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산악지형에서의 재난피해조사를 위한 드론 맵핑 활용방안 연구

        신동윤,김다진솔,김성삼,한유경,노현주 대한원격탐사학회 2020 大韓遠隔探査學會誌 Vol.36 No.5

        In the case of forest areas, the installation of ground control points (GCPs) and the selection of terrain features, which are one of the unmanned aerial photogrammetry work process, are limited compared to urban areas, and safety problems arise due to non-visible flight due to high forest. To compensate for this problem, the drone equipped with a real time kinematic (RTK) sensor that corrects the position of the drone in real time, and a 3D flight method that fly based on terrain information are being developed. This study suggests to present a method for investigating damage using drones in forest areas. Position accuracy evaluation was performed for three methods: 1) drone mapping through GCP measurement (normal mapping), 2) drone mapping based on topographic data (3D flight mapping), 3) drone mapping using RTK drone (RTK mapping), and all showed an accuracy within 2 cm in the horizontal and within 13 cm in the vertical position. After evaluating the position accuracy, the volume of the landslide area was calculated and the volume values were compared, and all showed similar values. Through this study, the possibility of utilizing 3D flight mapping and RTK mapping in forest areas was confirmed. In the future, it is expected that more effective damage investigations can be conducted if the three methods are appropriately used according to the conditions of area of the disaster. 산림지역의 경우 도심지에 비해 무인항공사진측량 작업과정 중 하나인 지상기준점(ground control point, GCP) 측량이 제한적이며, 높은 산림 때문에 비가시권 비행으로 인해 안전문제가 발생한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드론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보정하는 RTK(real time kinematic) 드론과 지형정보를 기반으로 비행하는 3차원 비행 방식이 개발되고 있다. 본 연구는 산림지역에서 재난피해조사를 위한 드론의 활용방안을 제시하기 위해1) GCP 측량을 통한 드론 맵핑(normal drone mapping), 2) 지형정보를 기반으로 비행하는 드론 맵핑(3D flight drone mapping), 3) RTK 드론을 이용한 드론 맵핑(RTK drone mapping) 3가지 방법을 통해 위치정확도를 평가하였으며, 그 결과 평면 위치오차는 2 cm, 높이오차는 13 cm 이내로 나타났다. 위치정확도 평가 후, 산사태 발생 면적을 계산하여 체적 값을 비교했을 때 세 가지 방법 모두 유사한 결과를 보였다. 본 연구에서는 3D flight drone mapping, RTK drone mapping을 통해 산림지역에서 드론 맵핑이 가지는 한계를 극복하고 재난피해조사의 활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향후 다양하게 발생하는 재난상황을 감안하였을 때 재난지역의 여건에 따라3가지 방법을 적절히 활용하면 보다 효과적인 피해조사를 수행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드론을 이용한 환경재난 사후대응 기술 및 연구동향 분석 연구

        손승우 ( Seungwoo Son ),윤정호,조지혜,김태현,전형진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2016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기초연구보고서 Vol.2016 No.-

        국가에서는 과거부터 발생한 수많은 환경재난에 대한 경험을 토대로 재난에 대응하기 위한 체계를 마련하고 지속적으로 개선하는 등의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하지만 환경이 급속도로 변함에 따라 기상이변에 따른 자연재난 증가, 사회·문화 갈등과 종교 갈등으로 인한 사회재난 증가 등 다양한 환경재난이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다. 환경재난은 발생 전의 예방 단계부터 발생 후의 대응, 복구 등의 단계까지 각각의 과정이 매우 중요하다고 볼 수 있는데, 특히 환경재난이 발생하면 피해 범위나 규모가 빠르게 커지기 때문에 피해확산을 방지하는 것은 물론 신속한 복구 등의 대응조치도 매우 중요하다. 또한 환경재난으로 인해 발생하는 폐기물은 지하수 오염, 악취, 전염병 등의 2차 환경피해를 발생시키기 때문에 신속한 처리 및 운반이 필요한 실정이다. 최근 드론과 센서 등을 활용하여 환경을 감시하거나 대기 및 수질을 측정하는 등 환경 분야가 과학화·선진화되는 추세이다. 이에, 본 연구는 드론을 활용한 환경재난 지역 모니터링, 수색, 탐지, 인명구조 등에 대한 기술과 연구뿐만 아니라 환경감시를 위한 대기질 및 수질 측정, 모니터링 등에 대한 연구검토, 드론을 이용한 재해폐기물 체적 측정, 환경재난발생 시 사후대응을 위한 드론의 활용방안을 최종 목적으로 제시한다. 본 연구에서는 연구 수행을 위해 국내·외 드론 기술과 선행연구를 조사 및 분석하였다. 특히, 전 세계에서 발생한 재난에서 드론의 활용 사례를 분석하여 환경재난발생 시 드론의 활용방안을 제시하였다. 또한 드론을 이용한 대기 및 수질측정 등과 관련한 보고서, 선행연구 등을 분석하였으며, 드론을 활용하여 3D모델링 후 체적을 산출하여 폐기물에 대한 체적산출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드론을 활용한 환경재난 사후대응 방안은 아래와 같다. 1) 드론을 활용한 환경재난지역 실시간 재난정보 확보 환경재난 시에는 비교적 넓은 범위에서 피해가 발생하기 때문에 사람이 직접 현장을 점검하고 분석하기에는 많은 제약이 따른다. 또한 효율적이고 신속한 재난대응 및 복구를 지휘하고 진행하기 위해서는 재난현장의 정보가 실시간으로 필요하다. 드론을 활용하면 광범위한 현장을 실시간으로 촬영한 사진, 영상 등을 재난 지휘통제소에서 확인이 가능하고 이에 따라 신속한 대응 및 복구계획을 수립할 수 있다. 2) 드론을 활용한 환경재난지역 지도화 드론을 활용한 재난지역 지도화는 그간 실제 재난발생 사례에서 많이 활용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재난지역 지도화를 통해 전반적인 재난지역의 양적 피해 추정이 가능하며 이에 따라 복원 및 복구계획을 수립할 수 있다. 또한 재난발생 이전의 기존 현황 정보와 재난발생 후 구축한 재난지역 지도를 비교하고 분석하면 대응 및 복구를 위한 우선지역 선정, 복구방향 수립 등이 가능하다. 3) 드론을 활용한 위험지역 접근 및 인명수색·구조 방사능이나 화학물질이 방출될 경우와 폐기물 잔해로 인해 사람이 직접 접근하여 수색하거나 현황을 분석하기에 어려울 때 드론을 활용하여 간접적인 상황분석 및 탐지가 가능하다. 4) 드론을 활용한 재해폐기물 추정 신속한 폐기물 이동을 위해 드론을 활용하여 폐기물의 양을 신속하게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흙, 모래 등이 퇴적되어 있는 곳을 대상지로 선정하여 고정익 드론과 지상 LiDAR를 이용하여 체적 산출 및 비교·분석하였다. 그 결과, 드론을 활용한 체적(1만 7,082.05㎥)과 지상 LiDAR를 이용한 체적(1만 6,933.79㎥)에 큰 차이가 없었다. 본 연구에서 살펴본 드론의 활용기술은 환경 감시, 모니터링, 복원 등에 대한 환경계획이나 정책 수립 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 판단되고, 드론기술뿐만 아니라 센서기술의 발달 및 적극적인 활용도 더욱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Based on past experience of having dealt with countless disasters, the South Korean government is making sustainable efforts to develop systems for better disaster response. However, drastic changes in the environment are causing continued occurrence of and changes in disasters that include natural hazards due to extreme weather events and human-instigated disasters arising from social, cultural and religious disputes. From prevention to response and restoration, every step of dealing with disasters holds its own importance. Since the extent and scope of damage tend to escalate in a rapid pace in the wake of a disaster, appropriate contingency plans are especially critical. Disaster waste and debris are responsible for secondary environmental damages such as groundwater contamination, stench and contagious diseases, which calls for their timely transport and processing. Recently, the field of environmental studies is witnessing scientific advances including the monitoring and measurement of atmosphere and water quality using drone technology or censors. In this regard, this study suggests R&D of drones for disaster area monitoring, search and rescue operations, and reviews studies on using drones for measuring and monitoring air and water quality, measuring the volume of disaster waste and planning post-disaster response methods. To achieve the research objective, the development of drone technology at home and abroad and related previous studies were reviewed and analyzed. In particular, cases of drone application in worldwide disasters were analyzed to propose the use of drones in the wake of disasters. Papers and previous studies on using drones for air and water quality measurement were analyzed. Also, feasibility of using drones for 3D modeling and volume calculation of waste was reviewed. Post-natural disaster response methods using drones are as follows. 1) Real-time collection of disaster information in disaster areas using drones Since natural disasters tend to inflict damages to a relatively sizable extent, there are many limitations for a person to manually check and analyze the disaster-struck region. In order for efficient and speedy response and restoration, real-time information of the disaster site is needed. Drones can take real-time photos and videos of the extensive disaster site, which the disaster command and control center can follow up and set up timely restorative plans accordingly. 2) Mapping of disaster area using drones Drones have actually been frequently used in the process of mapping disaster areas. Through mapping, the quantitative damage on the disaster-struck area can be measured, which can be used as a basis for restoration plans. Also, comparison between pre and post-disaster maps can serve as an effective guidance for future response direction. 3) Access danger areas and carry out search and rescue operations using drones In situations where manual access is difficult due to the release of radioactive and chemical materials or waste remains, drones can provide an indirect way of situation analysis and detection. 4) Measurement of disaster waste using drones For timely transport of waste, it is important to use drones to figure out the waste volume. This study selected a site with soil and sand deposit, calculated the volume and made a comparative analysis using a fixed wing drone and a LiDAR. Results showed that the volume calculated using drone (17082.05㎥) and calculation using the LiDAR (16933.79㎥) did not show a considerable difference. Drone application technology reviewed in this study could serve as a meaningful guidance in setting up plans and policies on environmental surveillance, monitoring and restoration. The importance of technological development and proactive use of censors in addition to drone technology are expected to grow further.

      • KCI등재

        콜롬비아 토사재해에 대한 정책 활용방안 연구 - 재해예방과 반부패 거버넌스를 중심으로

        이우진 한국부패학회 2019 한국부패학회보 Vol.24 No.2

        Climate has changed all over the world, the drastic climate change has kept causing disasters and has become bigger and diverse. Sediment disaster happen frequently in Columbia every year, and a lot of lives and the properties have been lost because of them. Advanced countries have noticed importance to respond about climate change and sediment disaster through urban planning and Non-structural measures. Under the Disaster Mitigation Act of 2000, which amended the Stafford Act, the U.S. was required to establish a disaster reduction plan for all local governments. In Japan, Non-structural measures for prevention of sediment disaster have been introduced by prefectures based on the Sediment−related Disaster Prevention Law established after the devastating rainstorm damage in Hiroshima in 1999.They include formulation of sediment disaster warning and evacuation standard rainfall and designation of sediment disaster warning zones and sediment disaster special warning zones. As a practical example, this research focused on the case of「TEC-FORCE」of “MLIT of Japan” as a method of utilizing professional workforce and the sediment disaster warning information delivery system in Kagoshima. In addition, we looked at the “disaster mitigation literacy by collaboration between Citizens, local administrations,universities and civil engineers” and countermeasures for sediment disasters using hazard map. In the future, it will be called for prevention and reduction of damages by utilizing professional workforce and sediment disaster response system such as disaster mitigation plan of advanced countries. In addition, In order to the sediment disaster prevention policies to be effective, it is important to raise disaster response capacity through establishment of anti-corruption governance. 최근 콜롬비아는 토사재해로 인하여 해마다 많은 인명과 재산피해가 발생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토사재해에 대비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사방공사, 배수로 공사 등의 구조적 측면인 하드대책과 국가나 지자체의 경계피난시스템 및 입지억제책 등의 비구조적 측면인 소프트대책이 있을 수 있다. 콜롬비아 당국이 토사재해에 대비하기 위해서는 이러한 대책들을 충실히 수행하여야 하나 개도국의 사정상 하드대책이 제대로 이행되기 어려울 것이다. 따라서 이 연구는 콜롬비아와 같은 개발도상국에 적용 가능한 토사재해 대응체계에 대한 법 정책적 방안에 대해 논의해 본 것이다. 비교법적으로 검토해 보면, 미국은 2000년에 스태퍼드법을 개정한 재해피해저감법(Disaster Mitigation Act of 2000)에 의해 모든 광역ㆍ기초지자체가 의무적으로 재해피해저감계획을 수립하도록 하였다. 일본 히로시마에서는 1999년에 폭우로 인한 토사재해로 엄청난 피해가 발생하였는데, 이후 제정된 토사재해방지법에 근거하여 도도부현에 토사 재해 방지를 위한 비 구조 대책이 도입되었다. 여기에는 토사재해 경보, 대피 표준 강우량 제정, 토사재해 경계 구역 지정 및 토사재해 특별 경계 구역 지정 등이 포함되어 있다. 또한 구체적인 실제 적용례로서, 일본 가고시마 현의 토사재해경계정보시스템과 전문 인력 활용방안인 일본 국토교통성의 TEC-FORCE사례, 주민 및 사회 각층의 전문가 연계를 통한 토사재해 대비, 헤저드 맵을 이용한 토사재해대비 사례 등을 살펴보았다. 향후, 재정과 인력이 부족한 개도국일수록 선진국과 같은 소프트 정책을 잘 활용한 피해예방 및 피해저감 대책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다고 할 것이다. 덧붙여 이상과 같은 토사재해 예방 정책들이 효과를 보기 위해서는 반부패 거버넌스의 확립을 통한 재해대응역량을 기르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할 것이다.

      • KCI등재

        Innovative strategy to produce disaster map according to CDM life cycle in South Korea

        김은경 대한공간정보학회 2016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Vol.24 No.4

        The comprehensive disaster management cycle is designed to help emergency managers prepare for and respond to a disaster as four phases of disaster: (1) mitigation; (2) preparedness; (3) response; and (4) recovery. Each phase has particular needs, requires distinct tools, strategies, and resources and faces different challenges. This study aims to propose innovative strategy required to produce disaster maps according to four phases of disaster management. In the prevention stage, a study of a prediction map is conducted, and continuous research should be conducted with a method that can increase the rate of prediction through verifying reliability. In the preparedness stage, a preparedness map is needed, through which the people can grasp shelter etc. In the response stage, a usercentered fire-fighting administrative map is needed so that individual fire-fighters can immediately utilize it in their response to a disaster. Lastly, in the recovery stage, a recovery project is carried out to prevent another recurrence of a disaster in advance, and this project is urgently carried out, so in the stage of ‘recovery project evaluation,’ a disaster map including detailed space information should be presented.

      • KCI등재

        중국의 재해 연구와 데이터베이스, 지도

        이석현 ( LEE SUKHYUN ) 경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21 人文論叢 Vol.56 No.-

        중국은 근대 이후 지진과 홍수 등으로 인한 재해의 충격과 영향으로 본격적인 재해(사) 연구가 시작되었다. 중국의 연구자들은 역사 시기 방대한 재해 기록에 주목하여 이들 자료에 기반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그들은 자료의 수집과 분석을 통해 역사 기후의 복원과 지진 자료의 정리 등의 작업을 수행하였다. 기후 변화는 홍수, 가뭄, 태풍, 蝗災 등과 같은 재해의 발생 원인으로 함께 연구되었는데, 주로 지리학 등 자연과학 분야에서 연구가 이루어졌다. 역사시기에는 재해의 원인이 주로 기상의 변화와 같은 자연재해가 다수였으며 때문에 자연과학적 연구가 많이 수행되었으며, 자료의 축적을 통한 규칙성과 이를 통한 재해 예측의 시도이기도 했다. 중화인민공화국 성립 이후 정치적 혼란기를 겪으며 일부 부침이 있었지만, 대체적으로 재해 자료의 수집 정리 작업은 지속적으로 수행되었다. 특히 문화혁명이 종식된 80년대 이후 재해 연구의 활성화와 함께 자료 정리, 수집, 및 데이터베이스 구축 등도 기관, 연구소, 대학 등을 중심으로 활발하게 전개되었다. 재해 자료의 수집 및 정리 분석 작업은 특유의 실용적 가치를 지녔기 때문에 다양한 형태의 추진과 지원을 통해 수행되었다. 이런 까닭에 현재까지의 중국 재해(사) 자료 정리는 전국적, 지역적, 재해 종류별로 다양하고, 방대한 성취의 규모를 보였다고 할 수 있다. 근래에는 이미 수집 정리된 자료와 함께 각 기관의 웹사이트 등에서 자료를 데이터베이스로 만들어 제공해주고 있다. 또한 자료 분석을 통한 재해의 시공간 분포 등과 같은 재해 지도의 편찬도 다양한 성과를 보였으며, 중국국가지 도집에 그러한 성과물들이 잘 반영되었다. 또한 3천년 전염병 자료를 수집, 정리, 분석하여 각 시기별 전염병관련 시공간 분포를 구현한 華中師範大學의 중국역사 전염병정보시스템은 GIS기술을 이용한 새로운 공간구현작업으로 주목해야 할 성과이다. Since modern times, disaster research has begun in earnest due to the impact and impact of disasters caused by earthquakes and floods. Researchers in China conducted research based on these materials, noting the vast history of disasters during the period of history. Through the collection and analysis of data, they carried out restoration of historical climates and the cleanup of seismic data. Climate change has been studied together as the causes of disasters such as floods, droughts, typhoons, and locust disasters, mainly in natural sciences such as geography. During the period of history, many natural disasters, such as weather changes, were mainly caused by natural disasters, so many natural scientific studies were conducted, and it was also an attempt to predict disasters through accumulation of data. Although there have been some ups and downs since the establishment of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collection of disaster data has been carried out continuously. In particular, since the end of the Cultural Revolution in the 80s, data organization, collection, and database construction have been actively developed around institutions, research institutes, and universities. The collection and theorem analysis of disaster data was carried out through various forms of promotion and support because of its unique practical value. For this reason, the organization of Chinese disaster data so far has shown a wide range of achievements by nationwide, regional, and disaster types. It is worth paying attention to the role of the Institute of Science, the Institute of Geology, the Institute of Geology, and the National Central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as the background of the systematic and continuous compilation of China's disaster records. They organically established cooperative relationships with universities and local research institutes in the organization of data, and they were able to maintain work such as data organization and analysis on the background of national institutions. In particular, it can be seen that each research institute and institution systematically disclose disaster data and information through its website, and that work on the organization, analysis, and implementation of data is also actively carried out at the digital level. In recent years, data has already been collected and organized, and data has been provided by each organization's website as a database. In addition, the compilation of disaster maps, such as the time-space distribution of disasters through data analysis, showed various achievements, and such achievements were well reflected in Chinese national maps. In addition, the Chinese Historical Information System, which collects, organizes, and analyzes 3,000-year infectious disease data and implements the distribution of time and space related to infectious diseases at each time, is a new space implementation work using GIS technology.

      • KCI등재

        통합 재해지도 작성 기법 개발(Ⅱ) : 리스크 분석을 적용한 재해지도 작성

        박준형,김병현 한국수자원학회 2022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Vol.55 No.1

        본 연구에서는 위험도를 나타내는 침수예상도와 취약도를 나타내는 재해취약지수를 동시에 고려한 통합 리스크 지도 작성 방법을 제안하였다. 이 방법은 한 장의 지도에 다양하고 구체적인 정보를 제공함으로서, 대피계획을 동반한 실제 상황에서 활용 가능한 새로운 재해지도를 작성하였다. 재해지도에 인문・사회・경제적인 요소를 고려하기 위해, 연구유역을 노출성, 취약성, 대응성, 복구성 인자로 구분하였다. 그리고 각각의 인자들에 대한 7가지 지표를 GIS 도구를 이용하여 추출하였다. 각 지표별로 추출된 자료를 1~5등급으로 등급화 하였으며, 각 등급화된 자료를 재해취약지수로 선정하여 통합 리스크 분석 및 인자별 리스크 지도 작성에 활용하였다. 침수예상도와 재해취약지수 인자를 중첩한 인자별 리스크 지도는 인구, 자산, 건물 등을 포함한 지역별 상황을 반영하여 대피계획 수립에 활용하였다. 또한, 서로 다른 단위와 성질을 가진 재해취약지수 인자들의 표준화를 통해 하나의 취약도로 환산하고, 위험도를 동시에 고려한 통합 리스크 분석 방안도 제안하였다. 이는 재해지도 작성시 침수 위험도와 사회・인문・경제적인 요인을 동시에 고려한 구체적이고 다양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어 재해에 대한 대비・대응・복구 계획 수립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In this study, a method for an integrated flood risk mapping was proposed that simultaneously considers the flood inundation map indicating the degree of risk and the disaster vulnerability index. This method creates a new disaster map that can be used in actual situations by providing various and specific information on a single map. In order to consider the human, social and economic factors in the disaster map, the study area was divided into exposure, vulnerability, responsiveness, and recovery factors. Then, 7 indicators for each factor were extracted using the GIS tool. The data extracted by each indicator was classified into grades 1 to 5, and the data was selected as a disaster vulnerability index and used for integrated risk mapping by factor. The risk map for each factor, which overlaps the flood inundatoin map and the disaster vulnerability index factor, was used to establish an evacuation plan by considering regional conditions including population, assets, and buildings. In addition, an integrated risk analysis method that considers risks while converting to a single vulnerability through standardization of the disaster vulnerability index was proposed. This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establishment of preparedness, response and recovery plans for providing detailed and diverse information that simultaneously considers the flood risk including social, humanistic, and economic factors.

      • KCI등재

        조선시대의 재난 데이타베이스 구축 및 대응에 관한 연구

        이지희 ( Ji Hee Lee ),방용 ( Rong Fang ) 한국안전학회(구 한국산업안전학회) 2013 한국안전학회지 Vol.28 No.1

        Cultural heritage passing down to posterity is a global concern. But there are many culture heritage that not remained to now disappeared by various disasters. It is told that disaster is learnt from disaster. The most fundamental task in disaster prevention is to collect and analyze cases of accidents so as not to repeat a disaster. In other words, an analysis of various disaster-related materials and their countermeasures in the Joseon period is an actual condition-based phenomenological methodology used to prevent disasters at cultural properties today. In this context, it is important to collect histories of disasters in the Joseon period, to extract disaster-related historical data and to categorize the data to build a disaster literature database. This study has produced Database of Disasters in the Joseon Era], a collection of articles on fire outbreaks based on The Annals and The Daily Records belonging to the Memory of the World. On the basis of this chronology, human and property damages caused by fires in Joseon have been examined, identified by districts, as well as disaster technologies, have been analyzed. It has also built disaster vulnerability maps in the Joseon Dynasty Era.

      • KCI등재

        방재지도(hazards map)를 활용한 일본의 방재교육

        이정희 한국일본교육학회 2017 한국일본교육학연구 Vol.21 No.2

        본 연구는 일본의 방재지도(防災地?, hazards map)를 활용한 교육에 대하여 고찰하고 그 특징을 밝혀 효율적인 방재지도 학습 방안을 모색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방재지도의 기 능과 교육적 활용, 지역의 특성이 반영된 방재지도를 활용한 실천 사례를 검토하여 그 특징을 밝혔다. 방재지도는 지역 주민들에게 자연재해의 피해 범위와 방재 활동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 면서 자연재해를 극복하기 위해 공조(公助), 공조(共助), 자조(自助)를 지원 하는 기능을 한다. 방 재지도를 활용한 일본의 실천 사례를 통해 초등학교 저학년은 자신이 살고 있는 집과 학교를 중심으로 한 방재지도 그리기, 초등학교 고학년은 자신의 지역에서 위험한 곳과 피난할 장소 등을 찾기, 그리고 중학생은 방재지도를 통해 자신의 지역에 대한 이해뿐만 아니라 자신이 할 수 있는 것이 무엇인지 자각하고 최선을 다하기, 행동, 주위 돕기 등을 강조하고 있음이 밝혀졌 다. 즉 학년 단계별 특징을 고려하여 방재지도를 활용한 교육을 실행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방재지도를 활용할 때에는 방재지도에 드러난 한계를 명확하게 인식하고, 실제 자연재해가 일 어났을 때 방재지도에 너무 의존하지 않도록 지도하는 것 역시 중요함이 드러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an efficient hazards map learning method by considering the education using the hazards map linked with the regions in Japan and identifying its characteristics. For such purpose, the functions and educational utilization of hazards map and examples of practice using the hazards map linked with the regions were examined and its characteristics were identified. In the examples of practice using the hazards map, drawing a hazards map based on their homes and school for the lower grades in elementary school; finding a dangerous place and a place to flee for refuge in their areas for upper grades in elementary school; and for middle school students, understanding their area through the hazards map, finding what they can do and doing their best and helping neighborhoods are emphasized. In other words, the education using the hazards map in the considera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each grade can be practiced. However, it was found that it was also important to guide students to recognize the limitations of the hazards map and not to rely on the hazards map too much in the event of an actual natural disaster for utilizing the hazards map.

      • KCI등재

        재난안전데이터 코드 운영을 위한 시각화 정보시스템 설계 및 프로토타입 개발

        박종렬(Park, Jongyul),정세진(Jeung, Sejin),허신애(Heo, Shinae),고정완(Ko, Jungwan),김병식(Kim, Byungsik) 한국방재학회 2019 한국방재학회논문집 Vol.19 No.7

        최근 재난은 대형화되고 급격화되어 다양한 인적·사회적 피해를 유발하고 있다. 재난 발생 후 뒤따르는 피해로 인하여 재난의 예방뿐만 아니라 재난이 발생한 시점의 상황 관리의 중요성 또한 대두되고 있는 가운데, 경험적 재난정보를 활용하여 지속적으로 발생되는 재난상황을 관리할 수 있는 다양한 방안이 마련되고 있다. 그러나 실질적으로 재난 담당자가 활용할 수 있는 체계는 미비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재난상황에 따른 신속한 상황관리 업무를 위한 재난안전데이터코드 운영의 시각화 시스템이 필요함을 인식하고, 상황관리에 투입하는 관계자들이 상황관리에 필요한 각종 자료(데이터)를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여 향후 재난 발생 시 신속한 상황 관리를 통해 재난의 피해를 줄일 수 있는 시각화 시스템을 구축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를 통하여 재난 담당자의 업무분석과 요구사항을 반영한 재난안전정보 시각화 정보제공시스템의 프로토타입을 제시하였고, 향후 실질적인 시범운영 방안과 개선방안 도출을 통하여 실질적인 재난안전정보 활용체계 구축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Recent disasters have caused a great deal of personal and social damage. In addition to the work of preventing disasters by examining subsequent damage, it is important to manage disasters in real time. Therefore, a variety of measures are prepared to utilize empirical disaster information to manage ongoing disasters. However, the current system available to disaster managers is insufficient. In this study, we discuss the necessity of a visualization system for safety data code operation in rapid disaster situation management. This system should address safety operations according to the type of disaster, so those involved in situation management can easily grasp appropriate data. The purpose of this project is to establish a visualization system that can reduce the damage of future disasters by utilizing planned rapid situation management. Through this study, we propose a prototype of an information visualization system that assesses and provides task analysis and requirements for the responding disaster officer. It will be possible to establish such a practical disaster safety information system through the use of practical trials, an operation plan, and an improvement plan.

      • KCI등재

        재난안전 관리를 위한 커뮤니티매핑과 드론매핑의 연계방안 연구

        이종훈,표경수,김성삼 대한원격탐사학회 2019 大韓遠隔探査學會誌 Vol.35 No.5

        There are limitations to the manager’s investigation of all damage sites and establishment of management plan in terms of manpower and cost. Community mapping can be used to overcome these problems with the information. However, it is difficult to make decisions when multiple information are registered in multiple areas of damage. Because community mapping information are registered only with pictures and simple contents, it is so difficult for the manager to clearly understand the site situation. This study suggests a methodology to support decision-making processes during disaster management through system integration between the community mapping and the drone mapping. By applying the proposed method, decision makers can make a timely judgment effectively on the damage situation. It is expected that the proposed method will save time, manpower, and cost in the recovery phase. 재난관리에서 담당 공무원(관리자)이 모든 피해 현장을 조사하고 복구 계획을 수립하기에는 인력과 비용 측면에서 한계점이 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다수의 지역민이 참여하는 커뮤니티매핑(community mapping) 과정에서 등록되는 현장 정보들을 통하여 효율적인 재난관리 의사결정에 활용할 수 있다. 하지만 여러 피해지역에서 검증되지 않은 다수의 정보가 등록되면 오히려 복구 우선순위 결정 등에 걸림돌이 되기도 한다. 또한커뮤니티매핑 정보는 사용자가 업로드한 사진이나 사전 분류된 내용 또는 콘텐츠만 업로드할 수 있어 관리자가 현장 상황을 명확히 파악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으므로 이를 개선할 여지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커뮤니티매핑에 등록되는 정보와 드론으로 촬영한 3D매핑 정보를 연계하여 재난관리 의사결정을 지원하기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를 통하여 관리자가 피해 상황을 종합적으로 판단할 수 있어 피해복구에 대한 계획수립 시 최종 결정권자의 의사결정을 지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피해복구 단계에서 시간, 인력, 비용의 절감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