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국가수준학업성취도평가를 위한 장애학생의 대체사정에 대한 고찰: 미국의 관련 연방법을 중심으로

        이승희 한국특수교육학회 2010 특수교육학연구 Vol.45 No.3

        국가는 체계적인 관리를 통하여 장애학생을 포함한 모든 학생들의 보다 높은 학업성취를 보장하는 책무성을 지닌다. 이와 같은 장애학생들에 대한 국가의 교육책무성과 관련하여 미국에서는 지난 10여년 동안 연방법을 근거로 대체사정의 개념, 유형, 및 절차 등을 체계적으로 갖추어 가고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에서는 국가의 교육책무성과 관련하여 실시되는 국가수준학업성취도평가에 장애학생들의 참여가 법적으로 보장받지 못하고 있을 뿐 아니라 대체사정의 개념이나 유형에 대한 이해도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미국이 현재의 대체사정을 도입하기까지의 배경 및 미국에서 현재 실시되고 있는 세 가지 유형을 관련 연방법에 근거하여 살펴보고 우리나라의 대체사정 방안을 모색함에 있어 고려해야 할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미국의 대체사정 도입배경은 네 시기(1990년대 전반기, 1990년대 후반기, 2000년대 전반기, 2000년대 후반기)로 나누어 법적 근거를 중심으로 알아보았으며 대체사정의 유형은 각 하위유형(AA-GLAS, AA-MAS, AA-AAS)에 대한 도입시기, 대상학생, 학업기준, 사정방법, 적정 연간진보 산출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이러한 내용들을 근거로 우리나라의 대체사정 방안모색을 위한 다섯 가지 시사점이 제시되었다: 1) 대체사정의 개념 정립, 2) 대체사정의 유형 정립, 3) 개별화교육계획과 국가수준학업성취도평가의 관계 정립, 4) 장애학생의 국가수준학업성취도평가의 제도적 절차 마련, 5) 장애학생의 국가수준학업성취도평가 참여를 위한 법적 근거 마련. A nation has an accountability to ensure higher academic achievement of all students including those with disabilities. Related to this accountability, in the United States, over the past 10 years alternate assessments have been systematically developed based on federal laws. However, in Korea, not only there is no law that can ensure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to participate in nationwide academic achievement evaluation but also there is lack of understanding the concept and types of alternate assessments. Therefore, this study aimed to review the background and three types of alternate assessments based America's federal laws and to draw considerations for developing alternate assessments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As results of this study, five considerations were suggested: 1) Establishing the concept of alternate assessments, 2) Establishing the types of alternate assessments, 3) Establishing the relationships between IEP and nationwide academic achievement evaluation, 4) Developing the procedures of each type of alternate assessments, and 5) Developing legal requirements on nationwide academic achievement evaluation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 KCI등재

        특수학교 국민공통 기본교육과정 적용 학생의 학업성취평가 실태와 향후 과제

        정동일,오세웅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2011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Vol.54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esent the actual state of an academic achievement test and the suggestions of improvement for students with special needs applied by the national common basic curriculum. Research questions set for the purpose were as follows. First, what is the suitability directions based on the actual state of the academic achievement test for students with special needs applied by the national common basic curriculum who are placed in regular schools or special schools. Second, has the suitability of evaluation administration of the academic achievement test for students in regular schools or in special schools for the hearing or visually impaired been secured? Third, what are the problems in the national level academic achievement tests? Fourth, what are the suggestions of improvement to secure the suitability of the national level academic achievement test for students in special needs?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domestic and foreign literature reviews of the national level academic achievement tests and in-depth interviews were used. As the suggestions of improvement for the academic achievement test of students with special needs applied by the national common basic curriculum, the followings are presented. First, the diverse types of academic achievement tests at the national level should be developed for full integration and extension in the academic achievement test for students in special needs. Second, overall reassessment for the suitability of special guidelines for students with special needs in the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is required. Third, a model needs to be developed for evaluation accommodation relating to the development of test items in the national level academic achievement test and the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Fourth, a base that can apply anytime the standards of the evaluation accommodation of the national level academic achievement test is required in the academic achievement test for students in regular schools or in special schools for the hearing or visually impaired. Fifth,'the law of evaluation integration and accommodation for students in special needs' should be enacted to secure the necessity of evaluation participation and integration for all students in special needs. Sixth, the supporting system of the national level academic achievement test for students in special needs is to be built. Seventh, the law to require re-placement in a certain time after school placement needs to be enacted to increase the integration of students with special needs into regular school curriculum. Last, the increase of the accountability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to the results of the academic achievement test is required. 본 연구는 특수학교 국민공통 기본교육과정 학업성취도평가 실태와 향후 과제를 제시하기위한 목적으로 실행되었다. 연구 목적을 해결하기 위해서 첫째, 국가수준의 국민공통 기본교육과정을 적용하고 있는 시각장애·청각장애·지체장애 특수학교와 일반학교에 배치된 특수교육 대상학생의 학업성취도평가 실태에 근거한 적합성 방향은 무엇인가? 둘째, 감각장애특수학교, 일반학교 특수교육 대상학생 학업성취도평가 운영의 적합성은 확보되었는가? 셋째, 국가수준 학업성취도평가에는 어떤 문제점을 가지고 있는가? 넷째, 특수교육 대상학생국가수준 학업성취도평가 적합성 확보를 위한 향후 과제는 무엇인가? 로 설정하여 진행되었다. 이와 같은 연구 목적을 해결하기 위해, 국가수준의 학업성취도평가의 국내ㆍ외 문헌과선행연구, 심층면접을 통해 이루어졌다. 본 연구의 결론으로, 한국적 상황을 고려하여 국민공통 기본교육과정 적용 특수교육 대상학생 학업성취도평가를 위한 향후 과제를 7가지로 제시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지금까지국가수준 학업성취도평가에서 제외되었던 특수교육 대상학생의 평가 참여 의무화가 되고 있는 시점에서 정책연구의 기초자료로서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이스라엘 학업성취도 평가의 특징 분석

        김경회(Kim, Kyung-Hwoi) 한국비교교육학회 2014 比較敎育硏究 Vol.24 No.1

        본 연구는 이스라엘의 학업성취도 평가방법의 특징을 심층 분석하고 우리나라 학생평가 방법 개선에 시사점을 도출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스라엘의 학교수준에서 학생평가의 특징은 1) 선택형 평가문항보다는 서술형 평가문항 중심으로 시험문제가 출제되고, 2)준거참고지향 방식으로 학업성취도가 표기되며, 3) 성적표에 학생의 수업태도 및 예절 등 인성측면을 평가하여 기술하고, 4) 학교와 교사의 평가 재량권이 폭 넓게 인정되어 다양하고 창의적인 평가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국가수준에서 학생평가 제도로는 1)고교졸업고사(Bagrut)를 치러서 학생들의 학력수준을 신장시키고, 2)전국단위 시험제도인 메이짜브(Meitzav)를 시행하여 모든 학교를 비교평가하며, 3) 대학수학능력시험(PET)을 통해 지원자의 대학 수학능력을 측정하여 합격자 선발의 척도로 사용한다. 이스라엘 교육평가 사례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학생평가 방법의 개선방향으로 절대평가방식으로의 전환, 서술형 평가 중심으로 전환, 교사의 평가재량권 확대, 초등학교의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부활, 그리고 학생 인성을 평가하여 기록하는 방안검토를 제안하고 있다. The article provides perspectives on the students assessment policy and practice in Israel educational system. Students evaluation in Israeli schools characterizes: 1) assessment test questions are mainly essay rather than multiple choice in order to measure creative competency, and 2) academic achievement is reported based on criterion referenced evaluation format, and 3) students characters such as learning motivation and etiquette are evaluated and reported to parents, and 4) teacher have broad discretion to how to assess student achievement and adopt a diverse and creative evaluation methods. Student evaluation system at the national level include: 1) Matriculation exam(Bagrut) is the nationwide standard basis for evaluating upper- secondary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2) Large-scale national assessments (Meitzav)are conducted to provide school principals and teachers with information for improving pedagogy, and at system level Meitzav is intended to provide a snapshot of mastery level of students in the curricula of four core subjects, and 3) Psychometric Entrance Test(PET) is administrated by Israeli National Institute for Testing and Evaluation (NITE) and is used as a measure of the selection of successful applicants. The scores of PET alone with the grades of the Matriculation tests are required for college admission. The suggestions discussed in the paper in Korean education context include: more essay questions are presented in school test as well national test. academic achievement is reported based on criterion referenced evaluation format. Teaching staffs have more authority to adopt assessment tools.

      • KCI등재

        미국의 사례가 학업성취도평가 중심의 학력향상 정책 개발에 주는 시사점

        호사라(Sa Rah Ho),전재현(Jae Hyun Jun) 한국교육평가학회 2006 교육평가연구 Vol.19 No.1

        본 연구는 학업성취도평가를 통한 학력향상 정책이 교사들의 교수행위와 일반학생 및 영재학생의 학습에 미친 영향에 관한 미국의 연구들을 분석하였다. 학업성취도평가가 단답형 및 선택형 위주의 전통적 지필시험 형태를 유지하면서, 교사들은 학생의 수준차를 고려한 차별화된 교수를 제공하기 보다는 기초 지식 및 기능 습득에 초점을 두고, 출제될 만한 문제의 해법을 익히도록 하는 일제식 교육을 선택하게 된다. 학생들의 학력향상 여부에 대한 논란이 존재하는 가운데, 원리와 개념을 이해한 후 이를 실제 생활과 연관된 문제 상황에서 적용하는 활동 등이 감소되는 시험대비 중심수업이 학생들 특히 영재학생들의 학습경험 및 동기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이 보고되었다. 분석내용을 바탕으로 본 연구는 효과적인 학력향상 및 교육의 질관리를 위해 개념과 원리 중심 수업 및 사전평가를 바탕으로 한 차별화된 수업의 강화가 선행되어야 함과 학습자 중심의 평가체제가 구축되어야 함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pursued implications for the development of a school accountability system enacted through achievement tests in Korea, based on the analysis of various research on state testing initiatives in American public schools. Even though teachers welcome the establishment of Standards of Learning(SOL), the pressure evoked by the high-stakes testing has driven teachers to narrow curriculum and hesitate to utilize the effective classroom practices responding to students learning needs like readiness differences and interests. The report arguing for students" enhanced achievement on the state tests is doubted by the researchers who compared the results of other independent tests. The negative effects of the testing environment on students" learning motivation and attitudes on school education is found. As teachers"s teaching practices are centered on test preparation, it is found that instructions in classroom seem to focus on basic skills, fact memorization and repetition rather than engaging students and spurring their high-level thinking and creativity in the authentic learning context. The using of conventional assessment items in the SOL tests may affect teachers inevitable choice of ‘one-size-fits all’ approaches to teaching and assessing students, which are mostly harmful and negative to the learning and growth of the academically gifted students in the regular classrooms. For the assurance of accountability and the improvement of school education, high-quality teaching practices focusing on concepts and principles in each discipline should be more emphasized rather than test preparation. Teachers should respond to diverse students" learning needs including academically gifted students by employing differentiation based on pre-assessment. A learner-centered accountability assessment system should be constructed by schools and educational districts. The simple returning to the conventional tests inappropriate to assess the true students growth and incompatible with learning procedures could be disastrous to our vulnerable students.

      • KCI등재

        중학생의 자기평가 수행 프로파일 분석: 피드백 리터러시, 학업적 자기효능감 및 성취도와의 관계

        김광희,손원숙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24 교육과정평가연구 Vol.27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생의 자기평가 수행 프로파일을 도출하고, 이러한 프로파일과 피드백 리터러시, 학업적 자기효능감 및 성취도와의 관계를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중학생 605명의 자료를 대상으로 잠재프로파일 분석을 시행하였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학생의 자기평가 수행 프로파일은 크게 ‘적극형(41.65%)’, ‘중간형(45.95%)’, ‘소극형(12.40%)’의 세 유형으로 분류되었다. 다른 프로파일과 비교해 볼 때, ‘적극형’은 모니터링에 의한 피드백 추구와 자기성찰 경향이 높은반면, ‘소극형’은 내적 피드백 추구 경향이 높고 자기성찰 수준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남학생보다는 여학생이, 그리고 학년이 높을수록 자기평가 수행을 활발히 하는 ‘적극형’에 소속되는 경향을보였다. 셋째, 학생 자기평가 수행 프로파일 분류에 대한 피드백 리터러시의 영향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는데, 특히 피드백을 활용하여 다음 학습을 계획할 수 있는 능력인 피드포워드(feedforward)와 인지적으로 피드백에 대한 기대감이 높을수록 자기평가 수행을 적극적으로 하는 프로파일에 속할 확률이 높았다. 셋째, 학생 자기평가 수행 프로파일별 학업적 자기효능감 및 성취도의차이를 비교한 결과 ‘적극형’, ‘중간형’, ‘소극형’ 순으로 학업적 자기효능감 및 성취도가 높은 것으로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중학생의 자기평가 수행의 실제적 양상 및 그 특성을 파악함으로써 개별 학습자의 특성을 고려한 맞춤형 교육적 개입 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patterns of self-assessment practice of Korean middle school students and examine its relationship with feedback literacy, self-efficacy, and achievement. For this purpose, data collected from 605 middle school students were analyzed, and the latent profile analysis using the 3step method was conducted.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ree latent profiles such as ‘active(41.65%)’, ‘moderate(45.95%)’ and ‘passive(12.40%)’ types were differentiated. Secondly, female students were more inclined to be classified as the ‘active’ type compared to male students, and there was an increasing likelihood of being in the ‘active’ category with higher grade levels. Thirdly, the key factors influencing student self-assessment practice profiles were identified as feedforward which is the ability to apply feedback to their next learning, along with students’ expectation about feedback. Regarding the effects of student self-assessment practice profiles on academic self-efficacy and achievement, the ‘active’ type demonstrated the highest levels of both academic self-efficacy and achievement. Conversely, in the ‘passive’ type, academic self-efficacy and achievement were observed to be the lowest. Ultimately, these findings will aid in understanding the attributes of middle school students’ self-assessment practices and in devising intervention strategies for personalized education tailored to students’ self-assessment. Additionally, educational implications are explored in alignment with recent trends that underscore the significance of student agency which is a crucial competency.

      • KCI등재

        시간제 통합 특수교육대상학생의 학교급별 학업성취도 평가 실태

        서선진,최종근 한국특수교육학회 2017 특수교육학연구 Vol.52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valuation practices of academic performances for special education students who were partially included in general education classes at the elementary and secondary level. There were 1,034 special education teachers who have worked in inclusive schools nationwide answered an online survey.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students with disabilities partially included in general education classes, in general, participated in the same evaluation practices as their peers without disabilities in terms of evaluation types, criteria, and result report. At the elementary level, there was flexibility in implementing evaluation practices depending on subjects or teachers whereas fairness in evaluation practices was highly emphasized at the secondary level. Second, special education teachers’ supports for performance assessments were mainly to provide accommodations in environments and materials. Third, most schools had the assessment regulations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at the school building level, however test modifications regulations were listed for limited subjects. Fourth, the IEP teams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at elementary level relatively made more evaluation-related decisions than those at secondary level. Lastly, the IEP teams considered a student’s types and degree of disability, parents’ opinions and his/her present performance level when their decision for evaluation practices. The discussions and implications for improving the evaluation practices for special education students partially included in general education classes were provided. 본 연구의 목적은 시간제 통합 특수교육대상학생의 평가 참여의 방식과 내용, 평가조정 관련 의사결정 등 학업성취도 평가 실태를 파악하고, 시사점을 도출하는 데 있었다. 이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일반학교에 재직 중이고 통합교육 경험이 있는 초ㆍ중등 특수교사 1,034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시간제 통합교육을 받는 특수교육대상학생들에게 적용되는 평가 유형과 방법은 학교급별로 다른 것으로 확인되었다. 즉, 초등 과정에서는 공통교육과정의 내용을 수정하여 가르치고 평가하는 등 담당교사에 따라 학생들이 참여하는 평가유형이 달라지는 반면에, 중등 과정에서는 비장애학생을 대상으로 한 평가와 거의 차이가 없었다. 둘째, 수행평가에 참여하는 특수교육대상학생들을 위한 특수교사의 지원은 평가 환경 및 평가 자료의 수정이 주를 이루었다. 셋째, 특수교육대상학생을 위한 평가 관련 규정 면에서, 중등 과정은 신체장애를 가진 학생에 대한 평가조정 지침 위주로, 초등 과정은 신체장애 및 인지적 장애를 가진 학생을 위한 평가조정 지침을 포함하는경우가 다수였다. 넷째, 중등 과정은 초등과정에 비해 평가 관련 의사결정이 이루어지지 않거나 평가 참여 및 평가조정에 대한 사항이 IEP에 포함되지 않은 경우가 절반을 넘었다. 다섯째, 개별화교육지원팀에서 평가와 관련된 의사결정을 할 때 학생의 장애 유형과 장애 정도, 보호자의 의견, 학생의 현재 기능 수준을 주로 고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논의에서는 이러한 학교급별 실태 조사 결과의 의미를 해석하고, 향후 시간제 통합 특수교육대상학생을 위한 학업성취도 평가의 개선 방향에 관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하였다.

      • KCI등재

        장애학생의 학업성취도평가에 대한 국내연구 동향과 향후 과제에 대한 고찰

        이병혁,박경옥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2018 지적장애연구 Vol.20 No.2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research’s directivity, the problems mentioned in that research, and what we have to do henceforward for improving the problems by examining the domestic research trends on the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for the last 10 years since the government had announced the plan related to the assessment and testing accommodation of educational achievement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2009. Research output released from 2008 to 2017 were searched by key words like ‘educational achievement’, ‘assessment’, ‘special(or disability)’, and then 25 theses and research articles were selected as the target of analysi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In the case of participants, research with no human participants was most often. The similar result was found in the subject matters, that is, research with no specific subject matters was most often. It was found that most research was conducted using literature analysis and survey as research methodology, and many studies addressed the alternate(alternative) assessment itself and recognition of teachers/actual conditions on the assessment as research subjects. Based on the results, this study discussed concretely the issues, such as ‘the organization of laws and system(rules)’, ‘the developmental(or support) of standards and directions’, ‘the teacher empowerments’, and ‘the establishment of the relationships between educational achievement and IEP’. 이 연구는 2009년 ‘장애학생 학력평가제 및 평가조정제 실시’에 대한 계획 발표이후 지난 10여 년 동안 장애학생들의 학업성취도 평가와 관련된 국내 연구의 동향을 살펴 그동안 수행된 연구의 방향성과 이 연구들에서 언급된 문제점 그리고 그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후속 과제를 분석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설정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2008년부터 2017년까지의 학위 및 학술지 논문들을 대상으로 ‘학업성취’, ‘평가’, ‘특수’(혹은 ‘장애’) 등의 키워드로 검색하고 최종적으로 논문 25편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연구대상에서는 제도나 규정을 대상으로 한 경우가 많았고, 평가대상 교과의 경우에도 과목을 특정하지 않은 경우가 가장 많았다. 연구방법의 경우, 문헌분석과 설문조사가 대다수를 차지하였고, 연구주제는 대안평가 자체에 대한 연구와 학업성취도평가에 대한 교사의 인식을 가장 많이 다루고 있었다. 결과를 토대로 향후 장애학생의 학업성취도 평가를 위한 후속과제에 대해 법과 제도(규정)의 정비와 기준 및 지침 개발(혹은 지원), 교사의 역량 강화, 학업성취도평가와 IEP와의 관계 정립 등에 대한 구체적인 논의를 다루었다.

      • KCI등재

        컴퓨터 기반 평가와 지필평가 간 학생 응답 특성 탐색 -컴퓨터 기반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병행 시행 결과를 중심으로-

        백종호,이재봉,구자옥 한국과학교육학회 2023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43 No.1

        In line with the entry into the digital-based intelligent information society, the science curriculum emphasizes the cultivation of scientific competencies, and computer-based test (CBT) is drawing attention for assessment of competencies. CBT has advantages to develop items that have high fidelity, and to establish a feedback system by accumulating results into the database. However, it is necessary to solve the problems of improving validity of assessment results, lowering measurement efficiency, and increasing management factors. To examine students’ responses to the introduction of the new assessment tools in the process of transitioning from paper-based test (PBT) to CBT,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results of the PBT and the CBT conducted in 2021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 (NAEA). In particular, we sought to find the effects on student achievement when only the mode of assessment was changed without change of items, and the effect on student achievement when the items were composed including technology enhanced features that take advantage of CBT. This study is derived through the analysis of the results of 7,137 third-grade middle school students taking one among the three kinds of assessments, which were the PBT or two kinds of CBT. After the assessment, the percentage of correct answers and the item discriminations were collected for each group, and expert opinions on characteristics of response were collected through the expert council involving 8 science teachers with experience in NAEA. According to the result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students’ achievement results in the PBT and the CBT-M, which means simple mode conversion type of CBT, so it could be explained that the mode effect did not appear. However, it was confirmed that the percentage of correct answers for the construct response items was somewhat high in the CBT, and this result was analyzed to be related to the convenience of the response. On the other hand, there were the items with a difference of more than 10%p from the correct answer rate of similar items, among the items to which technology enhanced functions were applied following the introduction of CBT.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response rate of options, these results could be explained that the students’ level of understanding could be more closely grasped through the innovative items developed through the technology enhanced function. Based on the results, we discussed some guidance to be considered when introducing CBT and developing items through CBT, and presented implications 디지털 기반 지능 정보 사회로의 진입에 발맞추어 과학 교육과정에서는 과학과의 교과역량 함양을 강조하고 있으며, 역량 평가의 측면에서 컴퓨터 기반 평가가 관심을 받고 있다. 컴퓨터 기반 평가는 높은실제성을 갖는 형태로 문항을 구현할 수 있고, 평가 결과를 데이터베이스로 축적하여 환류 체계를 구축함에 있어서도 이점이 있다. 다만, 평가 타당도 개선, 측정 효율성 저하, 관리 요소 증가 등의 문제를해결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학업성취도 평가가 지필평가에서컴퓨터 기반 평가로 전환되는 과정에서 새로운 평가의 도입에 따른학생들의 반응을 살펴보기 위해 2021년도에 시행된 학업성취도 평가의 지필평가와 컴퓨터 기반 평가의 병행시행 결과를 분석하였다. 특히, 동일한 문항을 평가 매체만을 변화시켰을 때 학생들의 성취에미치는 영향, 컴퓨터 기반 평가의 장점을 살린 새로운 기능을 포함하여 문항을 구성했을 때의 변화가 학생들의 성취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중학교 3학년 학생 7,137명이 지필평가와 2종의 컴퓨터기반 평가 중 하나에 응시한 결과를 분석하였다. 평가 시행 후 집단별로 문항의 정답률과 변별도 평균을 산출하였으며, 학업성취도 출제경험이 있는 과학교사 8명이 참여한 전문가 협의회를 통해 응답 특성에 대한 전문가 의견을 수렴하였다. 결과에 따르면 지필평가와 단순모드 전환형 평가에서의 학생들의 성취 결과는 큰 차이는 없어 매체효과가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 다만, 서답형 문항의 정답률이 컴퓨터기반 평가에서 다소 높게 나타났음을 확인하였고, 이는 응답의 편이성과 관련되는 것으로 분석하였다. 한편, 컴퓨터 기반 평가 도입에따라 새로운 기능들이 적용된 문항들에서 유사한 문항의 정답률과차이가 10%p 이상인 문항들이 존재하였다. 학생들의 답지 반응을분석한 바에 따르면, 이는 새로운 기능을 통해 마련한 혁신적인 문항들이 학생들의 이해 수준을 보다 세밀하게 파악한 결과로 볼 수 있었다. 결과를 토대로 컴퓨터 기반 평가를 도입하고 개발할 때 유의할사항을 논의하고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학생 종단자료를 이용한 학교 부가가치지수 산출의 적용 타당성

        김준엽(Jun-Yeop Kim),신진아(Jin-Ah Shin),김경희(Kyung-Hee Kim) 한국교육평가학회 2012 교육평가연구 Vol.25 No.2

        본 연구는 2011년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결과 향상도 공시를 위한 학교 향상도 지표 개발을 위해 부가가치 모형을 중심으로 한국의 맥락에서 타당한 변수들을 검토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2009년 고등학교 1학년과 2010년 고등학교 2학년의 평가결과를 연계하여 학생 종단자료를 구축하였고, 맥락 부가가치 모형을 중심으로 국가수준학업성취도 평가에서 활용할 수 있는 변수를 모형에 투입하였다. 연구결과, 부가가치 분석 모형 중 동일한 학생의 사전 성취도는 학생의 현재 성취도를 예측하기 위한 가장 강력한 변수였다. 또한 연도간 평가 결과의 비선형적 연관성을 반영하기 위한 사전 성취도 이차항의 투입과 학교의 평균적 성취도를 모형에 포함하는 것은 타당한 학교 부가가치를 산출하기 위해 필요하지만, 학교별 성취수준의 표준편차와 학교의 기초수급대상자 비율을 부가가치 모형에 포함하는 것은 현 시점에서 적절하지 않음을 제언하였다. 또한 소규모 학교의 문제를 포함하여 향후 정책적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is aimed to review the feasibility of contextual value-added model (CVA) as a tool to develop school progress index for public announcement of 2011 NAEA results. For this, student's longitudinal data was established by linking evaluation results of high school first graders in 2009 with their 2010 results. Among the input variables of CVA model, variables that can be used in NAEA were put on the model. According to study results, student's prior achievement was the most powerful variable for predicting the student's current achievement. Also, quadratic term and schoollevel average of 2009 results turns out to be adequate predictor of 2010 results. These two terms properly reflect non-linear prior-post achievement relationship and school level contextual effect, respectively. However, including school-specific standard deviation of 2009 achievement level and percentage of school's National Basic Livelihood Security recipients in value-added model seems to be inadequate under Korean context. Finally, problems associated with estimating value-added measures for small sized schools were discussed in terms of school-specific estimation reliability and overall stability.

      • KCI등재

        학생성장백분위를 활용한 학생 수준 향상도 추정과 영향요인 분석

        신혜숙,김준엽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7 교육과정평가연구 Vol.20 No.2

        본 연구에서는 학생수준에서 연계된 초등학교-중학교-고등학교의 세 시점 국가수준 학업성취도평가 자료를 활용하여 학생성장백분위(SGP)를 산출하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학생 및 학교 수준의 변인을 분석하였다. SGP는 이전 성취도가 동일한 학생들과 비교할 때 각 학생이 현 시점에서 얻은 성취도가 몇 백분위에 해당하는지를 나타낸 점수로 학생개인의 향상도를 통해 학교향상도를 추정 가능하다는 점에서 기존의 학교향상도지수에 비해 활용도가 높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개인수준에서 여학생이 남학생에 비하여, 학교생활을 충실하게 할수록, 수학에 대한 흥미가 높을수록, 사교육시간이 길고, 수학 방과후학교에 참여하는 경우 학생 향상도가 높았다. 학교 수준에서는 국공립고에 비해 사립고에서, 일반고에 비해 특목고와 자율고에서 학교별 향상도가 높았다. 또한 학교별 방과후학교 참여율이 높을수록, 학교평균 사교육시간이 길수록, 그리고 기초수급자 비율이 낮을수록 학교평균 향상도가 높았다. 학생 향상도에 대한 사교육 효과는 일반고에 비하여 특목고와 자율고에서 낮았고, 학교평균 사교육평균이 높은 학교에서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student - level and school - level variables affecting the student 's improvement by analyzing the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 (NAEA) data of elementary school - middle school - highschool linked at the student level. For this, we used Student Growth Percentile (SGP) to calculate student achievement and applied a multilevel model at the student and school level. The SGP is a measure of how much performance each student has achieved at the current time, compared to students who have the same previous performance, and indicates how much improvement is achieved when considering previous performance.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The growth rate of female students was higher than that of male students. The level of school life, interest in mathematics, time of private tutoring, and participation in afterschool were positively related to student growth rate. At the school level, student growth rates were higher in private schools compared to public schools, in special-purpose high schools and independent schools compared to general high schools, and schools in rural area Also, participation rate of afterschool, school-mean of time of private tutoring, and student poverty level were significantly related to schoolmean of student growth rate. Effects of private tutoring were different across schools and related to school type and school-mean tutoring rate.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discussions were made on issues to be considered in future school evalu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