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방송과 공정성: 방송의 지배구조와 방송의 공정성 훼손

        한수경 ( Su Kyung Han ) 한국정치평론학회 2015 정치와 평론 Vol.17 No.-

        In today`s rapidly changing media landscape, broadcasting is still the most influential media on public opinion formation. In a democracy, fairness in broadcasting is required in order for citizen participation in political decision making, and freedom of broadcasting should be guaranteed for this purpose. Freedom of broadcasting is a precondition for building a democratic basic order through private and public opinion of citizens, and its core meaning is the freedom from political and capital power, neither state-controlled nor commercial. Despite the important role of independent public broadcasting, Korea`s public broadcasters such as KBS or MBC act as state broadcasters, not as public broadcasters. As a result, it makes citizens difficult to correct political opinion formation. The significance in broadcasting systems in Korea is that governance of public broadcasters, unlike other developed countries, is not free from political power. Public broadcasters have been controlled by the Korea Communications Commission(KCC), direct organization of the president of Korea, and the president appoints presidents of public broadcasters. Public broadcasting governance in such a way has damaged the independence of broadcast reporting and the fairness of broadcasting. Moreover, the public broadcasters should act as a mouthpiece for government and ruling party rather than as a watchdog role on government. Therefore, they couldn`t fulfill the obligations of public broadcasting whose mission is public service. This paper examines the issue of governance of public broadcasting, and presents the institutional remedy for fairness in broadcasting.

      • KCI등재

        미디어를 활용한 북한선교방안 모색‐대북라디오선교방송을 중심으로

        조수진 장로회신학대학교 기독교사상과문화연구원 2021 장신논단 Vol.53 No.5

        Since the national division of the Korean peninsula, radio has been the only means of communication between the South and the North. Each of the countries began radio broadcasting as a form of psychological warfare to defend each of the political and economic systems and overthrow their counterparts. However, the overtones of the radio have varied in response to the regime changes. Still, radio has been an effective means of communication toward North Korea for 70 years since the division. South Korea’s radio broadcasting to North Korea includes the terrestrial radio broadcasting, the private broadcasting company using shortwaves and the overseas-based broadcasting and the broadcasting company operated by missionary organizations which cover various subjects. Christian missionary broadcasting has played an important role in the history of radio broadcasting to North Korea. To that extent, this study extends its focus from the FEBC to other radio broadcastings, which are currently conducting missionary activities in North Korea. There are two sorts of the missionary broadcasting: the terrestrial radio broadcasting using medium waves and the radio broadcasting operated by mission organizations using shortwaves. This study analyzes the history and flow of radio missionary broadcastings to North Korea, which have not gained enough academic attention, and examines how they can be used for the missionary work in North Korea in the process of preparing for reunification in the future. The media environment in North Korea is rapidly changing. Accordingly, new media strategies are necessary for missionary work in North Korea. The missionary broadcasting toward North Korea requires a transition and new broadcasting strategies. This study thus suggests for the radio missionary media new strategies covering content creations and media combinations, suitable for the changing media environment of North Korea and the new generation in the North. 분단 이후 라디오 전파는 남과 북의 유일한 커뮤니케이션 수단이었다. 대북방 송은 각자의 체제를 옹호하며 상대를 전복시키려는 심리전 형태로 시작됐으나 정권이 바뀔 때마다 논조가 바뀌면서 그 모습을 달리해왔다. 분단 70여년이 지난 현재까지도 북한에 정보를 유입하는 수단으로 라디오 전파가 적극 활용되고 있다. 우리나라 대북방송은 지상파라디오방송(KBS한민족방송과 FEBC극동방송, 초기 CBS기독교방송)과 단파를 활용한 민간대북방송(국민통일방송, 자유북한방송, 북한개혁방송), 해외 주체 대북방송(VOA미국의소리방송, RFA자유아시아방송, 영국 BBC 등), 선교단체가 운영하는 대북방송(OKCN광야의소리, TWR북방선교방송) 등 주체도 다양해진 상황이다. 분단 초기부터 대북방송을 지속해오고 있는 지상파 라디오방송은 KBS한민족 방송과 종교방송인 극동방송이다. 선교방송이 우리나라 대북라디오방송 역사의한 축을 담당해오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극동방송 외에도 현재 전파를 활용해 북한선교 활동을 벌이고 있는 대북라디오 선교방송에 주목한다. 대북선교방송은 중파를 활용한 지상파 라디오방송과 선교단체에서 운영하는 단파 라디오방송으로 구분된다. 이 연구에서는 북한선교 영역에서 그동안 주목받지 못했던 대북라디오 선교방송의 역사와 흐름을 분석하고, 향후 통일을 준비하는 과정에서 북한선교를 위해 대북선교방송이 어떻게 활용될 수 있을지에 대해 고민한다. 북한의 미디어 환경이 빠르게 변화되고 있다. 이제 북한선교에도 미디어를 적극 활용하는 전략이 필요해 보인다. 대북선교방송도 이제는 새로운 방송 전략이 필요한 전환의 시점에 놓여 있다. 이 연구에서는 기존 라디오 선교 매체가 변화하는 북한의 미디어 환경, 그리고 변화하는 세대에 맞게 어떤 방향으로 콘텐츠를 제작하고 새로운 미디어를 활용할 수 있을지에 대해 논의한다.

      • KCI등재

        일제말기 조선방송협회를 통해 살펴본 방송통제

        강혜경 한국민족운동사학회 2011 한국민족운동사연구 Vol.0 No.69

        Japanese imperialism began radio broadcasing in Japan on March 1925 and open Gyungsung broadcasing system in the colony, Chosun as well in 1927. Under Japanesse colony, radio broadcasing was a media in modern style, on the other hand, it was a tool which ruled the colony. With a role which propagate public culture and transmit information in advanced technique though radio broadcasting was in colonized bound, the radio broadcasing affected society and culture of Chosun colonized quite as modernized mass-media. Since dual broadcasting’s commencement in 1933, transmitted power was enforced big, meanwhile broadcasing was extended in the whole country. For doing it, Gyungsung broadcasting system of corporation which centered to the president, introduced the chairman system on April 1932 and was changed to the association of Chosun broadcasting. In the beginning of radio broadcast, Japanese were usually major listeners because of loads for buying receiver and for fees of listening and electric power, however, the number of Chosun people was rapidly increased in accordance with broadcasting the second channel in Chosun language as the commencement of dual broadcasting in 1932. Since the middle of 1930, Japanese imperialism promoted providing in order to use radio as an important media for war prosecution and colony rule, and it made the number of Chosun listeners increase. The increase of Chosun listeners also let control enforcing by Japanese imperialism. Likewise other colony governments, in Gyungsung broadcasting system organization, the number of Japanese employee was more than that of Chosun employee. The number of Chosun employee was half of total in 1933 but was decreased below 40% in 1941 and below 25% in 1944. In employee distribution at departments, Chosun staffs were arranged at business department which was in charge of subscription and fee, thus they were available at the department involved in financial policy through getting Chosun listeners. Besides, Chosun executives of Chosun broadcasting association consist of people cooperative with Japan and it was difficult structure to argue against control for radio. After Chosun listeners were rapidly increased, supervising for broadcasting was promoted. broadcast review committee was organized under the reason to review all programs broadcasting in the first and the second channels on the 31st of July 1934. Broadcast edit committee was set up on April 1935 and thus broadcast administration system was enforced. The broadcast of Chosun language in Gyungsung central broadcast system was increased to 50kW by the committee on the 17th of April 1937, and with war break between China and Japan on the 7th of July, it became stronger. Thus Intelligence committee was set at Chosun govern general and simultaneously, press part was newly set at Police documentary division and all programs and broadcasts were under control at the part. The program reviewd from the broadcast edit committee was pre-supervised a day ago prior to bradcast by the supervising part of mail department, finally, after intelligence part of police documentary department was supervised, broadcast could be possible. In June 1937, editing part was newly set and editing works became independent, it was a purpose to cut off the contents which bother war prosecution. As war status was getting in disadvantage, broadcast administration system described above was more enforced every year. In April 1941, integrity broadcast research committee which even people of nation spirit alliance take, was newly set and had a session every month, and broadcast was asked for a tool of only war broadcast as broadcast review committee was changed to integrity broadcast review committee in December this year. 일본제국주의는 본국 일본에서 1925년 3월 라디오 방송을 시작하였으며, 1927년 식민지 조선에서도 경성방송국을 개국하였다. 일제 식민지하에서 라디오 방송은 새로운 근대적 형식의 미디어였으며, 한편으로 식민통치의 도구로도 기능하였다. 라디오방송은 식민지 현실이라는 한계 속에서도 선진기술문명으로 대중문화를 전파하고 정보를 전달하는 역할을 하면서 근대적 매스미디어로서 식민지 조선의 사회와 문화에 적지 않은 영향을 미쳤다. 1933년 이중방송 실시를 기점으로 조선어 방송을 실시하고, 출력을 대폭 증강하는 한편 전국적으로 방송망을 확장하였다. 이를 위해 이사장이 중심이 되었던 사단법인 경성방송국은 1932년 4월 총재제도를 도입하며, 조선방송협회로 개편되었다. 라디오 방송 초기에는 수신기를 구입하고 청취료와 전기료가 부담이 되어 주로 일본인들이 청취자의 다수를 차지하였으나, 1933년 이중방송의 실시로 제2방송이 조선어로 방송되자 조선인 청취자의 수는 급증하였다. 1930년대 중반 이후 일제가 라디오를 전쟁수행과 식민지 통치의 중요한 매체로 이용하기 위해 보급을 촉진한 것도 조선인 청취자의 수가 증가하는 요인이 되었다. 이 같은 조선인 청취자의 증가는 일제의 라디오에 대한 통제를 강화하는 한 요인이 되었다. 경성방송국 조직구성을 보면 다른 식민지 통치기구에서와 마찬가지로 조선인 직원보다는 일본인 직원이 다수를 점하였다. 1933년 조선인 직원 수는 전체 총수의 절반 정도였으나 1941년에는 40%이하로 줄었고, 1944년에는 25%로 더욱 줄었다. 부서간 직원분포에서도 조선인 직원들을 주로 가입, 요금 등의 업무를 담당하는 총무부와 사업부에 배치시켜, 이들을 조선인 청취자 확보를 통한 재정안정책과 관련된 부서에서 활용하였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조선방송협회의 조선인 임원진을 보면 거의 일제에 협력하던 사람들로 구성되어 일제의 라디오에 대한 통제에 문제제기를 하기는 어려운 구조였다. 조선인 청취자가 급증하자 방송에 대한 통제가 강화되었다. 1934년 7월 31일 제1 제2방송에서 방송되는 모든 프로그램을 연구, 심의한다는 명목 아래 방송심의회를 조직하였다. 1935년 4월에는 방송편성회를 설치하여 방송관리제도를 더욱 강화했다. 이 방송편성회는 1937년 4월 17일 경성중앙방송국의 조선어방송이 50kW로 증강되고 7월 7일 중일전쟁이 발발하면서 한층 강화되어, 조선총독부에 정보위원회를 설치하고 동시에 경무국 문서과에 보도계를 신설하여 여기에서 모든 방송뉴스와 프로그램을 통제하였다. 이 방송편성회에서 검토하여 편성된 프로그램은 또다시 방송 하루 전에 체신국 감독과의 사전 검열을 받게 했으며, 나중에는 경무국 문서과 정보계의 사전검열까지 받은 뒤에야 방송할 수 있었다. 1937년 6월 새로 편성과를 신설하여 편성업무를 독립시켰는데 이는 전쟁수행을 저해하는 내용을 사전에 차단하고자하는 의도였다. 이상과 같은 방송관리제도는 점차 전세가 급박해짐에 따라 해를 거듭할수록 더욱 강화되었다. 1941년 4월에는 국민정신총동원연맹의 인사들까지 참석하는 총력방송연구회를 신설하여 매달 1회씩 개최했으며, 방송심의회도 이해 12월에 총력방송심의회로 개편됨으로써 방송은 오직 전쟁방송으로서의 기능만을 강요받게 되었다.

      • KCI등재

        매체 융합시대에 방송의 자유와 온라인 매체에 의한 방송 - 독일 헌법이론을 중심으로 -

        이부하 한국외국어대학교 법학연구소 2017 외법논집 Vol.41 No.4

        Freedom of broadcasting serves the purpose of free, individual and public opinion. The legal system to ensure broadcasting freedom, which is contained in Article 5 (1) 2 GCL, aims at an order which ensures that the diversity of existing views on broadcasting is expressed in the widest possible range and completeness. The forming of this legal system is the task of the legislature, which has a wide scope for forming, also for differentiation, in particular according to the type of regulation. The internet broadcasting media meets the requirement of a mass-communicative element, because the recipient is ‘a large number of people’ despite having the information of the user. The ‘reporting’ requirement of the broadcasting concept requires editorial activities. The Internet broadcaster filters the information through editorial activities and selects the contents to provide Internet broadcasting. The legal aspect of the Broadcasting System is the prominent importance of broadcasting in the mass-media because of its breadth, topicality and suggestive power. Its breadth is reflected in the range and the possibility of influencing large sections of the population. For example, audiovisual mass media have long shaped the majority of citizens’ daily lives. The internet broadcasting media is not subject to program-dependent temporal restrictions, and can be mutually discussed in open and accessible forums in Internet broadcasting media programs. The content of the internet broadcasting can be transmitted quickly, even at the same time, to the recipients. The suggestive power of the internet broadcasting results in particular from the possibility of combining the communication forms of texts, sounds and moving pictures at a low cost, so that a wide range of effects is recognized. The internet broadcasting media has the suggestive power, because the possibility of interactive discourse on publicly accessible forums exists. The Internet broadcasting media fulfills the requirement of the suggestive power, because the user itself has to select program on the basis of a multitude of selection possibilities. 독일 기본법 제5조 제1항 2문의 방송의 자유 규정은 자유로운 개인적⋅공적 의사형성에 기여하기위한 것이다. 독일 헌법상 방송의 자유를 보장하는 취지는 가능한 한 폭넓고 완전하게 방송에 존재하는 의견의 다양성 보장에 있다. 인터넷 방송매체는 방송 개념의 중요한 징표로서 ‘기술적 전파 수단’ 요건을 충족하고 있다. 또한 방송 개념의 ‘대중적 의사소통’ 요건은 수신자가 ‘다수의 대중’ 인데, 인터넷 방송매체는 이용자의 정보를 소지함에도 불구하고, 수신자가 ‘다수의 대중’이라는 점에서 이 요건도 충족하고 있다. 방송 개념의 ‘보도’ 요건은 편집행위를 요구하는데, 인터넷 방송사는 편집행위를통해 정보들을 여과하고 내용적으로 선별하여 인터넷 방송을 제공하고 있다. 독일 연방헌법재판소 판례에 의하면, 방송은 광범위한 효력(Breitenwirkung), 최신성(Aktualität), 잠재적 영향력(Suggestivkraft)이라는 특성을 지니고 있다고 한다. 인터넷 방송매체에 전통적인 방송매체의 특성인 광범위한 효력, 최신성, 잠재적 영향력이 있는지를 논증할 필요가 있다. 인터넷 방송의 시청은 프로그램에 실시간 종속되지 않아 시간적 제한을 받지 않으며, 인터넷 방송매체 프로그램에서 공개적이고 접속가능한 포럼에서 상호간 토론도 가능하므로 광범위한 효력이 인정된다. 또한 저렴한 비용으로 문자, 음향, 동영상이 결합된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시청각 매체이므로, 광범위한 효력이 인정된다. 검색엔진이 전통적인 방송매체의 특성인 광범위한 효력, 최신성, 잠재적 영향력을 지니고 있는지를판단해 본다. 검색엔진 업체는 정보 검색에 있어서 게이트 키퍼(gate keeper) 기능을 수행하기 때문에제공의 ‘광범위한 효력’이 인정된다. 또한 검색결과의 ‘최신성’과 관련하여, 인터넷에서 검색엔진을 통한 정보 검색은 그 내용을 즉시 확인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최신성 요건은 충족된다. 그러나 검색엔진은 ‘잠재적 영향력’ 요건을 충족시키지 못한다. 검색엔진은 프로그램의 제작 등 전통적인 방송의 요건을 갖추지 못하고 있고, 인터넷 검색을 통한 결과목록의 제공은 전통적인 방송 프로그램과 견줄만한잠재적 영향력을 지니지 못했다.

      • KCI등재

        방송사업자의 동시중계방송권- 부산고등법원 2015나55441(본소), 2015나55458(반소), 2015나55465(병합) 판결을 중심으로 -

        홍승기 인하대학교 법학연구소 2019 法學硏究 Vol.22 No.1

        Since the beginning of 2000, digital switching of broadcasting signals has been promoted under the government's initiative. In the process, there were several disputes between terrestrial and cable broadcasters. In January 17, 2019, the Supreme Court ruled on a dispute between terrestrial broadcasters and cable broadcaster. The Busan High Court, an appellate court of the case, judged that ① the broadcasting organization's right to simultaneous transmission arises even when a broadcaster merely retransmits other broadcaster’s broadcasting, ② object of protection of simultaneous transmission is contents. Korean copyright law defines the broadcasting organization as ‘the ones who carry on broadcasting’ (Article 2, Clause 9). The broadcasting organization is the related rights holder, entitled to the right of reproduction (Article 84), the right to simultaneous transmission (Article 85), and the performance right (Article 85 – 2). In the process to establish Broadcasting Organization Treaty at the WIPO, the European countries intends to grant the right to deferred transmission. In Europe, a process is underway to extend the “Country of Origin principle” and “mandatory collective management” under Satellite and Cable Directive to ancillary online services. As there is a trend in expanding broadcaster’s related rights, it is necessary to review the normative meaning of the definition of broadcasting organization under the Korean Copyright Act. Since the expansion of the related rights of broadcasting organization will result in the reduction of copyright and inconvenience to users, a limited interpretation is necessary. I do not agree with the above ① because broadcasting organizations should be understood as the entity that takes the initiative and has the editorial responsibility for broadcasting, including assembling and scheduling the programmes carried on the signal. On the other hand, if object of protection of broadcaster’s simultaneous transmission is ‘contents’, then copyright and related right may overlap on the same object, which may cause the shrinkage of copyright. I guess the object of protection of simultaneous transmission is not contents but programme-carrying signal. 2000년 초부터 정부의 주도로 방송신호의 디지털 전환이 추진되었다. 그 과정에서 지상파방송사와 케이블방송사 사이에는 여러 건의 분쟁이 있었다. 2019. 1. 17.에도 대법원이 지상파방송사와 케이블방송사 사이의 분쟁에 대하여 판결을 선고하였다. 이 사건의 항소심인 부산고등법원은 ① 동시중계방송권은 방송사업자가 방송을 하기만 하면 발생하는 것이므로 다른 방송사업자가 방송한 것을 수신하여 다시 방송하는 경우에도 인정되고, ② 동시중계방송권의 보호대상은 방송물이라고 판단하였다. 우리 저작권법은 방송사업자를 ‘방송을 업으로 하는 자’라고만 규정한다(제2조 9호). 방송사업자는 저작인접권자이고 저작인접권자에게는 복제권(제84조), 동시중계방송권(제85조), 공연권(제85조의 2)이 귀속한다. WIPO에서 진행 중인 방송사업자 조약 논의 과정에서는 유럽 국가를 중심으로 방송사업자에게 이시송신권을 부여하고자 한다. 유럽에서는 Satellite and Cable Directive의 발신국 원칙(COO)과 의무적 집중관리(mandatory collective management)를 부수적인(ancillary) 온라인 서비스로 확대하고자 하는 절차도 진행 중이다. 방송사업자 권리확대가 추세라면 우리 저작권법의 ‘방송사업자’ 정의 규정의 규범적 의미를 검토할 필요가 있다. 방송사업자의 권리확대는 저작권자의 권리 위축과 이용자의 불편이라는 결과가 될 것이므로 방송사업자의 범주를 제한적으로 해석하여야 하기 때문이다. 방송사업자란 방송을 주도하고 편집·스케줄 등을 포함한 편성책임을 부담하는 자로 이해하여야 하므로 ①의 판단에 동의하지 않는다. 한편, 동시중계방송권의 보호대상이 ‘방송물’이라면 저작권의 보호대상과 겹치게 되고 결과적으로 저작권의 위축을 가져 올 수 있다. 동시중계방송권의 보호대상은 방송물이 아니라 ‘방송전달신호’라고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 KCI등재

        글로벌 스포츠 이벤트 중계권협상과 보편적시청권(Universal Access Right)

        정재용,심우영 국제거래법학회 2015 國際去來法硏究 Vol.24 No.2

        The media has faced new competition and changes along with the increase of the satellite and cable channels and the internet informatization. As the effects of technological development the media environment has minimized restrictions of the time and the space. This helps various mediums to be observed in our daily life which develops quality standard and diversity of media contents. Especially, the competition of electronic media has been intense due to the terrestrial digitalization, satellite broadcasting in terrestrial, the leap of cable TV, and the challenge of internet. In particular, it is not new that the competition among broadcasters for the sports broadcasting right is with a rise of prices of sports broadcasting, which is one of the professional media contents. Therefore the question for the universal access right has been raised against the monopoly right, and the new approach to solve the problem needs in broadcasting. The ‘universal access right’ for broadcasting is the right of viewers who are users of broadcasting to use broadcasting service without physical and economical obstacles. Korea's Broadcasting Act did not explicitly stipulate provisions on ‘universal access right’ initially and from public interest, public interest, and public accountability perspectives for broadcasting, universal access and universality of information were pursued. After Broadcasting Act was revised(Executed 2007.4.27 Law No.8301, 2007.1.26. Partially Revised]), ‘universal access right’ provision was newly stipulated and regulations began to directly express the concept of universal access. But ‘universal access rights’ has problems, such as the standards on and the selection of ‘the announced and designated national concerning events’, the absence of provision on stipulating notion of ‘the recognised prior broadcasters’, and the prohibition regulation for securing universal access rights. So, firstly, two notions of ‘universal access rights’ should be unified or its standards should be clearer. Secondly, the independence and the authority of the Security Committee of Universal Access Rights as the agent to select ‘the announced and designated national concerning events’ should be strengthened. Thirdly, the notion of a preferential broadcaster should be adopted, but the way of appointing it should be sublated. Fourthly, the exclusive broadcasting should be allowed in the circumstances of assuring ‘universal access right’. 오늘날 스포츠가 가지는 사회적, 문화적인 가치는 과거와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증가하고 있고, 이에 따른 경제적 효과 및 시장성 역시 큰 폭으로 확대되고 있다. 특히 종전의 TV방송사 외에 스포츠를 중계할 수 있는 매체들이 다양해지고, 높은 시청률과 큰 광고수익을 수반하는 올림픽이나 월드컵과 같은 이른바 메가스포츠의 경우에는 그 중계권을 확보하기 위한 방송사, 스포츠 단체, 마케팅사 간의 분쟁이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실제로도 올림픽이나 월드컵이 개최되는 해를 전후로 하여 발생하는 법적 해결을 위한 재판신청 또는 중재요청에 대한 보도가 이를 방증한다. 이러한 분쟁 또는 경쟁은 필연적으로 자본력이 어떠한가에 따라 그 결과가 좌우되는바, 이는 일부 유료방송사들의 중계권 독점으로 인한 국민들의 부담을 증가하게 할 수 있다는 우려 및 중계권확보의 과잉경쟁에 따른 높은 중계료의 지불로 인한 외화의 유출, 방송사 간의 중복 편성으로 인한 낭비 등의 문제를 유발한다는 문제로 이어진다. 물론 이러한 문제발생의 일차적인 원인이 국제스포츠 단체들의 지나친 상업화에 있다고 할 수 있을 것이나, 내부적으로도 제도적⋅정책적인 부분에서 과도한 경쟁이나 분쟁을 방지하고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이 미비하다는 점도 지적할 수 있다. 우리 방송법은 국내 방송사업자 사이의 과당경쟁으로 인한 중계권료 부담을 경감하고, 방송사의 사업권역에 따라 시청이 불가능한 시청자를 최소한으로 하여, 보다 많은 국민이 시청가능하도록 보장하는 보편적 시청권에 대해 규정을 두고 있다. 그러나 해외의 사례를 검토하고 비교법적으로 살펴보았을 때, 보편적 시청권 규정을 보완하는 것을 과도한 경쟁이나 분쟁을 해결할 수 있는 하나의 방법으로 제시할 수 있다. 따라서 우선방송사의 개념을 규정하고, 보편적 시청권의 이원적 기준을 일원화 하며, 보편적 시청권이 인정되는 범위, 즉 국민관심행사의 의미 및 기준을 명확히 할 필요가 있다. 또한 근본적으로 보편적 시청권 제도를 두게 된 목적을 다시 한번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 이러한 국내적인 해결방법 외에 국제적으로도 EBU나 ABU 같은 방송관련 국제기구의 역활도 매우 중요하다. 왜냐하면 이들 기구의 활동으로 인해 법제도적으로 미비한 다른 국가들의 권리를 보호하고 더 많은 자국민들이 최소한의 부담으로 스포츠를 시청할 수 있기 때문이다. 특히 ABU의 노력으로 2012년 런던올림픽이 북한에서도 방송되었다는 것은 주목할 만하다.

      • KCI등재

        방송산업의 특수성에 관한 연구: 지역방송의 매출과 편성을 중심으로

        이승현,임종석,한진만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2017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Vol.11 No.8

        Broadcasting industry, generally, shows correlation between a program rating and advertisement revenue. By contrast, the position of local broadcasting is distinctive in that 'a radio wave fee' is distributed to local broadcasting according to a proportion of accessible audiences and advertisements are allocated to local broadcasting regardless of a program rating through the KOBACO’s mandatory packaged sales of TV advertisemen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agnose such distinctiveness of local broadcasting that shows some difference from the central broadcasting by investigat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general broadcasting industry that employs television scheduling strategies in order to have superiority over other competitive broadcasting companies in terms of a program rating. The situation of Chuncheon MBC is analysed to find a concrete answer to what influence sales have on programming strategies. The findings show that the ratio of the local broadcasting company’s self-programming has little changed although its sales has decreased and the number of producing staff has been reduced for the past 10 years. With regard to the local broadcasting company’s self-programming,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producers themselves, they have tried to reduce the cost through self-production and co-production and the outsourcing production dependency ratio, as another form of programming, is very low. The constant dropping in sale price of advertisement of the local broadcasting company has caused the personnel reduction, and, thus, the company has continued to reduce the personnel by not employing new staff members in spite of the lack of the personnel caused by retirement. This means that the degree of labor intensity has heightened. The dominant factors in the competitiveness of broadcasting companies are capital, manpower, and equipment. However, local broadcasting companies are lacking in all these elements. It is the government policy of mandatory packaged sales of TV advertisements that offers the possibility of getting advertisement revenue without pressure of a program rating, which produces the distinctiveness of the reality of the local broadcasting.

      • 데이터 방송의 현황과 정책과제

        성열홍 한국방송공사 2002 방송 문화 연구 Vol.14 No.-

        Digital broadcasting will not only increase the number of channels compared to the past when channel capacity was limited but also provides the interactive service including data broadcasting. Specifically, satellite broadcasting serviced from the first quarter of 2002 with over 80 channels and NVOD, EPG servce has created a leading role for digital broadcasting in Korea. Firstly, this study examines the introduction of commercialized data broadcasting service scheduled to begin on the first quarter of 2003 through satellite broadcasting in Korea. Therefore it focuses on the concept and technical understanding of data broadcasting. Secondly, the study presents research on regulations of interactive service in foreign countries and provides lessons gained from their advanced data broadcasting industries. This benchmarking can serve as a valuable reference for development of our data broadcasting industry. With these comparisons between foreign studies and the Korean broadcasting environment, we can conclude that the deregulation on data broadcasting is very essential for soft landing because the current broadcasting law can not afford the interactive service like data broadcasting. So, lastly charter suggests data broadcasting regulation to minimized the problems when this interactive service is introduced through digital media platform.

      • KCI등재

        지역방송에 관한 시청자의 인식 연구: 20대 시청자의 주관성 분석을 중심으로

        김선남,원승연 한국주관성연구학회 2019 주관성연구 Vol.- No.46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ategorize the users of local broadcasting by analyzing subjectivity of how they are aware of local broadcasting. Research has found that there are three types of subjective factors for local broadcasting by local broadcasting users. The first type is the subjective of ‘broadcasting that embodies locality’. They had an awareness that was consistent with the purpose and purpose of the establishment of local broadcasting, and subjective that local broadcasting was playing a positive role in the implementation of locality. This type accounted for 57 percent of all respondents. The second type is the perception of ‘fierce broadcasting’. They were aware that local broadcasting stations had poor production conditions compared to national broadcasting and poor conditions in the broadcasting market, such as a lack of novelty in programs. This type accounted for 30% of the total responses. The third type is the subjective of ‘broadcasting for local development’. Although they are producing broadcasts that enhance the region’s status with content that emphasizes locality, they were aware that they were only playing the role of regional public relations. This type accounted for 13% of the total responses. 본 연구의 목적은 지역방송 이용자가 지역방송을 어떻게 주관적으로 인식하고 있는지를 유형화하고 각 유형의특성과 차별성을 분석하는데 있다. 연구결과, 지역방송 이용자의 지역방송 인식유형은 총 3개의 스타일로 나타났다. 제1유형은 ‘지역성을 구현하는 방송’이다. 이들은 지역방송이 설립 취지와 목적에 부합한 활동을 수행하고있으며, 지역방송이 지역성 구현에 긍정적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고 인식했다. 이 유형은 전체 응답자의 57%를차지했다. 제2유형은 ‘열악한 방송’이다. 이들은 지역방송은 전국방송사에 비해 열악한 제작환경을 보유하고 있어서 낮은 프로그램을 제작하며 그 결과 지역주민의 욕구를 충족시키는데 부족한 것으로 인식했다. 이 유형은전체 응답자의 30%를 차지했다. 제3유형은 ‘지역발전의 견인차로서 방송’이다. 이들은 지역방송이 지역성을 담보한 콘텐츠 개발 및 활용에 적극적으로 임하고 있다고 인식하면서 향후 지역방송이 지역발전의 견인차 역할수행에 두드러져야할 것임을 요청하였다. 이들은 전체 응답자의 13%에 해당하며 소규모로 나타나는 유형이다.

      • KCI등재

        1980년대 문예드라마 <TV문학관> 연구

        박유희 한국극예술학회 2017 한국극예술연구 Vol.0 No.57

        This study set out to investigate the emergence, context, development, and significance of literary dramas in the 1980s with a focus on TV Drama Theater, which aired on KBS and led the era of home theater. It was produced and broadcasted throughout the Fifth Republic of South Korea from 1980 to 1987 and was imprinted as the representative literary drama series in the history of television broadcasting in South Korea. The television broadcasting of the 1980s can be characterized by the KBS based single public broadcasting system for the consolidation of the press and color broadcasting, which were parts of the new military regime's media policy to thoroughly control broadcasting and, at the same time, turn the attention of people elsewhere. The production and organization of TV programs, thus, put an emphasis on sound content fit for the ideas of public broadcasting and on spectacles to highlight the advantages of color broadcasting. When these criteria were applied to dramas, large-scale special dramas whose episodes would last a couple of hours, became the mainstream. This atmosphere became the basis and driving force of the emergence of “literary dramas,” which promoted the artistry of pure literature and movie-like spectacles. TV Drama Theater was one representation of a literary drama program that appeared in those days. Under the purposes of “introducing Korean literature through images and showing the new domain of TV dramas to viewers by turning great novels and original dramas of Korea into TV dramas,” TV Drama Theater received full support from KBS and enjoyed its longevity with a total of 266 episodes that were produced from December, 1980 to November, 1987. This indicates that it was a star program that manifested the ideology of public broadcasting in the drama sector throughout the Fifth Republic of South Korea. Even after its production was over, its reruns did not end. Later, it revived as New TV Drama Theater and HDTV Drama Theater, being produced again several times, which suggests that TV Drama Theater received the attention and support of the public even though it was created in the context of the Fifth Republic's media policy. In short, the production and broadcasting of TV Drama Theater had many different factors crossing each other including appealing to the public, changing media, criteria and limitations of program development, and resulting in aesthetics and rhetoric in addition to the intention of the regime. The people of South Korea had a bigger need for family culture according to the rising living standard and the emergence of television as a medium of family integration. The broadcasting circles were desperate to develop programs fit for the changes to the broadcasting environment, and producers were allowed to exert their desires and capabilities to embody new images within the perimeter approved by the ideology of public broadcasting. The rise and fall of TV Drama Theater along with its emergence was in the middle of these various needs and desires that clashed, conspired, and contended with each other. 본고는 제5공화국 시기(1980~1987년)에 제작·방영되어 한국 텔레비전 방송사에서 대표적인 문예드라마로 각인된 KBS <TV문학관>에 대한 연구이다. <TV문학관>의 제작과 방영에는 신군부 정권의 의도와 더불어 컬러화로 촉진된 영상매체의 주도권 변화, 공영방송이 허용하는 범위 안에서 TV드라마 또한 영화와 같은 예술적 영상매체가 될 수 있음을 입증하고자 하는 방송계의 욕망, 그리고 안방에서 교양과 시각적 즐거움을 함께 충족하고자 하는 대중의 욕구가 교차하고 있었다. 시대의 다양한 요구와 욕망이 충돌하고 공모하며 길항하는 가운데 <TV문학관>은 부상과 쇠락을 겪게 된다. 본고에서는 특히 <TV문학관>이라는 문예드라마가 주목받을 수 있었던 이유, <TV문학관>이 제5공화국의 몰락 즈음에 종영을 맞이한 까닭을 질문하며 프로그램 성쇠의 맥락과 텍스트의 의미구조를 고찰하고자 했다. <TV문학관>은 1980년 12월18일 <을화>를 시작으로 1987년 11월7일 <가을비>까지 총 266편이 제작·방영되었다. 원작 선택이나 연출 태도 면에서 볼 때 초기부터 1983년까지는 ‘문예’의 유산을 적극 수용하는 경향이 두드러졌다. 이 시기가 <TV문학관>의 전성기였으며 컬러TV를 새로운 영상예술 매체로 활용하기 위한 생산자들의 도전적 시도도 활발했다. 이때 개발독재를 거치며 문예영화와 문예드라마로 반복 재생산되어 온 문학이 전폭적인 지원 속에 컬러TV를 통해 재구성되면서 TV드라마가 영상예술로 인정받게 된다. 그 과정에서 ‘TV판 문예영화’로서의 <TV문학관>의 전형이 만들어졌다. 그런데 1983년경부터는 <TV문학관>이 새로운 TV드라마 영상으로 내세웠던 ‘올로케이션’이나 영화와 같은 화질이 일반화되고 <베스트셀러극장>과 같이 보다 시의적이면서 장르적 재미를 갖춘 드라마가 등장한다. 그러면서 <TV문학관>은 점차 새로울 것 없는 익숙한 드라마로 밀려나고 존재 이유 또한 약화된다. 1987년에 오면 새로 제작되는 편수가 현저하게 줄고 재방송 비율이 높아지다가 프로그램 자체가 종영에 이른다. <TV문학관>에서 극화된 문학의 범주와 특성을 살펴보기 위해 원작을 조사해보면, <TV문학관>은 문예영화의 단골 작가군을 우선적으로 수용하면서 당대의 화제작에도 주의를 기울였다. 그럼에도 대중적인 작가들과는 일정한 거리를 둠으로써 일반 드라마와는 변별되고자 했다. 대신 1980년대에 대두한 ‘분단문제’를 수용하면서 일련의 분단문학 작가들이 주요 원작자가 되었다. 그러나 이 경우에도 역사적 상황 속에서 휴머니티를 다루는 원작이 채택되거나 그러한 방향으로 각색되었다. 이는 각색을 담당했던 방송작가들이 창작하는 오리지널 대본의 경우에도 마찬가지여서 기본적으로 일정한 구조에서 벗어나지 않았다. 원작이 다양해지더라도 결국에는 기존 목록에 충실한 방향으로 정향되었던 것이다. 그러면서 <TV문학관>은 프로그램 자체가 하나의 표상을 형성했다. <TV문학관>은 다수의 텍스트로 구성되어 있으면서도 텍스트의 의미구조를 들여다보면 일관된 마스터플롯을 이루고 있다. 그것은 ‘도시인의 피로 vs 노스탤지어로서의 과거’라는 짝패와 그로 인한 방랑이 운명으로 귀결되는 환원구조이다. 이러한 구조 속에서 도농 갈등은 물론 격동의 근현대사 또한 운명적인 것으로 의미화된다. <TV문학관>의 방영작이 독자적인 작품으로 기억되기보다 ‘평화롭고 화해로우나 서글프고 아련하고 과거지향적인 ...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