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치위생과 사이버교육의 효율적 학습방안을 위한 연구

        김영남 경복대학 2002 京福論叢 Vol.6 No.-

        본 연구는 치위생과 사이버교육의 효율적인 학습방안을 위한 기초자료로 사용할 목적으로, 현행 가상대학의 현황 및 문제점과 치위생과 특성에 따른 사이버교육의 학습방안을 모색해 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치위생과의 특성상 전문적인 실험·실습교과목이 많은 관계로 전 교과목을 사이버 교육으로 전환하는데는 제한이 많다. 따라서 무리한 사이버강의의 전환보다는 심도있는 논의와 연구를 거쳐 단계적으로 운영해 나가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2. 치위생과 사이버교육의 효율적 운영을 위해서는 학습자와 교수자 모두에게 학교차원의 사전교육과 지원이 뒷받침되어야 하며, 교수자는 질 높은 강의 컨텐트를 개발하는데 주력하고, 학생은 사이버강의의 목적을 이해하고 적극 참여하여야 한다. 3. 사이버교육 운영시 나타나는 문제점 및 대안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사이버교육에 대한 인식과 운용능력이 부족하다. 이를 위해서는 변화하는 교육 패러다임을 수용할 수 있는 사회제반의 마인드가 확산 되어야 하고, 해당기관 뿐만 아니라 국가 차원의 제도적 뒷받침이 먼저 이루어져야 한다. 둘째, 시스템 확충 및 지원조직 등의 미비로 운영에 어려움이 있다. 이를 위해서는 상호작용기반의 프레임워크를 설계하고, 조직적이고 체계적인 운영을 위한 별도의 집행조직 및 전담인력이 충분히 지원되어야 한다. 셋째, 사이버교육을 운영하는 교수자의 시간과 노력이 과다하다. 이를 위해서는 교수의 책임시수를 조정해 주거나 경제적인 뒷받침이 있어야 하며, 사이버교육시 사용했던 컨텐트를 교수 업적물로 인정해 주는 등의 여건이 마련되어야 한다. 넷째, 실험 및 실습 중심의 과목에 대해서는 사이버교육이 제한적이다. 이를 위해서는 가상교육이 가능한 일부 코스나 강좌만율 가상교육으로 운영하는 방안과 사이버교육과 강의실교육을 병행 운영하는 방안을 고려해 볼 수 있다. 다섯째, 가상공간에서의 전인교육 문제이다. 사이버교육은 지나친 개인 중심적 사고방식이나 가치관 형성을 가져올 수도 있기 때문에 다양한 상호작용적 통신매체를 도구로 활용하여 토론, 협력, 사교 등의 공간을 구현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build basic data for planning efficient learning method in the Cyber education for the department of dental hygiene. To achieve this purpose, the author reviewed the present conditions concerning the current virtual universities; considered the relevant problems, and; searched for appropriate learning methods in the Cyber education dependent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department of dental hygiene. The conclusion is as follows: 1. The dental hygiene department may be characterized by its many specialized experiment or training courses. So, there are many limitations in the conversion of all the courses into the Cyber education. Therefore, rather than bringing about radical changes, there should be sufficient researches and discussions so that its Cyber education can be operated step by step. 2. For the efficient operation of the Cyber education in the department of dental hygiene, college-level prior education and support should be provided to both the leachers and learners. Teachers should commit themselves to the development of quality instructional contents, and the learners should actively participate in the Cyber instruction equipped with proper understanding of its objectives. 3. The problems in the operation of the Cyber Education and their countermeasures are proposed as follows: First, there is no sufficient consciousness of and management ability for the Cyber education. To cope with this problem the mind-set that can embrace changing educational paradigms should be expanded in the overall field of the society. Moreover, systematic support not only from the related institutions, but from the government should be provided in advance. Second, there are many difficulties in the operation due to the lack of system development and support systems. To cope with this problem, a framework based on interactions should be designed, and the separate organization for the systematic implementation and its specialized personnel must be sufficiently provided. Third, the Cyber education requires too much time and efforts from its teachers. To cope with this problem, better conditions for them should be prepared. For instance, the number of responsible instructions for a professor could be adjusted; economic support should be provided, or the contents used in the Cyber instructions could be recognized as the achievement of the professor. Fourth, for the courses centered on experiments or training, the Cyber education can be applied limitedly. To cope with this problem, virtual education could be implemented either limited for some appropriate courses or instructions, or in a way that combines the Cyber an classroom instructions. Fifth, there is a problem of education for the whole person in the virtual space. Cyber education may cause excessively ego-centered ways of thinking or value system. Therefore, it may be neoessary to prepare the spaces for discussions, cooperations, or social intercourses using various interactive communication media.

      • KCI등재

        대학에서의 가상교육 운영을 위한 요구분석 : K 대학의 사례를 중심으로 A Case of K University

        양영선,최정임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2003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9 No.4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에서 가상교육을 운영하기 위하여 교수와 학생들을 대상으로 가상강좌의 활용 실태와 문제점, 요구사항을 파악하기 위한 것으로, 설문 조사를 통하여 가상강좌의 운영과 수강 경험에 따른 가상강좌의 형태와 수업 방법 및 제시 자료, 가상강좌 경험에 대한 만족도를 조사하고, 가상강좌를 보다 효과적으로 운영하기 위한 조건들과 가상교육을 활성화하기 위한 의견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조사 대상은 지방의 K 대학의 교수와 학생들이었으며, 전체 교수와 학생들을 대상으로 무작위로 설문지를 배포한 결과 교수 109명과 학생 540명이 참여하였다. 요구분석 결과, 교수와 학생 모두 가상강좌의 편리성과 필요성에 대해서는 동의하였지만 가상강좌의 효과에 대해서는 회의적인 성향이 나타났다. 가상강좌가 효과적이지 못하다는 이유로는 가상강좌가 그 특성을 살린 적절한 방법으로 운영되지 못하여 상호작용과 의사소통에 많은 어려움이 있으며, 다양한 교수방법이나 교수자료가 활용되지 못하고 획일화된 강의 위주 방법이 사용되는 경향 때문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대학에서 가상강좌의 활성화 필요성에 대해서는 대부분 인정을 하지만, 많은 교수들은 가상강좌 운영의 필요성에 부정적인 시각을 보였으며, 전체적으로 온라인 위주의 강의보다는 온라인과 오프라인 수업이 병행되는 형태를 선호하는 것을 발견했다. 가상강좌가 대학에서 제대로 정착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강좌개발과 운영을 위한 인적자원의 지원, 가상강좌의 역할과 기능, 활용 방법에 대한 교수 연수가 우선되어야 함이 시사되었다. Cyber education differs from traditional education in many ways of teaching and learning, and the perception of users varies depending on the their experiences on modes and materials employed in the cyber education. In order to implement cyber education more effectively and efficiently at its beginning stage in university level, this study analyzed the degree of perception and satisfaction on cyber education as well as the problems and issues of cyber education based upon a survey. A needs analysis was conducted with two sets of questionnaires to one hundred nine professors and five hundred forty students of K university. The questionnaires consist of the types and methods of cyber lectures, the degree of satisfaction based upon their teaching and learning experiences through cyber education. It includes surveys on the professors' and students' opinions of the conditions required for implementing the successful operation of cyber lectures.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although both professors and students agreed with the efficiency and needs of cyber education, they were reluctant to accept its effectiveness. The main reasons of the reluctancy appeared that cyber lecture was difficult to implement due to the lack of interactions and communication. However, it was also found that the cyber lectures applied by the professors were limited to mainly instructor-led lectures without using the mechanism and interaction of cyber education appropriately or using unique and various instructional methods and teaching materials properly. In the mode of cyber education, it was found that both the professors and students in overall preferred the blended type of cyber lectures to cyber lectures only. The professors especially suggested the necessity of the supports and training programs for implementing cyber education in their lectures.

      • KCI등재

        사이버연수에 대한 유치원 교사의 인식 및 요구

        민복기(Min Bog-Ki),백은주(Baik Eun-Joo)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2005 어린이미디어연구 Vol.4 No.-

        본 연구는 사이버연수에 대한 유치원 교사의 인식이 교사의 경력, 연수 경험, 컴퓨터 사용 능력에 따라 어떠한 차이가 있으며, 사이버연수에 대한 유치원 교사의 경험 및 요구가 어떠한가를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 대상은 경기도 공사립 유치원 교사 400명이며, 사용된 도구는 사이버연수에 대한 유치원 교사의 인식 및 요구를 알아보기 위한 질문지이다. 연구 결과 첫째, 사이버연수에 대한 유치원 교사의 인식은 대체로 사이버연수 경험 유무에 따라 필요성, 관심, 참여의사에 차이를 보였다. 둘째, 사이버 연수 시간과 시기, 교육방법, 평가방법 등에 대해 이전에 경험한 것과 앞으로의 요구는 유사했으나 연수 주관기관에 대해서는 사설 연수기관에서의 이전 경험이 많은 반면 도 교육 연수원에 대한 요구가 보다 높았으며, 교육내용에 대해서는 컴퓨터 교육과 유치원 교육과정에 대한 이전 경험이 많은 반면 인성과 창의성 교육, 부모 교육 등에 대한 요구가 보다 높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kindergarten teachers' perception and need on cyber education by their career, experience of cyber education, computer literacy. For this empirical study, 400 kindergarten teachers responded to questionnaires dealing with the kindergarten teachers' perception and need on cyber educ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ings: First, more experience teacher on cyber education, more like to participate in it. Second, The teachers' experience and needs of time, period, and method in cyber education were similar. A lot of teachers took part in cyber education at private or university cyber education center. But they would like to participate in it at province education center, university center. The teachers had learned computer education, early childhood education curriculum through cyber education. However, they would like to learn creativity education, parent education, consultation, and psychology.

      • 변화되는 교육환경에서의 영상콘텐츠의 활용방법론

        지명혁 국민대학교 종합예술연구소 2004 예술논총 Vol.7 No.-

        현대는 영상의 시대이다. 1895년 뤼미에르 형제의 시네마토그래프를 기원으로 하는 영화는 영화문법이라는 내재적인 논리를 갖추게 되었다. 영화는 TV의 출현 및 각종 미디어의 발전과 함께 영상이란 보다 큰 범주로 발전해 나가게 되었다. 영상이 교육현장에서 중요하게 활용되는 이유는 텍스트에 비해 용이한 접근성과 풍부한 정보량이란 장점 때문이다. 영상콘텐츠는 교육환경에 있어서 영상을 교육수단으로 활용하는 전통적 접근과 함께 최근에 와서 각급학교에 영화과목을 커리큘럼으로 제도화하는 새로운 접근방식이 있다. 영상콘텐츠가 가지고 있는 이러한 장점은 인터넷이라는 통신수단과 결부되면서 더욱 높은 시너지 효과를 발휘한다. 인터넷으로 유통가능한 정보량이나 광디스크류의 기록저장매체의 비약적인 발전과 함께 인터넷 이용자수도 급속하게 증가하였다. 인터넷 관련기술의 발전에 따른 콘텐츠 및 이용자수의 급증, 그리고 이에 따른 산업구조의 개편은 교육환경에도 큰 영향을 주었다. 학교교육에서 디지털 기반기술을 교육대상이나 수단으로 활용하는 정보통신기술(ICT) 사업, 인터넷에 기반한 교육콘텐츠의 등장과 함께 전통적인 학교개념의 변화는 사이버교육의 새로운 가능성을 열게 되었다. 사이버대학의 등장과 함께 본격화된 사이버교육은 가상의 공간에서 교육자와 학습자가 대면교육의 장점을 이용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21세기 지식기반사회에 적합한 개념이다. 사이버교육의 장점으로는 콘텐츠 접근에의 용이성, 콘텐츠의 다양화, 교육자와 학습자간 상호 피드백 시스템의 구현, 오프라인 교육에 비해 우월한 비용절감 효과 등이 있다. 사이버교육이 가지고 있는 이러한 장점을 살리자면, 사이버교육의 주요한 콘텐츠로 자리 잡고 있는 영상콘텐츠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현재 사이버대학에서 운용하고 있는 교육개발 및 콘텐츠를 살펴보면 웹기반의 VOD, 실시간 동영상 등 멀티미디어의 이용이 보편적인 추세이다. 이러한 영상콘텐츠가 사이버교육에 효율적으로 활용되기 위해서는 학습자의 자기 주도적 학습이 가능하도록 영상콘텐츠를 구성, 사이버교육에 따른 인프라기반의 확충, 영상 콘텐츠의 업그레이드와 품질개선, 다양한 방식으로 존재하는 영상자료의 수집, 보존, 기존 비영상자료의 영상화 등을 지적할 수 있다. 영상콘텐츠가 유효 적절히 활용될 수 있기 위해서는 몇 가지 조건이 충족되어야 한다. 학교교육에 있어서 정규과목으로 영화교육의 확산, 영상콘텐츠를 활용한 교육학적 이수방법론의 개발 그리고 무엇보다도 이러한 변화를 이끌 수 있는 디지털 마인드의 확산이 그것이다. Today is the age of image. Films that originated in the Lumiere Brothers' Cinematograph in 1895 have obtained the intrinsic logic, film grammar. Films have been developed to a larger category, 'image' with the emerging of TV and the developing of various media. The reason that image is applied importantly in the educational environment is that it can be accessed more easily and include abundant information than text. Approaching methods of image contents include a conventional method of using image in the educational environment as an educational means and a new method of establishing a subject of film as a curriculum in all grades of schools. Such advantages of image contents have produced a higher synergy effect with combined with a communication means, Internet. The number of Internet users has risen rapidly with remarkable progress of the quantity of information circulated in internet or of the recording and storing media including an optical disk drives. Rapid increase of contents and users following after the development of Internet-related technology and the resultant reorganization of industrial structure had also great effects on the educational environment. As ICT business, that uses digital-based technology as an educational subject or means in the school education, and the educational contents based on Internet emerged, the change of conventional concept of a school have opened a new possibility for cyber education. Cyber education that was started fully with the emergence of cyber university is a concept appropriate for the knowledge-based society of the 21st century as it is given in a virtual space by using an advantage of face-to-face education between instructors and learners. Advantages of cyber education include easy accessibility to contents, diversity of contents, establishment of reciprocal feedback system between instructors and learners, lower cost than off-line education, etc. In order to make use of such advantages of cyber education,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image contents that is one of important contents of cyber education. Present educational programs or contents of cyber universities generally apply multimedia including Web-based VOD, real-time moving pictures, etc. Methods of making use of such image contents efficiently for cyber education include organizing image contents so that learners can study independently, expanding infrastructure for cyber education, upgrading and progressing the quality of image contents, collecting and retaining image data existing in various types, and making non-image data into images. A few conditions shall be met to make use of image contents profitably. Those are establishing film education as a regular curriculum, developing a methodology of educational completion using image contents, and above all, spreading digital mind that can lead such a change.

      • KCI등재

        농업 마이스터대학 재학생들의 사이버교육 이용의도 영향요인 분석

        박성열,차승봉,문승태 한국농·산업교육학회 2015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Vol.47 No.1

        Cyber education is currently believed to be effective for Agricultural Meister College Students’ education. This study was implemented to determine the relationships between gricultural Meister College Students’ intention to use cyber education and usage related factors (perceived usefulness, ease of use, attitude) and personal factors (self-efficacy, relevance of major, educational level, social norm). Major results based on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according to the result from two-way analysis of variance which adopted age and educational level and interaction effect of Agricultural Meister College Students as independent variables and their intention to use cyber education as dependent variable, main effect of educational level was significant. Meanwhile, main effect of age was not significant. Second, attitude toward cyber education use (=.479, p=.000), and relevance of major(=.229, p=.000) or self-efficacy (=.133, p=.030) were found to be significant according to the result of analysis of multiple regression. All regression coefficients were positive. Therefore, it was concluded that when Agricultural Meister College Students’ attitude toward cyber education use is positive and relevance of major related to other colleagues use is positive, their intention to use cyber education will be increased accordingly. Further, higher self-efficacy and education level, higher Agricultural Meister College Students’ intention to use cyber education would take place. It is finally proposed that Agricultural Meister College Students’ educational level should be considered when cyber education courses or programs are developed, and educational efforts to increase Agricultural Meister College Students’ positive attitude and their norms’ to others should be implemented. 본 연구는 농업분야의 효과적인 교육을 위하여 사이버교육을 도입하기 이전에 농업 마이스터대학 재학생들의 이용의도 차원에서 나타나는 요인(지각된 유용성, 사용용이성, 사용에 대한 태도)과 개인적 요소(나이, 학력, 자아효능감, 학업관련성, 주관적 규범)가 이용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가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농업 마이스터대학 재학생들의 나이와 학력에 따라 사이버교육 이용의도에 대한 이원분산분석 결과 나이의 주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 하지만 학력의 주효과(F=8.872, p<.004)와 상호작용효과(F=4.591, p<.014)는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다중회귀분석 결과 유의확률(p)에서 .05를 기준값으로 보았을 때, 사이버교육 이용의도에 유의미적 영향 변인은 사용에 대한 태도(=.479, p=.000), 학업관련성(=.229, p=.000), 자아효능감(=.133, p=.030)으로 3개의 변인 모두에서 정적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농업 마이스터대학 재학생들의 사이버교육 사용에 대한 태도가 긍정적이고, 농업분야나 또는 자신의 학업과 관련성이 크다고 느낄 때, 이용의도가 높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사이버교육에 대한 자아효능감이 높을 때와 학력이 높을수록 사이버교육 이용의도가 높아진다고 해석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농업 마이스터대학 재학생들의 학력에 따라 사이버교육에 대한 이용의도가 다를 수 있으며, 농업 마이스터대학 재학생들 본인 및 학업에 대한 사이버교육의 긍정적 인식이 농업 마이스터대학 재학생들의 사이버교육 이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므로 사이버교육을 실행하거나 전개할 시 이를 증가시키는 방안이 모색되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사이버 환경교육의 필요성에 관한 연구

        김수욱,박성열,유병민,임정훈 한국농·산업교육학회 2004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Vol.36 No.1

        As the interest of environmental issues is getting more important in our society, the importance of environmental education is increasing. In spite of our efforts to solve environmental problems in traditional education paradigm, there remains skeptical.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an alternative approach as cyber education in order to improve the effectiveness of environmental education. First, research analyzed the objectives, contents, and methods of current environmental education implemented by formal as well as in-formal institutions. Second, reviewed the changes of education paradigm from traditional to information age one. Third, the problems and limitations of traditional environmental education were examined. Forth, alternative approaches by applying cyber education were provided to utilized the effectiveness of education. Finally, the strategies of alternative approach were suggested for future environmental education.

      • KCI등재

        북한의 사이버 전문가 영재교육과 그 성과

        신진 대한정치학회 2019 大韓政治學會報 Vol.27 No.4

        The Internet of North Korea is cut off and computer equipment and the Internet-related infrastructure are very incomplete. However, North Korea's cyber hackers are ranked second in the world. North Korean authorities maintain more than 6,000 cyber hackers alone. This study analyzes the achievements of cyber-gifted education through the selection and concentration of socialist education in North Korea. North Korea's cyber gifted education, which began in 1982 with Kim Jong Il's directive to educate the cyber gifted, has been successful based on a consistent policy of gifted education for the last 27 years. The North Korean authorities established the first middle school in Pyongyang to begin the gifted education, and then established one first middle school in each province to promote the gifted education. In particular, North Korea is a country in which the National Defense Commission is in control of sovereignty, and the Reconnaissance General Bureau of the North Korean People's Army under the National Defense Commission takes the lead in fostering and selecting cyber hackers. Reconnaissance General Bureau of the North Korean Army selects the best cyber gifted persons from all over the country as agents of the General Staff Office, providing them with the North Korean Workers' Party card and the benefits of moving his entire family to Pyongyang. It offers the best treatment, such as assigning a good apartment. North Korea's cyber-gifted have stolen more than $ 2 billion from global financial institutions over the years, and have also helped to secure the overwhelming capability of cyber weapons as asymmetrical strategic weapons against South Korea. North Korea's cyber gifted education is evaluated as a successful education policy in terms of cost-benefit analysis. The success factors are the consistent gifted education policy for the past 27 years, the enthusiasm for education of North Koreans, and the government's positive preferential policy. 인터넷은 북한의 일반 주민들에게는 철저하게 차단되었다. 북한의 컴퓨터 장비들과 인터넷 관련 인프라도 대단히 미비하다. 그러나 북한의 사이버 해커들의 해킹 수준은 전세계 2위라고 평가된다. 북한 당국이 운영하는 사이버 해커들은 6,000명이 넘는다. 본 연구는 북한의 사회주의 교육이 선택과 집중을 통하여 사이버 영재교육에서 이룩한 성과를 분석하였다. 1982년 김정일의 지시로 시작된 북한의 사이버 영재교육은 지난 27년 동안 지속적으로 추진된 영재교육 정책에 기반하여 성공을 거두었다. 북한은 평양에 제1중학교를 설립하여 영재교육을 시작한 이래 각 도(道)마다 한 개씩의 제1중학교를 설립하여 적극적인 영재교육을 추진하였다. 특히 사이버 영재들은 국방위원회 산하의 북한 인민군 총참모부가 주도적으로 선발하여 사이버 해커들을 육성하였다. 북한군 총참모부는 북한 전역에서 최고의 사이버 영재들을 총참모국 요원으로 선발하여, 조선노동당원증을 제공하며, 그의 온가족을 평양으로 이주할 수 있는 혜택을 제공하며, 평양의 크고 좋은 아파트를 배정하는 등의 최고의 대우를 제공하였다. 북한의 사이버 영재들은 지난 수년간 20억 달러 이상을 세계금융기관으로부터 탈취하여 북한의 재정에 크게 기여하였다. 비대칭 전략무기로서 북한의 사이버 무기는 압도적으로 대남 우위를 점하고 있다. 북한의 사이버 영재교육은 비용대비 편익의 면에서 획기적 성공을 거둔 교육 정책으로 평가된다. 그 성공 요인은 지난 27년동안 일관된 영재교육정책과 북한 주민의 교육열, 정부의 적극적인 우대정책이라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지방공무원 사이버 교육훈련의 학습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고승희(Seung-Hee Ko),류상일(Sang-Il Ryu) 한국콘텐츠학회 2008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8 No.9

        본 연구는 최근 행정환경 및 행정수요의 변화에 대처하고자 공무원 교육훈련 패러다임의 전환 요구와 함께 사이버교육이 급격하게 요구받고 있는 실정에서, 충청남도 공무원의 인식을 중심으로 지방공무원 사이버 교육훈련의 학습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해 보고, 아울러 지방공무원 사이버 교육훈련의 개선방향을 제시해 보고자 하였다. 분석결과, 사이버 교육 학습효과에 대해서는 전반적으로 보통이라고 인식하는 응답자가 많았다(평균 3.0726). 사이버 교육효과에 대해 연령과 직급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고 있었다. 즉, 연령이 높아질수록 사이버 교육훈련의 학습효과가 높다고 인식하고 있었고, 급수가 높아질수록 마찬가지로 사이버 교육훈련의 효과가 높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다음으로, 교수와 학습자간 커뮤니티가 사이버 교육훈련의 학습효과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고 있었고, 다음으로 교육 구성 컨텐츠가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향후 사이버 교육 학습효과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교육내용 제시가 다양화 되어야 하고, 아울러 사이버교육 접근성의 확대와 사이버교육 전담인력 확보가 시급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The present study purposed to analyze factors affecting the effect of cyber education and training in local civil servants focused on the perception of civil servants in Chungcheongnam-do, and to make suggestions for improving cyber education and training for local civil servant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analysis in this study, many of the respondents replied that the effect of cyber education was moderate in general (3.0726 on the average). In addition, the effect of cyber education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age and position. That is, the older civil servants were and the higher their position was, the more highly they perceived the effect of cyber education and training. In addition, the result of cyber education and training was affected most by the community of teachers and learners, and next by the contents of education. In order to improve the effect of cyber education, most of all, the contents of education should be diversified, and furthermore, it is keenly required to expand accessibility to cyber education and to deploy personnel exclusive for cyber education.

      • KCI등재

        초등학교 교사를 위한 환경교육 사이버 연수 콘텐츠 개발

        서우석,정철영,이재호 한국농·산업교육학회 2006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Vol.38 No.3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develop an environmental cyber inservice education contents for elementary school teacher. The blended environmental cyber inservice education contents were developed, through reviewing literatures, analyzing domestic and foreign's environmental inservice education programs and e-Learning contents, and experts conference. And, Contents validity was evaluated by environmental education experts. Contents development stage was confirmed five stage: ① foundational analysis, ② planning, ③ design, ④ production, and ⑤ evaluation. The goal of Environmental cyber inservice education contents for elementary school teacher was stated 'environmental professionality uplift of elementary school teacher', and developed contents for elementary school teachers were consisted of 3 domains : (1) Foundation of Environmental Education, (2) Understanding about Environment, (3) Strategy for School Environmental Education. The contents of each sessions were selected considering synthetically objectives, themes and components of environmental education and structured of 62hours Course totally. Developed Contents evaluated by 8 environmental education experts according to 10 evaluation item of total contents and contents development structure. In result, it evaluated comparatively high score. Based on the results, some recommendations were suggested. 및 제언이 연구를 통해 환경교육의 목적 및 목표, 내용체계, 대상별 환경교육 등에 대한 근본적인 고찰에서 시작하여 국내외의 다양한 초등학교 교사를 위하여 온라인 및 오프라인으로 실시되고 있는 교육 및 연수 인터넷 콘텐츠를 수집분석하였고, 실제 프로그램 개발 과정에서는 타당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전문가에 의한 세부적인 검토 문헌연구와 전문가협의회를 개최함은 물론, 접근성을 제고하기 위하여 동화작가에게 의뢰하여 시나리오 및 나레이션을 보다 쉽고 보다 타당성 있는 초등학교 교사용 환경교육 사이버 연수 콘텐츠를 개발하였다.국내·외 환경교육 관련 문헌들을 고찰하여 환경교육 사이버 연수의 궁극적인 목적은 ‘초등학교 고사의 환경교육 전문성 제고’로 설정하였다. 그리고 우리나라의 문제점과 사이버 연수 콘텐츠의 개발 및 설계를 위한 체계적인 절차 및 과정을 고려하여, 최종적으로 초등학교 교사를 위한 환경교육 사이버 연수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콘텐츠는 전체 62차시로 개발되었고, 크게 ① 환경교육의 기초, ② 환경의 이해, ③ 학교 환경교육 전략의 3개 영역으로 구분하였다.이 콘텐츠는 SCORM 방식에 기반 하여 개발되었기 때문에 재사용성, 접근 용이성, 상호호환성 및 내구성을 가질 것으로 기대된다.이 콘텐츠를 활용하거나 추후 연구를 위하여 다음과 같이 제언한다.첫째, 개발된 콘텐츠를 초등학교 교사가 적극 활용할 수 있도록 적극적인 홍보 및 온라인 및 오프라인을 통한 서비스가 요구된다. 이를 위해서는 환경부의 홈페이지나 교육대학의 원격연수센터를 활용해야 할 것이다. 이 콘텐츠는 학습자들 간의 상호작용뿐만 아니라 학습자와 운영자간의 상호작용이 요구됨으로 이를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는 추가적인 행재정적 지원이 뒤따라야 할 것이다.둘째, 국가 또는 환경부 차원에서 초등학교 교사를 위한 연수를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이 연구를 통해 개발된 콘텐츠뿐만 아니라 이미 개발된 콘텐츠를 수집하여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이를 통합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시스템 구축이 요구된다. 이를 위해서는 환경부 차원에서 U(Ubiquotous)-포털 사이트를 구축하고 ,이를 통해 학습자용뿐만 아니라 교사용 콘텐츠를 체계적으로 서비스할 수 있는 체제를 구축해야 한다.셋째, 이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교사를 위한 환경교육 사이버 연수 콘텐츠 개발에 초점을 맞추었다. 추후에는 중학교, 고등학교의 교사를 위한 사이버 연수 콘텐츠가 개발되어야 하며, 더 나아가 대학 및 성인을 위해 환경교육을 실시하는 담당자를 위한 콘텐츠 개발이 요구된다. 이를 위해서는 이 연구에서 제시한 학교급별 환경교육 목적, 목표 및 내용체계를 고려하고, 개발 틀을 고려하여 상호 연계된 콘텐츠들이 개발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지식재산 평생교육을 위한 사이버교육원 설립 타당성 조사 연구

        이병욱,이규녀 한국기술교육학회 2017 한국기술교육학회지 Vol.17 No.2

        This study researched on the validity of establishment of cyber education center, to construct a lifelong education system for intellectual property, analyzing environment for intellectual property education and carrying a feasibility survey on establishment targeting intellectual property e-learner and participation agency (company). The results and conclusion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ccording to the increased demand of intellectual property human resources in the age of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demand for intellectual property education is going up, and in the age of 100-year life span, it is necessary for the area of intellectual property to build up lifelong education system by life-cycle. Second, to popularize and specialize intellectual property education, it is necessary for the nation-wide national intellectual property education portal to make an academic credit bank system, and to open and operate intellectual property NCS-based qualification curriculum, that is, a specialized education center. Third, 83.7% of the respondents recognized the feasibility of establishment of intellectual property cyber education center. The reason why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the center, they said, is that the center can raise and reinforce intellectual property manpower, increase the supply opportunity and contribute to invigoration of intellectual property education. Consequently, it is believed that the establishment of the Intellectual Property Cyber Education Center is valid. as it is necessary to build up lifelong learning cyber system for intellectual property, which supports specialized education system such as popularization of intellectual property education, academic credit bank system, and NCS-based relevant qualification curriculum, It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reinforce intellectual property manpower, improve lifelong learning ability, trains specialists systematically, increase the supply opportunity and activate intellectual property education. 이 연구는 지식재산 분야의 평생교육체제를 구축하기 위한 지식재산 사이버교육원 설립의 타당성을 도출하고자 지식재산교육에 대한 환경을 분석하고, 지식재산 이러닝 수강생과 참여 기관(기업)을 대상으로 설립 타당성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이에 따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제 4차 산업혁명 시대에 지식재산 인력수요 증가에 따른 지식재산교육 수요가 증가하고 100세 시대에 지식재산 분야도 생애 주기별 평생학습 체제의 구축이 필요하다. 둘째, 지식재산교육의 대중화와 전문화를 위하여 전국민 대상의 국가지식재산교육포털에 지식재산학 학점은행제와 지식재산 NCS 기반 자격 등에 대한 교육과정을 개설·운영하는 전문교육기관 설립이 요구된다. 셋째, 설문조사 결과 응답자의 83.7%가 지식재산 사이버교육원 설립이 필요하다고 인식하였다. 구체적인 설립의 필요성으로는 지식재산 인력 역량 강화와 지식재산 인력 양성 및 공급 기회 확대, 그리고 지식재산교육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기 때문이라고 꼽았다. 결론적으로 지식재산 사이버교육원의 설립은 지식재산교육의 대중화와 지식재산학 학점은행제, NCS 기반 직무 중심의 관련 자격증 과정 등 전문교육 체제를 지원하는 지식재산 평생학습 사이버 체제 구축의 필요성에 따라 타당성이 확보되었다고 판단된다. 이는 지식재산 인력의 역량 강화와 평생학습능력 향상, 지식재산 인력의 체계적 양성 및 공급 기회 확대, 그리고 지식재산교육 활성화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