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국방지리공간정보 거버넌스에 대한 연구-美 정보공동체와 육군 랜드워넷을 중심으로

        김동환 대한공간정보학회 2014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Vol.22 No.1

        Recently, ICT environments have been increasingly developed and the pattern of the war also has been changed to NCW. The development of communication and network technology, for example, C4I and TDL(Tactical Data Link), has been prosperous and rapid. But the geospatial intelligence field which is the basis of the network frames relatively has not been developed.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foster the geospatial governance in terms of the defense perspective. In order to do that, this paper deals with the U.S. Intelligence Community(IC) and the U.S. Army Global Information Grid(GIG), LandWarNet and those could be good examples of roles and statuses of geospatial intelligence. IC has been produced essential intelligence which is required for policymakers and military leaders. IC has several stove-piped intelligence process systems which have been separately developed and competed. And so as to complete GIG, the U.S. Army adopted LandWarNet. The U.S. Corps of Engineers organized the Army Geospatial Center(AGC) on 1 October 2009 to support LandWarNet. In order to develop NCW, we should recognize geospatial intelligence as the basis of network framework and make a central leading organization of defense geospatial intelligence. The mission of Korea Defense Geospatial-Intelligence Agency should be changed from producing GEOINT to a strategic GEOINT agency. The Army should organize a laboratory of geospatial intelligence field. The mission of producing GEOINT should be transferred to a geospatial intelligence battalion which is newly organized. 최근 ICT 환경이 급격하게 발전하면서 전쟁의 양상도 네트워크중심전(NCW)으로 바뀌어가고 있다. 우리나라도 그 중요성을 인식하고 C4I체계, 전술데이터링크 등 정보통신분야의 발전은 비약적인 발전을 거듭했다. 그러나 네트워크 체계의 기본바탕이고, 임무수행체계의 기반이 되는 것은 지리공간정보이며, 그 동안 지리공간정보에 대한 관심 및 발전은 상대적으로 미흡했다. 이 논문은 미국 정보공동체에 대한 연구와 미 육군 범지구격자체계인 랜드워넷에 대한 연구를 통해 미국이 공유하고 있는 정보와 지리공간정보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하고, 우리나라에서 지리공간정보의 역할과 위상을 재조명하여, 향후 국방지리공간정보 거버넌스를 발전시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미국 정보공동체는 정책결정자들의 정보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다양한 정보출처에 대해 독립된 정보과정을 통해 정보를 생산해왔으며, NCW 전장환경에 부합한 범지구격자체계를 발전시키기 위해 미 육군은 랜드워넷 체계를 도입하였다. 랜드워넷 체계의 기반인 지리공간정보 데이터 구축을 위해 설립한 기구가 공병사령부 예하의 육군지리정보센터(AGC)이며, AGC는 육군 지리공간정보 사업(AGE)을 추진하고 있다. 우리나라도 NCW구현을 위해 지리공간정보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하고 국방지리공간정보의 중심점을 확립해야 한다. 현재 지리공간정보의 생산에 중점을 두고 있는 국방지형정보단의 임무 및 위상을 격상시키고, 육군에는 이에 걸맞는 공병지리공간연구소 설립이 요구되며, 지리정보 생산을 전담할 수 있는 한 개의 지리공간정보대대를 창설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 KCI등재

        국가공간정보사업의 통합관리를 위한 평가체계 개선방안

        서동조(Seo, Dong Jo),주용진(Joo, Yong Jin),김은형(Kim, Eun Hyung) 대한공간정보학회 2021 대한공간정보학회지 Vol.29 No.4

        최근의 국가공간정보정책 시행계획 수립 및 집행실적 평가체계는 개별 사업의 평가에 국한되어 있다. 따라서 사업간의 유기적 연결, 성과 공유 및 확산이 이루어지도록 개선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이 연구에서는 그 동안 공간정보사업의 연차보고서와 총괄 및 조정사업보고서 등의 수행결과와 연차 평가체계를 조사 분석하였다. 또한 실제 국가공간정보사업 담당자들을 대상으로 사업에 대한 설문조사를 수행하여 평가 체계에 대한 현황과 통합관리 체계개선에 대한 시사점 들을 도출하였다. 이 연구의 평가체계 개선방안은 향후 공간정보사업의 통합관리 사업에 대한 집중관리와 관리 운영체계의 개선 및 사업성과 공유의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Currently, the national spatial information policy is executed based on the implementation plan and the resultative performance is evaluated by an individual project. The evaluation system, however, is limited to providing a myopic perspective for the integrative project management. There has been an increasing demand for the synthesis of the performances to identify organic relationships between the national spatial information projects in terms of their commonality, collaboration, and sharing of the result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ggest improved evaluation strategies for the integrative management of the national projects. To fulfill the purpose, annual reports of the national spatial information projects and overall management reports were analyzed. In addition, questionnaire was conducted for the project managers to derive the current usability of the evaluation system and to take their recommendation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questionnaire and the suggestions for the existing problems, the evaluation strategies were proposed. Hopefully, in the future, this study can contribute to more efficient integrative management and vitalizing the sharing of project results among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 KCI등재

        모바일 공간정보산업 활성화를 위한 정책 제안 연구

        김태훈(Kim, Tae Hoon),황정래(Hwang, Jung Rae),이상훈(Lee, Sang Hoon),나준엽(Na, Jun Yeop) 대한공간정보학회 2012 대한공간정보학회지 Vol.20 No.2

        최근에 공간정보의 활용 분야가 도시계획, 시설물 관리, 교통서비스 등의 활용 서비스에서 환경오염, 자원확보, u-City 등의 새로운 분야로 확대되고 있다. 특히, 스마트폰을 기반으로 한 모바일 환경에서의 공간정보 활용의 중요성이 높아짐에 따라 모바일 공간정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모바일 공간정보기반 구축 및 관련 정책 개발의 필요성도 증대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차세대 전략산업으로 육성할 필요성이 있는 모바일 공간정보분야에 대한 현황조사를 통해 문제점을 분석하고, 이에 대한 활성화 방안으로서 공공부문의 역할과, 모바일 공간정보서비스 개발, 모바일 공간정보기반 구축방안 및 활성화를 위한 단계적 추진전략을 제시하였다. The application area of spatial information such as urban planing, facility management, traffic service are expanded to new service areas such as environmental pollution, securing resources, u-City. In particular, the increased importance of spatial information application in mobile environment based on smart phone, a mobile spatial data infrastructure and related strategy suggestions to provide mobile spatial information service is required. In this paper, we derived strategy suggestions to foster the next generation strategic industry and proposed the role of puclic sector, the development of mobile spatial information services, the construction of mobile spatial information infrastructure and the stepwise strategies.

      • KCI등재

        토지이용관리법제와 공간정보법제의 연계성 분석 및 개선방안

        최병남(Choe, Byong Nam),김진(Kim, Jin) 대한공간정보학회 2021 대한공간정보학회지 Vol.29 No.3

        공간정보의 작성규정 중복방지, 수요-공급 선순환 촉진 등을 위하여 토지이용관리법제와 공간정보법제의 연계가 필요하다. 이와 관련하여 토지이용관리법제 124개를 행(row)에, 이 법제에서 규정하는 공간정보 적용유형 9개를 열(column)에 배치한 2-모드 장방형 메트릭스(rectangular matrix)를 만들고, 2-모드 네트워크 분석(network analysis)을 적용하여 두 법제 사이 네트워크의 연결 정도 및 중심성을 도출하였다. 이를 통해 다음과 같은 사실관계와 시사점을 확인하였다. 첫째, 토지이용관리법제 모든 법령은 공간정보 적용을 규정한다. 둘째, 토지이용관리법제에 공간정보 적용수요가 있으나, 이 수요를 공간정보법제가 충족시키는데 한계가 있다. 셋째, 토지이용관리법제에 추상화 수준이 다른 공간정보 수요가 있으나, 축척이 다른 공간정보 사이 일관성/일치성 확보를 위한 제도적 장치가 없다. 넷째, 토지이용관리법제는 복수 유형으로 공간정보를 적용하고, 묵시적 방식을 더 많이 이용하고 있으며, 이와 관련하여 명시적인 적용 혹은 준용이 용이하도록 공간정보법제의 개선이 필요하다. 다섯째, 공간정보법제 이외 법령의 공간정보 적용 규정을 따르는 법령도 있으며, 이와 관련하여 공간정보 적용수요를 중심으로 하는 법제 연계체계 정립이 필요하다. 이상과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연구는 공간정보법제가 충족시켜야 할 공간정보 적용수요와 추상화 수준수요를 중심으로 수요맞춤 기반 프레임워크, 프레임워크 기반 주제공간자료 생산체계, 공간자료 일반화 및 일관성 체계를 개선방안으로 제시한다. 그리고 다양한 법령에서 공간정보 적용을 위한 법제 연계체계 개선방안으로 공간정보법제 중심의 다층 법제 네트워크 구축을 제시한다. Geospatial information legislation and land use legislation should be connected to each other to prevent duplicate articles of geospatial data production and to promote virtuous cycle of spatial data supply-demand. We created rectangular matrix with 124 laws on the land use legislation on rows and 9 types of geospatial data application regulated by those laws on columns. We then conducted 2-mode network analysis to calculate the connectivity and centrality between these two dimensions. The analysis result confirms the connectivity between the legislations and its implications, as follows: (1) all laws in the land use legislation define geospatial data application, (2) geospatial data application defined in the land use legislation is not fully identified in the geospatial information legislation, (3) land use legislation specifies the need for geospatial data in multiple scale, and geospatial information legislation lacks regulation to secure the consistency between geospatial data in different scale, (4) land use legislation identifies multiple types of geospatial data application using related terminologies without fully defining them, and finally (5) some laws in land use legislation refers to geospatial data application defined by legislations other than the geospatial information legislation.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paper suggests three improvements defined by demand types of application and scale, including a customization based framework, framework based the guideline for thematic geospatial data production, and generalization standard and consistency system of geospatial data. It also suggests establishing a geospatial data legislation-centered multi-level legislation network.

      • 공간정보 융복합 산업 창출을 위한 R&D 혁신 로드맵 수립에 관한 연구

        황정래(JungRae Hwang ),송기성(KiSung Song),권회윤(HoeYun Kwon),이수지(SooJi Lee),최현상(HyunSang Choi) 대한공간정보학회 2017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 학술대회 Vol.2017 No.10

        최근 공간정보가 자율주행차, 드론, AR/VR 등 신산업 발전을 지원하는 기반 인프라로서 기술발전에 대한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이에, 본 논문은 제4차 산업혁명 등 급변하는 대내외 환경변화를 반영하고 공간정보 활용 수요자 중심의 공간정보 중장기 R&D 발전방향을 제시한다. 이를 위해 국내외 공간정보 관련 기술, 정책, 시장 동향 분석을 통한 공간정보분야 최신 트렌드를 조사·분석하고, 기술수요조사를 통해 공간정보 융복합 산업 창출 지원에 필요한 핵심기술을 도출하며, 이를 기반으로 공간정보 중장기 R&D 혁신 로드맵을 수립한다.

      • 단사진 기반 3차원 공간정보 제작을 위한 기술연구

        한성만(Han, Soung Man),유충현(Yoo, Chung Hyeon),위광재(Wie, Gwang Jae) 대한공간정보학회 2018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 학술대회 Vol.2018 No.5

        3차원 가상현실, 실감정사영상 등을 제작하기 위해서는 건물 및 구조물에 대한 정밀한 3차원 공간정보제작이 중요하다. 최근 급격한 도시발달로 인해 요구되는 공간정보는 정밀도, 정확도 외에 신속성까지 요구하고 있다. 신속한 3차원 공간정보 제작을 위해서는 제작Tool에 대한 사용자의 접근성 및 편의성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기존의 방법으로 3차원공간정보 제작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고가의 3차원 입체시 장비와 다년간의 사업 수행경험이 있는 숙련된 기술자가 필요했다. 최근 낱장의 항공사진을 이용해 3차원공간정보를 구축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가 해외에서 출시되었으나 적지 않은 금액의 라이선스 비용, 꾸준한 기술지원의 어려움 때문에 현장에서 폭넓게 쓰이지는 못하고 있다. 본 연구는 3차원 공간정보를 구축함에 있어 경험이 적은 기술자도 간단한 기술교육만으로도 쉽게 접근할 수 있고 고가의 입체시 장비 없이도 3차원 공간정보 제작을 할 수 있으며, 데이터를 신속하게 만들어 낼 수 있으나 제작된 성과는 국토지리정보원의 ‘항공사진측량 작업규정’ 및 ‘3차원 국토공간정보구축 작업규정’을 준수하며 성과의 정확도는 작업규정 내의 묘사오차 허용범위 안에 들어오는 기술을 개발하는 것을 목표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지역은 다양한 모습의 빌딩이 존재하는 여의도로 선정했으며 본 소프트웨어로 생성한 건물을 DXF포맷으로 내보내기 한 후 도화데이터와 비교분석하는 방법으로 정확도를 검증해 보았다. 검증 결과 국토지리정보원 수치지도 작업규정에 만족하는 정확도를 확인할 수 있었다. It is important to produce precise three-dimensional spatial information about buildings and structures in order to produce 3D virtual reality, real sense orthoimages, etc. We require not only precision and accuracy of spatial information but also promptness of it, because of rapid urban development recently. In order to produce 3D spatial information quickly, user’s accessibility and convenience about the production tool are crucial. It is necessary to have expensive 3D stereoscopic equipment and skilled technicians who have a lot of experiences about projects in order to perform 3D spatial information production in the conventional ways. Although the software for building 3D spatial information using a single aerial photograph has been released overseas, it has not been used widely in the field due to high-priced license and difficulty of steady technical support. The goal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technologies that the accuracy of the result is within the permissible error tolerance range and the result complies with the "Aeronautical Photogrammetric Survey Regulations" and the "3D Geospatial Information Construction Regulations" of the National Geographic Information Institute. The advantages of these technologies are that skilled experts can access easily with data and produce 3D spatial information rapidly without expensive stereoscopic equipment. The study area was selected as Yeouido where various buildings are located, and the buildings created by this software was exported as DXF format. The accuracy of data was compared and verified with drawing data. As a result of the verifica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accuracy satisfying with the digital map production regulations of the National Geographic Information Institute.

      • KCI등재

        3차원 정밀 실내공간정보 품질인증 방안에 관한 기초연구

        이기성(Lee, Ki Sung),정인훈(Jeong, In Hun),최윤수(Choi, Yun Soo),김상봉(Kim, Sang Bong) 대한공간정보학회 2015 대한공간정보학회지 Vol.23 No.1

        도심지에서 초고층 건축물 및 지하시설물과 연계된 복합건축물 등 건축물이 대형화·복합화 됨에 따라 공간정보 서비스 대상영역의 범위가 실내공간으로 급속하게 확대되어 가고 있으며, 이러한 변화는 모바일 디바이스의 보급, IT기술의 발달과 함께 향후 실내공간정보 기반의 안전 및 시설물관리, 실내내비게이션 등 다양한 서비스 수요를 창출하게 될 것으로 판단된다. 하지만 실내공간정보의 경우, 구축된 실내공간정보 데이터 품질에 대한 인증 기준이 부재하여 이에 따른 검증 기준 마련이 시급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내외 연구사례를 검토하고 이를 기반으로 실내공간정보 품질검증 방안을 마련하여 2014년도 구축된 영등포역의 실내공간정보에 대해 검증실험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본 연구에서 제시한 실내공간정보 품질인증의 방법 및 기준에 대한 검증실험을 통해 균일하고 완성도 높은 품질의 데이터를 분류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오류 발생 빈도가 높은 유형 등에 대해 파악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향후 실내공간정보 품질인증체계를 구축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As buildings in the downtown area, such as the complex building connected to the skyscraper and the underground facility, have become large and complex, the range of target domain of the space information service is rapidly expanding to the interior space; it is considered that this change will create various demands of service such as the indoor geospatial information base safety, the management of facility, and the interior navigation in the future, along with spread of mobile devices and development of IT technology. As for the indoor geospatial information, however, there is no certification standard of the established indoor geospatial information data quality, so preparing the certification standard is urgent. Thus, this study reviewed foreign and domestic research cases and prepared measures for quality verification of the indoor geospatial information to conduct a verification test of the Yeongdeungpo Station indoor geospatial information, established in 2014. As a result, through the verification test of the method and standard of the indoor geospatial information quality certification suggested by this research, it was identified that the uniform and higher quality data could be classified, and the types of error high frequently occurring could be investigated. These results are expected to be utilized as the basic data for establishing quality certification system for the indoor geospatial information in the future.

      • 스마트시티 서비스의 공간정보 표준화 조사 연구

        탁제형(Tak Je Hyung),김성곤(Kim Sung Gon),이정구(Lee Jeong ku) 대한공간정보학회 2021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 학술대회 Vol.2021 No.11

        ICT 기술의 발전에 따라 공간정보 분야의 기술도 변화 중에 있어 스마트 시티 분야에서 요구되는 공간정보 기술도 큰 변화를 겪고 있다. 본 연구는 스마트시티 서비스의 현황조사를 통하여 분야별 서비스 및 서비스별 공간정보 기술을 식별하였다. 식별된 서비스 및 공간정보 기술을 분류체계를 적용하고 설문조사를 통하여 중요도 및 필요성을 도출하여 스마트시티 공간정보 표준화 조사를 수행하였다. 이에 중요도 및 필요성 조사를 수행한 결과 중요도와 필요성이 일정 부분 일치하는 것을 검증 할 수 있었으며, 결과에 따라 스마트시티 내 공간정보 기술 관련 표준화 요구조건의 순위를 도출 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조사된 항목을 통해 스마트시티에서 실질적으로 필요로 하는 공간정보 기술에 대한 수요를 파악하였다.

      • 참여형 공간정보 웹서비스의 활용사례 연구

        최원욱(Won-Wook Choi),홍상기(Jong-Wook Ahn),안종욱(Sang-Ki Hong) 대한공간정보학회 2014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 학술대회 Vol.2014 No.5

        공급자 중심의 공간정보 콘텐츠 생산 및 서비스 개발로 인하여 수반되는 정보의 최신성 결여, 다양성의 한계, 활용성의 미비 등 공간정보의 질적 가치를 저해하는 문제들을 극복하기 위하여 사용자 참여와 협업기반의 공간정보 웹서비스가 전략적으로 활용되고 있다. 본 연구는 23개 사용자 참여형 공간정보 웹서비스의 활용사례 분석을 통하여 웹서비스를 통한 공간가치 창출 전략을 도출하고, 이를 기반으로 공공 공간정보의 가치향상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 KCI등재

        스마트시티 공간정보 표준활용을 위한 법제도 개선방안 연구

        김경희(Kim, Kyung Hee),최원욱(Choi, Won Wook),홍상기(Hong, Sang Ki) 대한공간정보학회 2021 대한공간정보학회지 Vol.29 No.4

        스마트시티와 디지털 트윈의 핵심 인프라로서 공간정보의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공간정보는 서로 다른 도메인 데이터 모델의 공간정보 측면을 통합하기 위한 필수적인 부분으로 인식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스마트시티와 공간정보 관련 법제도 및 상호운용성 현황분석을 통해 문제점과 이슈를 도출하고, 영국의 공간정보 유형별 용어 정의, 유럽연합의 공간정보인프라 데이터 모델링을 위한 프레임워크와 OGC 등에서 제시하고 있는 도메인 간 공간 정보 기반 스마트시티 상호운용성 확보를 위한 대응 사례를 검토하였다. 이를 통해 「스마트도시 조성 및 산업진흥 등에 관한 법률」과 「국가공간정보기본법」, 「공간정보산업진흥법」을 대상으로 도메인 간 연계를 위한 표준 적용 관련 근거 조항을 추가하고, 데이터 상호 연계·교환 기술기준과 공공부문 데이터 상호운용성 확보에 필요한 협력체계 구성을 제안하는 조항 등을 법제도 개선방안으로 제시하였다. As a core infrastructure of smart city and digital twin, the importance of geospatial information has been increasing. The geospatial information is considered as the integral part to integrate geospatial aspect of different domain data models. In this study, problems and issues are derived through analysis of the legal system and interoperability related to smart cities and geospatial data, and the definition of terms by type of geospatial data in the UK, framework for geospatial data infrastructure data modeling in the European Union and OGC, etc. are presented. Through the review of relevant cases to secure interoperability of spatial information-based smart city between different domain fields, a clause of the laws, 「Act on the promotion of smart city development and industry」, 「National spatial data infrastructure act」, 「Spatial data industry promotion act」, that can be basis for applying a standard for inter-domain linkage, was added. The technical standards for data interconnection and exchange and provisions proposing the formation of a cooperative system which is necessary for building data interoperability in the public sector were presented as ways to improve the legal syste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