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방진단함수개발에서 진단의 참값으로 사용하는 전문가 진단의 비에 관한 연구

        김규곤 한국자료분석학회 2013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15 No.6

        In developing the diagnosis functions of Oriental Medicine, the true values of diagnosis are made use of medical specialist' diagnosis and the observed values are the data obtained in clinical trial. In this study, we seek for the diagnosis ratio of medical specialist providing the true values of diagnosis functions. Data used in this study are the 3D facial data of clinical trial for 780 cases totally composed of 504 men and 276 women, and five medical specialists are participated in the facial clinical diagnosis. In statistical analysis, we use stepwise discriminant analysis to select analysis variables, and use linear discriminant analysis to obtain the correct rate of diagnosis function. Results of this study in terms of the diagnosis ratio of five medical specialist are as follows. The stable diagnosis functions are derived when diagnoses are consistent with greater than or equal to four specialist' diagnoses in two levels of category, and three specialist' diagnoses in four or five levels of category. 한의학의 진단함수를 개발할 때 진단의 참값으로는 전문가의 진단결과를 사용하고 관측값으로는 임상시험에서 얻은 데이터를 사용하고 있는데, 전문가의 진단이 몇 대 몇으로 일치하는 경우를 진단함수의 참값으로 사용해야 하는지에 대한 전문가의 비를 결정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본 연구에서 사용하는 관측값은 임상시험에 참여한 남자 504명, 여자 276명, 합계 780명에 대하여 3차원 얼굴 전용 스캐너를 사용하여 구현된 얼굴형상 데이터이고, 진단의 참값은 5명의 전문가가 얼굴형상을 관찰하여 진단한 결과이다. 3차원 얼굴형상 데이터에 대한 변수선택방법은 단계별판별분석을 이용하고, 형상진단의 진단정확률은 선형판별분석을 이용하고 있다. 본 연구의 결과로부터 전문가 5명의 진단의 비를 요약하면, 형상유형의 범주가 2수준일 경우에는 5:0 또는 4:1로 4명 이상의 진단결과가 일치할 때, 형상유형의 범주가 4수준일 경우에는 5:0:0:0 또는 4:1:0:0 또는 3:2:0:0 또는 3:1:1:0으로 3명 이상의 진단결과가 일치할 때, 형상유형의 범주가 5수준일 경우에는 5:0:0:0:0 또는 4:1:0:0:0 또는 3:2:0:0:0 또는 3:1:1:0:0으로 3명 이상의 진단결과가 일치할 때 안정적인 진단함수를 구할 수 있다.

      • KCI등재후보

        정부 조직진단의 추진전략과 관리방안

        김윤권(Yunkwon Kim) 한국공공관리학회 2007 한국공공관리학보 Vol.21 No.4

        본 연구는 공공부문의 조직진단이 적실성과 타당성을 결여하고 있다는 문제의식에서 조직진단과 관련된 주요 이론적 논점을 부각시키고, 바람직한 정부조직진단 결과를 도출하기 위한 조직진단 추진전략과 관리방안을 제시한다. 바람직한 조직진단 추진전략으로는 진단목적 공유, 진단의 정확한 인과성 확보, 상시적 진단체제 구축, 기관별 맞춤형 진단 구축, 협력형 진단체제 구축을 제시한다. 또한 타당성과 적실성을 지속적으로 확보하기 위한 조직진단 관리방안으로는 조직 리더의 적극적인 역할, 조직진단실무자의 전문적 역할, 진단모듈별 상호 연계된 진단관리, 조직진단 기법 및 지표 고도화, 조직진단 결과의 평가 및 활용을 제시한다. 정부 조직진단에 대한 이론적 검토, 추진전략, 관리방안은 최근 부각되고 있는 조직진단의 정체성 및 내용을 이해시키고 조직진단의 타당성, 적실성, 및 수용성을 제고시켜 줄 것이다. 일반성과 특수성을 고려한 정부조직진단을 정교화시켜 향후 행정개혁이나 조직개편에 유용한 대안을 제시하고 궁극적으로는 행정서비스를 높이고 국가경쟁력을 높이는 방향으로 조직진단이 이루어져야 한다는 당위성을 제시한다. Under the research question that public organizational diagnosis needs relevance and validity, this paper focuses on theoretical issues on organizational diagnosis. And it suggests the strategies and management for organizational diagnosis in order to induce the desirable results of government organizational diagnosis. The desirable strategies for organizational diagnosis will be suggested as follows: sharing diagnosis goals, acquiring cause and effect of diagnosis, building persistent diagnosis, setting custom-made diagnosis for institutions, and building cooperative diagnosis system. The management method of diagnosis for persistent validity and relevance in government organizational will be recommended as follows: organizational leader's active role, diagnosis practitioner's professional role, organic diagnosis relationship among diagnosis modules, enhancing the manuel and index for organizational diagnosis, the evaluation and usage of the diagnosis results. The review of theoretical diagnosis, the diagnosis strategies and the diagnosis management will clear the identity and contents of organizational diagnosis. And it will improve the validity, relevance and acceptance for organizational diagnosis. This paper will pave the way for usable alternatives for administrative reform or reorganization by elaborating the government organizational diagnosis considering generalization and specificity. This paper will imply the legitimacy of organizational diagnosis by enhancing public administrative service and state competency.

      • KCI등재

        한방진단함수개발에서 진단정확률과 진단성공율을 이용한 전문가 수의 결정 -형상의학을 중심으로-

        김규곤,이용태,김종원,김경철,지규용,이인선,전수형,강창완 한국자료분석학회 2011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13 No.6

        When diagnosis functions of Oriental Medicine are developed, true values of diagnosis are made use of medical specialist' diagnosis and observed values are the data obtained in clinical trial. In this study, we seek for the number of medical specialist providing the true values of diagnosis functions. Data used in this study are the 3D facial data of clinical trial for 780 cases totally composed of 504 men and 276 women who visited Oriental Medical Hospital of D and K University from 13 October 2009 to 14 December 2009. Five medical specialists are participated in the facial clinical diagnosis, and 3D data are collected as follows. Facial shapes are embodied by 3D facial scanner firstly, and 3D coordinates of 54 points are obtained by pointing the facial surface, then the number of analysis variables are 328 items totally composed of height, breadth, angle, area, oblique line length which are transformed by the converting program. In statistical analysis, we use stepwise discriminant analysis to select analysis variables, and use linear discriminant analysis to obtain the correct rate of diagnosis functio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Based on the maximum value of diagnosis correct rate, two medical specialists' diagnosis are recommended for the true values of diagnosis in all levels of category of facial shape. Based on the minimum value of diagnosis correct rate, four specialist' diagnosis in 2 levels of category, two specialist' diagnosis in 4 or 5 levels of category. Based on the maximum or minimum value of diagnosis success rate, four medical specialist' diagnosis are recommended for the true values of diagnosis in 2 or 5 levels of category of facial shape, three specialist' diagnosis in 4 levels of category. 한의학의 진단함수를 개발할 때 전문가의 진단결과를 진단의 참값으로 사용하고 이에 대한 관측값으로 임상시험에서 얻은 데이터를 사용하고 있는데, 이때 진단함수의 참값을 제공하는 전문가의 숫자를 결정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본 연구에서 사용하는 데이터는 2009. 10. 13. - 2009. 12. 14 사이에 D대학교와 K대학교의 부속한방병원에서 시행한 임상시험에 참여한 남자 504명, 여자 276명, 합계 780명에 대하여 3차원 얼굴 전용 스캐너를 사용하여 구현된 얼굴형상 데이터이다. 진단의 참값으로 사용하는 전문가의 진단결과는 구현된 얼굴형상을 5명의 전문가가 관찰하여 진단한 결과이다. 관측값으로 사용하는 데이터는 구현된 얼굴형상 위에 54개의 특징점을 포인팅하여 3차원 좌표를 얻은 다음, 데이터 변환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각 점들간의 수직거리, 수평거리, 각도, 면적, 사선길이 등을 계산한 총 328개의 3차원 얼굴형상 데이터이다. 3차원 얼굴형상 데이터에 대한 변수선택방법은 단계별판별분석을 이용하고, 형상진단의 진단정확률은 선형판별분석을 이용하고 있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진단정확률의 최대값을 기준으로 할 때는 형상유형의 범주의 모든 수준에서 전문가 2명의 진단결과를 진단의 참값으로 사용하고, 진단정확률의 최소값을 기준으로 할 때는 형상유형의 범주가 2수준인 경우에는 전문가 4명, 4수준 또는 5수준인 경우에는 전문가 2명의 진단결과를 진단의 참값으로 사용하는 것이 안정적인 진단함수를 구할 수 있다. 그리고 진단성공율의 최대값을 기준으로 하거나 최소값을 기준으로 하거나 모두 형상유형의 범주가 2수준 또는 5수준인 경우에는 전문가 4명, 4수준인 경우에는 전문가 3명의 진단결과를 진단의 참값으로 사용하는 것이 안정적인 진단함수를 구할 수 있다.

      • KCI등재

        웹취약점 자동진단 개선방안

        김태섭,조인준 한국콘텐츠학회 2022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2 No.2

        Due to the development of smartphone technology, as of 2020, 91.9% of people use the Internet[1] to frequently acquire information through websites and mobile apps. As the number of homepages in charge of providing information is increasing every year, the number of applications for web vulnerability diagnosis, which diagnoses the safety of homepages, is also increasing. In the existing web vulnerability check, the number of diagnostic personnel should increase in proportion to the number of homepages that need diagnosis because the diagnosticians manually test the homepages for vulnerabilities. In reality, however, there is a limit to securing a web vulnerability diagnosis manpower, and if the number of diagnosis manpower is increased, a lot of costs are incurred. To solve these problems, an automatic diagnosis tool is used to replace a part of the manual diagnosis. This paper explores a new method to expand the current automatic diagnosis range. In other words, automatic diagnosis possible items were derived by analyzing the impact of web vulnerability diagnosis items. Furthermore, automatic diagnosis identified possible items through comparative analysis of diagnosis results by performing manual and automatic diagnosis on the website in operation.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replace manual diagnosis for possible items, but not all vulnerability items, through the improvement of automatic diagnosis tools. This paper will explore some suggestions that can help improve plans to support and implement automatic diagnosis. Through this, it will be possible to contribute to the creation of a safe website operating environment by focusing on the parts that require precise diagnosis. 스마트폰 기술의 발전으로 인하여 2020년 기준 전 국민의 91.9%가 인터넷 이용[1]하여 수시로 홈페이지와 모바일 앱을 통해 정보를 습득하고 있다. 정보제공을 담당하는 홈페이지의 수가 점점 늘어남에 따라 홈페이지의 안전성을 진단하는 웹취약점 진단 신청수도 매년마다 증가하고 있는 상황이다. 기존 웹취약점 점검은 진단원이 수작업으로 홈페이지를 모의 해킹하여 취약점을 진단했기 때문에 진단대상 홈페이지 수에 비례하여 진단인력이 늘어나야한다. 하지만 현실적으로 웹취약점 진단인력 확보에 한계가 있고, 진단인력을 늘렸을 경우 많은 비용이 발생한다. 이러한 문제점 해결을 위해 자동진단 도구를 사용하여 수동진단의 일부를 대체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현재의 자동진단 범위를 확대하기 위한 방안을 새롭게 제안하였다. 즉, 웹취약점 진단항목의 영향도를 분석하여 자동진단 가능 항목을 도출하고, 실제 운영 중인 홈페이지에 수동 및 자동진단을 수행하여 진단결과에 대한 비교 분석을 통해 자동진단 가능항목을 파악하였다. 또한 자동진단 개선방안을 제시하여 자동진단 도구 개선을 통해 모든 취약점 항목은 아니지만 가능한 항목에 대해서 수동진단을 대체할 수 있다. 이를 통해서 진단 및 정밀진단이 필요한 부분에 집중하여 안전한 홈페이지 운영환경 조성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개인정보 관리수준 진단제도의 진단 및 운영절차에 관한 개선방안

        신영진 한국사회안전범죄정보학회 2021 한국범죄정보연구 Vol.7 No.2

        공공기관을 대상으로 적용하고 있는 개인정보 관리수준 진단제도가 2008년 도입되어 현재까지 운영 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 실효성을 얻는 데 한계가 있었다. 더욱이, 국내외적으로 개인정보처리환경 은 급격히 확대되고 있는데 반해, 개인정보 관리수준 진단제도가 제도적 제약으로 인해 공공기관의 개인 정보보호수준을 향상시키는 견인적인 제도적 역할을 수행하지 못하는 상황이다. 따라서, 2020년 데이터 3법의 개정으로 신기술 적용분야에서의 개인정보 활용이 증가하는 현시점에서, 개인정보 관리수준 진단 제도를 공공분야뿐만 아니라 민간분야에서도 활용할 수 있는 제도로 그동안의 한계와 문제점을 개선하 여 활용성을 높일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개인정보 관리수준 진단제도의 개선을 위해 국내외 유사제도 30개를 분석하고, 실무자 및 전문가 대상의 심층분석을 통해 개선사항을 도출하였다. 그 결과, 첫째, 진단대상기관의 확대에 따라 자체진단 및 상시진단지원시스템 등을 활용한 자발적 개선을 가져오도록 하여야 한다. 둘째, 제도적 근거 로서 개인정보 보호법에 구체적으로 명시하고 그에 대한 지원체계를 갖추어야 할 것이다. 셋째, 그동안 추진된 서면심사 및 현장심사에 중점을 두기보다는 자체진단을 통해 현장컨설팅을 강화하고, 집중적인 진단이 수행되어야 한다. 넷째, 진단시기에 있어서 타제도와의 평가기간을 중복되지 않도록 하고, 상시적 입력을 통해 진단시기에 있어서 업무간소화가 이루어져야 한다. 이러한 개선을 통해보다 효율적인 제도적 운영으로 공공분야 뿐만 아니라 민간분야의 개인정보보호를 주도하는 제도가 되기를 바란다. Although the personal information management level diagnosis system applied to public institutions was introduced in 2008 and has been operating until now, there had a few limits to obtain its effectiveness. Moreover, while the personal information processing environment is rapidly expanding in domestic and abroad, the personal information management level diagnosis system cannot play a leading institutional role in improving the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level of public institutions due to institutional restrictions. Therefore, at the present time when the use of personal information in the field of application of new technology is increasing due to the revision of three Data related Acts in 2020, the personal information management level diagnosis system can be used not only in the public sector but also in the private sector.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usability. In this study, 30 similar domestic and foreign systems were analyzed to improve the personal information management level diagnosis system, and improvements were derived through in-depth analysis of practitioners and experts. As a result, first, in accordance with the expansion of diagnosis target institutions, self-diagnosis and regular diagnosis support system should be used to bring about voluntary improvement. Second, as an institutional basis, it should be specifically specified in the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Act and a support system should be established. Third, rather than focusing on the written and on-site examinations that have been promoted so far, the on-site consulting should be strengthened through self-diagnosis and intensive diagnosis. Fourth, the diagnosis period should not be overlapped with the evaluation period of other systems and work simplification should be made in the diagnosis period through constant input. it is hoped that more efficient institutional operation will lead to the protection of personal information in the private sector as well as in the public sector.

      • KCI등재

        골격 이형성증의 산전 진단에 있어서 초음파 및 분자 유전학적 검사의 유용성에 관한 고찰

        김정명 ( Jung Myung Kim ),김나연 ( Na Yeon Kim ),김지윤 ( Ji Yun Kim ),유시연 ( Si Weon You ),오관영 ( Kwna Young Oh ),박원일 ( Won Il Park ),이경아 ( Kyung A Lee ),김영주 ( Young Ju Kim ),전선희 ( Sun Hee Chun ),박미혜 ( Mi Hye P 대한산부인과학회 2010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53 No.6

        목적: 골격 이형성증의 산전 진단에 있어서 초음파 검사의 정확성 및 분자유전학적 검사의 유용성을 평가해 보고자 한다. 연구 방법: 1998년 3월부터 2005년 8월까지 이대 목동병원 및 을지대학병원에서 산전에 초음파 검사로 골격 이형성증이 진단되었던 17예와 그 중에서 골격 이형성증의 진단을 위하여 분자유전학적 검사를 실시하였던 7예와 골격 이형성증의 가족력이 있는 가계에서 임신 제1삼분기 때 분자유전학적 검사를 실시하였던 2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골격 이형성증의 최종 진단은 출생 후 방사선과적 검사와 분자유전학적 검사로 확진하였다. 결과: 골격 이형성증이 산전에 초음파로 진단된 평균 임신주수는 24.9주였고 (범위: 17~35주), 이중 9예 (53%)는 24주 전에 진단되었다. 골격 이형성증의 최종진단은 16예 (94.1%)에서 얻어졌고, 1예의 위양성 진단이 있었다. 최종 진단 결과 산전 진단은 14예 (82.4%)에서 정확하였다. 골격 이형성증의 진단을 위하여 8예에서 산전에, 1예에서 산후에 분자유전학적 검사를 실시하였으며 이를 통해 골격 이형성증의 예측 및 확진을 할 수 있었다. 산전 초음파상 이상소견을 보이지 않지만 골격 이형성증의 가족력이 있는 2예에서 임신 제1삼분기 때 융모막 융모 생검술을 시행하여 골격 이형성증을 배제할 수 있었다. 결론: 산전 초음파 검사는 태아의 골격 이형성증을 진단하는 데 매우 우수한 진단 방법이며 특히 예후가 치명적인 골격 이형성증을 정확히 진단할 수 있었다. 또한 분자유전학적 검사 가족력이 있는 가계에서 산전 초음파로 진단이 불가능한 임신 제1삼분기 때 빠르게 골격 이형성증을 진단할 수 있으며 비치사성 골격 이형성증인 경우 산전 초음파상 비특이적인 소견을 보여 진단하기 어려울 때 확진검사로 이용할 수 있다. Objective: To determine the accuracy and usefulness of prenatal ultrasonographic and molecular genetic diagnosis in detection of skeletal dysplasia. Methods: This study was based upon data of the 17 cases of skeletal dysplasia diagnosed by prenatal ultrasound and 7 cases by molecular diagnosis performed among the 17 cases and the 2 cases who has familial skeletal dysplasia by molecular diagnosis during the first trimester at Ewha and Eulji University from March 1998 to August 2005. A final diagnosis was sought on the basis of radiographic studies, molecular testing, or both. Results: The mean gestational age at diagnosis was 24.9 weeks (range, 17 to 35 weeks). Nine cases were diagnosed before 24 weeks. A final diagnosis was obtained in 16 cases (94.1%). There was 1 false-positive diagnosis. The antenatal diagnosis was correct in 14 cases (82.4%). The 8 cases were prenatally confirmed and 1 case was postpartum confirmed using molecular genetic testing and accurate antenatal diagnosis and prediction was done. We were able to rule out skeletal dysplasia through chorionic villus sampling during the first trimester in the 2 cases with the family history with skeletal dysplasia. Conclusion: Prenatal diagnosis of skeletal dysplasia can be a considerable diagnostic challenge. However, skeletal dysplasia is correctly diagnosed on the basis of prenatal meticulous ultrasound and antenatal prediction of lethality was highly accurate. Using prenatal molecular diagnosis, skeletal dysplasia can be diagnosed at first trimester of pregnancy and nonlethal skeletal dysplasia can be confirmed when prenatal ultrasound was nonspecific.

      • KCI등재

        학습장애 진단에 대한 의사관점 연구

        이경미,변찬석 한국학습장애학회 2015 학습장애연구 Vol.12 No.1

        Recently, the number of students with learning disabilities has been reducing every year and it is exposed that this phenomenon is related with the problems on the diagnosis of learning disability. Also, the identification process of learning disability in the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of Korea has been accepting not only materials of education institutes but also those of medical institutes. In this reality on the Diagnosis of Learning Disability, it must have been considered for depth and holistic understanding that is, both educational perspectives and medical perspectives, because learning disability is likely to be highly co-existed ADHD and emotional disabil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and explain holistically for the medical doctors’ perspective on the diagnosis of learning disability. The method of study is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 as qualitative research, and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selected six medical doctors(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ist 5, general psychiatrist 1) who have experience in learning disability in hospital field and have conducted personal depth interview. The result of the study is all about medical doctors’ perspective which mentioned the relationship of the difficulties in diagnosis of learning disability. First, medical doctors were worried about the dangers of diagnosis of learning disability that is, all children who are low in academic score are regarded as subjects for diagnosis of learning disability. Second, medical doctors agree that difficulties in diagnosis of learning disability begin with difficulties that diagnose the cause of learning disability. And medical doctors recognized the first, and second perspectives have already made the problems harder in reality, as the controversy of diagnosis of learning disability arise. Third, it could be confirmed that medical doctors exerted efforts in order to have a good diagnosis of learning disability. Based on these results, these are some of the suggestions discussed for medical diagnosis of learning disability. 최근, 학습장애 출현률이 매년 감소하고 있는 추세이며, 이러한 현상이 학습장애 진단의 문제점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우리나라 교육부에서 제시한 학습장애 선정과정에서는 교육 및 의료기관의 진단자료를 수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학습장애 진단현실에서 ADHD 및 정서장애와 중복될 가능성이 높은 학습장애 진단에 대한 지원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교육적 관점 이외에도 의료적 관점에서의 심층적이고 총체적인 이해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본 연구의 목적은 학습장애 진단에 대한 의사관점을 총체적으로 이해하고 설명하기 위함이다. 연구방법은 질적연구의 현상학적 연구방법으로서 학습장애 임상경험이 있는 의사 6인(소아청소년정신과 전문의 5, 일반정신과 전문의 1)을 참여자로 선정하여 개별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의사들은 모두 ‘학습장애 진단의 어려움’에 대한 관점을 기술하고 있었다. 첫째, 의사들은 공부를 못한다고 해서 모두 학습장애로 진단하는 위험성에 대해 우려하고 있었으며, 둘째, 의사들은 학습장애 진단의 어려움이 학습장애의 원인진단에서 시작되는 것에 동의하고 있었다. 이러한 두 가지 관점이 학습장애 진단에 대한 논란으로서 현실에서도 이미 고착화 된 문제임을 의사들은 인식하고 있었다. 셋째, 학습장애 진단을 잘하기 위한 의사들의 노력들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학습장애 의료적 진단에 대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문학치료를 위한 자기서사 진단과 해석 연구 -MMSS 진단지의 성격과 구성, 해석과 활용-

        신동흔 한국문학치료학회 2020 문학치료연구 Vol.54 No.-

        This study develops a diagnostic tool for literary therapy, and discusses its characteristics and interpretation methods. Literary therapy focuses on the diagnosis and coordination of story-in-depth of self (SIDS) as the literature that drives life. Accurate diagnosis of SIDS is an important starting point for literary therapy consultation. This study discusses the Magic Mirror for the Story-in-depth of Self (MMSS) diagnostic paper as a new diagnostic tool that can comprehensively diagnose the existential and relational characteristics of SIDS. MMSS is different from existing psychological and personality diagnostic tools. It aims for the prosecution of narrative through narrative. The object of diagnosis is SIDS and the medium is story-in-depth of text (SIDT). MMSS diagnosis is literary, structural, and contextual. It pursues qualitative diagnosis through aesthetic projection and promotes a test that anyone can participate in, in comfort. MMSS diagnosis will serve as a guide to discover the cues and entrances of literary therapy counseling activities. Since submitting the first draft in 2018, MMSS has been revised in form and composition through a multifaceted verification process. Over 60 kinds of tales were used as SIDT and more than 400 questions were tested. As a result of the revision, MMSS evolved into a comprehensive questionnaire with multiple choice questions and narrative questions. The full MMSS diagnosis sheet has 171 questions linked to 26 stories, and 7 free narrative questions. In addition to Korean tales, folk tales from Europe and Asia were included for diagnosis. It is expected that MMSS will be used worldwide in the future because it includes stories with high universal circularity. Eventually, the MMSS for children will be verified and released. Analyzing MMSS diagnostic results is a difficult and complex task that requires expertise. Only experts with narrative analysis ability can make valid interpretations. The basic principle is to find the narrative reaction that reflects the characteristics of SIDS’ motif and structure, and point out the logical and narrative connection. It is prohibited to evaluate or judge the client's SIDS with MMSS diagnosis only. Valid diagnostic evaluation can be confirmed through a follow-up consultation process. In this paper, the basic principle and direction of the interpretation of MMSS diagnostic results are explained. Producing relevant manuals in the near future will enable literary therapists to conduct tests, interpretations, and counseling activities effectively and appropriately. 이 연구는 문학치료 현장 상담활동을 위한 진단도구를 개발하여 그 성격과 구성, 해석 체계 등을 논의한 것이다. 문학치료학은 인생을 움직이는 문학으로서 자기서사의 진단과 조정을 주요 과제로 삼거니와, 내담자 자기서사의 정확한 진단은 문학치료 활동의 기본 바탕이 된다. 이 연구에서는 자기서사의 존재적 측면과 관계적 측면을 종합적이면서도 다각적으로 짚어낼 수 있는 진단도구로 새롭게 개발한 MMSS 진단지에 대하여 그 개발 경과와 특징, 해석 방법을 논하였다. MMSS 진단은 기존의 심리검사나 성격검사와 기본 성격을 달리한다. 그것은 ‘서사를 통해 서사를 짚어내는 검사’를 표방한다. 진단의 대상은 자기서사이고, 매개체는 작품서사이다. 작품서사에 대한 반응과 공명을 다각적으로 확인 점검하여 사람들의 이면에 깃들어 있는 자기서사의 특성과 맥락을 짚어내는 방식을 취한다. 그것은 미적 투사를 통한 질적 진단을 추구하며, 누구나 편안히 참여할 수 있는 즐거운 검사를 표방한다. MMSS 진단은 문학치료 상담활동의 유효한 단서와 입구를 찾아주는 한편으로 문학치료 과정이 의미 있게 진행될 수 있도록 하는 길잡이 구실을 할 것이다. MMSS 진단지는 2018년 3월에 1차 시안을 제출한 뒤로 1년 이상의 기간에 걸친 실행적 검증 과정을 거치면서 형태와 구성을 지속적으로 수정해 왔다. 60종 이상의 설화를 작품서사로 삼는 가운데 400개 내외 문항에 대해 유효성을 검증했다. 300건 이상의 검사를 행하고 60명 이상의 내담자를 대상으로 한 진단상담을 거치면서 수정을 거듭한 결과 객관식 선택형과 간단서술형, 자유서술형이 어우러진 입체적인 서사반응 검사지로 완성할 수 있었다. 정식판 MMSS 진단지는 총 26개 설화에 결부된 171개 문항과 7개의 자유서술형 문항으로 구성돼 있다. 적용된 설화는 한국 민담 외에 독일 민담을 비롯한 외국 설화들을 포함한다. 해외에서의 활용까지 염두에 두는 가운데 서사적 원형성이 두드러지고 진단 효과가 높은 이야기들을 진단용 서사로 선정했다. 총 15종의 설화를 적용한 아동용 MMSS 진단지 시안도 함께 개발했으며, 검증을 거쳐 정식판을 완성할 예정이다. MMSS 진단 결과의 분석은 전문성을 필요로 하는 미묘하고 복잡한 작업이다. 서사분석 능력을 갖춘 전문가들만 유효한 해석을 행할 수 있다. 그 기본 원리는 자기서사의 특징을 단적으로 보여주는 유의미한 서사반응을 화소 및 구조, 그리고 작품 차원에서 다각적으로 찾아내고 그 반응 간의 논리적이고 서사적인 연관을 짚어낸다고 하는 것이다. 다만 MMSS 진단지 작성결과만 가지고서 내담자의 자기서사를 섣부르게 판정하고 평가하는 것은 위험한 일로서 금지 대상이 된다. MMSS는 후속 진단상담 및 치료상담 과정을 위한 단서와 입구, 통로로서 활용하는 것이 합당하다. 논문에서 MMSS 검사결과 해석과 상담 프로세스의 연계 방안에 대해 기본 체계를 설명했거니와, 향후 상세 매뉴얼 개발을 통해 문학치료사들이 진단과 해석, 상담치료 활동을 유효하게 행할 수 있도록 할 것이다.

      • KCI등재

        국민참여 조직진단을 통한 경찰의 과학수사 조직 개선방안 연구

        전용재,김승현,서우승,김연수 한국경찰연구학회 2019 한국경찰연구 Vol.18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ggest ways to improve the Scientific Investigation Unit through the Citizen Participation Organizational Diagnosis. The Citizen Participation Organizational Diagnosis was conducted from March 25, 2019 to April 25, 2019, and was conducted through the process of recruiting the voluntary participants online, online pre-workshop, on-site diagnosis, intensive discussion, and results reporting meeting. For the on-site diagnosis, 24 people participated in the each two regional scientific investigation teams, respectively, at the Seoul Metropolitan Police Agency, Gyeonggi Nambu Provincial Police Agency, and Chungnam Provincial Police Agency. The opinions of the citizen participation group on the Scientific Investigation Unit derived from the organizational diagnosis are as follows. 1. Securing excellent crime scene investigators with expertise(priority placement of new police officers, alternative service for medical examiners by coroners, utilization of retirement police officers), 2. Securing efficiency through selective dispatch system, 3. Eliminating alienation culture, Resolution, 4. Diversification of training methods, 5. Management of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Among these, new police officers' prioritization and selective dispatch system were considered to be limited in implementation, but the remaining proposals are generally worth introducing into organizational innovation and improvement. Citizen Participation Organizational Diagnosis can make a great contribution to securing democracy and publicity in that the organizational diagnosis and policy-making are made through the public's perspective rather than the organizational diagnosis by some expert groups. In addition, if the limitations identified through this study are overcome, it is expected to be a useful method of organizational diagnosis. 이 연구는 국민참여 조직진단 방식을 통해 경찰의 과학수사 조직의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국민참여 조직진단은 2019년 3월 25일부터 동년 4월 25일까지 진행되었고, 온라인을 통한 국민참여단 모집, 온라인 사전워크숍, 현장진단, 집중토론, 결과보고회 등의 절차로 진행되었다. 현장진단은 서울지방경찰청, 경기남부지방경찰청, 충남지방경찰청에 각각 2개 광역과학수사팀에 24명의 국민참여단이 참가하였다. 현장진단과 집중토론, 결과보고회를 통해 도출된 과학수사부서에 대한 국민참여단의 개선의견은 전문성을 함양한 우수과학수사요원 확보(신임 경찰관의 우선배치, 의사면허 취득자의 검시조사관 대체복무제, 퇴직경찰관의 활용), 선별적 출동제를 통한 효율성 확보, 조직소외문화 해소, 교육훈련 방식의 다양화,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관리 등이 집중적으로 토론되었다. 이 가운데, 신임경찰관 우선배치 및 선별적 출동제는 시행에 한계가 있는 것으로 검토되었으나, 나머지 제안사항 등은 대체로 조직혁신과 개선에 도입해볼 가치가 있다고 보았다. 국민참여 조직진단은 일부 전문가 집단에 의한 조직진단 방식이 아닌 일반 국민의 시각을 통해 조직진단을 하고 정책결정을 시도한다는 점에서 민주성과 공공성 확보에 큰 기여를 할 수 있을 것이다. 더불어 이 연구를 통해 확인된 한계점을 극복한다면 국민참여 조직진단은 조직진단의 유용한 활용방편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 철도교통안전진단제도 발전방향 제시

        정연욱(Yeun Wook Jung),이주영(Ju Young Lee),김영선(Young Sun Kim),노남진(Nam Jin Noh),이승열(Seung Yeoul Lee),송병호(Byung Ho Song) 한국철도학회 2015 한국철도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2015 No.10

        철도실시설계단계에서 이용자 중심의 안전성을 강화하고자 교통안전법 및 교통안전진단 지침이 개정됨으로써 14 년 10 월 13 일 철도교통안전진단제도가 시행되었다. 이후 중앙선, 하남선 등 15 개 철도건설사업 실시설계에 대하여 철도교통안전진단이 시행되었고, 그 결과 이용자 및 열차운행측면에서의 안전위험요인이 도출 및 개선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철도교통안전진단제도가 보다 더 실효성 있게 시행될 수 있도록 진단대상 · 진단시기 등을 명확화 하였고, 진단항목 고도화를 위하여 기존 진단항목 보완 및 신규진단항목을 개발하였다. 이와 함께, 철도교통안전진단에 대한 평가제도 도입의 필요성 및 시행방안을 제시하였다. To enforce safety of passenger at enforcement design stage of rail, Railroad Traffic Safety Diagnosis is introduced at Oct 13, 2014 by revising Traffic Safety Act and Traffic Safety Diagnosis. Railroad Traffic Safety Diagnosis is implemented about enforcement design which is for 15 railroad construction like Jung-Ang Line and Ha-Nam Line, therefore, danger factors about safety are deducted and improved in respect of passenger and train operation. In this study, diagnosis object, diagnosis time and other article are clarified for effectiveness of the Safety Diagnosis and diagnosis articles are supplemented and developed for enhancement. In addition, necessity and execution plan of evaluation system are propo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