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도시철도의 운행시간 단축을 위한 급행열차운행에 관한연구
이기형,이태규,김흥기,이한용 한국도시철도학회 2018 한국도시철도학회논문집 Vol.6 No.2
Korea’s urban railway was opened in 1974. This is in third opening in Asia. Urban railway contributed to shortening commute time of users. However, recent commuting time is continuous increasing Therefore, this study investigates the present Express train and Metro operation at seoul and Kyungi province. After trade-off study of side track, headway, train diagram, the paper suggest how to speed up Kyung-ui, Suin, and Ansan line. This shows what should be included in the coming metro line construction to improve efficiency and reduce commuter time. 한국의 도시철도는 1974년 개통하였다. 이는 아시아에서 3번째로 도시철도를 개통한 것이다. 도시철도는 도시인의 출퇴근시간 단축에 많은 기여를 하였다. 그러나 최근에는 도시철도의 출퇴근시간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그래서 본 연구에서는 수도권 도시철도의 노선별 급행열차 운행현황 및 기존의 연구내용을 조사하고, 대피선 적정성 검토, 열차운행간격, 열차 다이어그램 분석을통하여 경의선, 수인․안산선의 급행화 방안을 제시하고, 중장기적으로 도시철도 건설에 반영해야 할사항을 제시하여 향후 도시철도 건설에 효율성을 향상하고, 출퇴근시간을 단축하여 이용자가 편리하게 철도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이승원,이동엽 한국도시철도학회 2024 한국도시철도학회논문집 Vol.12 No.3
철도 사고는 국가와 개인 모두에게 큰 영향을 미치므로 높은 수준의 안전이 요구된다. 아울러 철도 운영 및 유지보수 각 분야에서는 각기 다른 역량을 필요로 한다. 우리나라에서는 적합한 종사자를 선발하기 위하여 철도 적성검사를 시행하고 있지만 기존 철도 적성검사에서는 최근 철도업무 특성을 충분히 반영하지 못하고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연세대학교 인간행동 연구소와 한국철도공사 휴먼안전센터에서는 2018년부터 2년에 걸쳐 새로운 철도 적성검사를 개발하여 2020년 10월부터 시행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2020년부터 시행하고 있는 철도 적성검사의 직렬별 비교 결과를 분석하고, 하위 항목 간 상관관계를 조사 및 분석하였다. 그 결과 운전-장비와 신호-관제 직렬 간에 유의미한 차이를 발견하였다. 또한 검사 항목 간 상관관계 분석에서 하위 항목 간 중간 정도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고, 검사 항목 구성의 적정성과 그 타당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철도 적성검사의 직렬별 특성을 분석하고, 검사로서의 타당성을 확인할 수 있었는바, 이는 더욱 안전하고 신뢰할 수 있는 철도 운영 및 유지보수 관련 종사원 양성과 관리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Railroad accidents significantly impact both the nation and individuals, necessitating high levels of safety. Furthermore, various fields within railroad maintenance and driving require different competencies. In South Korea, railroad aptitude tests are conducted to select suitable personnel, but previous tests did not adequately reflect the recent characteristics of railroad work. To address this issue, Yonsei University’s Human Behavior Research Institute and the Korea Railroad Corporation Human Safety Center developed a new railroad aptitude test over two years, starting in 2018, and it has been implemented since October 2020. This study analyzes the results of the new railroad aptitude test by job category since its implementation in 2020, investigates and analyzes the correlations between sub-items, and identifies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rain drive-equipment and signal-control job categories. The analysis also reveals moderate correlations between sub-items, validating the appropriateness and validity of the test items. This research not only provides insights in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railroad aptitude test by job category but also confirms its validity as a test. It is expected to play a crucial role in the training and management of personnel involved in safer and more reliable railroad operations and maintenance.
철도 안전관리체계 개선방안 연구 – 신뢰성 분석을 중심으로
이찬우(Lee, Chan Woo),구병춘(Goo, Byeong Choon),강중철(Kang, Jung Chul) 한국도시철도학회 2021 한국도시철도학회논문집 Vol.9 No.1
국토교통부는 철도안전법 제7조의 “안전관리체계의 승인”규정에 따라 철도운영기관이 철도안전법에서 정한 안전관리 기준에 맞게 철도안전관리체계(SMS)를 갖추고 있는지를 관리하는 임무를 한국교통안전공단에 위임하여 매년 정기·수시 검사를 시행하게 하여 승객이 안심하고 철도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철도안전법에 따라 국내 모든 철도운영기관은 철도안전관리체계를 수립하고 승인을 받아 운영하고 있으나 아직 개선할 부분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주요 운영기관의 철도안전관리체계 중 신뢰성 중심 유지보수 (RCM) 부분에 관련된 내용에 대한 현황분석을 통해 RCM 분석체계 수립, RCM 업무 프로세서, 그리고 RCM 분석용 데이터 관리방안에 대한 개선책을 제시하였다. Based on the Railway Safety Act, the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through Korea Transportation Safety Authority, supervises railway operating institutions to establish a railway safety management system (SMS) in accordance with safety management standards set by the railroad safety act. On behalf of the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the Korea Transportation Safety Authority performs regular checks and checks based on SMS to ensure the safety of railways passengers. According to the Railroad Safety Act, all domestic railroad operating institutions have established railroad safety management system and operate with approval, but there is still room for improvement. In this study, we have reviewed the railway safety management system of major domestic operating institutions and presented some improvements about reliability centered maintenance.
한국 철도역사 건축디자인 개선을 위한 해외 지침 사례연구
강혁진(Hyuk-Jin Kang) 한국철도학회 2016 한국철도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2016 No.10
본 연구는 한국 철도역사 건축디자인 개선을 위한 해외 철도역사 건축디자인 지침의 사례연구로 미국과 영국의 디자인지침을 중심으로 한국의 설계기준과 비교 분석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미국 암트랙의 철도역 프로그램과 계획 가이드라인(2013)과 영국 네트워크 레일의 철도역 설계 원칙(2015)을 사례분석의 대상으로 삼고 한국철도시설공단의 철도설계지침 및 편람과 비교하여 그 차이와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해외 디자인 지침은 현대 철도건축의 지닌 도시 건축적 중요성과 기술의 발전에 맞추어 디자인의 질적 향상을 위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하고 있으며 그 내용을 한국 설계기준과 비교하였다. 그 결과, 한국 철도건축설계기준 개선을 위하여 통합적 디자인 원칙 마련이 요구되고, 이용수요 중심의 철도건축유형 재정립, 그리고 철도건축설계 프로세스의 지침화가 필요하다. This is a case study of overseas railway station design guidelines for the improvement of Korean railway design and focused on the US (Amtrak’s Station Program and Planning Guideline, 2013) and UK (Network Rail’s Station Design Principles, 2015) railway design guidelines. This study is aim to compare these two guideline with Korean design guideline and to find the differences and potential values. Both of two guidelines have indicated design principles for the design improvement which is adapted to the current urban architectural importance of railway station and the advanced technologies. As a result, for the improvement of design quality of Korean railway station, the Korean design guidelines need to set up integrated design principles, to re-categorize the building types based on the user-demand and to designate the design process in the design guideline.
노병국(Byoung-Kuk Roh),김용배(Young-Bea Kim),진학기(Hak-Ki Jin) 한국철도학회 2011 한국철도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2011 No.10
최근 정부는 지속가능한 녹색성장을 위하여 도로 중심의 교통체계에서 친환경·고효율의 교통수단인 철도중심의 교통체계로의 전환을 적극 추진하고 있다. 철도망을 통해 국토를 통합·다핵·개방형 구조로 재편하고자 철도부문 최상위 계획인 제2차 국가철도망구축계획을 고시('11.4)하였으며 전국 주요거점을 일상 통근시간대인 1시간 30분대로 연결하여 하나의 도시권으로 통합하고자 하고 있다. 그러나 SOC 사업의 타당성분석을 위한 비용편익분석방법론에는 철도사업의 특성이 반영되지 않아 철도사업이 도로 사업에 비해 불리한 실정이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하여 철도시설공단에서는 철도투자 평가체계 개선방안 연구를 시행하였으며 기획재정부에서는 철도투자평가체계 개선방안에 대한 많은 내용을 도입하여 철도부문 예비타당성조사에 대한 개선사항을 예타지침에 적용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철도투자 평가체계 개선방안에서 주요하게 논의된 사항인 분석기간 할인율 통행시간절감편익 교통사고절감편익 차량대체 투자비 및 고속철도 운영유지보수비 부분에 대한 고찰을 하였으며 아울러 추가로 연구되어야할 부분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한다. 이러한 개선 방안들이 향후 철도부문 타당성평가 방법론에 반영됨으로써 합리적·객관적인 철도투자 평가체계 구축이 가능할 것이며 또한 선순환적인 철도투자가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Recently The government is actively transit road-oriented Traffic System to the eco-friendly and high-efficiency railroad-oriented transportation system for the sustainable green growth. The second plan of Nationwide Railway Network which has been officially announced rearrange to integration multi-core open architecture country by the railway network and integrate to the one mega city that rink an important city in one hour 30 minute. But the railroad industry is disadvantageous when it compares with the road industry on the ground that railroad industry peculiarities(a cost-benefit analysis an environment value etc) have not reflected in the (preliminary) feasibility study for SOC industry. The government establish Improved methodology of Rail Investment Rating System and improved preliminary feasibility study in railroad project by introduction many content(analysis periods rate of discount the benefits of shortening of transit hours the estimation of traffic accident reduction benefits investment cost of vehicle substitution and operation and maintenance cost of high speed rail) about the Improved methodology of Rail Investment Rating System. This study is intended to consideration the key content that was included in the Improved methodology of Rail Investment Rating System. In addition the points to be considered for additional study have been reviewed in this study. We hope we will carry out make a reasonable and objective Rail Investment Rating System and to perform the railway industry of the virtuous cycle such improvement plans are reflected at a hereafter railroad se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