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우리말 가르치는 길잡이, 누가 만들어야 하나?

        최인영(Choi In-yeong) 우리말교육현장학회 2007 우리말교육현장연구 Vol.1 No.-

        국어과 교육과정은 우리말을 가르치는 길잡이가 되어야 한다. 그런데 그 동안 그런 구실을 제대로 했느냐 하면 그렇지 못하다. 왜냐하면 교육과정을 만들고 고치는 과정에서 현장을 따돌렸기 때문이다. 이번에 새로 교육과정을 고치는 과정에서도 크게 다르지 않았다. 실제로 교육과정을 개발하는 연구진에는 현장 교사가 한 명도 없었으며, 그것을 검토하는 자리에도 겨우 이름만 걸쳐놓기 일쑤였다. 그래서 현장의 목소리를 제대로 전달할 수가 없었다. 현장의 목소리에 귀를 닫아버린 교육과정은 아이들의 삶을 제대로 담아낼 수가 없었으며, 따라서 아이들의 언어능력을 키우는 길잡이로서의 구실을 잃어버렸다. 교육과정은 문서로 존재할 뿐, 수업을 이끌어 나가지는 못한다. 교사가 수업을 계획할 때 교육과정을 보는 일은 거의 없다. 현장을 따돌린 교육과정이 도리어 현장으로부터 따돌림을 받는 것이다. 우리말을 가르치는 길잡이는 누가 만들어야 하는가? 먼저 우리말에 대한 전문가인 학자들이 자리를 잡아야 한다. 그리고 가르치는 일에 전문가인 현장의 교사들이 함께 해야 한다. 뿐만 아니라 사회 구성원 모두의 슬기를 모아야 한다. The curriculum for Korean language must be the guideline for teaching our language. However it has not played the guiding role well for how it is applied in the filed was ignored in the process of making and modifying the curriculum. The process of making the new curriculum this year was not very different. In fact, the research team for developing the curriculum did not include a single teacher from the field and only the names of teachers are borrowed even when the curriculum was reviewed. In other words, it was not possible to reflect the actual circumstances of the field. The curriculum which is not concerned with the voices from the field cannot reflect the lives of the children and therefore it lost the function as the guide for developing the linguistic abilities of the children. The curriculum only exists as a document; it cannot actually teach. Teachers hardly refer to the curriculum when they make their teaching plans. The curriculum which ignored the field is being ignored by the field. Who must make the guideline for teaching our language, then? First, the scholars with expertise in Korean language must take the lead. Then, the teachers from the field who are experts in teaching must join them. It is also necessary to gather the wisdom of everyone in the society.

      • KCI등재후보

        우리말교육에서 다루어야 할 문학작품 고르기

        김수업(Kim, Su-eup) 우리말교육현장학회 2011 우리말교육현장연구 Vol.5 No.1

        우리말을 배우고 가르치는 노릇에는 다루어야 할 자료가 있어야 한다. 그 자료는 크게 두 가지다. 말[言語, language]과 말꽃[文學, literature], 곧 일상의 말과 예술의 말이다. 이 글은 이들 두 가지 가운데서 말꽃을 다루되, 우리말을 배우고 가르치면서 다루어야 할 말꽃송이[文學作品, literary works]를 어떻게 골라야 할지를 논의하는 것이다. 우리말을 배우고 가르치는 사람들이 말꽃송이 고르기를 걱정하기 비롯한 것은 새로운 세기로 넘어들던 때부터다. 그로부터 이미 꽤 많은 글을 썼고 책도 나왔지만, 우리 현실에 맞추어 차근차근 터전과 바탕을 마련하지 않고 뜬금없이 ‘정전(正典, canon)’을 들먹이며 서양 흉내에 열을 올리는 바람에 힘쓴 일이 현장에 보탬이 되지 않는다. 아무리 바빠도 차근차근 현실에 맞는 터전을 닦고 바탕을 마련하면서 우리말을 배우고 가르칠 적에 다루어야 할 말꽃송이를 올바로 고르는 길을 찾아야 한다. 이 글은 ‘말꽃송이 고르기를 해야 하는 까닭’에서부터 ‘말꽃송이 고르기에 앞서 짚어 둘 일’을 거쳐 ‘말꽃송이 고르기에 쓸 가늠자’까지 바탕이 되는 디딤돌을 놓아 보려고 했다. 앞으로 여러 사람이 함께 슬기를 모아 말꽃송이 고르는 길을 열어 나가면서 믿고 딛어도 좋을 디딤돌이 되기를 바란다. Suitable materials are a fundamental necessity in teaching and learning Korean. Educational materials are largely of two kinds: everyday texts that deal with ordinary language and works of literature that deal with artistic language. This paper discusses how to select suitable literary works when we choose literature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It was since the beginning of the new century that Korean language teachers began to be concerned about the selection of literary works. Numerous articles and books have been written on this topic, but almost all are impractical for actual classes because they have just been copying western ways of education by referring to canons without steadily establishing a foundation for selection conforming to our realities. What is needed is a systematic way to select works of literature for practical Korean language instruction. This paper establishes a basis for systematic selection by covering reasons for having to select literary works for teaching, what to consider before selecting, and selectional criteria. My aim is to open a way for selecting appropriate literary materials and thereby to lay reliable stepping stones for our collective instructional wisdom.

      • KCI등재

        낱말무리 가르치는 길 견주어 보기

        이창수(Lee, Chang-soo) 우리말교육현장학회 2009 우리말교육현장연구 Vol.3 No.2

        이 글은 ‘우리말을 가르치는 길잡이 2007’을 ‘2007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과 견주어 봄으로써 더 탄탄하게 만들고자 하는 일 가운데 낱말무리(어휘)와 아랑곳한 내용을 더 알차게 만드는 데 뜻을 두고 쓴 글이다. 먼저 낱말무리(어휘)와 가르치는 길(교육과정)의 뜻매김을 하였다. 그것을 바탕으로 2007년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에서 낱말무리 가르치기와 아랑곳한 내용들을, 우리말을 가르치는 길잡이 2007에서는 ‘낱말’과 아랑곳한 내용들을 뽑아 분석하고, 견주어 보았다. 그 결과 지식 관련 내용 요소가 많고, 지식 활용과 태도 관련 내용 요소가 적다는 공통점이 있었다. 흉내 내는 말, 비슷한 말, 맞섬 말, 속담, 사전 찾기, 표준말, 어종 같은 내용은 지도 학년까지 같았고, 의미 관계, 낱말 만들기 같은 내용은 지도학년이 달랐다. 높임법 관련 지도 내용이 2007년 개정 교육과정에는 있는데 우리말을 가르치는 길잡이 2007에는 없었다. 그 반대로 ‘낱말 늘리기’ 관련 내용은 우리말을 가르치는 길잡이 2007에만 있었다. 위와 같이 같은 점과 다른 점을 바탕으로 빠진 내용들을 채우는 일과 더불어 우리말을 가르치는 길잡이 2007이 더 탄탄해지려면 낱말무리 가르치는 방향을 단단히 잡은 다음 낱말무리와 아랑곳한 지식뿐만 아니라 낱말무리 부리기, 낱말무리 배우기, 낱말무리 관련 태도 등 낱말무리 가르치기 관련 내용 요소들이 빠짐없이 들어가도록 해야 할 것이다. 그것을 바탕으로 해서 만들어질 교과서와 지도서에는 낱말무리를 잘 가르치는 방법과 낱말무리 부리는 힘을 평가하는 방법 등에 대한 꼼꼼한 길잡이가 더해질 때 학생들의 국어능력은 더욱 나아질 수 있을 것이다. This article was written to help the concerned devise the detailed contents of vocabularies in the Korean language, which is one of the strong measures for 'A Guide to Teach the Korean Language' through comparing with 'the 2007 Revised Korean Curriculum'. At first, this writer distinguished the concepts about vocabulary and curriculum. Being based on these elements, this writer organized the contents related to vocabulary education in the 2007 Revised Korean Curriculum, and analyzed the contents related to words in 'A Guide to Teach the Korean Language', then compared together. As a result, there was commonness between the curriculum and the guide, They had more contents related to knowledge, while less contents related to usage of knowledge and an attitude on vocabularies. There was commonness on mimicking words, synonyms, antonyms, the proverb, consulting a dictionary, a standardized words, and a language species in a guiding grade, and difference on relations of meaning and ways of forming words. The 2007 Revised Korean Curriculum contained the contents related to honorific words, while 'A Guide to Teach the Korean Language' didn't. The contents related to 'Extending words' were included only in 'A Guide to Teach the Korean Language' On the basis of commonness and difference in both sides, the direction of vocabulary education should be determined, and then the contents related to vocabulary education - including vocabulary usage, ways to learn vocabularies, and an attitude related to vocabularies - should be considered, so 'A Guide to teach the Korean Language' can be enhanced in terms of the vocabulary contents.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complement the missing contents related to vocabulary education. Considering the above explanations related to vocabulary education, the Korean textbook and the manual textbook should be devised. In addition to this, when we have to add 'ways to guide vocabularies effectively' and 'ways to evaluate abilities on vocabularies', students' capabilities on the Korean language may be more improved.

      • KCI등재

        종결어미 `-니`의 기능과 의미

        김수태 우리말학회 2004 우리말연구 Vol.15 No.-

        우리말은 세계에서 유래를 찾기 어려울 정도로 종결어미가 발달된 언 어이다. 이렇게 종결어미가 발달된 것은 우리말을 사용하는 언어대중의 의식 속에 종결어미에 대한 구분의 필요성을 강하게 느끼기 때문이다. 이러함에도 서구 언어이론의 틀 속에서 우리말의 체계화를 논의하고 있기 때문에 종결어 미에 대한 체계화는 아직 만족할 만한 단계에 이르지 못하고 있다. 특히 하나의 형태가 여러 문장종결법에 쓰이는 것들은 그 처리에 있어 여러 가지 견해를 보인다. 이러한 논의틀은 우리말의 문장종결법이 종결어미와 일 대 일의 대응을 보이지 않는 데서 출발한 것이다. 이 글은 우리말의 문장종결법은 명제와 종결어미 및 수행억양에 의해서 드러 남을 밝히고자 했다. 이러한 관점에서 서술문과 의문문 및 감탄문에 쓰이는 ‘ 니’는 동음이의 형태가 아니라 하나의 종결어미이고, 명제와 수행억양의 다 름에 의해서 문장종결법을 달리 나타내는 것으로 보았다. 그리고 ‘-니’의 쓰임이 세 개의 문장종결법으로 제한되는 것은 ‘-니’가 선어말 어미로 쓰일 때 가졌던 실현재약을 그대로 이어받은 것임을 밝히고자 했다 한 걸음 더 나아가 선어말어미에서 종결어미로 기능이 전이되면 이것은 종결 어미의 체계 속에 놓이기 때문에 종결어마의 체계 속에서 찾고자 했다.

      • KCI등재

        『우리말우리글』을 통해 본 새 교과서의 방향 - 『우리말우리글』을 학교에서 써본 경험을 되돌아보고 새 교과서가 이루어야 할 것을 짚어봄

        박희영(Park Hee-young),정현선 우리말교육현장학회 2008 우리말교육현장연구 Vol.2 No.1

          전국국어교사모임이 2001년 펴낸 『우리말우리글』에서 잘 이룬 것을 교재 밖에서 보면, 첫째, 국어 교과서 제도에 변화를 가져온 일, 둘째, 국어교육의 길을 바로잡은 일, 셋째, 국어교사의 문화를 흔들어 깨운 일, 넷째, 교사들의 주체성을 늘린 일이다. 교재 안에서 보면, 『우리말우리글』은 활동 중심의 통합적 구성, 주제 중심의 통합적 구성, 학생중심의 교재, 교수학습 구조화 측면, 디자인 개념을 구현함, 다양한 매체를 효율적으로 사용함, 어휘학습이 크게 보강됨 따위를 잘 이룬 것으로 들 수 있다.<BR>  『우리말우리글』에서 못 이룬 것을 보면, 첫째, 학교 현장에서 많이 활용하지 못함, 둘째, 교육과정에 기대지 못했음, 셋째, 언어학습목표를 정교하게 구현하지 못한 부분이 있음, 넷째, 평가가 어려웠음, 다섯째, 너무 가벼운 읽을 거리만 추구했다는 문제 제기가 있었음, 여섯째, 단원 설정의 취지가 분명치 않고, 그에 맞는 참고 자료 등이 부족했음 따위이다.<BR>  앞으로 새 교과서에서 할 일을 말하면, 첫째, 검인정 교과서가 되기 위해 국가교육과정을 충실히 반영해야한다. 둘째, 교육과정을 충실히 담아내는 교수-학습 과정안을 마련하여야 한다, 셋째, 『국어』와 『생활국어』를 통합할 수 있는 방안을 찾아야 한다. 넷째, 단원 목표, 단원 전개와 수업 과정 등에 대해 좀 더 상세한 안내를 해야 한다, 다섯째, 고전자료를 잘 활용해야 한다, 여섯째, ‘열린’ 교과서를 분명하게 담아야 한다, 일곱째, 학습목표에 도달하는 데에 가장 적절한 제재로 구성해야 한다 이다.   Looking at the facts that well achieved by 『Urimal, Urigul』published by the National Association for Korean Language Teachers in 2001, as for the external view of textbook, first, it has brought a dramatic change to Korean textbook system, second, it has reformed a way of education for Korean language, third, it has awakened the culture of Korean teachers and lastly, it has enlarged teachers’ subjecthood. As for the internal view of textbook, 『Urimal, Urigul』has strengths with an integrated construction of activity centered and topic centered framework, a student focused textbook, the structuralization of teaching instruction, an embodiment of a design concept, an effective usage of a diversity of media materials as well as reinforcement for vocabulary learning.<BR>  Come to think of what 『Urimal, Urigul』could not achieve, first, it could not be made the most use in schools, second, it could not depend on curriculums, third, it could not exquisitely embody language learning objectives, fourth, it was difficult to evaluate, fifth, the textbook pursued light reading materials excessively and finally, the object of units was not clear and there was lack of appropriate references for it.<BR>  In order to publish the new flawless textbook through the problems found from 『Urimal, Urigul』, first, it should reflect national curriculums sufficiently to become an authorized textbook. Secondly, the new textbook has to embody a plan for a teaching-learning course that fully reflects its curriculums, third, it should pursue to make more effective use of classical literatures, fourth, it has to be provided a detailed guidance for the unit’s objective, unit’s development as well as a course of the class and finally, fifth, it has to clearly contain an ‘open’ textbook.

      • KCI등재

        최근 20년 동안의 국어 연구의 흐름

        김정대 우리말글학회 2001 우리말 글 Vol.22 No.-

        This study deals with what have been the main discussions of the research pagers and books on Korean phonology, morphology, syntax and semantics on the one hand; history of Korean language, history of Korean linguistics and Korean dialectology on the other hand in the last 20 years. The present author believes the trends of Korean linguistics in these years are called as "self-examination of the study of Korean language," because we can discover three facts as follows: First of all, there emersed more persuasive method of explanations than the former ones about the same subjects. These trends are discovered in the field of phonology, morphology and syntax, especially. Secondly, the scholars of Korean language have expanded the research field. The facts that phonological history of dialect can be described, the theory of fusion can belong to the morphology, the tentative studies about Korean comparative construction are emersed and semantics expanded ifs field to discourse and text dimension are its proofs. Thirdly, several scholars of Korean linguistics have criticised the uncritical reception of foreign linguistic theory, and we can see this trends to syntax, especially.

      • KCI등재

        딸림마디에 대하여

        김수태(Kim Su-Tae) 우리말학회 2018 우리말연구 Vol.53 No.-

        이 글은 딸림마디를 이음마디나 안긴마디 가운데 어느 것으로 보는 것이 문법체계의 간결성과 일관성이 있는 설명인지를 살폈다. 우리말에는 낱말이 아닌 언어단위를 월성분으로 부려쓰는 방법은 두 가 지가 있는 것으로 보았다. 하나는 문법적 절차를 거쳐서 마디로 쓰는 것 이고, 다른 하나는 대상화(objectification)해서 이름씨처럼 쓰는 것이다. 대상화를 마디의 생성과 같은 문법적 절차로 본 것은 월 속에서 ‘이름씨 상당어’로 쓰이고 있는 다양한 언어단위들을 문법 영역에 끌어들여 논의 의 대상으로 삼고자 한 것이다. 마디 가운데는 때매김 요소가 통합된 것 들도 있고, 그렇지 않은 것들도 있다. 이렇게 다른 것들이 문법적 절차를 거치는 것으로 보기 위해서 전자는 꼴갖춘월이 마디가 된 것으로 보고, 후자는 기저월이 마디가 된 것으로 보았다. 딸림마디를 안긴마디로 보려 는 논의들이 있지만, 여기서는 이음마디로 보았다. 이렇게 보아야 맞섬마 디와 딸림마디에 다 통합될 수 있는 씨끝들을 같은 것으로 볼 수 있다. This paper explored whether a subordinate clause should be considered as a conjunct clause or an embedded clause in order to provide a concise and consistent account with respect to a grammatical system. In the Korean language, there are two methods to use linguistic units other than a word as a sentence constituent. One is to use linguistic units as a clause through a grammatical process, and the other is to utilize them as a noun through objectification. By considering objectification as a grammar mechanism like the generation of a clause, this paper accounts for various linguistic units that are used like a noun in a sentence within the framework of grammar. Clauses can have either integrated tense elements or unintegrated tense elements. In order to confirm whether tense elements are integrated or not through grammatical processes, the former considers a kernel sentence to become a clause and the latter does a bare sentence to become a clause. Although there are debates over considering a subordinate clause as an embedded clause, this paper considers it as a conjunct clause. In this way, conjunct endings can be seen as the same element that can be integrated into both a coordinate clause and a subordinate claus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