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창의성 신장을 위한 로봇 활용 교육에 관한 질적연구 방법 탐구

        전영국 한국질적탐구학회 2017 질적탐구 Vol.3 No.2

        이 논문의 목적은 로봇 활용 교육에서 창의성 신장과 관련된 연구를 수행하고자 할 때 도입할 수 있는 질적 자료 수집 방법을 소개하고 방법적 특징과 사례를 비교 고찰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연구자는 비참여 관찰의 대용으로 사용되는 비디오 촬영 및 분석 방법을 소개한 후에 로봇 키트를 사용하여 탐구 활동을 하는 과정에서 진행할 수 있는 면담 기법을 소개하였다. 로봇키트의 기계적 특성과 센서의 전기/전자적 특성, 그리고 컴퓨터 프로그래밍 등이 서로 맞물려있는 도구와 상호작용하는 학생들의 활동을 비디오로 촬영하면서 자연스러운 대화식으로 후속질문을 던지는 기법을 중요하게 다루었다. 또한 비디오 기반 회상 면담은 비디오 촬영 및 분석을 하는 과정에서 미처 이해하기 못하였거나 해석 과정에서 더 탐구해야 할 부분이 생겼을 때 추후에 비디오를 보면서 연구참여자와 함께 탐구해 나가는 방법이다. 구체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 연구자는 영재반 학생 두 명이 고고보드를 이용하여 자신만의 창작품을 만드는 사례를 소개하면서 질적 자료 수집과 분석에서 고려해야 할 사항을 논의하였다. 끝으로 로봇 활용 교육과 창의성에 관하여 탐구해 볼 만한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을 덧붙였다. This paper aims to understand and present several techniques to collect qualitative data in the area of robot-based education to promote creative aspects of participants, using the robotic tools. The author first tried to figure out how to record the robotbased classroom activities with video camera and how to analyze the video data. Secondly, interview method was presented for the researcher to explore the procedural intermediate steps in assembling and manipulating robotic pieces to complete an individual project. Concerning the complexity of robotic tools, associated with mechanical, electronic/electrical and computational functions, it was very crucial that the researcher probed interview questions to allow participating students to naturally reveal his/her own ways of interacting with robotic tools. In addition, video-based recalled interview allowed the researcher to explore more about the participant’s activities that were not clearly interpreted or maybe remained unveiled, while reviewing the video clip later. Such qualitative data helped the researcher not only observe the participant’s ways of reacting with robotic tools and naturally revealing his/her own inner traits, attitudes, interests, motivation, satisfaction etc., but also investigate the creative aspects of the participants while utilizing robotic tools. To ensure better understanding, the researcher presented two gifted students’ cases, showing how the different qualitative methods were employed while observing how they dealt with GoGo board to design and build up their own invention and further discussed the issues involved in the robot-based education. At the end, the researcher suggested ideas for follow-up research based on diverse qualitative methods after reviewing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where robot-related activities were actively utilized.

      • KCI등재

        포스트휴먼 질적연구 : 연구과정에 대한 방법적 탐색

        정정훈(Jung-Hoon Jung),김영천(Young Chun Kim) 한국질적탐구학회 2021 질적탐구 Vol.7 No.3

        이 연구는 포스트휴머니즘의 철학적 사조와 이론들에 근거하여 질적연구를 어떻게 새롭게 개념화하고 실천할 것인가에 대한 탐색을 시도한 글이다. 이에 포스트휴머니즘의 인식론과 방법론그리고 존재론의 전제들에 근거하여 기존의 인간 중심의 질적연구에서 벗어나 인간과 또 다른실제들(기계, 생명체. 물질 등) 이라는 두 개의 탐구대상을 놓고서 어떻게 무엇을 연구할 것인지를 개념화하려고 노력하였다. 이를 위해 연구의 일반적 과정이자 단계라고 할 수 있는 다섯 단계(연구의 목적, 탐구의 대상, 연구방법, 자료수집, 글쓰기 방법) 측면에서 포스트휴먼 질적연구는어떤 특징을 가지는지 그리고 기존의 인간만을 대상으로 한 전통적인 질적연구와 다르게 어떻게 연구를 해야 하는지를 그 특징과 차이를 고려하면서 개념화를 시도하였다. 인간의 삶에서 기계와 물질들의 영향이 더욱 중요해지는 이 시대의 인간의 삶 그리고 미래의 문화를 고려할 때 포스트휴먼 질적연구에 대한 방법적 탐색은 물질과 기계 속에서 살아가는 인간의 삶과 문화를 어떻게 탐구하고 분석할 것인지 안내하고 새로운 지식을 창출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생각한다. This paper aims to conceptualize the processes and methods of posthuman qualitative research being informed by posthumanism philosophies and theories. Specifically, this study, based on the ontological, epistemological and methodological perspectives of posthumanism, explores how to conduct qualitative research with human and nonhuman entities such as machines, animals, and materials, overcoming the limitations of anthropocentric qualitative research. For the purpose, this study provides conceptualization on the five most general but essential stages of research (research purpose, research objects, data collection methods, types of data, and writing) of the research process. The discussion of the conceptualization focuses on how the stages of posthuman qualitative research differ from human-centered qualitative research in terms of methodological approaches and techniques. The influence of machines and materials on human life has been ever growing and it will continue to do so, changing many aspects of human cultures. Given the changes and dynamics being made, studying how to conduct posthuman qualitative research would contribute not only to newly understand the lives and cultures of human beings who live in an era where the boundary between human and nonhuman materials is getting blurred but also to create new knowledge on the way of changing lives and phenomenon that human and nonhuman co-create.

      • KCI등재

        사제관계 기반 질적 연구자 되기 과정

        이동성(Dongsung Lee) 한국질적탐구학회 2020 질적탐구 Vol.6 No.3

        이 글의 목적은 사제관계에 기초하여 질적 연구 전문가로 성장 및 발달해 가는 과정을 자문화기술지로 이야기함으로써 한 질적 연구자의 변환적인 과정과 그 의미를 해석하는 데 있다. 연구결과를 간략하게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입문 단계(起): 현장교사였던 나는 한 스승의 진정성 있는 격려로 질적 연구방법론에 입문할 수 있었다. 성장 단계(承): 질적 연구 초심자였던 나는 스승의 전문적인 도움을 바탕으로 질적 연구방법론의 세부 절차와 방법을 익힐 수 있었다. 또한, 나는 스승을 통해 단편적으로 질적 연구를 수행하는 수준을 넘어, 질적 연구방법론자로 성장하는 데 필요한 전문적 자질을 갖추게 되었다. 발달 단계(轉): 전임교수가 된 나는 스승의 학문적 리더십으로 연구방법과 연구영역을 확장할 수 있었다. 세대전이 단계(結): 질적 연구방법론자가 된 나는 스승의 학문적 열정을 거울삼아 또 다른 스승으로서 후세대를 양성할 수 있는 역량을 갖게 되었다. 이 연구의 결과는 사제관계를 기반으로 한 질적 연구자의 성장과 발달 과정을 조명함으로써 질적 연구방법에 대한 교수 및 학습 전략을 제공하고, 질적 연구방법론의 전승과 발전을 위한 경험적 및 이론적 자료로써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The aim of this paper is to interprettransitional process of becoming a qualitative researcher and its meaning through autoethnography based on the teacher-student relationship to teach and learn qualitative research. The specific results and conclusions are as follows. Introduction stage 1: I as a doctoral student and school teacher had become a master’s pupil owing to authentic encouragement of a professional who was a master in qualitative research domain. Growth stage 2: I as a novice qualitative researcher and dispatched teacher could have learned methodic procedures and skills of qualitative research methodology through professional help of my master. Also, I as a qualitative researcher could have built expertise to become a proficient research methodologist with master’s help in teacher-student relationship. Development stage 3: I who became a professor in a university could have expanded and extended research topics and methods such as autoethnography and life history research thanks to master’s academic leadership. Intergenerational transmission stage 4: I who became aa master in qualitative research could have taught next generation who want to be a qualitative researcher by mirroring my master’s academic enthusiasm. The results of this paper could be an empirical and theoretical exemplar in teaching and learning of qualitative research methodology by shedding light on growth and development of a qualitative researcher in terms of teacher-student relationship.

      • KCI등재후보

        van Manen의 해석학적 현상학의 방법론적 탐구

        정상원 한국질적탐구학회 2018 질적탐구 Vol.4 No.1

        Many researchers in South Korea showed strong interest in phenomenological qualitative research. In particular, Van Manen’s Hermeneutic Phenomenological Methodology has been applied as a traditional methodology of phenomenological qualitative research, to explore various themes. However, methodological research on the Hermeneutic Phenomenological Methodology is not sufficient. Therefore, this research is set to conceptualize the traits of Van Manen’s Hermeneutic Phenomenological Methodology. The research identified 4 key traits of Hermeneutic Phenomenological Methodology: first, an emphasis on anecdote unveiling its meaning; second, a revelation of the essential meaning structure of the experiences as an objective of research; third, an emphasis on interpretation and hermeneutics circle during the process of analysis; fourth, the actualization of phenomenological reduction as a trait of methodological process. This research focusing on the traits of Van Manen’s Hermeneutic Phenomenological Methodology is expected to help researchers who adapt his methodology to implement researches, apply more adequate and traditional hermeneutic phenomenology. van Manen의 해석학적 현상학은 현상학적 질적 연구의 한 전통으로 여타의 현상학적 질적 연구들과 마찬가지로 많은 연구자들이 이를 통해 다양한 주제들을 탐구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의 해석학적 현상학에 대한 국내 학자들의 방법론적 논의가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이 연구는 van Manen의 저작에 대한 분석을 통해 그의 해석학적 현상학의 특징을 탐구해 보고자 하였다. 연구의 결과, 그의 해석학적 현상학은 다음의 네 가지 특징을 가지고 있었다. 그것은 첫째, 의미를 드러내는 일화의 강조. 둘째, 탐구의 목적으로서 체험의 본질적 의미구조 밝히기. 셋째, 분석에 있어서 해석과 해석학적 순환 강조. 넷째, 방법적 과정의 특징으로서 환원의 구체화 등이었다. 이러한 그의 해석학적 현상학의 특징에 대한 탐구는 그의 방법론을 적용하고자 하는 연구자들로 하여금 더욱 해석학적 현상학의 특징이 잘 드러나는 해석학적 현상학적 접근을 시도하는데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심층면담 가이드 개발에 관한 방법적 탐구

        조재성 한국질적탐구학회 2019 질적탐구 Vol.5 No.1

        An in-depth interview is most widely used to collect data in qualitative research. It allows researchers to look into people as the essence of research itself, instead of numbers or statistical objects. It is natural that an in-depth interview has taken center stage of almost all the qualitative methodologies. For eff ective in-depth interview, it is essential to build a systematic interview guide. Th is study thus discussed methods that a researcher could use to develop an interview guide in qualitative research. Th e fi ndings were summarized in three major aspects: fi rst, the study shed light on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an interview guide that researchers could consult; second, the study defi ned several criteria for a good interview guide, including the subareas to classify the overall situations and questions of an interview and three interview questions that underwent more than two improvements; and lastly, the study presented the forms and content of an in-depth interview that would vary based on the tradition of qualitative research in terms of ethnography, phenomenological qualitative research, narrative inquiry, and life history. Th e fi ndings of the study are expected to help qualitative researchers develop a sophisticated interview guide and conduct a research eff ectively. 질적 연구의 자료 수집방법으로 가장 많이 활용되는 기법이 바로 심층면담이다. 심층면담을 통 해 인간을 숫자나 통계적 대상이 아닌 연구의 본질 그 자체로 바라볼 수 있게 된다. 자연스럽게 심층면담은 거의 모든 질적 연구방법론 중에서도 가장 핵심적인 자리를 차지하고 있다. 이러한 심층면담을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는 사전에 체계적인 면담 가이드를 제작할 필요가 있 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질적 연구에서 연구자가 면담 가이드 개발에 활용할 수 있는 방법에 관 해 논의하였다. 연구의 결과로 크게 세 가지 내용을 도출하였다. 첫째, 면담 가이드의 고유한 특 징으로 연구 주제와 관련 있는 하위 영역, 열린 질문, 중립성과 유연성을 제시하였다. 둘째, 좋은 면담 가이드의 기준으로 면담의 전체적인 상황, 질문을 분류하는 하위 영역, 두 번 이상 개선된 면담 질문의 세 가지를 찾을 수 있었다. 셋째, 질적 연구의 전통에 따라 달라지는 심층면담 가이 드의 형태와 내용을 문화기술지, 현상학적 질적 연구, 내러티브 탐구, 생애사로 구분하여 제시하 였다. 본 연구를 통해 질적 연구자들이 정교한 면담 가이드를 제작하여 연구를 효과적으로 수행 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 초등학교 학생들의 학원교육 경험의 특징과 그 의미

        박창민,민성은,김영천 한국질적탐구학회 2015 질적탐구 Vol.1 No.1

        Hakwon education has been very popular and major part of Korean students’ learning and lives. At the same time, it plays an important role in understanding Korean education and sociocultural atmosphere. But there is not enough research on Hakwon education to take a deep look into it. Within this context, this paper was to scrutinize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students’ learning experiences in Hakwon education in chronological look and to identify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viewpoint on their Hakwon experience. For this purpose, qualitative study methods were employed. In order to describe and understand how Hakwon education is operated, a variety of qualitative data collection methods such as participant observation, intensive interviewing and content analysis have been implemented for almost a year long field work study. Through these field-oriented methods, researchers were able to collect qualitative data to extensively show what kinds of features of Korean Hakwon education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have in regard to curriculum, materials and teaching methodology in the concept of chronological steps. Also we were able to better understand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oughts and perspective on Hakwon experience. The discussion continued to evolve in the following phases. First, we clarified how much students took Hakwon education classes in Korea and what kind of education were provided in Hakwon. Subsequently, we described how the students got different aspects of educational experience by their school grade. And if we discerned any type of differences in that, we probed to find out the reasons in association with the public school curriculum and system. In addition, we described detailed learning experiences in a variety of Hakwons through a qualitative study of actual Hwakwon institutions and students. In addition, we examined what Hakwon means to elementary school students with no preconception involved. A series of follow-up courses can take us to a detailed look into the life of students in Hwakwon and will serve as an important opportunity for on-site school administrators and teachers to get to know the alternative way to overcome the school crisis and problems. 이 연구는 한국 초등학생들의 학원교육 경험을 학년별로 묘사하고 그들이 학원교육 경험에 대해 가지는 의미가 무엇인지를 살펴보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했다. 실상 한국 대부분의 초등학생들은 학교에 입학하는 순간부터 학원도 입학하게 되고, 초등학교를 졸업하는 순간까지도 여전히 학원과 함께 하는 경우가 많다. 결론적으로 한국에서는 학원교육이 교육문화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학원교육을 받는 당사자인 이들 학생들에 대해 살펴볼 수 있는 기회는 전무하다. 하지만, 한국 초등학생들에게 학원이란 더 이상 선택이 아닌 필수적인 관문으로 여겨지고 있고, 이들 학원교육이 전 세계적으로 관심을 받고 있는 한국교육의 중요한 일부분이라는 점에서 이에 대한 연구가 더욱 필요하다. 이에 과연 한국의 학원들은 어떠한 특성을 지니며 어떠한 교육과정을 운영하고 있고, 초등학생들이 학원이라는 교육공간에서 어떠한 생각을 하고 어떠한 교육적 경험을 하고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목적에 따라서 본격적인 논의는 다음과 같은 흐름에 따라 전개해 나갈 것이다. 먼저, 우리나라 초등학생들 중 학원교육을 경험하는 학생을 어느 정도가 되는지, 그리고 어떤 학원교육을 받고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뒤이어, 한국의 초등학생들의 학원교육 경험들이 학년별로 어떤 특징이 있는지, 그리고 만약 차이가 있다면, 왜 그런 차이가 생기는지를 학교 교육과의 연관성 속에서 찾아보고자 한다. 아울러, 이렇게 학년에 따른 다양한 학원 경험들을 실제 학원 및 학생들에 대한 질적 연구를 통해 세부적으로 묘사하고자 하였다. 또한 이들이 학원에 부여하는 의미가 무엇인지를 함께 살펴보고자 하였다. 일련의 과정은 한국초등학생들이 경험하는 학원경험에 대해 상세히 살펴볼 수 있을 뿐 아니라, 학교 교육 현장과 더불어 교육행정가, 교사, 그리고 교육학자에게 던지를 시사점에 대해서도 생각해볼 수 있는 기회로 작용할 것이다.

      • KCI등재

        한국개신교의 목회자 자녀로 살아가는 삶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 20대 미혼 청년의 경험을 중심으로

        이비조(Bijo Lee),한영주(Youngju Han) 한국질적탐구학회 2020 질적탐구 Vol.6 No.3

        This narrative inquiry is to comprehend what stories of life Protestantism pastor’s children form in their lives. For this purpose, the study analyzed the data, collected via 3∼5 times of in-depth interviews, according to narrative inquiry procedure proposed by Clandinin and Connelly(2000). The result was reconstituted into three themes - ‘Family and I’, ‘Church and I’, ‘My current self’. For participant Lee Myungjoo, helping her father’s church duty was the top priority in life. However after meeting a friend who listened to her stories with full heart, she came to have different dream and now she is dreaming of establishing a church community of her own. Participant Lim Dongwoo has spent his adolescence, trying to brake the intangible expectation for a pastor’s child. But after his parents changed their way of nurturing, to allow him to do what he wanted, their relationship took a new turn. As he came to have his own way of belief in the God, he was able to understand his father. Currently, he has let go of the path to become a minister and seek a new path. Participant Kim Jinhee has experienced that her father’s caring for her during childhood, became a burden, forcing to be a good child. She accepted the value of universal happiness by expressing her experiences of being pressured to share what she had as a pastor’s child, and now lives as a teacher who conveys the value to students. Unlike the existing studies, the study allowed pastors’ children who are now living their own lives in their position, to speak up about their life experience in detail. It is meaningful in that it added the understanding on the life of pastors. 본 연구는 목회자 자녀로 살아가는 사람들이 어떠한 삶의 이야기들을 형성하며 살아내는지를 이해하려는 내러티브 탐구이다. 본 연구는 한국개신교의 목회자 가정에서 목회자 자녀로 살아온 3인의 연구 참여자들과 3∼5 회에 걸친 심층면담을 통해 수집된 자료를 Clandinin과 Connelly(2000)가 제시한 내러티브 탐구절차에 따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는 ‘가족과 나’, ‘교회와 나’, ‘현재의 나’의 세 가지 주제로 재구성되었다. 참여자[이명주]는 부의 사역을 돕는 역할에 우선순위를 두고 살아가다가 온전히 마음을 들어준 선배와의 만남을 통해 자신을 위한 선택을 하게 되었으며, 현재는 자신이 꿈꾸는 교회공동체를 세워가고 싶다는 목표를 바라보며 살아가고 있다. 참여자[임동우]는 목회자 자녀로 느끼는 실체 없는 기대를 깨뜨리고자 금기시된 행동을 시도하는 청소년기를 보냈지만, 원하는 바를 시도하게 허용한 부모님의 양육방식의 변화로 관계의 새로운 국면을 맞이하였으며, 주어진 삶의 조건이던 신앙이 자신의 것이 되면서 아버지를 이해하는 경험을 하였다. 현재는 가정에서 지지받는 선택이던 사역자라는 진로를 내려놓고 새롭게 길을 찾아가고자 고민하고 있다. [김진희]는 아이로서 살아갈 수 있도록 울타리가 되어준 부의 배려를 통해 바른 아이여야 한다는 부담을 내려놓는 경험을 하였으며, 목회자 자녀이기에 때로 자신의 것을 내어줘야 했던 경험들을 조금씩 나눔으로써 모두 행복할 수 있다는 가치로 받아들이며 교사로서 학생들에게 이를 삶으로 전하는 현재를 살아가고 있다. 이 연구는 목회자 자녀의 적응과 극복을 전제하는 기존연구와 달리, 각자의 삶의 영역에서 자신의 삶을 살아내는 목회자 자녀들의 구체적 삶의 경험을 그들 자신의 생생한 목소리로 이야기할 수 있었다는 점에서 목회자 자녀로 살아가는 삶에 대한 이해를 더했다는 것에 그 의의가 있다.

      • KCI등재

        상담전공 대학원생의 질적연구 수행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안유진,김명찬 한국질적탐구학회 2022 질적탐구 Vol.8 No.3

        본 연구는 상담전공 대학원생의 질적연구 수행경험을 살펴봄으로써 상담과 질적연구가 어떠한상호작용을 주고받는지에 대한 구체적 자료를 제공하여 질적연구에 대한 접근성을 높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Giorgi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적용하여 상담전공 대학원생 총 7명과 심층면담을 실시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자료 분석 결과, 21개의 하위구성요소와 8개의 구성요소가도출되었다. 연구 결과는 ‘나와 타인에 대한 관심이 연구의 기반이 됨’, ‘연구참여자와의 면담에서 시행착오를 겪음’, ‘연구참여자의 이야기를 이끌어내기 위해 노력함’, ‘연구참여자와의 거리를적절하게 유지하기 위해 노력함’, ‘상담자의 모습과 질적연구자의 모습이 유사하게 느껴짐’, ‘상담자로서의 역량이 성장함’, ‘나 자신이 성장함’, ‘연구의 의미를 알게 됨’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상담전공 대학원생의 질적연구 수행경험에 대한 심층적인 이해를 제공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또한, 상담전공 대학원생이 질적연구를 수행하며 갖추어야 할 태도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 본 연구는 상담전공 대학원생들의 질적연구에 대한 접근성을 높이고 질적연구와 상담자 발달의 연계성에 대한 자료를 제공하고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 KCI등재

        국내 상담학 분야의 질적연구 동향 분석:

        김지연(Ji yeon Kim) 한국질적탐구학회 2018 질적탐구 Vol.4 No.2

        본 연구는 상담학 관련 국내 대표 학술지인 『상담학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에 2013년부터 2017년까지 게재된 논문 중 질적연구방법으로 수행된 총 125편의 연구에 대한 동향을 분석하려는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분석 결과를 2012년, 2013년에 실시되었던 질적연구동향 분석 결과와 비교할 때, 전체적인 연구의 편수가 증가하였으며 상담학에서 주로 활용된 질적연구방법은 현상학(47편, 37.6%), 근거이론(33편, 26.4%), 합의적 질적분석(26편, 20.8%) 으로 나타났다. 질적연구방법 중 활용빈도가 높은 현상학, 근거이론, 합의적 질적분석의 방법에 의한 연구에 대해, 연구된 내용, 연구대상, 그리고 연구대상자 수의 관점에서 추가 분석을 실시하였다. 합의적 질적분석의 경우, 상담자 및 상담수련생의 경험의 주제로 가장 많이 연구 되었고, 근거이론의 경우, 외상/어려움 경험 및 외상/어려움에서의 회복경험이 가장 많이 연구되었다. 또한 현상학의 경우, 특정한 경험을 지닌 참여자의 경험 자체를 연구한 경우가 가장 많이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 동향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상담학 분야에서의 질적연구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고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을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trends of the qualitative researches in the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and 『The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from 2013 to 2017. The result of the analysis showed that the number of overall researches during that period increased compared to the result of the study in 2012 and 2013. The primary research methods applied included phenomenology (37.6%), grounded theory (26.4%) and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 (20.8%). The study was conducted from the viewpoint of research topic, research subject, and the number of research subjects, using the methodology of phenomenology, grounded theory, and consensus qualitative analysis (CQR). In the case of consensual qualitative analysis, counselor’s experience was the most frequently studied topic. In case of grounded theory, experience of trauma and difficulty and the recovery from trauma and difficulty was the mostly frequently studied topic. In the case of phenomenology, participants’ experience in specific situation itself was studied the most. Based on the results of the research analysis, the implications were defined for the qualitative research in the field of counseling and suggestions were made for follow-up studies.

      • 질적 내용 분석의 개념과 절차

        최성호,정정훈,정상원 한국질적탐구학회 2016 질적탐구 Vol.2 No.1

        This study was aimed to discuss the theoretical aspects of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to provide deep and detailed understanding about qualitative data analysis, as it is now getting growing attention in Korea. Although discussions for qualitative research have become more detailed and extensive and there have been many previous studies that adopted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as an analytic method for data analysis, theoretical discussions about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have not been sufficient in Korea. So this study was designed to review the concept, development process and scholars' methodological procedures of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In conclusion, this study assessed and found first,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can be used as an effective method to analyze messages from mass media, second, a balanced approach is required between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aspects, third, the consideration of the procedures in content analysis can ensure researchers to secure the validity of the analytic results, and fourth, in spite of the third finding, a cautious approach is required before taking the procedures as fixed rules. The discussion about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is expected to provide extensive insights to data analysis of qualitative researchers. 이 연구는 최근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질적 자료 분석에 대해 좀 더 깊고 세분화된 이해를 도모하기 위해 질적 내용 분석에 대해 이론적으로 논의하였다. 최근 질적 연구에 대한 이론적 관심이 세분화 되고 있는 측면을 고려한다면 질적 분석의 한 접근으로서 질적 내용 분석은 우리나라에서 많은 연구에 사용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에 대한 이론적 논의가 부족하였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질적 내용 분석의 개념, 발달과정, 그리고 그 분석 단계에 대한 학자들의 논의를 살펴보았다. 이러한 논의의 결과, 첫째, 질적 내용분석은 대중매체 속의 메시지 분석에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둘째, 내용분석에 있어 질적, 양적 측면의 균형이 필요하며, 셋째, 내용분석에 있어서 절차에 대한 고려는 분석 결과의 타당성 확보를 위한 효과적인 도구가 될 수 있다는 점, 넷째,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절차를 정형화된 규칙으로 받아들여서는 안 된다는 점을 논의하였다. 이러한 질적 자료 분석에 대한 이론적 논의는 질적 연구자들의 자료분석에 적절한 시사점을 제공해 줄 수 있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