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마르셀 파뇰의 <마르세유 3부작>과 소리풍경의 변화

        노시훈 프랑스문화예술학회 2024 프랑스문화예술연구 Vol.87 No.-

        본 연구에서는 마르셀 파뇰(Marcel Pagnol)의 <마르세유 3부작 Trilogie marseillaise>의 분석을 통해 소리풍경의 문화유산으로서 가치를 확인하고, 그 의미와 보존.활용에 관해 고찰하고자 하였다. 3부작의 분석 결 과, <마리우스 Marius>(1931)의 마르세유 구항(Vieux-Port) 뱃고동은 구 항이 여전히 무역항으로서 주민들에게 인식됨을, <파니 Fanny>(1932)의 노트르담 드 라 가르드 성당(basilique Notre-Dame-de-la-Garde) 종소 리는 종소리가 마르세유 주민의 삶을 보호하는 소리로서 여전히 강한 힘을 가지고 있음을, <세자르 César>(1936)의 자동차 소음은 마르세유가 힘과 번영의 길에 동참하였음을 알려줌으로써 1930년대 마르세유의 정체성을 파악하게 해준다. 그런데 이처럼 중요한 기능을 하는 소리풍경은 지역 정체 성이 바뀜에 따라 같이 변화하거나 사라질 수밖에 없으므로 지역을 상징하 는 특징적 소리풍경에 대한 분석과 연구, 소리 기록을 위한 프로젝트 수행, 소리 아카이브 구축을 통해 이를 보존하여야 한다. 또한, 소리 환경에 주의 를 기울이고 그 중요성을 깨달을 수 있도록, 지역의 역사와 문화의 이해를 돕고 지역을 이색적으로 체험하게 하는 데 지역문화유산인 소리풍경을 활 용하여야 한다.

      • KCI등재

        <로빈슨 크루소>에서 <방드르디, 태평양의 끝>으로의 소리풍경 변화 연구

        노시훈 조선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22 인문학연구 Vol.- No.6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veal the difference in the world experiences of Robinson that occurred in the process of rewriting the novel through comparative analysis of the soundscapes of Robinson Crusoe of Daniel Defoe and Vendredi ou les limbes du Pacifique of Michel Tournier. First, if we analyze the soundscape elements of the two novels, the sounds clearly perceived by the characters in both cases occurred 79 times and 112 times, respectively. As the former changes to the latter, it can be seen that natural sounds dominate and the character's sensory perception of silence stands out. Next, in Robinson Crusoe, there are often no modifiers for soundscape, many are related to the loudness, and all of the positively modified sounds are human voices. On the other hand, in Vendredi, the number of modifiers for sound is noticeably increased, and various properties of sound are expressed in addition to loudness, and all positive sounds are wind sounds as natural sounds. The fact that the change of soundscape from Robinson Crusoe to Vendredi is related to the change in the valuation of hypertextuality can be confirmed through the disappearance of cannon sounds and gunshots, example of devaluation of imperialism and colonialism, and through the dominance of natural sounds and silence and the positive modifier for the sound of wind, example of the contradictory value of ecologism. Therefore, we can say that the world experience of the characters in Tournier's novel is full of sound, unlike in Defoe's novel, and changes in valuation are expressed through changes in soundscape. 본 연구의 목적은 <로빈슨 크루소>와 <방드르디, 태평양의 끝>의 소리풍경의 비교 분석을 통해 소설의 다시 쓰기 과정에서 발생한 로빈슨과 로뱅송의 세계 체험의 차이를 밝히는 데 있었다. 먼저, 두 소설의 소리풍경 요소를 분석해보면 양자에서 등장인물에 의해 명확하게 지각된 소리는 각각 79번과 112번 발생하였는데, 전자에서 후자로 변화하면서 자연음이 우세해지고 침묵에 대한 등장인물의 감각적 인식이 두드러지는 것을 볼 수 있다. 다음으로, 소리풍경 요소의 수식어와 관련하여 <로빈슨 크루소>에서는 그 수식어가 없는 경우가 많고, 소리의 크기와 관련된 것이 다수이며, 긍정적으로 수식하는 소리가 모두 인간음인 음성인 반면, <방드르디>에서는 소리풍경 요소에 대한 수식어가 눈에 띄게 늘고, 크기 외에도 소리의 다양한 성질을 나타내며, 긍정적인 소리가 모두 자연음인 바람 소리이다. <로빈슨 크루소>에서 <방드르디>로의 소리풍경 변화가 파생텍스트성의 가치평가 변화와 관련이 있다는 것은 제국주의․식민주의에 대한 평가절하의 예인 대포․총소리의 사라짐, 그리고 생태주의라는 상반 가치 부여의 예인 자연음과 침묵의 우세, 바람 소리에 대한 긍정적 수식어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우리는 투르니에의 소설에서 등장인물의 세계 체험은 디포의 소설에서와 달리 소리로 충만해 있으며, 가치평가 변화가 소리풍경 변화를 통해 표출되고 있다고 말할 수 있다.

      • KCI등재

        유령영화의 의미․통사․양태 연구 -알레한드로 아메나바르의 <디아더스>를 중심으로-

        노시훈 조선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20 인문학연구 Vol.0 No.60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differentiation of ghost movies in terms of semantics, syntax, and modal studies, focusing on Alejandro Amenábar's film The Others. In terms of semantics, the film follows the principles of ghost stories as a whole, while it shows that the ghost movie can play a new variation on the ghost story motif, by reversing the positions of ghosts (the other) and living people (the same) in dealing with the problems of others and emphasizing coexistence with others. On the syntactic side, the film does not follow the general formula of fantastic film in the narrative structure, but follows that of ghost story in the ending. This can be understood as a narrative strategy that attempts to reveal the genre of the film through its ending and its distinction through the narrative structure. In terms of modal studies, the film follows the conventional approach in the duration, while attempting to make use of advantages of the first-person in the point of view in spite of the limitations of the genre. Judging from these points, we can say that The Others shows the possibility of differentiating ghost movies in the ghost story. 본고의 목적은 알레한드로 아메나바르 감독의 영화 <디 아더스>를 중심으로 유령영화가 어떤 차별화의 시도를 할 수 있는가를 의미론, 통사론, 양태론의 측면에서 고찰하는 데 있다. 의미론적 측면에서 이 영화는 전체적으로 유령이야기의 원칙을 잘 따르고 있는 반면, 타자의 문제를 다루는 데 있어서 유령(타자)과 살아있는 사람(동일자)의 위치를 역전시켜 타자와의 공존을 강조함으로써 유령영화가 유령이야기의 모티프를 새롭게 변주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통사론적 측면에서 이 영화는 서사구조는 환상영화의 일반적 공식을 따르지 않으나 결말에 있어서는 일반적인 유령이야기의 공식을 따르고 있는데, 이는 결말을 통해 이 영화의 장르성을 드러내는 한편 서사구조를 통해 그 차별성을 보여주려는 서사전략으로 이해할 수 있다. 양태론적 측면에서 이 영화는 지속 시간의 문제에 있어서는 기존 방식을 따르고 있는 반면, 시점에 있어서는 장르의 한계에도 불구하고 1인칭의 장점을 이용하기 위한 시도를 하고 있다. 본고의 의의는 <디 아더스>의 분석을 통해 유령이야기 내에서 유령영화의 차별화 가능성을 밝힌 데 있다.

      • KCI등재

        만화 『잉칼』과 『우르비캉드의 광기』에 나타난 환상문학적 특성과 만화적 환상성

        노시훈 프랑스문화예술학회 2020 프랑스문화예술연구 Vol.73 No.-

        본고의 목적은 『잉칼』과 『우르비캉드의 광기』를 중심으로 환상문학으로서의 만화의 가능성을 고찰하고 매체의 차이로 인한 환상만화의특성에 대해 연구하는 데 있다. 두 만화는 환상이 현실 세계에서 벌어진 초자연적 사건에 대해 자연적 해석과 초자연적 해석 사이에서 겪게되는 망설임(츠베탕 토도로프)이고, 문화적 속박으로 인한 결핍을 보상하려는 욕망(로즈메리 잭슨)이며, 현실로부터 이탈하여 그것을 바꾸려는 현실에 대한 반응(캐스린 흄)임을 잘 보여준다. 이상과 같이 환상만화에 드러난 환상문학적 특성들은 환상만화를 환상문학에 포함시킬 수있는 가능성을 보여준다. 환상만화는 이러한 특성들 외에도 환상의 표현에 있어 매우 다양한 방법을 사용하여 그것을 강화해주는 차별성을갖는다.

      • KCI등재

        <미녀와 야수>에 나타난 변신 모티프의 변화 연구: 장 콕토의 동명 영화를 중심으로

        노시훈 문학과영상학회 2019 문학과영상 Vol.20 No.2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study how the Beauty and the Beast was accepted in the movie, focusing on the Cocteau’s film of the same name, through the motif of metamorphosis. This motif is divided into two branches: the occasion for the Ovidian metamorphosis is the love of the male god and the challenge of the arrogant human to god, and its function is to explain the creation of all things; the non-Ovidian metamorphosis is characterized by its temporality, and its purpose is to observe the society and criticize it outside. The metamorphosis in the Beauty and the Beast as a folktale is non-Ovidian in that its occasion is not important, but it differs from the Apuleian transformation in explaining the process of women’s escape from Oedipus attachment to their father to achieve true love. Unlike Mrs. Villeneuve’s story, a realist tale of metamorphosis about sexuality and class, and Mrs. Beaumont’s, an educational transformation tale to foster children’s morals and reason, Cocteau’s La Belle et la Bête is a fantastic tale of metamorphosis to return to childhood and explore and enjoy the world. Through this film, he tries to meet and realize his desires. While the film focuses on this fantastic and sexual aspect, Walt Disney’s 1991 animation and its 2017 live-action film by Bill Condon focus on the educational and entertaining aspects of the Beauty and the Beast, and 268 Christophe Gans’ 2014 French film focuses on mythological aspects. Therefore, in the movie after Cocteau, it can be said that the transformational motif is developing again to another branch.

      • KCI등재
      • KCI등재

        웹 생태박물관을 활용한 문화유산의 기록과 보존 : 무등산을 중심으로

        노시훈 한국기록학회 2011 기록학연구 Vol.0 No.27

        Ecomuseum which appeared in France in 1968 and widely diffused over the world, is a new type of museum. The purpose of this museum is not to simply possess and exhibit the existing relics, but to discover the locational senses of a territory by in-situ conserving and interpreting its entire natural and cultural heritages, and to plan the participation of its population and the development of its local community. The significance of this museum can be found in the recovery of disappearing collective memories of a territory, the restoration of the cultural identity of its population and the revitalization of a underdeveloped area. As the majority of these museums are fragmented or open air museums, an 'web ecomuseum' which makes the remote offering of informations about whole dispersed heritages and their holistic interpretation possible by digitalizing, recording, conserving, interpreting and utilizing related heritages, is necessary. This paper considers the possibility of web ecomuseum and its constitution contents and methods through the case of Mountain Mudeung area. Especially, in relation to the latter, this paper suggests a plan which consists of selection of own local themes, construction of digital archives, design of web expositions and production of electronic cultural maps. 1968년 프랑스에서 출현하여 전 세계로 널리 확산된 생태박물관은 유물의 소장·전시보다 어떤 지역의 자연·문화유산 전체를 ‘본래의 장소에서’ 보존·해석하여 그 지역의 장소적 의미를 찾고 주민의 참여와 지역 공동체의 발전을 도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새로운 유형의 박물관이다. 이 박물관이 갖는 의의는 사라져가는 지역의 집단 기억을 회복하여 주민의 문화적 정체성을 되찾고 낙후된 지역을 활성화하는 데 있다. 그런데 이 박물관은 분산형·야외박물관인 경우가 많기 때문에 흩어져있는 지역 유산 전반에 대한 원격 정보 제공과 종합적 해석이 가능하도록 유산을 디지털화하여 기록·보존·해석·활용하는 ‘웹 생태박물관’이 필요하다. 본고에서는 무등산이라는 지역을 예로 들어 웹 생태박물관의 가능성과 그 구성 내용·방법에 대해 고찰하였다. 특히 후자에 대해서는 지역 고유의 주제를 선정하여 관련 유산을 토대로 디지털 아카이브를 구축(기록·보존)하고, 웹 전시를 개최(해석)하고, 전자문화지도를 제작(활용)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광역 문화자원의 수집과 기록 : 아시아 목화문화자원을 중심으로

        노시훈 한국기록학회 2011 기록학연구 Vol.0 No.28

        In Asia, when cotton and cotton fabrics cultivated and produced in India of Southern Asia had spread to the whole Asia area by land and by sea, the Cotton Road and cotton fabric cultural area could be formed. In Korea, the traditional cotton (Gossypium arboreum) brought by Moon Ik-Jeom in 1363 was cultivated and then the Upland cotton (Gossypium hirsutum) brought via Japan could be produced from 1904. Especially, Gwangju/Jeonnam was the most active place in producing traditional cotton, and eventually became the center of cotton cultivation and fabric production after bringing in Upland cotton. In order to collect and record the cotton cultural resources in the broad area, the Cultural Resources Set, classified its component parts should be made first and then the collecting objects should be investigated. The collecting areas are selected based on the spreading paths and the regional significance of cotton. Since its difficulty of collecting the relevant resources from all of the places in Asia, it should be planned to share the resources through exchanges and cooperation among private, institution and organization. The relevant experts from the various fields should participate in the interdisciplinary researches which are necessary for collecting and recording of wide area cultural resources. Considering the collecting limitation of genuine relics, the digital archives should be established and then offered through a web site that everyone can use them freely by remote. It also needs to plan to display on and off-line for users to perceive the similarity, difference and interconnections of the resources with ease. 아시아에서는 기원전부터 남아시아의 인도에서 재배·생산한 목화와 면직물이 아시아 전 권역으로 육로와 해로를 통해 전파됨으로써 목화길과 면문화권이 형성되었다. 우리나라에서는 1363년 문익점이 중국에서 들여온 재래면을 재배하다가 1904년부터 일본을 통해 들어온 육지면을 재배하였다. 특히 광주·전남은 조선시대까지 재래면 생산이 가장 활발한 지역이었고, 육지면 도입 후에는 목화 재배와 면직물 생산의 중심지였다. 이처럼 넓은 지역을 대상으로 목화문화자원을 수집·기록하기 위해서는 먼저 그 구성 요소들을 분류한 문화자원세트를 만들고 그에 따라 수집할 객체를 조사한다. 수집 대상 지역은 전파 경로와 목화에 관해 지역이 갖는 의미를 토대로 선정한다. 아시아 전체에서 관련 자원을 직접 수집하기 어려우므로 자료를 소장하고 있는 개인·기관·단체와의 교류·협력을 통해 자원을 공유하는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광역 문화자원의 수집·기록에 필요한 학제간 연구를 위해 다양한 분야의 관련 전문가를 적극 활용하여야 한다. 실제 유물 수집의 한계를 고려하여 디지털 형태의 자료를 위주로 아카이브를 구축하고 이를 누구나 원격으로 향유·활용할 수 있도록 웹을 통해 제공하여야 한다. 사용자가 자원들의 유사와 차이, 상호간의 맥락을 이해할 수 있도록 온·오프라인에서 비교 전시하는 방법을 마련하여야 한다.

      • KCI등재

        생태박물관 개념의 지속과 변화

        노시훈 한국프랑스어문교육학회 2012 프랑스어문교육 Vol.39 No.-

        La flexibilité de la notion d'écomusée a beaucoup contribué à la diffusion de ce musée au monde entier pendant une quarantaine d'années, mais d'un autre côté elle a rendu difficile la définition de cette institution. Dans cet article, on a réfléchi sur l'origine, la continuation, le changement, les éléments et la définition de cette notion au travers de la comparaison de ses premières définitions principales et de ses indicateurs développés récemment. La définition de Georges-Henri Rivière (1980) et celle de la «Charte des écomusées» (1981), les indicateurs de Peter Davis (1999) et ceux de Gerard Corsane et al. (2007) sont utilisés dans cette comparaison. Ses résultats montrent que les éléments «population-communauté», «homme-nature» et «conservation» se sont maintenus, ceux de «territoire», «interprétation holistique» et «coopération» se sont concrétisés et ceux de «site éclaté» et «développement durable» ont été soulignés à nouveau. Quand on essaie de définir la notion d'écomusée avec ces éléments, il est nécessaire de discerner l'idéal et le réel de ce musée et d'évoquer le fait que ses éléments varient selon sa forme ou sa focalisation et que ses caractéristiques se modifient selon la région ou le pays auquel il appartient.

      • KCI등재

        프랑스 생태박물관의 주제 연구

        노시훈 한국프랑스어문교육학회 2014 프랑스어문교육 Vol.46 No.-

        Cette étude vise à considérer la pratiques des idées écomuséales de la «diversité thématique» et de l'«interprétation holistique» d'un territoire en analysant les thèmes des écomusées français. Elle vise aussi à chercher les catégories préférées par ces écomusées comme objet de recherche, conservation, présentation, mise en valeur. Dans cette analyse, on a utilisé le Museofile et le Museorama, bases de données de musées français qui décrivent les informations sur les thèmes des musées. Les résultats de recherches documentaires et d'analyses montrent que la plupart des écomusées français choisissent des thèmes multiples. Ce fait signifie que les écomusées réellement interprètent le sens de lieu d'un territoire dans l'ensemble. Ces résultats montrent aussi qu'ils préfèrent l'«ethnologie», la «nature», l'«histoire», la «technique» et l'«industrie» comme thèmes. Le fait que le thème le plus préféré est l'«ethnologie» signifie que l'écomusée s'intéresse beaucoup à la vie de la population d'un territoire. Et le fait que les thèmes des écomusées se distribuent également dans la catégorie de la nature et celle de la culture montre que ces musées considèrent simultanément 1'écologie humaine et l'écologie naturell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