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외국인 학부 신입생의 학문적 문식력 변화 양상 연구

        장미정 국제한국어교육학회 2020 한국어 교육 Vol.31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academic literacy change of foreign undergraduate students. It analyzed the compositions of foreign undergraduates who took the course ‘Thinking and Writing’ over two semesters at K university. Twelve studen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and they each wrote about four topics. Each composition was more than 600 characters, and a total of 48 compositions were analyzed. Academic literacy is “the ability to understand and produce text in a shared way in an academic community”. This study evaluated academic literacy using the categories of linguistic literacy, critical literacy, cultural literacy, and information literacy. After evaluating the academic literacy in the 48 compositions, we concluded that undergraduates progressively changed their academic literacy over a year, even though the rate had fallen to a specific point. The foreign undergraduate freshmen students in our study received relatively high scores for their cultural literacy and the content aspects of their linguistic literacy, while the expression aspects of their linguistic literacy received low scores. Although the improvement in cultural literacy was somewhat high through a communication course, such as a first year college writing class, the improvement in the expression aspects of linguistic literacy was somewhat low. It was apparent that the improvement in academic literacy was evenly achieved. In addition, when we looked at the changes in the academic literacy of upper, middle, and lower-level students, we saw different aspects of individual change.

      • KCI등재

        한국어 문어 교육에서의 학문적 문식성 개념 정립을 위한 제언

        곽준화(Guo Jun Hua),최정순(Choe Jeong soon) 우리말학회 2019 우리말연구 Vol.57 No.-

        본 연구는 한국어교육에서의 학문적 문식성 개념 정립에 필요한 하위 구성 요소를 밝히고, 학문적 문식성에 대해 위계화하면서 그의 개념을 설정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기존 연구들은 학문적 문식성의 구성 요소에 대한 정치한 논의 없이 인용 및 선언적인 주장에 그쳤다. 이로 인해 실제적으로 학문적 문식성 개념을 문어교육에 적용하는데 괴리가 매우 크다. 본고는 이러한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여 학문적 문식성에 대해 인지적, 사회문화적, 실천적 측면에서 재해석하였으며, 기능적 문식성, 문화적 문식성, 정보 문식성, 비판적 문식성, 미디어 문식성 등 다섯 가지 하위 요소를 도출하였다. 이외에 학습자들의 정서적 요인도 함께 고려해야 한다. 이때 학문적 문식성은 1) 목표어로 유창하게 소통할 수 있는 능력, 2) 다양한 정보에 대해 이해, 비판적으로 분석, 수집, 사용하는 능력, 3)디지털 매체로 지식을 탐구 및 소통, 산출할 수 있는 능력, 4) 학문적 공동체에서 나아가 사회의 일원으로서 다른 구성원과 소통하고, 해당 공동체의 문화, 가치, 태도 등을 이해하고 실천할 수 있는 능력으로 이해될 수 있다. This study aims to clarify the sub-components of Academic Literacy and to define it by hierarchizing academic literacy. As many scholars mentioned, most of foreign students have great difficulties in their studies because of their lack of academic literacy. Based on prior research, the components of academic literacy were not discussed concretely, and its definition was also vague. In the field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there are few literature about academic literacy. If a curriculum of academic literacy is to be established, it’s necessary to define academic literacy and clarify the sub-components of it firstly. As a result of this paper, academic literacy should be consisted of five components: functional literacy, cultural literacy, information literacy, critical literacy, media literacy. In addition, emotional factors of students should also be considered. And in KAP education, academic literacy can be defined with 1) ability to communicate fluently with korean language, 2) ability to understand, analyze, collect and use various information critically, 3) ability to explore, communicate, and calculate knowledge with digital media, 4) ability to communicate with other members as an member of an academic community and a member of society, to understand the culture, values, and attitudes of the community.

      • KCI등재

        산학협력에 의한 멀티리터러시 디자인 교육개발

        강혜승 한국기초조형학회 2020 기초조형학연구 Vol.21 No.4

        21세기를 위한 인재양성의 교육 제도는 문자로 기록된 지식과 정보의 획득이라는 사전적 정의의 리터러시를 발전시켜 디자인에 적용된 정보에 대한 변별력을 기본으로 정보, 문자, 시각 리터러시 등의 복합양식인 멀티리터러시(Mult-literacy)를 필요로 한다. 본 연구는 멀티리터러시의 적용으로 대학의디자인 교육현장에서 사회성을 가진 자기주도형 학습능력 향상에 의한 실질적 창의인재 육성을 위해멀티플한 상호보완적 리터러시 능력 강화 학습을 위한 멀티리터러시 디자인 교육 도입을 목적으로 산학협업에 의한 교육학습 모형을 제안한다. 멀티리터러시 디자인 상품개발을 위한 학습설계는 첫째, 문자와 정보 리터러시 교차학습인 사전 조사 선행 리서치, 둘째, 문자, 정보와 시각리터러시를 활용의 아이디에이션, 셋째, 멀티리터러시의 교차학습에 의한 디자인 상품개발, 마지막으로 상호평가로 교육체계를 구분하였다. 멀티리터러시 수업의 기대효과는 통시적 기획력을 갖춘 디자인 인재양성, 전문화된창의적인 상품개발 증진, 유가적 경험의 실무형 학습경험으로 통합된 역량의 복합적 교육이다. 급변하는 디자인 산업현장에서 산학의 디자인 협업은 사회요구를 분석한 멀티리터러시 도입의 디자인 상품개발이라는 산학 프로젝트형 수업모형을 적용하여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 학습자들의 성장된 디자인능력개발을 확인하였음으로 본 연구를 멀티리터러시 적용의 디자인교육 개발의 경쟁력 향상을 위한학습개발 모형으로 제안한다. 이는 산학협력에 의한 멀티리터러시 적용의 디자인상품 개발을 통한 디자인 산학협업 교육으로 학습자들에게 책임감 제고 기회를 제공하고 이해와 소통이 가능한 매개효과의 교육의 자료로 실질적 도움이 되길 기대해 본다. The education system for fostering talent for the 21st century requires multi-literacy, a complex form of information, text, and visual literacy, based on the ability to differentiate information applied to the design, developed from the conventional sense of literacy. This study proposes a new direction of design education model by industry-academic collaboration with the aim of introducing multi-literacy design education for multi-literacy learning in order to foster practical creative talent by enhancing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with sociality in university design education field by applying multi-literacy. Learning design for multi-literacy design product development divided the education system by first, pre-survey guidance, which is cross-learning of text and information literacy. Second, the ideation of using text, information and visual literacy, third, design product development by cross-learning of multi-literacy, and finally by mutual evaluation. The expected effects of multi-literacy learning were essential for complex education of combined competency with the practical learning experience of diachronic planning skills, the promotion of specialized creative product development, and the practical learning experience of Confucian experience. The design collaboration of industry and academia in the rapidly changing design industry scene was conducted by applying the industry-academic project class model of introducing multi-literacy, which analyzed the social requirements in the development of design products, and the result is that the learners' advanced design ability development has been identified, and this research is proposed as a learning model for enhancing the competitiveness of design education development in multi-literacy application. Through the development of multi-literacy-applied design products by industry-academic cooperation education, we hope that industry-academic cooperating design education will provide opportunities for students to increase their responsibilities and help them effectively with the material of a medium effect that can be understood and communicated.

      • KCI등재

        사이버대 영어학습자들의 중도탈락 예방을 위한 아카데믹 리터러시 평가 모형 개발

        김주혜 한국중등영어교육학회 2020 중등영어교육 Vol.13 No.2

        Online courses tend to have higher dropout rates than traditional offline classes. To determine the causes of this phenomenon, a diagnostic questionnaire for measuring the academic literacy of online English learners was developed in this study. The survey questionnaire, 'Academic Literacy for Online English Learners', consisted of questions on university system literacy, digital literacy, information literacy, and language literacy. A survey was conducted on 215 English learners at K Cyber University, and interviews with 11 students were administered for triangulation. To analyze the questionnaire results, descriptive statistics, t-tests, and ANOVA were conducted. According to the survey results, the participants were in relatively low levels in the following academic literacy aspects: 1) how to use the university's Learning Management System and the counseling/support systems. 2) how to solve network failures or security problems 3) how to back up/restore files or install/delete software for their study 4) English (speaking, writing, and listening) literacy for college classes. The results also showed that the participants in their 50s had significantly lower levels of overall academic literacy, digital literacy, and information literacy than those in their 20s and 30s. Subsequent qualitative analyses also supported these quantitative results. Based on these findings, some recommendations are made to prevent dropout of online English learners.

      • KCI등재

        문식성 연구 동향 분석과 향후 과제 -지난 25년간(1996~2021)의 학위논문을 중심으로-

        김윤주 ( Kim Yoonjoo ) 우리어문학회 2021 우리어문연구 Vol.70 No.-

        본고에서는 문식성 연구 성과를 학위논문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RISS를 통해 문식성 관련 학위논문을 검색하면 1,197편의 논문이 나온다. 이들 중 본고의 목적에 적합한 301편의 학위논문을 추출하였다. 이들 학위논문의 서지 정보를 표기하여 엑셀파일에 자료를 구축하였다. 논문의 초록, 핵심어, 목차 등을 살펴 본고의 목적에 맞도록 다양한 항목과 내용을 기록하고 기준에 따라 분류하였다. 이렇게 분류한 자료들을 대상으로 시기, 전공 분야, 연구 대상, 문식성 유형에 따라 연구 경향을 분석하고 논점을 정리했다. 1990년대에 3편에 불과했던 학위논문이 2000년대 73편, 2010년대 187편으로 크게 증가하였고, 2020년대는 2021년 3월 현재 38편이 발표된 상황이다. 논문의 총량은 국어교육, 미술 교육, 한국어교육, 유아교육 순으로 많았고, 대상별 논문의 총량은 초등학생, 중고등학생, 유아 등의 순이었고, 성인 대상 연구가 증가하고 있었다. 문식성 유형으로는 시각적 문식성, 기본 문식성, 매체 문식성 분야 많았고, 학문적 문식성, 문화적 문식성, 비판적 문식성 연구가 증가하고 있었다. 앞으로는 학교 내 문식성 뿐 아니라 가정, 직장, 지역사회까지 공간이 확대된 다양한 논의가 필요하며 다양한 매체에 기반한 복합양식, 다중 문식성 등의 문제도 더욱 논의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delves into the issue of literacy research outcomes by reviewing academic thesis. The author extracts 301 dissertations from keyword search in RISS and categorizes the studies with the criteria of time, research area, research objects, and literacy types. After analyzing the trends and research issues, the author produces the following evaluations; The number of academic thesis dealing with literacy have been growing from 1990s when there were only three academic thesis in that era. Korean language education, art education, KSL, and early childhood education are the main areas that produced literacy research. From the standpoint of research objects, primary school students were the most studied groups for literacy research. As for literacy types, visual literacy, basic literacy and media literacy were popular research subjects and there are growing numbers of studies that deal with academic literacy, cultural literacy and critic literacy. The author concludes that there is a need to expand literacy research areas encompassing family, workplace, and community. Also, the authors argues that multilateral literacy research based on various media should be done in the future.

      • KCI등재

        중년 여성 박사 대학원생의 ‘학문적 문해력(Academic Literacy)’ 발달 경험에 관한 자전적 내러티브 탐구

        이해영,김영석 한국질적탐구학회 2024 질적탐구 Vol.10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중년 여성의 박사 대학원생 과정의 경험을 통해 습득하는 ‘학문적 문해력’의 의미와 학문적 문해력이 학문적 구성원으로서의 정체성 형성에 미치는 영향을 이해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중년 여성의 박사과정 5학기 동안의 학문적 맥락의 경험을 자전적 내러티브탐구 방법을 통해 연구하였으며, 연구자가 학위과정간 작성한 성찰일지가 주 자료로 분석되었으며, 기억자료, 과제 및 피드백자료 등이 보조자료로 활용되었다. 본 연구자에게 ‘학문적 문해력’은 학문적 소양을 다지기 위한 능력이며, 학문적 공동체의 정체성을 인식하고 표현하는 사회적 실천 역량이 되었다. 학문적 문해력이 학문공동체의 정체성 형성에 미치는 영향으로 학업 중 사용하는 언어는 연구자 개인의 삶과 학문적 맥락을 읽어내는 눈이었으며, 지식을 드러내고 그것을 드러내는 행위로서 의미를 형성하고 구체화하는 사회적 실천의 과정이었다. 학문적 공동체내 다른 구성원과의 상호작용에 필요한 역량이었으며, 지식을 기저로 한 권력 관계를 깨닫게 하는 비판적 문해력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증가하고 있는 성인학습자의 고등교육 참여와 학문 환경에 대한 이해와 인식의 전환을 위한 기초를 제공할 수 있다는 시사점을 가지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meaning of ‘academic literacy’ as it is acquired through the experiences of middle-aged female Ph. D. students and the impact of academic literacy on their identity formation as members of the academic community. For this study, the experiences of middle-aged female in the academic context during the fifth semester of their Ph. D. program were studied through Self-narrative inquiry method, and the researcher’s reflection journals were analyzed as the primary data, and memory data, assignments, and feedback data were used as secondary data. For this researcher, ‘academic literacy’ has become a social practice competency that recognizes and expresses the identity of an academic community. The impact of academic literacy on the formation of academic community identity: the language used during academic work is a lens through which the researcher’s life and academic context are read, and the act of revealing knowledge and making it visible is a social practice that shapes and embodies meaning. It was a competency necessary for interacting with other members of the academic community, and it manifested itself in critical literacy that made them aware of the power relations that underlie knowledge.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that it may provide a basis for a shift in understanding and perception of the growing participation of adult learners in higher education and the academic environment.

      • KCI등재

        온라인 학습에서 정보활용능력과 학업성취도의 관계: 자기조절능력의 매개효과와 성별 차이를 중심으로

        백아롱,김혜빈,조일현 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23 敎育問題硏究 Vol.36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온라인 학습에서 대학생의 정보활용능력과 학업성취도의 관계에서 자기조절능력의 매개효과와 성별 차이를 탐색하는 것이다. 한국교육종단연구 2005 자료 중 2020년 대학생을 대상으로 조사된 12차 데이터를 활용하였으며 구조모형분석과 다집단 분석을 진행하였다. 연구결과 대학생의 정보활용능력은 학업성취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며, 정보활용능력과 학업성취도 사이에 자기조절능력의 매개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정보활용능력이 자기조절에 미치는 영향은 남녀 모두에게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성별에 관계없이 정보활용능력이 자기조절능력에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의미한다. 마지막으로 자기조절능력의 매개효과에 있어 성별에 따른 차이는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나, 자기조절능력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은 여자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온라인 학습에서 효과적으로 학업성취를 달성하기 위해서 학습자의 정보활용능력 향상을 통한 자기조절능력 강화가 필요하며, 특히 정보활용능력을 함양을 위한 지속적인 교육과 지원이 요구됨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gender differences and the mediating effect of self-regula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university students' information literacy and academic achievement in online learning. SEM and multi-group analysis were used by university students’ responses from 2020(12th) of the Korean Education Longitudinal Study 2005(KELS 2005). The study found that university students' information literacy directly affects academic achievement, and the mediating effect of self-regulation was significant between information literacy and academic achievement. In addition, the effect of information literacy on self-regulation was found to be significant in both males and females. This means that information literacy has a positively significant effect on self-regulation regardless of gender. Finally, it was confirmed that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genders in the mediating effect of self-regulation, but the effect of self-regulation on academic achievement was higher in wome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o accomplish academic achievement in online learning, it is necessary to strengthen self-regulation through the improvement of learners' information literacy, and in particular, continuous education and support are required to cultivate information literacy.

      • KCI등재

        기초학력으로서 문식성의 범주와 수준 탐색

        이경남 한국국어교육학회 2021 새국어교육 Vol.- No.126

        Purpose: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categories and levels of the necessity of literacy as the content of basic academic background. Methods:We analyzed educational policies and discussions related to basic academic background. Based on this, the category and level of literacy was proposed. Reading and writing with basic academic background need to be considered as literacy. Since the ability to simply know and write letters has limitations in conducting subject learning and daily life, it is necessary to consider literacy as the content of basic academic ability. Results:As a result of the study, the level of literacy as a basic academic ability required for elementary and junior high schools suggested comprehension and expressive abilities for narrative and expository texts. Understanding explicitly and inferentially understood the content of the text and considered the ability to comprehend the medium, and the expression suggested the ability to write short writing and express thoughts in writing. Conclusions:The discussion on basic education will expand in the future. In the process, discussion needs to be focused on the content and level of basic academic rather than consequential treatment such as whether or not the basic academic is reached or not. 목적:본 연구는 기초학력의 내용으로서 문식성의 필요성을 범주와 수준을 제시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방법:기초학력과 관련된 교육 정책과 논의를 분석했다. 이를 바탕으로 문식성의 범주와 수준을 제안하였다. 기초학력으로 읽기와 쓰기는 문식성으로 고려할 필요가 있다. 단순히 글자를 알고 쓰는 능력만으로는 교과 학습과 일상생활을 영위하는 데 한계가 있으므로 문식성 수준을 기초학력의 내용으로 고려할 필요가 있다. 결과:연구 결과로 초등학교, 중학교에 필요한 기초학력으로서 문식성의 수준은 서사, 설명체 텍스트를 대상으로 한 이해와 표현 능력을 제안했다. 이해는 글의 내용을 명시적, 추론적으로 이해하고 매체 이해 능력까지 고려했고 표현은 짧은 글쓰기, 생각을 글로 표현하는 능력을 제안했다. 결론:기초학력에 대한 논의는 사회적으로 점차 확장될 것이다. 기초학력의 내용과 수준에 대한 깊이 있는 후속 논의가 필요하며, 국어과의 역할에 대한 확산적 논의가 이어질 필요가 있다.

      • KCI등재

        다문화 배경 KSL 학습자 대상 한국어교육을 위한 주요 문식성 유형 연구

        김윤주 한국다문화교육학회 2021 다문화교육연구 Vol.14 No.3

        This study tries to extract and conceptualize literacy type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KSL students who have multicultural background. To this end, this study reviews the domestic trends of literacy research and discusses major issues of studies. Reflecting this discussion, this study chooses major literacy types that are needed to adopt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basic literacy, academic literacy, multicultural literacy, critical literacy, media literacy, and emotional literacy. With these categorization, this study clarifies the characteristics of each literacy type, discusses educational considerations and future direction of literacy development from the context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This study argues introduction of literacy concept to the field of KSL education for students with multicultural backgrounds who are in the social contexts which would be a mixture of daily communication and academic communication. The study also suggests follow-up studies and those should deal with clarifications and systematization of sub-component of each literacy type. 본고의 목적은 초․중․고등학교 다문화 배경 KSL 학습자 대상 한국어교육과 관련하여 교육 내용으로서 문식성 유형을 선정하고 각각의 문식성의 성격과 특징을 규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먼저 문식성 개념의 변화와 외연 확장 양상을 언급한 후 그간 이루어져 온 국내 문식성 연구 성과를 살펴보았다. 언어교육 맥락에서의 문식성 유형 관련 논의를 검토하여 시기별 연구의 경향과 특징, 변화 방향 등을 기술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문식성 연구 분야의 주요 논점을 추출하여 논의하였다. 이러한 국내외 논저 고찰과 주요 논점 파악 및 논의 과정을 기반으로 초․중․고 다문화 배경 KSL 학습자 대상 한국어교육에 도입해야 할 주요 문식성 유형을 선정하였다. 기본 문식성, 학업 문식성, 다문화 문식성, 비판적 문식성, 매체 문식성, 정서적 문식성이 그것이다. 이들 문식성 유형의 성격을 각각 규명하고 KSL 교육의 맥락에서 고려해야 할 점과 방향성 등에 대해 논의하였다. 이 연구는 일상적 의사소통은 물론이고 학문적 소통의 맥락에 놓여 있는 초․중․고등학교 다문화 배경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KSL 교육 분야에 문식성의 개념을 도입하여 교육 내용을 선정하고 논의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각 문식성 유형의 성격과 하위 구성요소 규명과 체계화가 후속연구로 이어져야 할 것이다.

      • KCI등재

        학생간호사의 인문학적 소양이 의사소통능력과학업적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민형덕 인문사회 21 2022 인문사회 21 Vol.13 No.4

        The Effects of Humanities Literacy on Communication Abilityand Academic Self-efficacy in Preregistered NursesHyungduk Min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humanistic style on communication ability and academic self-efficacy of preregistered nurses. 198 students who were attending nursing at D university in Jeonnam were selected as subjects for the study. Data were collected through a survey on June 10, 2022, an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program. The effects of humanistic literacy on communication ability and academic self-efficacy were analyzed. Humanistic literacy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communication ability and academic self-efficacy. Humanistic literacy, communication skills, and academic self-efficacy are the core competencies needed for pre-service nurses to grow into nurse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examine the ways to link them with the curriculum so that the pre-service nurses can strengthen communication ability and academic self-efficacy centering on humanistic literacy. Key Words: Preregistered Nurse, Humanities Literacy, Communication Ability, Academic Self-efficacy, Core Competency 학생간호사의 인문학적 소양이 의사소통능력과학업적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민 형 덕* 연구 목적: 본 연구는 학생간호사를 대상으로 인문학적 소양이 의사소통능력과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 방법: 전남 D대학 간호학에 재학 중이면서 인문학개론 강의를 수강하고 있는 198명을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고, 2022년 6월 10일에 설문조사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고, SPSS 프로그램을 이용해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 내용: 인문학적 소양이 의사소통능력과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결론 및 제언: 인문학적 소양은 의사소통능력과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유의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문학적 소양, 의사소통능력, 학업적 자기효능감은 예비 간호사가 간호사로 성장하는데 필요한 핵심 역량이다. 따라서 학생간호사들이 인문학적 소양을 중심으로 의사소통능력과 학업적 자기효능감을 강화할 수 있도록 이를 교육과정과 연계하는 방안을 검토해야 할 것이다. 핵심어: 학생간호사, 인문학적 소양, 의사소통능력, 학업적 자기효능감, 핵심역량 □ 접수일: 2022년 7월 4일, 수정일: 2022년 8월 1일, 게재확정일: 2022년 8월 20일* 목포대학교 외래교수(Lecturer, Mokpo National Univ., Email: jasmin4310@hanmail.ne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