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학습과 지식의 재개념화에 의한 교수 설계 이론의 인식론적 고찰

        양영선 한국교육학회 1994 敎育學硏究 Vol.32 No.5

        교수 설계에 적용되어 온 학습 이론은 행동주의에서 인지주의 이론으로, 다시 구성적 인지 이론으로 패러다임의 변화를 거쳐 왔다. 이러한 변화는 교수 설계 이론과 실제에 대한 지 속적인 논의와 함께 영향을 미쳐왔으나 교육 연구의 전반에 비하여 교수 설계 이론의 발달을 인식론적으로 이해하기 위한 시도는 미흡하였다 이 글에서는 교수 설계 이론의 변화에 따른 학습과 지식의 개념 정립을 돕기 위해 학습과 지식 개념의 변화 과정을 관찰하고, 이를 교육 심리 영역에서 뿐만 아니라 인식론, 철학, 탐구 방법론의 관점에서 어떻게 해석할 수 있는지 그 관계를 분석하였다. 또한, 지식 기반 및 지식 구조의 형태를 분석 하여 지식 형태에 따른 학습의 전이와 교수 설계 이론의 변화가 어떻게 관련될 수 있는지를 고찰하였다 교수 설계 이론 안에서 형성된 학습과 지식 개념 및 이를 통한 이론의 발달과 실제를 새로운 학습 환경에서 어떻게 구현할 것인가가 궁극적인 과제로 남는다.

      • 전격성 간 부전증 환자 16예에 대한 임상적 고찰

        양영선,윤종경,이홍식,정정명,최하진 인제대학교 1983 仁濟醫學 Vol.4 No.2

        저자들은 1979년 7월부터 1983년 1월 말까지 인제의과대학 부산백병원 내과에서 입원치료를 받았던 16예의 전격성 간 부전증에 대하여 임상적 검사실적 소견 및 간 조직 검사의 관찰 결과를 보고하는 바이다. Fulminant hepatic failure is defined as hepatic failure with encephalopathy developing in less than eight weeks in patient without pre-existing liver disease. At first, it was described as acute yellow atrophy by Rokitansky in 1842, and then details of clinical and pathologic findings were described by Lucke & Mallory in 1945. Its exact cause are still unknown, however, it develops most commonly as a coplication of viral hepatitis, and may also result from exposure to a potent hepatotoxic drug or from less common hepatic disorders and infections. We studied 16 cases of fulminant hepatic failure from July 1979 to January 1983 at Paik hospital Inje Medical College, Busan, Korea. Followings are the results 1.Sex ratio was 3 : 1 (male to female), and the peak age was third decade (7 cases; 43.6%) Mortality rate was 81.3%. 2.Causes were hepatits B virus (8 cases), hepatotoxin (6 casea and unknown (2 cases). Among the hepatotoxin, halothane was the most common (3 cases), Paraquat (Dipyridyl compound) was 2 cases, and others. (carbon tetrachloride, trichloroethylene, benzen, polyvintl alcohol, and H2 SO4) 3.Clinical menifestations: Jaundice was the most common and anorexia, abdominal discomfort and malaise were also noticed in 13 cases. In addition, irritability, abdominal distension, nausea, hepatomegary, fever, mental confusion, and unconsciousness were also noticed. 4.According to Grady coma scale, majority of the patients were in grade III or IV (13 cases), and interval between the onset of the first symptom and coma was signifantly shorter in survived patients than that of died patients. 5.On liver function test, A/G ratio was darkly reversed in all expired cases, hut not in survived cases. In all patients SGOT, SGPT, alkaline phosphtase, serum ammonia, and bilirubin were elevated, but serum glucose and cholesterol were decrease in all most all patients. 6.Prothrobin time was progressively prolonged in died cases but shortend in survived cases after treatment of 2~8 days 7.Histological findings of liver showed massive hepatic necrosis, cholestasis and acinar formations.

      • KCI등재
      • KCI등재

        가상교육의 운영 및 설계 요인과 효과성 연구 동향 분석

        양영선 한국교육정보방송학회 2001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7 No.3

        가상교육의 효과와 효율성 연구는 가상교육의 운영 체제를 도입하고 적용하기 위한 척도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가상교육 과정의 질 관리와 효과성 측정을 위해서도 중요하다. 그러나, 가상교육의 효과에 대한 대부분의 연구는 아직 사례보고와 조사연구들로 제한되어 있고, 그 결과들도 매우 상이하게 나타나고 있다. 가상 교육은 전통적인 교육과 비교하여 학습 효과가 떨어지지 않으며 효율성에 있어서도 비용효과적일 것이라는 일반적인 예측은 가상교육의 수준이나 유형, 사용되는 테크놀로지, 운영체제의 구성 등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다. 네트워크를 통한 상호 작용성의 증가에 따라 코스를 어떻게 설계하느냐에 따라서 가상교육의 일관된 효과성에 대한 반론이 제기될 수 있다. 이 논문의 목적은 가상교육의 효과와 효율성에 대한 문제를 논의하기 위하여 현시점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다양한 가상교육의 수준과 유형들을 살펴보고, 가상교육의 운영과 설계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을 탐색하고 가상교육의 효과 연구들을 분석함으로써 바람직한 가상교육의 설계와 운영의 조건들을 재고하고 효과연구의 방향을 제시하는 데 있다. Recently, cyber education has received a great amount of interest with the change of information and knowledge society as well as the development of computer technology and network. It allows interactive mechanism through web-based instruction and learning for learners to interact with instructors, other learners, and contents. However, despite of the advantages of web-based instruction, the research has shown that learning in cyber education is not as effective or efficient as that in conventional education. The review of research showed different results in terms of the earners' attitude and satisfaction toward cyber education, the learners' achievement, and its cost-effectivenes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factors which affect the desired cyber educational systems and reconsider the effectiveness and efficiency of cyber education. First, the study analyzed the various levels and types of cyber education in order to clarify the nature of cyber education for the state of the art. Second, the study attempts to analyze the requirements and components for successful cyber educational systems. They include curriculum development and course design, instructors and human resources, teaching methods, leaning environment, management, and support policies. Based upon the research review, issues of cyber education in design and operation and limitations of current research on the effectiveness and efficiency of cyber education have been discussed. The study suggests that very careful design and operation strategies be required to expand the potentials of cyber education considering the appropriate levels and types of cyber education. Furthermore, effectiveness of cyber education should encounter its usefulness for society and community as well as institutional and individual needs.

      • KCI등재

        프로젝트 기반 가상수업에서의 협력적 교수 방안과 전략 연구

        양영선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1999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5 No.2

        인터넷을 통한 교수-학습에서의 상호작용 기제는 학습자에게는 교수자, 다른 학습자, 학습 자료와 상호작용할 수 있도록 허락하는 한편 교수자에게는 다른 교수자와의 새로운 협력 가능성을 열어준다. 교수자는 유사한 수업을 가르치는 다른 동료 교사와 수업을 준비하고, 자료를 개발하고, 수업을 운영 관리하고 평가하는 과정에 있어서 서로 아이디어를 공유하고 협력함으로써 궁극적으로는 교수-학습의 절적 향상을 가져올 수 있다. 이러한 상호작용성은 효율적인 의사교환 체제를 형성시켜 줌으로써 과제를 중심으로 한 프로젝트 학습 괄동에서 더욱 효과적인 수업이 일어날 수 있도록 한다. 본 논문은 이러한 전제하에 가상수업 환경에서의 협력적 교수가 성공적으로 일어나도록 하기 위해서 요구되는 교수 전략과 수업 운영에 대한 지원 방식을 분석함으로써 가상수업의 새로운 잠재성을 교수적 측면에서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서 먼저 대학에서 가상수업이 적용되는 형태와 협동적 상호작용의 유형 및 학섭 전략을 분석하고, 가상수업에서의 보다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협력적 교수 방법의 하나로서 프로젝트 기반의 가상수업을 위한 팀티칭 실시에 필요한 교수 방안과 전략을 탐색하였다. The interactive mechanism for instruction and learning through the internet allows learners to interact with instructors, other learners, and contents. Moreover, it facilitates instructors to interact with other instructors who teach similar or related courses by sharing ideas in preparing courses, developing course materials, and operating, managing, and evaluating courses. This collaborative teaching strategy may consequently improve the quahty of instruction and learning. Especially, the interactions take place more effectively in the project-based learning activities by formulating an efficient communication system for group interaction. Based upon this assumption, this study attempts to analyze instructional strategies and support systems for designing and operating courses, requirements for successful collaborative teaching in a cyber environment, and represent new potentds on the view of collaborative instruction. The study analyzes the various levels of cyber instruction and the types and instructional strategies for cooperative and colIaborative interactions, and develop instructional strategies and support methods required for team teaching between or among instructors in project based cyber instruction as an exemplary case of more effective and efficient collaborative instrucAonal methods than any others.

      • KCI등재
      • KCI등재

        대학에서의 가상교육 운영을 위한 요구분석 : K 대학의 사례를 중심으로 A Case of K University

        양영선,최정임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2003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9 No.4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에서 가상교육을 운영하기 위하여 교수와 학생들을 대상으로 가상강좌의 활용 실태와 문제점, 요구사항을 파악하기 위한 것으로, 설문 조사를 통하여 가상강좌의 운영과 수강 경험에 따른 가상강좌의 형태와 수업 방법 및 제시 자료, 가상강좌 경험에 대한 만족도를 조사하고, 가상강좌를 보다 효과적으로 운영하기 위한 조건들과 가상교육을 활성화하기 위한 의견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조사 대상은 지방의 K 대학의 교수와 학생들이었으며, 전체 교수와 학생들을 대상으로 무작위로 설문지를 배포한 결과 교수 109명과 학생 540명이 참여하였다. 요구분석 결과, 교수와 학생 모두 가상강좌의 편리성과 필요성에 대해서는 동의하였지만 가상강좌의 효과에 대해서는 회의적인 성향이 나타났다. 가상강좌가 효과적이지 못하다는 이유로는 가상강좌가 그 특성을 살린 적절한 방법으로 운영되지 못하여 상호작용과 의사소통에 많은 어려움이 있으며, 다양한 교수방법이나 교수자료가 활용되지 못하고 획일화된 강의 위주 방법이 사용되는 경향 때문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대학에서 가상강좌의 활성화 필요성에 대해서는 대부분 인정을 하지만, 많은 교수들은 가상강좌 운영의 필요성에 부정적인 시각을 보였으며, 전체적으로 온라인 위주의 강의보다는 온라인과 오프라인 수업이 병행되는 형태를 선호하는 것을 발견했다. 가상강좌가 대학에서 제대로 정착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강좌개발과 운영을 위한 인적자원의 지원, 가상강좌의 역할과 기능, 활용 방법에 대한 교수 연수가 우선되어야 함이 시사되었다. Cyber education differs from traditional education in many ways of teaching and learning, and the perception of users varies depending on the their experiences on modes and materials employed in the cyber education. In order to implement cyber education more effectively and efficiently at its beginning stage in university level, this study analyzed the degree of perception and satisfaction on cyber education as well as the problems and issues of cyber education based upon a survey. A needs analysis was conducted with two sets of questionnaires to one hundred nine professors and five hundred forty students of K university. The questionnaires consist of the types and methods of cyber lectures, the degree of satisfaction based upon their teaching and learning experiences through cyber education. It includes surveys on the professors' and students' opinions of the conditions required for implementing the successful operation of cyber lectures.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although both professors and students agreed with the efficiency and needs of cyber education, they were reluctant to accept its effectiveness. The main reasons of the reluctancy appeared that cyber lecture was difficult to implement due to the lack of interactions and communication. However, it was also found that the cyber lectures applied by the professors were limited to mainly instructor-led lectures without using the mechanism and interaction of cyber education appropriately or using unique and various instructional methods and teaching materials properly. In the mode of cyber education, it was found that both the professors and students in overall preferred the blended type of cyber lectures to cyber lectures only. The professors especially suggested the necessity of the supports and training programs for implementing cyber education in their lectures.

      • KCI등재

        튜터링 프로그램 참여형태가 자기조절학습과 학업성취인지도에 미치는 영향

        양영선,황그림 이화여자대학교 교육과학연구소 2018 교육과학연구 Vol.49 No.2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learners’ participation roles in tutoring program types(tutee, peer, tutor) on their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and perceived academic achievement. A tutoring program was conducted over a 10-week period (15 sessions, 30 hours) with 426 students at K University, 210 of who participated in the study. Data were collected from learners' pre/post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and post-perceived academic achievement tests. These were analyzed using t-test, and the mean for each item was calculated to analyze their effects on perceived academic achievement.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learners who participated in the tutoring program showed a significant improvement in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This implies that the tutoring program is effective in increasing university students’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In terms of tutoring program role, tutees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while peers and tutors did not show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erms of perceived academic achievement of students that participated in the tutoring program, the score was 4.03 out of 5. Results according to tutoring program participant role were in the order of tutor 4.27, peer 4.01 and tutee 3.99.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