faced with rapid changes in the economic environment since 1987, the subsidiaries of the MAFEZ transnational companies have begun to have their own management capabilities for the entire process ranging from development, procurement, production and sales, moving away from the status of the branch factories that execute production orders issued from their parent companies through intensive restructuring. For finished product companies, the focus was on organizing the procurement and production management functions of components to gain an edge in production competition with subsidiaries around the world. In addition, the component companies wanted to increase their market share by establishing their own business and production networks and strengthening their management functions to enhance their price and quality competitiveness. Under the new capital accumulation strategy, the labor process, which had been based on large-scale mobilization of low-wage workers and repressive labor control, was reorganized in a way that sought to reduce labor costs and to make numerical flexibility by utilizing irregular employment and outsourcing production. The main targets of the layoffs were female workers, and they were the major groups that were put into irregular employment and outsourced production. Such a sweeping reorganization of the labor process could be carried out in a stable manner based on the cooperative industrial relations between the male-dominated labor union and management, which chose to compromise in the face of the threat of capital withdrawal. Capital was able to bypass conflicts with trade unions, which were run mainly by male workers, by concentrating the impact of restructuring on female workers, and by maintaining gender-discriminatory personnel practices and wage policies, it was able to consolidate cooperative relations with male-dominated unions. As a result, the subsidiaries of the MAFEZ transnational companies that have settled on new profit-making methods through restructuring have continued to grow, but the economic reality facing female workers has not. Women's permanent jobs were drastically reduced, their employment and wage instability deepened, and the gender wage gap widened.

      • KCI등재후보

        성평등의 정치: 같음과 다름의 논쟁을 중심으로

        임혜란 부산대학교 여성연구소 2011 여성학연구 Vol.21 No.3

        This study examined debates on sameness and difference approaches and drew some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by providing an alternative to overcome the binary discussion. Men and women are similar, but also different at the same time. The dichotomous argument conceals the possibility that the idea of sameness and difference can be interdependent. It hides the interdependence of the two terms, for equality is not the elimination of difference, and difference does not preclude equality. Arithmetic equality not accepting difference may cause even more inequality. Although the sameness approach has played a positive role in achieving women’s political rights, this approach considered masculinity as the standard of human beings to be reached by women, by denying femininity. In order to overcome this limit in the sameness approach, the difference approach attempted to positively evaluate femininity which was previously undervalued, but now denying the standard of masculinity. The problem when emphasizing the difference is that this can reinforce the dichotomous classification of the existing gender discourse. Diversity approach which has been suggested in order to overcome this dichotomous classification argues that true diversity among various groups should be pursued within the framework of human beings. Although women and men are the same in regards to both being human, the social difference between men and women should be taken into consideration and perception of various identities must be considered. Society has to acknowledge identity difference among various groups, both guaranteeing the rights of equality and properly treating difference. 이 글은 페미니즘의 오래된 논쟁인 같음과 다름의 시각에 대한 논쟁을 검토해 보고, 이분법적 논의를 넘어서기 위한 대안적 시각을 제시함으로써 이론적, 현실적 함의를 이끌어 내 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여성과 남성은 같으면서 다르다. 이분법적 논의는 같음과 다름의 두 개념이 서로 상호의존적일 수 있음을 은폐한다. 평등은 차이를 없애는 것이 아니며, 차이 역시 평등을 배제하지 않는다. 차이를 인정하지 않는 산술적 평등은 더 심한 불평등을 가져올 수 있다. 같음의 어프로치는 여성의 기본적인 참정권 획득에 긍정적 역할을 했지만, 여성성을 부정하고 남성성을 인간의 기준으로 제시함으로써 여성이 남성의 기준에 도달해야 한다고 보았다. 차이의 어프로치는 이러한 같음의 어프로치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저평가되었던 여성성에 대한 긍정적 평가를 시도하였지만 남성성의 기준을 부정하는 방식을 취했다. 문제는 여성의 차이를 강조하다보면 기존의 성담론의 이분법적 구분을 더욱 고착화할 수 있다. 이분법적 구분을 넘어서기 위해 제시된 다양성 어프로치는 최소한의 기준으로 인권의 규범을 설정하고 인간의 틀 안에서 진정한 다양성을 추구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여성과 남성은 인간으로 같지만 여성과 남성의 차이는 구분되어야 하며 다양한 정체성에 대한 인식을 고려해야 한다는 것이다. 사회는 다양한 집단의 정체성의 차이를 인정해야 하며 인권으로서의 평등을 보장하면서 동시에 차이에 적합한 정당한 대우가 뒤따라야 한다.

      • KCI등재

        타자의 글쓰기 - 레즈비어니즘과 여성적 글쓰기 : 트랜스성과 여성성 - 모니크 위티그(Monique Wittig)의 ‘여전사들 Les Guerilleres’, ‘레즈비언 육체 Le Corps lesbien’를 중심으로

        이송이 ( Lee Song Yi ) 부산대학교 여성연구소 2017 여성학연구 Vol.27 No.3

        페미니즘의 변화와 함께 과거 페미니즘 문학을 규정했던 명제처럼 간주되었던 “여성적 글쓰기” 역시 심각한 도전에 직면해 있다. “작가의 죽음”이 보편화된 문학계에서 “여성적 글쓰기”를 어떻게 정의할 것인가? 흔히 급진적인 유물론적 페미니스트로 분류되는 모니크 위티그는 여성이라는 범주 자체를 거부하는 이론가로 잘 알려져 있다. 따라서 위티그에게 있어 이상적인 문학은 바로 성적 구분에서 탈피할 수 있는 중성적인 사고를 함으로써 만들어지는 정신적 공간, 즉 섹스가 결정적인 기준으로 작용하지 않는 자유로운 공간을 언어가 구현하는 것이다. 여성적 글쓰기는 물론, 여성성, 여성의 범주 자체를 부정하려는 위티그의 사고는 서구사회를 비롯하여 인류의 대부분의 문명을 지배하고 있는 남성중심, 이성애중심주의인 이데올로기에서 완전히 벗어나려는 이상적 관점을 보여준다. 따라서 위티그의 단호한 부정에도 불구하고, 이 작가가 시도하는 글쓰기는 아이러니하게도 “여성적 글쓰기”의 이상에 가장 부합하는 글쓰기로 보인다.위티그는 이성애적 관점이 지배적인 서구의 문학을 레즈비언화하려고 시도하는데 이것은 여성적 관점을 보편화하고 “여성”이라는 인위적이며 차별적인 범주 자체를 아예 파괴하며 이성애적 헤게모니에 도전하는 이상적이며 기원적인 문학적 표현을 추구하는 행위와 일치한다. 작가의 대표작인 『여전사들』과 『레즈비언 육체』는 이를 잘 제시해주고 있다. 두 작품에서 서사시와 서정시를 레즈비언화한 작가는 서구 사회의 강제적인 이성애적 질서를 해체하면서, 가부장적 체계가 정착되기 이전의 상태를 문학 텍스트에서 복원하고자 시도하고 있다. 위티그는 서구의 실증적이며 관습적인 권위에 도전하면서, 소외와 “타자의 탄생”을 기반으로 만들어진 서구의 문명 자체를 비판하고 있다. 절대적인 주체의 자리를 버리고 성의 구분을 넘어서서 보편성을 향해 가는 것, 위티그가 실험적인 텍스트들을 통해 추구하는 궁극적인 목적은 바로 이것이다. 한편, 위티그가 야기한 균열은 텍스트들이 서사시와 서정시의 형태로 서구 문학에 본격적으로 정착되기 위해 강제로 지워졌던 목소리들, 다시 말해 사랑과 열정에 찬 다수의 여성 들의 목소리를 복원하는 역할을 한다. “여성에 대한, 여성을 위한” 글쓰기, 즉 여성들의 계급과 문화 인종적 차이를 모두 존중하면서 이 다수의 목소리를 반영하는 작업이라 할 수 있는 진정한 의미의 여성적 글쓰기는 바로 여기, 위티그의 텍스트에서 시작되고 있는 것이다. One of the most famous lesbian feminists of the twentieth century, Monique Wittig, always responded to the feminist debate with her fiction. Although Wittig distanced herself from “l'ecriture feminine” she developed her work as a rethinking of women's experience in writing. She tried to avoid traditional forms and debunked male-oriented power in the structure of Western literature. She attempted to twist linguistic and literary strategies based upon an exclusionary logic of Otherness.In Les Guerilleres and Le Corps lesbien, Wittig criticizes the use of the masculine as universal and argues that a sexual hierarchy operates through language. With Les Guerilleres, she questions the status of the male-dominated perspective of the patriarchal epic and tries to manipulate its duplicity based on ideologies in the Western classical epic. In Les Guerilleres, Wittig uses classical myth to reinsert women's experiences and their voices into epic, male-dominated history and feminize this literary genre considered masculine. The decomposition of the subject and the reconceptualization of the body in Le Corps lesbien signified a resistance to heterosexual and patriarchal points of view. This text also contains her criticism of the gendering of language and her refusal of the metaphorization of the woman's body. Wittig attempted the abolition of the sexes, and binary thought as a societal obligation that discriminates against women. Wittig's radical lesbianism aimed to denaturalize the artificiality of the gender system and reveal the doctrine of men's oppression of women. So, her literary innovation lesbianizes texts and allows women to claim constant subjectivity. In her novels, Wittig realizes a utopia where we gain the abolition of gender/sex categorization and common human uniqueness beyond the arbitrariness of categorical divides.

      • KCI등재후보

        탈북여성의 이주경험을 통한 정체성 변화과정: 북한, 중국, 한국에서의 이성 관계를 중심으로

        이화진 부산대학교 여성연구소 2011 여성학연구 Vol.21 No.3

        이 연구는 탈북여성들이 북한에서 제3국을 거쳐 한국에 정착하기까지의 이주과정에서 겪는 경험과 정체성 변화를 살펴보려는 의도에서 비롯하였다. 구체적으로 불법적 국경이동과 이주 경험 속에서 자신이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이성과의 관계를 통하여 분석하였다. 탈북여성의 이주과정에서의 정체성 변화는 상대 이성의 관계를 어떻게 규정하느냐에 따라 세 가지 단계로 나눌 수 있다. 첫째, 상대 남성이나 남편 중심적 혹은 의존적 단계, 둘째, 가족중심 혹은 희생적 단계, 그리고 셋째, 자신과 타인의 존재를 모두 중요시하는 주체적 혹은 관계 지향적 단계로 구분된다. 구술자들의 정체성 변화는 북한과 중국, 한국이라는 다른 환경에서 반복적으로 구성되고 재구성된다.그리고 정체성 변화의 요인은 개인의 경험과 성찰, 그리고 국경을 달리하는 외부적 환경에 의하여 변화한다고 볼 수 있다. 구술자들의 정체성이 외부적 환경뿐 아니라 개인의 경험에 의해서도 변화한다는 지적은 탈북여성들의 이주과정에서 가부장제에 저항하고 주체적 존재로 스스로 성찰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주었다는 면에서 의미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sider identity change processes of women defectors from North Korea through their experiences of moving from North Korea, China and South Korea. More specifically, this study aimed to examine illegal border crossing and migration time by analysing relationships with the opposite sex. In the migration process of North Korea, women defectors identity change can be classified in to three stages which define themselves through the relationship with their partner. 1) the husband or their partner - oriented or egoistic stage, 2) the family-oriented or sacrificial stage 3) the reflexive self-oriented or the relational stage, based on Gilligan's theory. The identity change process was seen to be constructed and reconstructed repeatedly in North Korea, China and South Korea. In addition, the factors which influence the stages of identity change are reflective experiences of personal relationships and relevant behaviors within different structural problems in each country. It is also a noteworthy finding that defector women resisted a patriachal system and became self-reflective as subjective women in their emigrant processes.

      • KCI등재

        여성, 제도, 정당: 여성정치발전비 운용실태(2004-2015) 분석

        권수현,윤채영,조혜민 부산대학교 여성연구소 2017 여성학연구 Vol.27 No.2

        This paper analyzes how political parties (Saenuri Party, Democratic Party, Justice Party) have executed and implemented the Government Fund for Women Politics from 2004 to 2015 in South Korea. For this, we examined the party constitutions and regulations and account books and had an interview with executive women in political parties. In the consideration of the level of formal institutions, Saenuri Party are more institutionalized than other political parties, whose constitutions and regulations have been regressed. However, Saenuri Party has spent most of the fund (over 90%) paying a monthly salary for party women executives. Justice Party also has increased the ratio of personnel expenses up to 70% in the Fund. Democratic Party has the lowest ratio (about 40%) of the labor costs in the Fund. But the expenditure of other programmes (education and policy development) decreased with the increase of election expenses. Whatever the level of formal institutions are, all political parties have used the Fund not for women’s interests but for political parties’ needs. 본 연구는 2004년 도입된 ‘여성정치발전비’라는 제도가 10년 동안 어떻게 집행되고 운영되었는지를 정당의 당헌과 당규라는 공식 제도, 정당 회계보고서의 실제 집행내역, 정당 내 여성위원회나 여성국 관계자들과의 인터뷰를 통해 분석·평가한다. 분석결과, 여성정치발전비의 목적과 취지, 운영방식이 공식 제도로 가장 잘 제도화되어 있는 정당은 새누리당 계열이었으며, 민주당 계열과 정의당 계열의 공식 제도 수준은 10년 전보다 퇴보한 상태였다. 그러나 실제 여성정치발전비 집행내역에 있어 새누리당 계열은 여성정치발전비의 90% 이상을 인건비로 지출하는 등 지출내역 구성의 다양성에 있어 심각한 불균형을 보였다. 정의당 계열 또한 현재로 올수록 인건비 지출이 계속 상승하면서 교육을 비롯한 다른 사업들이 축소되는 경향을 보였다. 인건비 지출 비율에서는 민주당 계열이 가장 낮았지만 선거비용의 증가로 교육·정책비가 축소되는 경향은 다른 정당들과 다르지 않았다. 공식 제도의 제도화 수준에 상관없이 모든 정당에서 여성정치발전비는 본래의 취지와 목적이었던 여성의 정치참여와 정치인 육성을 위해 필요한 교육과 사업에 투입되기보다는 정당의 필요와 요구에 따라 집행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