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강창완,김규곤,최승배 한국자료분석학회 2018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20 No.6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founded in 1998 has played the role of a major application journal. In this study, we checked the objective of this journal by checking the abstracts for 10 years. Abstract data was crawled from the online journal site (kdas.jems.or.kr) and analyzed by topic model. As a result, we found 18 topics from 2680 abstracts that had several contents, for example, nursing, marketing, economics, regression, factor analysis, data mining and statistical inferences. Topic1 (regression) is most frequent with 460 documents and we found the usefulness of regression in the applied science area. We confirmed the significant 10 association rules using by Fisher’s exact test. Also, for exploring the trend of topics, we conducted the topic analysis for two periods which are 2006-2011 period and 2012-2016 period. We found that the control study was more frequent than survey study over time and regression and factor analysis were frequent regardless of time. 1998년에 창립한 한국자료분석 학회지는 자료분석에 기반한 다양한 전공분야를 위해 현재까지 응용학회지로서 역할을 해오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한국자료분석 학회지의 본연의 목적을 잘 수행해오고 있는지 최근 10년간 학회지 요약문을 통해 분석하였다. 분석은 한국연구재단에서 제공한 온라인 저널 홈페이지를 통해 2006년부터 2016년까지의 영문 요약문 2680개를 웹크롤링하여 토픽모델을 적용하였다. 분석결과로 18개의 토픽이 선정되었으며 이에 대한 토픽을 해석한 결과 자료분석학회지는 간호학, 경영학(마케팅), 경제학 등 여러 분야를 다루고 있으며 분석방법으로 회귀분석, 가설검정, 데이터마이닝(연관성분석), 요인분석 등이 많이 이용되고 있음을 볼 수 있었다. 그리고 단어들의 연관성(association rule)분석을 통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한 연관성 규칙 10개를 제시하였다. 여기서 연관성규칙의 통계적 유의성검정은 피셔의 정확검정(Fisher’s exact test)을 사용하였다. 또한 연구주제(토픽)의 변화를 살펴본 결과 전반기에는 조사연구가, 후반기에는 대조 연구가 많아졌음을 볼 수 있고 또한 회귀분석과 요인분석은 전, 후반기 구분 없이 자료분석에서 공통적으로 많이 사용하는 통계적 방법임을 알 수 있었다.
집까마귀(가칭: Corvus splendens) 국내 관찰기록
강창완,김은미,이호상,지남준 한국조류학회II 2019 한국조류학회지 Vol.26 No.2
An House Crow(Corvus splendens) was observed on Deokjeok island including Deokjeok-myeon, Ongjin-gun, Incheon Metropolitan City on 16 October 2018. We record the unrecorded species in the Republic of Korea. 2018년 10월 16일에 인천광역시 옹진군 덕적면에 속하는 덕적도에서 집까마귀(Corvus splendens) 1개체가 관찰되었다. 이번에 관찰기록은 있으나 국내 미보고된 종인 집까마귀를 보고하고자 한다.
강창완,윤치연 한국자료분석학회 2005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7 No.4
Recently there are many concerns about the developmental Inventory. However, in Korea, instrument that meet korean needs was not developed. Chiyeon Yoon(2005) suggests the Korean Developmental Inventory for Preschoolers in pilot study. But too many items in his inventory cause the difficulties in responses. Then, we propose the method of choosing the items using by the Rasch model and classical test theory. 최근 한국형 유아발달검사에 관한 관심이 집중되면서 한국형 발달검사 개발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이유로는 국내의 유아발달 검사도구들이 상당부분 외국의 검사도구들을 국내에 소개하는 데 그치고 있거나, 대부분 전문가가 아니면 사용하기가 힘들고, 특정 발달영역에만 국한하여 개발되어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가운데, 윤치연(2005)의 예비연구는 유아의 여러 발달 영역을 통합한 한국형 발달검사 도구를 제안하고 있으며 본 연구에서는 Rasch 모형과 고전검사이론을 이용하여 제안된 발달검사 문항의 양호도를 분석하고 문항선택의 기준을 제시함으로써 한국형 유아발달검사 도구를 제안하고자 한다.
한국미기록종 적갈색따오기(가칭: Plegadis falcinellus)의 국내 첫 기록
강창완,김은미,박진영,김화정,황재웅,강희만,이영선 한국조류학회II 2019 한국조류학회지 Vol.26 No.1
2018년 4월 20일에 제주도 제주시 한경면 용수리 습지에서 적갈색따오기(Glossy Ibis, Plegadis falcinellus, 가칭) 3개체가 관찰되었다. 적갈색따오기는 용수리와 용당리 습지에서 한 달 가량 머물렀으며, 이번 관찰은 한국에서의 첫 기록이다. Three Glossy Ibises (Plegadis falcinellus) were observed at Yongsu-ri, Hangyeng-myeon, Jeju-si, Jeju-do on 20 April 2018. These birds stayed about one month at Yongsu-ri and Youngdang-ri, Hangyeng-myen, Jeju-si, Jeju-do. This report is the first record of these birds in the Republic of Korea.
강창완,노유식,김규곤,최승배 한국자료분석학회 2009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11 No.6
Logistic regression model has been widely used in datamining for forecasting problems. Recently, spatial predictive models have been concerned by many data-analysts and then the spatial logistic models have been studied by statisticians and data miners. In this paper, we suggest the spatial logistic regression model for finding the customers likely to transfer when the new competition market opens in the same area. We also illustrate the use of spatial modeling by the data of some fashion companies in Busan. Moreover, we compare our model with the spatial predictive model of Kwak's(2008). As a result, we show that the spatial logistic model has a similar accuracy of Kwak's model. 데이터마이닝에서 로지스틱 모형은 고객관계관리(CRM) 분야에 자주 사용되는 예측모형이다. 최근 고객들의 지리적 위치와 분포 정보를 고려한 공간예측 모형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로지스틱 모형에 고객들의 공간정보를 반영한 공간 로지스틱 모형이 개발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같은 지역에서 새로운 매장이 생겼을 때 기존 매장에서 이탈할 것 같은 위험 고객들을 찾기 위한 예측 모형으로 공간 로지스틱 모형을 제안하고, 곽영술(2008)의 공간예측모형과 비교하였다. 곽영술(2008)은 자택이나 직장에서 매장까지의 이동 거리(travel distance)를 기존 구매 장소에서 이탈할 수 있는 위험 고객을 찾기 위한 설명변수로 활용한 바 있다. 연구 결과에 의하면 부산에 있는 모 패션회사의 고객 데이터로 사용하여 두 공간예측모형을 비교한 결과 공간상관을 고려한 공간 로지스틱 모형이 모형평가 기준에서 곽영술의 모형에 뒤떨어지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Redox-Active Porous Organic Polymers for Energy Storage
강창완,Seung Uk Son 대한화학회 2021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Vol.42 No.2
This review introduces synthesis and energy storage applications of recent redox-active porous organic polymer (POP) materials. First, various redox-active molecular systems were summarized and then, synthetic examples of redox-active POP bearing the redox-active molecular moieties were described. Various synthetic strategies based on diverse coupling reactions of building blocks were described. In addition, postsynthetic modification strategies for the preparation of redox-active POP were described. Second, structures and electrochemical features of battery and pseudocapacitor devices were introduced. Then, electrochemical performance of various redox-active POP materials was summarized and described. Finally, merits and weak points of redox-active POPs as electrode materials were discussed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 was suggested.
남한에서 흰이마검둥오리(Melanitta perspicillata)의 첫 관찰기록
강창완,김은미,진경순,고승희,송인혁 한국조류학회II 2022 한국조류학회지 Vol.29 No.2
A first-winter female Surf Scoter (Melanitta perspicillata) was observed at Shinyang-ri, Seongsan-eup, Segwipo-si, Jeju-do from 4 February to 11 February in 2022. This bird foraged foods around the coastal area about 200m apart from Shinyang harbor. This is the first record in South Korea, but this bird was watched in North Korea. 2022년 2월 4일부터 2월 11일까지 제주도 서귀포시 성산읍 신양리에서 흰이마검둥오리(Melanitta perspicillata) 1개체가 관찰되었고 1년생 겨울깃 암컷으로 확인되었다. 흰이마검둥오리는 신양항에서 약 200m 떨어진 해안에서 먹이활동 모습이 관찰되었으며, 북한에서 관찰기록은 있지만 남한에서의 첫 기록으로 보고하고자 한다.
한국미기록종 (가칭)갈색할미새사촌(Pericrocotus cantonensis)의 국내 첫 기록
강창완,김은미,김동원,이소현,서현교 한국조류학회II 2022 한국조류학회지 Vol.29 No.2
A male Swinhoe’s Minivet (Pericrocotus cantonensis) of Campephagidae was observed at Mara Island, Gapa-ri, Daejeong-eup, Seogwipo-si, Jeju-do on 3 May 2022. This bird was foraging on between the middle layer and the canopy of the pine forest. This is the first record of this species in the Republic of Korea. 2022년 5월 3일에 제주도 서귀포시 대정읍 가파리 마라도에서 한국 미기록종 할미새사촌과의 갈색할미새사촌(Pericrocotus cantonensis) 1개체가 관찰되었고, 수컷으로 확인되었다. 갈색할미새사촌은 마라도 마을 내 인가와 접해있는 곰솔숲에서 확인되었으며 곰솔 꼭대기와 중간층을 오가며 먹이를 찾고 있었으며, 이번 관찰은 한국에서의 첫 기록이다.
A Spatial Bootstrap Method for Kriging Variance
강창완,최승배,유상희 한국자료분석학회 2008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10 No.3
Kriging is a linear interpolation method that predict values at unknown locations by using observations at known locations. The kriging variance can be used as a performance measure of a kriging model since it qualifies the accuracy of the prediction. However the classical kriging variance formula underestimates the true kriging variance. Therefore, in this paper, we propose a bootstrap kriging variance using a spatial bootstrap method and present simulation results of some model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