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교회와 문화선교, 그 역사와 과제:<문화선교연구원> 사역을 중심으로

        백광훈 장로회신학대학교 기독교사상과문화연구원 2019 장신논단 Vol.51 No.3

        This thesis was written to give a theological meaning and evaluation of Center for Cultural Communication which is 21 years old this year. Founded in 1998, the Institute for Cultural Missions has been established because of the weakening of religious identity according to postmodernism and consumer culture, the cultural leadership of the Church in the new era, and the response of the Church. In addition, a theological and pastoral response of the Church in response to the rapid expansion of popular culture was needed. Unlike a dualistic approach to gospel and culture, the institute’s perspective about popular culture and cultural phenomena is based on “The Perspective of Godcentered Transformational Culture” through Biblical understanding of culture. Based on this viewpoint, the institute researched popular culture, produced the “Education Film” for children and youth in church school, as well as a culture magazine Today. We have also searched for ways to engage and transform through Seoul International Agape Film Festival and the Christian theater, Film Forum. I characterize the Institute’s ministry condensed into five characters: 1. the appropriate response in the era of cultural change, 2. the integrated approach including theory and practice, 3. cultural vision aiming at cultural transformation as publicness, 4 establishing a cultural trench for participation and transformation, and finally, ministry to prepare for the next generation. In conclusion, I will propose the institute’s work to be continuously applied throughout the early 21st century. In particular, I suggest that the ministry of Center for Cultural Communication is more important in the social-cultural context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dereligiousization, postmodernism & consumerism, and post-secularization. Through this process, I hope to establish the theological significance of the Center for Cultural Communication which is the representative cultural research institute of the Korean Church, and to identify the cultural mission strategy and vision that the Korean Church should practice in the future. 본 논문은 올해로 21년을 맞은 문화선교연구원 사역에 대한 신학적 의미와 평가를 시도하기 위해 작성되었다. 1998년에 설립된 문화선교연구원은 대중문화의 급격한 확장에 따른 교회의 신학적, 목회적 대응의 필요성, 포스트모더니즘과 소비문화에 따른 신앙정체성의 약화와, 새로운 시대, 교회의 문화적 지도력 재고와 교회의 대응을 위해 창립되어 한국 기독교계의 대표적인 문화선교연구기관으로 활동하고 있다. 문화선교연구원은 복음과 문화의 이원론적인 접근을 넘어, 문화에 대한 성서적 이해를 통해 “하나님 중심의 변혁적 문화관”을 기초로 대중문화 및 문화 현상에 대한 연구(research), <기쁨의 부활절 50일> 프로젝트, 교회학교 어린이, 청소년을 위한 <교육영화>, 문화매거진 <오늘>로 대표되는 문화 생산(creation)활동을 해왔다. 또한 <서울국제사랑영화제> 및 복합문화공간 <필름 포럼>과 같은 플랫폼(platform) 구축 사역을 통해 문화 참여(engagement)와 변혁 (transformation)의 길을 모색하여 왔다. 논자는 이러한 문화선교연구원 활동이 신학적인 차원에서 유의미한 사역이라고 보고, 신학적인 관점에서 문화선교연구원의 사역을 1. 문화적 전환기 속에서 이루어진 적극적인 시대적 응답, 2.이론과 실천을 아우르는 통합적 사역, 3. 문화 변혁을 목표로 하는 문화선교의 공공성 성격 지향, 4 참여와 변혁을 위한 문화 진지 구축, 5. 다음세대를 준비하는 문화선교 사역이라는 특징으로 요약 평가하였다. 결론적으로 이러한 문화선교연구원의 사역은 21세기 초반 문화지체현상으로 인한 위기가운데 있는 한국교회가 지속적으로 시도해야할 선교적 과제임을 주장하면서, 새롭게 시도해야 할 문화선교의 신학 적· 목회적 과제들을 제언하게 될 것이다. 이 모든 과정을 통해 한국 교회의 대표적 문화연구기관인 문화선교연구원 사역에 대한 의미가 신학적으로 엄밀히 평가 되는 또 다른 시도들이 촉발되기를 바라며 또한 한국교회가 지속적으로 실천해야할 문화선교적 전략과 비전을 모색하는 움직임들이 나타나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후보

        한국정부의 종교문화정책과 기독교

        백종구 장로회신학대학교 기독교사상과문화연구원 2011 장신논단 Vol.0 No.41

        The present study intends to describe the Korean government’s policy of protecting and utilizing the cultural heritage of religions in Korea. In addition, it will show the present state of the Protestant culture property plus the ways to discover, preserve,and utilize the Protestant cultural heritage; as well as identifying ways for the Protestant Christianity to discover, preserve, and utilize their own cultural heritage. This study is made up of three main parts. The first part examines the Korean government’s policy of supporting the cultural activities of religions in Korea, which will focus on the ‘designation system’ and ‘registration system’ adopted by the Korean government to protect the culture property. The second part describes the current state of the Protestant culture property and the ways both the government and the groups of people in and outside Protestant Christianity to discover, preserve, and utilize the Protestant culture property. The third part proposes some ways for the Protestant Christianity to discover, preserve, and utilize their own cultural heritage in near future. The result of this study provides the following two tasks that Protestant Christianity should carry out to compete in the area of culture with other main religions,i.e. Confucianism, Buddhism, and Roman Catholicism. First, the Protestant Christianity should discover, preserve, and utilize the original form of Protestant culture (gidokkyomunhwaweonhyeong, 基督敎文化原形), i.e. the Protestant culture preserving characteristics proper to Korean nation, out of the vast amount of the Protestant cultural heritage. The Protestant culture in its original form would be a resource for the Protestant culture property. Secondly, they should create a new original form of Protestant culture; this new original form would be a resource for a future Protestant culture property. It is desirable that a new original form of Protestant culture is created in the global culture property, which is enjoyable in the world as a whole beyond Korean peninsula. 본 연구는 한국정부가 종교관련 문화유산을 보호하고 활용하는 정책, 기독교문화유산의 현황과 기독교문화유산의 발굴, 보존, 활용 실태, 그리고 기독교계의기독교문화유산 발굴, 보존, 활용 방안을 전망하는데 있다. 이 글의 첫 부분은 한국정부의 종교문화활동 지원정책의 발전과정을 문화재 지정제도와 등록제도, 문화재의 발굴, 보존, 활용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둘째 부분은 기독교문화재의 현황과 최근 정부와 기독교계 내·외부의 단체가 기독교문화유산을 발굴, 보존, 활용하는 실태를 서술하였다. 마지막으로 기독교계가 자신이 보유한 문화유산을 효과적으로 발굴, 보존, 활용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유교, 불교에 비해 짧은 역사를 가진 기독교계가 문화영역에서 타종교와 대등하게 경쟁하기 위해 필요한 일을 보여준다. 전통문화유산을 보유하지 못한 기독교계는 근대문화유산에 주목해야 하며, 근대문화유산 가운데 기독교문화재자원이 될 수 있는 문화원형을 발굴하고, 발굴된 문화원형을 다양한 방식으로 보존하고 또 활용해야 한다. 또 미래에 문화재가 될 수 있는 잠재성을 가진 기독교문화원형을 창조해야 하며, 앞으로 창조할 기독교문화원형은 한반도의 국경을 넘어 전 세계적으로 향유될 수 있는 글로벌 문화원형이 되어야 한다. 기독교문화유산의 발굴, 보존, 활용사업은 기독교내의 노력이 우선시 되어야 하지만 기독교 외 중앙정부와 지방자치단체, 민간인, 산업계, 학계 등 외적 지원도 수반되어야 한다.

      • KCI등재

        문재인 정부의 통일 정책과 기독교윤리적 응답 모색

        이창호 장로회신학대학교 기독교사상과문화연구원 2019 장신논단 Vol.51 No.3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unification policy of the Moon Jae-in administration through the lens of Christian ethics. The paper first seeks to go through the unification policy of the Moon administration, by briefly reviewing the position and meaning of the said policy within the scope of the policy’s history and stat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government policy in terms of “the priority of peace,” “common prosperity and international cooperation,” “public-private cooperation and the respect for national consensus.” Next, I will discuss Christian theological-ethical beliefs and insights that correspond to such characteristics and, on the basis of such beliefs and insights, explore a Christian response to the unification policy of the Moon administration. A response concerning ‘the priority of peace’ will be sought from Christian theories of peace, the insights for which will be gleaned through the two strands of Christian theory of peace: pacifism and just war tradition. The main subjects of research will be Erasmus, the representative of pacifism, and Luther and Calvin, who classically and typically developed Christian understanding of just war. Christian cosmopolitanism will be sought in order to discuss “common prosperity and international cooperation” in Christian ethical terms, attending to Albrecht Ritschl and Max L. Stackhouse who are arguably the important foundations of Christian cosmopolitanism. Ritschl emphasizes the moral fellowship which forms through the practice of love, the moral law endowed to all human beings. Stackhouse highlights the optimistic outlook and moral obligation concerning globalism based on and corresponding to God’s affectionate providence for the entire world. The ethics of Christian public participation will be underscored for “public-private cooperation and the respect for national consensus.” Nicholas Wolterstorff and David Hollenbach will be examined for this task. Wolterstoff is one of the representative theorists who actively advocate the justification and value of every citizen including the religious ones in terms of public responsibility and participation, while Hollenbach has developed a Christian theory of the common good that discusses the capability of Christianity to contribute to increasing the common good of the entire society. 본 논문의 목적은 문재인 정부의 통일 정책을 기독교윤리적으로 성찰하는 것이다. 먼저 문재인 정부의 통일 정책을 살피고자 하는데, 문재인 정부 통일 정책의 정책사적 위치와 의미를 간략하게 밝히고 정부 정책의 주요 특징들을 평화의 우선 성, 공동번영과 국제협력, 민관협력과 국민적 합의 존중 등으로 진술할 것이다. 다음으로 그러한 특징들에 상응하는 기독교 신학적 윤리적 신념과 통찰을 논구하고 그러한 신념과 통찰에 근거하여 문재인 정부의 통일 정책에 대해 기독교적으로 응답할 것이다. ‘평화의 우선성’에 대해 기독교 평화론의 관점에서 응답을 모색할 것인데, 기독교 평화론의 두 갈래 곧 평화주의와 정당전쟁 전통으로부터 규범적 통찰을 얻을 것이다. 평화주의 전통을 대표하는 에라스무스와 정당전쟁 전통의 이해를 전형적으로 전개하는 루터와 칼뱅을 주로 탐구할 것이다. ‘공동번영과 국제협 력’을 기독교윤리적으로 논하기 위해서 기독교 범세계주의를 모색할 것이며, 후자의 중요한 토대로서 리츨과 스택하우스를 주목할 것이다. 리츨은 모든 인간에게 주어진 도덕법 곧 ‘사랑’을 실천함으로 이루어지는 보편적 인류 공동체로서의 도덕적 연합을 역설하며 스택하우스는 창조하신 온 세계에 대한 하나님의 사랑의 섭리에 상응·근거하여 범세계주의에 대한 낙관적 전망과 윤리적 책무를 강조한다. ‘민관협력과 국민적 합의 존중’에 대해서는 기독교 공적 참여의 윤리를 중시할 것이다. 이를 위해 종교인을 포함한 모든 시민의 공적 책임·참여의 당위성과 유용 성을 적극적으로 옹호하는 대표적 이론가인 월터스토프와 전체 정치사회 공동체의 공공선 증진을 위해 기독교가 의미 있는 기여를 할 수 있다는 논지의 기독교 공공선 이론을 전개한 홀렌바흐를 살필 것이다.

      • KCI등재

        교회의 ‘공적 관계성’의 관점에서 장신신학 읽기‚ 장로회신학대학교 신학성명에 대한 신학적 윤리적 분석과 평가를 중심으로 ‚

        이창호 장로회신학대학교 기독교사상과문화연구원 2018 장신논단 Vol.50 No.1

        The essence of the Christian church as a public entity lies in its public nature. The public nature of the church has as its essential element its relationship with the secular realm, which involves a variety of public relations and interactions formed by public subjects and socio-political transformations created by such interactions. Therefore, it is considered as an ethical mandate for the church to form public relations with the secular realm and participate publicly in it. If the church’s public participation is an ethical mandate, what is it like and how can the church participate in the public sphere as an agent of public transformation? On what grounds should the public relationship of the church be justified? To respond properly to these questions and fulfill public responsibilities is one of the Christian church’s most important duties. In this paper, I attempt to explore the public relationship of the theology of Presbyterian University and Theological Seminary and offer constructive suggestions conducive to enriching the Christian church’s understanding of public relationships. First, I will examine the theological statements of PUTS issued in 1985, 2002, 2003 and 2015 in terms of public relationship and discuss theological justifications about the formation of public relations and the pursuit of public transformations. Second, I propose four ideal types of public participation, highlighting classic and contemporary theologians who represent each type and justify these types theologically. Also, I attempt to define the place of the theology of PUTS by analyzing and evaluating the theology’s understanding of public relationship in light of the four types. Lastly, I conclude with several ethical suggestions which are conducive to strengthening the identity of the theology of PUTS and enriching the public relationship of world Christianity. 공적 실체로서 기독교회의 본질은 공공성에 있다. 기독교회의 공공성은 공적 영역과의 관계성을 결정적인 요소로 내포하는데, 이 관계성은 필연적으로 그 관계에 참여하는 주체들 사이의 관계 형성과 상호작용을 동반하며 그러한 상호작용은 공적 변화를 일으키게 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교회가 세상과 공적 관계를 형성 하고 또 공적으로 참여하는 것은 윤리적으로 당위적인 명령이라고 해야 할 것이 다. 본 논문의 목적은 이 과제 수행의 일환으로, 장로회신학대학교의 신학 곧 장신신학의 공적 관계성을 탐색하고 그러한 탐색을 통해 기독교의 공적 관계성 이해를 이론적으로 또 실천적으로 성숙시키는 데 이바지하는 것이다. 먼저 1985년, 2002년, 2003년, 2015년에 발표된 장로회신학대학교 신학성명들을 ‘공적 관계 성’의 관점 곧 교회와 세상의 공적 관계 형성, 공적 참여와 변화(혹은 변혁) 추구 등의 관점에서 논하고, 공적 관계 형성과 변혁 추구에 대한 신학적 정당화에 대해 탐구할 것이다. 다음으로 기독교의 공적 관계성의 패러다임적 모형을 탐색하고그 신학적 근거를 논구하고자 하는데 크게 네 가지 모형을 제시할 것이다. 또한 장신신학의 ‘공적 관계성’을 이 모형들의 관점에서 분석·평가함으로써 장신신학의 위치를 탐색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이상의 논의를 바탕으로 장신신학의 정체성 강화와 세계 기독교의 공적 관계성 성숙에의 기여를 목적으로 하는 몇 가지 제안을 하고자 한다.

      • KCI등재

        刘小枫的「汉语神学」与神人关系

        오동일 장로회신학대학교 기독교사상과문화연구원 2018 장신논단 Vol.50 No.4

        The Sino(Hanyu)-Christian theology is a new theological thinking and academic study that rose in the Chinese mainland in the 90s of last century and is still in the ascendant of Chinese academia. The writer believes that the main contribution of Sino-theology has been introduced the Christian spirit into Chinese culture, especially God’s suffering on the cross. Liu Xiaofeng, a sino- Christian theologian, sought to transcend because he saw how tragic the reality that had not surpassed. If human lives were ultimately built on nature or history, human evil and human misfortune would be natural. Only the sacred existence of supernature and super history can constitute an absolute negation of the evils of the world and comfort the unfounded misfortunes suffered by people. For Sino - Christian theologians, only by introducing Christian theological values can the value foundation of Chinese culture be absolutely true and have ultimate sacred significance. God’s crucifixion did not mean to bring relief to the suffering, but to bring love and recognition to the suffering. God’s suffering did not make human suffering and misfortune justifiable, but it provided a meaning to the human suffering in protest and accusation of the suffering of the human world, instead of being limited as a fact of existence. Therefore, the loneliness and sadness (especially on the cross) experienced by Jesus transformed the present situation of the human being transcendentally. At the same time, “with the holy love” (love) became the new living situation for the people. In this context, Love is not a moral principle anymore, but it is a ubiquitous link between man and divine life. In this way, people can derive new qualities of life from the God’s revelation. Liu Xiaofeng believes that the quality of life has been corrupted in the Chinese context since human being starts to assume that he or she is the liberator, the historic propellent, and the creator of the world without any sense of guilt to his or her sin. Hence, the absence of guilt is one of the root causes of evil. Therefore, the Sino-Christian theologian’s contribution of introducing the crucifixion to Chinese culture had not only cured people’s spiritual confusions brought by nihilism but also helped suffering people find their spiritual destinations. 한어신학은 지난 세기 90년 대에 중국 대륙에서 일어난 새로운 신학적 사고와 학문적 연구이다. 특히 중국 대학 가에서 일어난 인문신학 운동으로 독특한 문화 사회학적 의미를 갖는다. 한어신학의 가장 핵심적인 공헌은 기독교의 십자가 신앙 정신 즉 기독교적 ‘신성’을 중국 문화 속에 도입한 데 있다. 한어신학자 류 샤오펑은 문화대혁명의 비극적 현실을 경험하고 나서 그것에 대한 철저한 성찰을 한다. 만약 인간의 생명이 단순히 자연이나 역사에 기초 한것이라면, 역사 속에서 겪는 인간의 악과 불행은 어찌 보면 자연스러운 과정으로 합리화 될 수 있다. 이에 류 샤오펑은 오직 십자가 고난에 참여하시는 하나님만이 세상의 악을 부정하고 사람들이 겪는 근거없는 불행을 위로 할 수 있다고 한다. 그는 오직 그리스도 사건이 현실 속에 존재하는 악과 불행에 대해 정확한 평가를 내리며, 인간의 현실에 참된 문화적 가치의 토대가 제공할 수 있다고 한다. 류 샤오 펑은 그리스도의 십자가는 인간을 고통을 경감시키 주는 것이 아니라, 고난 가운데 있는 사람들에게 사랑과 긍정의 의미를 가져다 준다고 한다. 하나님이 인간의 고난에 참여하신 것은 인간의 고통과 불행을 정당화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인간의 고통과 불행에 대한 비판이며 저항이며 해방을 뜻한다. 하나님이 인간과 더불어 외로움과 슬픔을 경험 하면서, 인간의 고통의 현실적 실재가 변화되면서, 오히려 거룩한 사랑과 실천의 장으로 바뀌게 된다. 여기서 사랑은 도덕적인 차원의 것이 아닌, 인간과 신적인 생명 간의 전적인 연결을 말한다. 결국 사람들은 하나님의 계시적 사랑에 의해 삶의 새로운 품격을 가지게 된다고 한다. 류 샤오펑은 인간이 자신의 죄에 대한 죄책감 없이, 세계의 해방자와 역사의 창조자로 자임하게 되면, 백성들의 삶이 위태롭게 된다고 한다. 왜냐하면 죄의식의 부재가 더 큰 악을 불러 올 수 있기 때문이다. 한어신학이 중국 문화에 ‘십자 가에 못 박히신 하나님’을 소개 한 것은, 현대문명의 허무주의에 의해 초래된 사람들의 영적인 곤핍을 치료해 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인간에게 자신의 죄성을 자각하게 하고, 고통받는 사람들에게 삶의 희망과 목적을 가져다 준다. 이것이 한어신학이 중국 문화에 가져다 준 신적 차원의 의미이다.

      • KCI등재

        기독교 가정교육의 과제와 전망

        최정민 장로회신학대학교 기독교사상과문화연구원 2019 장신논단 Vol.51 No.3

        The home of a Christian family is the primary venue for educating Christian faith to children. God appointed parents and granted them the authority and responsibility of educating their children with the Christian faith. However, changes in society and family structure and dynamics over time has been shifting from the family to professional teachers, and with it, Christian parents have gradually come to neglect their authority and responsibility as the primary educators of Christian faith, solely delegating this duty to the Sunday school. Modern families suffer detrimentally from the increase of divorces, remarriages, increase of young people preferring singlehood, increase in the average age of young people getting married and the ever-declining birthrate. Internally, families suffer from miscommunication and non-communication due to generational gaps, and confusion of roles in the family. Modern society introduces new forms of families as well. However, there is a tendency for many people to consider only the traditional form of family as a family. Even within the church, there is a lack of proper Christian education and care catered toward these new types of modern families. With the above context in mind, this research attempts to define the biblical and theological definition of a Christian family in order to evaluate the Christian family in this ever-changing modern society and seek out and present a directional goal for Christian family education in the future. As such, this research pinpoints that recovering the educational function of the Christian family is the first and foremost task in order to overcome the external and internal difficulties modern families face, and discusses the changes necessary in Christian family education in order to adapt to the changing family structure and dynamic in the modern world. 기독교 가정은 자녀의 신앙교육의 일차적 책임을 수행하는 교육의 장이 된다. 하나님은 부모들에게 자녀의 신앙교육의 우선적인 권한과 책임을 부여하셨다. 그러나 사회와 가정의 변화 속에서 가정의 교육적 기능이 다른 교육기관이나 전문교 사에게 위탁되고 있으며, 신앙교육에 있어서도 기독교인 부모들은 자신들의 교육적 권한과 책임을 등한시함으로써 자녀의 신앙교육을 교회학교에 위임하는 경향이 있다. 현대 사회의 가정은 외형적으로는 미혼과 만혼의 증가, 저출산, 이혼 및 재혼의 증가로 기존의 가정을 유지하는 것의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내적으로는 가족 세대 간의 단절과 가족 구성원의 역할 혼돈의 난관에 부딪혀 있다. 또한, 현대사회는 다양한 새로운 유형의 가정들이 생겨나고 있지만, 여전히 우리의 인식 속에는 전통적인 가정을 정상적인 가정의 유일한 형태로 생각하는 경향이 있다. 교회 안에서도 다양한 현대 가정의 유형을 포용하거나 그들을 위한 기독교교육적 돌봄과 지원이 부족한 상황이다. 이와 같은 문제의식 속에서 본 연구는 기독교 가정의 성경적·신학적 의미를 살펴보고, 현대 사회의 변화 속에서 기독교 가정의 모습을 진단해 봄으로써 기독교 가정교육이 나아가야 할 방향성을 모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현대 가정이 직면한 내·외적인 어려움과 가정과 교회의 신앙교육의 위기 속에서 우선 적으로 요청되는 것이 기독교 가정의 교육적 기능을 회복하는 것임을 밝히고, 현대 가정의 변화에 따른 기독교 가정교육의 변화와 그 과제에 대해 논의하고자 한다.

      • KCI등재

        믿음의 수련: 걷기

        김정희 장로회신학대학교 기독교사상과문화연구원 2023 장신논단 Vol.55 No.1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find out appropriate and effective models of spiritual practices today by receiving wisdom and insights which derive from the exploration of Christian walking traditions. Various walking traditions of Christianity have been taking crucial roles in Christian spiritual formation and practiced in diverse ways depending on the needs of culture and circumstance of different periods. Although some walking traditions faced periods of decline, Christians today became interested in the spirituality of walking. Moreover, scientific emphasis and praise on walking helped people becoming aware of the benefit of walking as an holistic activity for all human beings and let them engage in their walking practice. In this context, I explore four distinctive Christian walking traditions: Stations of the Cross, Peregrinatio, Labyrinth, and El Camino de Santiago de Compostela. From this exploration, I present wisdom and insights to find out more effective and appropriate walking spiritual practices for Christians today. Christian walking traditions show concrete ways to follow Jesus Christ who came on earth as an exile and fulfilled the will of God. As a bodily prayer, walking prayer helps us to holistically experience the presence of God and be present and maintain inner silence. Also, Christian walking traditions give consolation for those who live their lives as exiles or immigrants, and provide wisdom for us to appropriately respond to something new, strange, or different that come toward us. These walking practices are open to everyone and people can simply approach to the practices. Thus, if Christians use the walking practices, or at least some parts of them, they can deepen their Christian spirituality and follow the way of Jesus who asks us to love our neighbors as ourselves. 이 논문은 기독교 걷기 전통의 탐구하고 그로부터 지혜와 통찰을 얻어 현대에 적합한 영성훈련 방법을 모색하기 위한 연구이다. 기독교의 영성형성에 있어서 걷기는 중요한 역할을 담당해왔으며 각 시대와 문화와 정황에 따라 다양한 영성훈련의 형태로 행해져 왔다. 비록 몇몇 기독교 걷기 전통은 각각 쇠퇴의 시기를 겪기도 하였으나 현대에는 많은 기독교인들이 걷기의 영성에 관심을 보이게 되었다. 게다가 21세기의 걷기 자체에 대한 과학적 강조와 예찬은 기독교인을 비롯한 많은 사람들로 하여금 걷기를 전인적인 유익을 주는 활동으로 인식하게 하였으며 그들을 걷기의 자리로 이끌고 있다. 따라서 이 논문은 먼저 기독교 영성사에 나타난 네 가지 대표적인 걷기의 전통인 십자가의 길(Stations of the Cross), 페레그리나치오(Peregrinatio), 래버린스(Labyrinth), 산티아고 순례(El Camino de Santiago de compostela)를 탐구한다. 나아가 이 기독교 걷기 전통들이 오늘날 우리 기독교인들에게 어떤 통찰과 지혜를 주는지 살펴봄을 통해서 현대에 기독교인들에게 효과적인 걷기 영성훈련법을 모색한다. 기독교 걷기 기도는 이 땅에 이방인으로 오셔서 하나님의 뜻을 이루신 예수님을 따르는 구체적인 방법을 보여준다. 걷기 기도는 몸으로 하는 기도로서 우리로 하여금 전인적으로 하나님의 임재를 경험하게 하며 현존과 내적 고요함을 돕는다. 또한 기독교 걷기 전통은 세계화 시대에 이방인으로 살아가는 사람들에게 위로를 주며 우리에게 다가오는 낯섦, 새로움, 다름에 더 유연하게 반응할 수 있도록 지혜를 전해준다. 이 전통들은 누구에게나 열려있으며 어느 곳에서든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발전하고 있다. 따라서 이런 기독교 걷기 전통들을, 혹은 그 요소들을, 현대적인 걷기 기도훈련으로 사용한다면 기독교 영성을 더욱 풍성하게 할 뿐만 아니라 나 자신과 같이 이웃을 사랑하라는 예수님의 길을 효과적으로 따라갈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좋은 수업에 대한 관점과 의미 - 기독교대안학교 교사 면담 연구

        이정미,송수지 장로회신학대학교 기독교사상과문화연구원 2012 장신논단 Vol.44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meaning of ‘good teaching’ to the teachers in the Christian alternative school. This study was carried out by the qualitative interview method with 14 teachers who were teaching in the Christian alternative schools. The analysis of the interview data revealed five perspectives on good teaching- preparing, content presentation, relationship, understanding of meaning,and product. First, preparing perspective on good teaching means that teachers prepare to have a deep understanding of content and learning activities, resources appropriate to the interest and level of students. Second, content presentation perspective on good teaching means presenting learning content to the students to be understood easily and clearly. Third, relationship perspective on good teaching emphasize the importance of personal relationship and conversation in the process of learning. Fourth, understanding of meaning perspective on good teaching means helping student to have reflection and realize the value of content from the Christian perspective. Fifth, product perspective on good teaching emphasize the achievement of character change and development in the students’ learning. With the result of this study, It is discussed the differences in the meaning of good teaching between teachers in the public education and teachers in the Christian alternative school education. 본 연구는 일반학교의 교사들과 달리 기독교적인 관점에서 가르침과 배움의 본질을 이해하여 교육과정을 개발하고 수업을 하도록 부름 받고 있는 기독교대안학교교사들이 이해하는 좋은 수업의 관점과 의미를 탐색해 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위해 일반 교육적 관점에서의 좋은 수업에 대한 선행연구 및 기독교적 관점에서의 좋은 수업에 대한 이론을 고찰하였다. 또한 기독교대안학교 현장에서 교사들은 좋은수업을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에 대해 알아보기 위하여, 기독교대안학교 경력 3년이상의 현직교사 14명을 대상으로 면담연구를 시행하였다. 기독교 대안학교 교사들의 좋은 수업에 대한 이해를 질적 연구를 통해 찾고 분석함으로써 이론과 현장의 의미를 연결하여 기독교대안학교에서 교사들이 인식하는 좋은 수업에 대한 관점과 의미를 탐색하였다. 기독교대안학교 교사 면담을 통해 수집된 자료 분석 결과, 좋은 수업에 대한 의미는 다섯 가지 관점으로 도출되었다. 도출된 다섯 가지 관점은 준비, 내용제시, 관계, 의미이해, 결과로 나타났다. 첫째, 준비 관점은 교사가 학습내용을 충분히 숙지하고 학습자의 요구와 수준에 맞게 자료와 활동을 철저히 준비한 수업을의미한다. 둘째, 내용제시 관점은 학습내용의 효과적인 전달을 강조하며 핵심내용이나 개념을 교사가 학생들에게 이해하기 쉽고 명료하게 제시해 주는 수업을 의미한다. 셋째, 관계 관점은 학습을 통해 지식과 교사, 학생 간에 인격적인 만남과 관계 형성을 강조하며 교사와 학생 사이의의 신뢰와 존중을 바탕으로 활발한 상호작용이 이루어지는 수업을 의미한다. 넷째, 의미이해 관점은 학습내용에 대한 학습자 스스로의 숙고와 성찰을 강조하며, 학습내용에 대한 기독교적 의미를 이해 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수업을 의미한다. 마지막으로, 결과 관점은 수업을 통해 나타나기를 기대하는 결과를 강조하며 의도했던 수업목표가 달성되고 수업을 통한 성장과 변화가 나타나는 수업을 의미한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일반학교 교육에서의 좋은 수업에 대한 의미와 기독교학교 교육 맥락에서의 좋은 수업에 대한 의미를 비교하여 논의하였다.

      • KCI등재

        한경직 목사의 지도력의 발전에 관한 한 소고

        안교성 장로회신학대학교 기독교사상과문화연구원 2012 장신논단 Vol.44 No.2

        There is a plethora of studies on the remarkable growth of the Korean Church (the Korean Protestant Church), which is considered as one of the most important events in Christian history of the last century. Meanwhile, among the Christian leaders of the Korean Church, the status of the Rev. Kyung-Chik Han is undoubtedly certain,which is evidenced by the fact that he was awarded Templeton Foundation Prize for Progress in Religion in 1992. Although two topics of the Korean Church and the Rev. Han deserve scholarly attention, most of the studies have grappled with either the former or the latter, and thus there has been very little discussion of the interaction between the two. This paper aims to fill the gap, and to elucidate the development of the leadership of the Rev. Han against the backdrop of the growth of the Korean Church. The Korean Church grew from an evangelistic church, to a suffering church, to a resuscitated church, and to a missionary church, accomplishing the agendas of church growth, democratization, and world mission. The Rev. Han grew from a promising young scholar, to the representative leader of the Korean Church, and to the representative leader of the worldwide church. Although the Rev. Han was an elite, he became an ordinary pastor, due to historical irony. However, through his ability and character, he paradoxically rose to prominence as a representative leader. He personified the ideal image of a religious leader,took responsibility for his religious refugees from North Korea, showed and widened solidarity with his community in South Korea, and promoted corporation and unity,bringing together various groups. However, it goes without saying that his exemplary and even forward-looking thought and practice need continual reinterpretation and reapplication, catching up with the changes of the times. 한국개신교회(이하 한국교회)의 괄목할만한 성장은 지난 세기 기독교 역사에있어서 가장 중요한 사건 가운데 하나로 간주되는데, 이에 대한 연구는 상당히 축적되었다. 한편, 한국교회의 지도자들 가운데 한경직 목사(이하 한경직)의 위상은의심의 여지가 없을 정도로 확고한데, 그가 1992년 템플턴 상을 수상했다는 사실이 이에 대한 좋은 방증이 되고 있다. 비록 그동안 한국교회와 한경직이란 주제에대한 연구가 진행되어 왔지만, 대부분의 연구는 이 두 주제 가운데 어느 하나에 집중할 뿐, 양자의 관계를 논한 연구는 드물었다. 따라서 본 논문은 그가 한국교회의 대표적인 지도자로 부상하는 과정을 한국교회의 성장이라는 배경과 연관하여분석하고자 한다. 한국교회는 전도하는 교회에서, 고난 받는 교회로, 다시 재건된 교회로, 더 나아가 선교하는 교회로 성장하면서, 교회성장, 민주화, 세계선교라는 과제들을 수행해왔다. 한편 한경직은 전도유망한 젊은 학자에서, 한국교회의 대표적 지도자로, 더 나아가 세계교회의 대표적 지도자로 성장하였다. 비록 그가 엘리트였지만,역사적 아이러니에 의하여 평범한 목사가 되었다. 그러나 그는 자신의 능력과 성품을 통하여 역설적으로 대표적 지도자로 부상하였다. 그는 종교지도자로서의 이상적인 상을 구현하였고, 월남한 종교피난민들에 대한 책임을 감당하였고, 남한의공동체와 연대하며 그러한 연대를 확대해 나갔으며, 다양한 집단들을 한 자리에 모으면서 연합과 일치를 고취하였다. 그러나 재론할 것도 없이, 그의 모범적인 심지어 전향적인 사상과 실천들도 시대의 변화에 발맞추기 위해서는 지속적인 재해석과 재적용이 필요하다.

      • KCI등재

        개인윤리와 사회윤리 – 니버의 한국적 읽기와 과제

        문시영 장로회신학대학교 기독교사상과문화연구원 2022 장신논단 Vol.54 No.1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study the significance of Korean reading of Reinhold Niebuhr, and to propose the tasks for Korean Christianity. In order to study on the yesterday, today, and tasks of Korean reading of Niebuhr, this article focuses on the phenomenon of interest in social ethics based on Moral Man and Immoral Society to the extent that it is reflected in high school textbooks. The ‘yesterday’ of Korean reading of Niebuhr was a process of paying attention to the relevance of Korean Christianity to understand social reality in the process of industrialization and modernization after the Korean War. Although the evaluation of Niebuhr differed depending on the theological perspectives, Niebuhr’s social ethics introduced with a focus on Christian realism was an important insight that drew Korean Christianity to pay attention to the reality of Korean society. The ‘today’ of Korean reading of Niebuhr is gaining interest to the extent that Niebuhr’s social ethics are introduced to public education. Niebuhr’s interest in social ethics has become a channel for maturing civil consciousness in the search for solutions to social conflicts. However, there is also limitation that Niebuhr’s understanding of the Christian background is easily omitted. The ‘task’ of Korean reading of Niebuhr is related to the ethical maturity of Korean Christianity. It is paradoxical that Korean Christianity, which read Niebuhr’s social ethics in a Korean context and contributed to the process of civil consciousness, is being pointed out for its lack of publicness. Korean Christianity should recognize Niebuhr’s point of view as a guide to social spirituality, and pay attention to the realization of discipleship ethics in civil society, including public responsibility and communication, as well as empathy and hospitality. 이 글의 목적은 라인홀드 니버에 대한 한국적 읽기의 의의와 한계를 살펴보고 기독교사회윤리의 한국적 과제를 설정하는 데 있다. 니버에 대한 한국적 읽기의 ‘어제,’ ‘오늘,’ 그리고 ‘과제’를 성찰하기 위하여, 중등 교과서에 반영될 정도로 니버의 『도덕적 인간과 비도덕적 사회』에 나타난 개인윤리와 사회윤리의 구분에 관심하는 한국적 현상에 착안하였다. 또한 한국기독교가 니버를 어떻게 읽어왔는지를 반추하고, 그 과제를 제언하였다. 니버에 대한 한국적 읽기의 ‘어제’는 한국기독교가 니버의 사회윤리를 한국전쟁 이후 산업화 및 근대화의 과정에서 사회현실의 인식 및 해법 추구의 통로가 되리라고 기대하며 읽었다는 점에 특징이 있다. 신학적 입장에 따라 니버에 대한 평가는 달라질 수 있지만, 니버의 사회윤리는 한국기독교로 하여금 한국사회의 현실에 관심하도록 이끌어 주었다. 특별히, 개인윤리에 주목하기 쉬운 경향을 벗어나 사회윤리에 관심하게 했다는 점에서 한국기독교만 아니라 한국인과 한국사회에 중요한 영향을 주었다. 니버에 대한 한국적 읽기의 ‘오늘’은 공교육에 니버의 사회윤리가 소개될 정도로 관심이 커지는 정황이다. 니버의 사회윤리에 대한 관심은 시민사회에서의 사회적 갈등과 그 해법의 모색에서 시민의식을 성숙시키는 통로가 될 수 있다. 다만, 공교육의 특성상 개인윤리와 사회윤리의 구분에서 중요한 배경이 되는 니버의 인간이해와 죄에 대한 성찰 등 기독교적 배경에 대한 논의가 생략될 우려와 아쉬움이 있다. 그리고 공교육 과정에서, 니버의 통찰이 롤즈의 사회정의론을 비롯한 ‘사 회윤리학’의 선구가 된다는 점 또한 놓치지 말아야 한다. 니버에 대한 한국적 읽기의 ‘과제’는 한국기독교의 윤리성숙을 지향하는 것이 어야 한다. 한국기독교는 니버의 사회윤리를 한국적 맥락에서 적실성을 가진 통찰로 읽어내었으며 산업화와 근대화 과정의 사회인식 및 시민사회의 시민의식 형성에 기여했다. 하지만, 시민사회에서 한국기독교가 공공성의 부족을 지적받고 있는 현상은 역설적이다. 한국기독교는 니버의 관점을 사회적 영성의 길잡이로 삼아, 공적 책임과 소통은 물론이고 공감과 환대에 이르는 ‘시민사회의 제자윤리’로서의 ‘사회적 영성’을 추구하는 단계로 나아가야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