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생성형 AI 시대, 교육의 변화와 교육평가의 향방

        성태제(Tae-Je Seong),시기자(Kija Si),최윤정(Youn-Jeng Choi) 한국교육평가학회 2024 교육평가연구 Vol.37 No.1

        이 연구는 생성형 AI 시대를 맞이하여 교육과 기술의 접점에서 교육평가 패러다임 변화의 특징을 살펴보고, 미래 교육평가의 향방을 조망하는데 목적이 있다. 생성형 AI 시대에 대응한 교육과정, 교수⋅ 학습, 교육평가 패러다임의 변화 동향과 향후 과제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생성형 AI가 보편화 됨에 따라 교사의 역할은 지식 전달자보다는 학생들의 전인적 성장을 촉진하는 안내자, 상담자로서의 역할이 강조될 것으로 예상되는 바, AI와의 협업을 통해 교사의 전문성을 확장시킬 수 있도록 교사의 AI⋅디지털 역량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둘째, 개인의 적성과 흥미, 진로⋅직업과 관련된 개인화 교육 과정에 대한 요구가 증대되고 있어 학교 교육과정과 관련된 모든 구성원이 교육과정 설계의 주체가 되는 다중심성 교육과정 생성ㆍ공유 체제 마련이 필요하다. 셋째, AI 디지털 교과서 및 AI 디지털 교과 서와 연계한 AI 맞춤형 교수학습 플랫폼 구축 등 디지털화가 가속화됨에 따라 에듀테크 기반 교수⋅ 학습 방법의 교육적 효용성을 높일 수 있는 방안에 대한 교육 현장과의 소통 및 지속적 연구와 지원 이 필요하다. 넷째, 디지털 기술의 혁신적 발전으로 학습분석의 적용 범위가 확장되고 개인 맞춤형 평 가의 기반이 조성됨에 따라 개별 학생의 전인적 성장 지원을 위한 능력참조평가와 성장참조평가 및 협력적 문제해결력, 창의적 사고 등 미래 역량 함양을 위한 실제적 맥락에 기반한 수행평가와 게임이 재조명되고 있어 이를 활성화하기 위한 AI 기반 평가 체제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이 논문은 생성형 AI 등장에 따른 교육평가의 패러다임 변화와 교수학습 및 학생평가에 미치는 영향을 다면적으로 살펴 봄으로써, 교육 현장에 평가에 대한 새로운 관점과 통찰의 기회를 제공하는데 의의가 있다. The trends and future challenges in response to the era of generative AI for education, instructional methods, and the paradigm shift in educational assessment can be outlined as follows: First, as generative AI becomes more prevalent, the role of teachers is poised to shift from being mere knowledge transmitters to becoming guides and counselors, actively fostering the holistic development of students. Consequently, the importance of teachers' AI and digital competencies is anticipated to witness a substantial rise. Second, as the demand for personalized education-based on individual aptitude, interests, career paths, and vocational relevance grow, there is a need to establish a collaborative and shared system for creating and sharing a multi-perspective curriculum that involve all stakeholders in the school curriculum. Third, the digitization of instructional materials, such as AI digital textbooks and AI-integrated personalized teaching platforms, is accelerating. Therefore, ongoing communication with the field, continuous research, and support are necessary to enhance the educational effectiveness of education technology-based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Fourth, with the innovative development of digital technologies, there has been a renewed focus on ability-referenced assessments, growth-referenced assessments, and performance assessments and games based on real-world contexts. This requires research into AI-based assessment systems for effective implementation. By comprehensively examining the impact of the paradigm shift in educational assessment and its influence on instructional methods and student evaluations in the era of generative AI,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lies in providing new perspectives and insights into assessment in the field of education.

      • KCI등재

        학문분야별 평가인증제 도입과 운영에 관한 질적 사례 연구

        곽진숙(Jin-Sook Kwak) 한국교육평가학회 2011 교육평가연구 Vol.24 No.3

        본 연구는 공학과 경영학을 사례로 하여 학문분야별 평가인증제 도입과 운영을 분석하고 그 발전 과제를 논의한 연구다. 연구문제는 평가인증제의 도입 배경, 인증기준 결정 및 변경, 결과 및 효과, 발전 과제로 범주화하였다. 우선 도입 배경을 ‘교육에의 관심 촉구’, ‘professional school에 걸맞는 견고한 커리큘럼으로의 재편’, ‘self-regulation을 통한 교육의 질 관리와 구조조정’, ‘교육에 관한 systematic approach’로 나눠보았다. 인증기준 결정 및 변경과정은 공통적으로 ‘해외 인증기준의 벤치마킹과 한국형 인증기준의 수립’으로 요약되었다. 인증제의 결과 및 효과로는 ‘교육장면에서의 긴장감 요구’와 ‘지속적 수업 개선 유도’, ‘교수들 간의 의사소통 활성화 및 공동체 의식 증대’, ‘교육공동체로서의 협동 체제 구축’, ‘전문가로 단련시키고 훈련한다는 면에서 학생들에게도 의미 있음’을 들었다. 또한 특히 경영학에서는 교수 충원 유도를 통한 교육여건의 개선을 가져왔다. 향후 학문분야별 평가인증제의 발전 과제로는 먼저 대학 차원에서 ‘인증받은 대학교육 시스템이 살아있는 생명체와 같이 작동하고 움직여 나갈 수 있도록 활성화시키는 것’, ‘교육에 관한 관심과 평가 필요’, 다음으로 인증원 차원에서 ‘각각 평가자와 피평가자인 인증원 운영주체와 해당 학문분야 교육주체의 이분화 방지’, ‘인증기준 작성시 stage를 고려하고, 각 학문분야 교육주체의 의견수렴 절차를 적절하게 밟는 것’, 마지막으로 대학을 넘어선 사회적 차원에서 ‘산업계와 대학의 지속적 networking과 공생’으로 분류해 보았다. In this paper, we study the introduction and steering of Education Accreditation, concentrated on the cases of Engineering Education Accreditation and Business Education Accreditation, and discuss a few tasks for its improvement. The subjects of our research are categorized as the background of the introduction of Education Accreditation, Decision and transformation of the accreditation criteria, results and effects, and tasks for improvement. The background of the introduction are classified as ‘stimulating the interest in education’, ‘reorganization into a solid curriculum well-matched with professional school’, ‘management of the quality of education through self-regulation’, ‘systematic approach to education’. The procedure of decision and transformation of the accreditation criteria can be summarized commonly as the bench-marking of the foreign accreditation criteria. The results and effects are listed as ‘formation of the tension in the educational fields’, ‘requirement for continuous improvement of lectures’, ‘active communication of professors and community spirit’, ‘cooperation system as educational community’, ‘training of the students as specialists’. In particular, the Business Education Accreditation enabled the improvement of the educational condition by inducing supplement of professors. As for the tasks for further improvement, the following list is suggested. For the universities, ‘activation of the already accredited university education system’ and ‘interest and evaluation of education’, for the Association of Accreditation, ‘prevention of the dichotomy between the subject and the object of the accreditation’ and ‘consideration of the stages in framing the accreditation criteria by collecting opinions of education subjects of each discipline’, finally for the society level, ‘continuous networking and coexistence of the industrial society and the university’.

      • KCI등재

        산업계 관점의 대학교육에 대한 평가

        김혜숙(Hye-Sook Kim),곽진숙(Jin-Sook Kwak),이재열(Jae-Yeol Lee) 한국교육평가학회 2013 교육평가연구 Vol.26 No.1

        본 연구는 금속철강 사례를 중심으로 산업계 관점에서 대학 교육과정을 어떻게 평가하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산업계 전문가, 기업 부서장, 졸업생 등이 대학의 교육과정을 평가하도록 하였다. 이를 위해 대학 교육과정에 대한 산업계의 요구에 근거하여 일치도를 분석하고, 졸업생이 대학 교육과정에 대한 직무 수행 중요도 평가를 실시하였다. 또한 기업 부서장이 대학 교육과정의 성과인 각 대학의 졸업생의 역량을 직접 평가하도록 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산업계에서는 각 대학에 요구하는 교육과정은 교양 26.38%, 전공 41.33%가 개설된 것으로 나타났다. 졸업생의 교과목 중요도 평가 결과, 교양에서는 외국어를 제외하고 대부분의 교과에 대해서 별로 유용하지 않다고 평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부서장들은 졸업생의 직무 역량에 대해서 전문 직무역량(3.32)을 일반 직무역량(3.41)보다 낮게 평가 하였다. 특히, 부서장과 졸업생 주관식 응답에 대한 분석 결과, 각 주체가 대학 교육과정에 대해 요구하는 역량에 있어 상이한 것으로 나타나 향후 역량 중심의 대학 교육에 대한 평가 방안에 대한 구체적인 논의가 요구된다. 본 연구는 산업계 관점 대학평가 사례를 통해 대학교육에 관한 평가주체의 다양성과 그 평가결과의 차이를 인정할 필요성이 있음을 제시하였고, 향후 대학평가 분야가 탐구해 나갈 과제를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e paper is to investigate the evaluation of university education on the perspective of industry using a case of steel and metal engineering education. With analysis of the degree of the agreement based on the requirements of the industry, the paper covers the evaluation of the graduates on the applicability of the university curriculum and the evaluation of the chiefs in each company on the ability of the graduates which is the result of the university curriculum. We could conclude firstly that the curriculum suggested by the industry actually matched the university curriculum by 26.38% and 41.33% for liberal arts and major subjects respectively. The graduates did not highly rated that the university curriculum are important in doing their vocational duties except the foreign languages among the liberal arts. Secondly, the chiefs rated the professional competency (3.32) less than the general competency (3.41) for the graduates of each company. In particular, it turned out that the graduates and the chiefs have different degree on the requirements for vocational performance. This may suggest further detailed discussion on how to evaluate the university education centered at the competence. In this study, we pointed out the necessity on the evaluation considering the diversity of the evaluators and the evaluation results, and suggested several issues for the further study in the field of the university evaluation.

      • KCI등재

        형성평가의 재등장과 교육 평가적 시사

        박정(Chung Park) 한국교육평가학회 2013 교육평가연구 Vol.26 No.4

        본 논문은 최근 재등장하고 있는 형성평가 혹은 학습을 위한 평가를 교육현장에서 실천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것이다. 학생의 학습능력을 증가시키기 위해 교수-학습 과정에 필요한 평가를 하는 형성적 평가의 기능이 존재함에도 불구하고 현장에서 실천되기 어려운 이유 중 하나로 혼재되어 사용되고 있는 형성평가의 개념을 들고, 그 의미를 명료히 하여 교육현장에서 형성평가가 실천될 수 있는 방향성을 제시해 보려 하였다. 이를 위해 사용되고 있는 형성평가들의 기본 전제들과 활용에 따라 그 의미를 구분하였고 교육평가의 본래적 활용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Recently formative assessment or assessment for learning has been resurged in education. This paper is to reflect the ways for working formative assessment in educational practice. Even though there has been a formative function of educational assessment to improve student's achievement in teaching and learning process since Scriven(1967) first had been proposed a term of formative evaluation, it has been difficulties to be functioned actively in educational practice. One of the reasons would be vagueness and diversity of the meanings of formative assessment. Therefore this paper is to clarify the meanings of formative assessment in terms of classification of the concept of formative assessment. This paper can be seen as opening the discourse for a chance to reflect on the nature of what educational assessment for teaching and learning in classroom.

      • KCI등재

        대학교육역량 평가지표의 요인구조와 대학의 군집유형 분석

        서민원(Min-Won, Seo),배성근(Seong Geun, Bae) 한국교육평가학회 2012 교육평가연구 Vol.25 No.1

        이 연구의 목적은 대학교육역량을 평가하는 교육지표의 요인구조를 탐색하고, 요인부하량이 높은 대학 교육역량 지표를 활용하여 우리나라 대학들의 설립특성에 따라 교육역량이 어떻게 유형화될 수 있는가를 분석하는 것이다. 우리나라에서는 2008년도부터 2011년 현재까지 정책적으로 교육역량평가를 위한 핵심지표를 선정하여 순위를 산출하고 포뮬러에 의한 포괄적 재정배분을 해오고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방법으로는 첫째로 포뮬러에 적용하는 대학교육역량 평가지표가 대학교육의 질을 얼마나 잘 반영하고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고, 대학교육지표의 요인구조를 추출하였다. 둘째로, 요인분석을 통해 탐색한 각 구인(construct)별 지표(변인)중에서 요인부하량이 특히 높은 5개 변인을 추출하여 대학의 설립적 특성에 따라 대학들이 어떻게 유형화될 수 있는가를 군집분석을 통해 확인하였다. 9개 지표 중 대입전형 및 등록금 관련 정책유도지표와 국제화, 학사관리 및 교육과정운영 지표는 교육역량을 반영하는 지표로서는 요인부하량이 비교적 낮아 이들을 제외하고, 성과지표로서 취업률 및 재학생충원율 지표와 여건지표로서 전임교수확보율, 학생1인당교육비, 장학금지급률의 5개 교육역량지표를 분석에 포함하였다. 분석 결과, 국립대학의 경우에는 4개 군집으로 유형화가 가능하였으며, 사립대학의 경우에는 3개 군집으로 유형화 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교육대학의 경우에는 취업률과 전임교수확보율을 제외한 재학생충원율, 장학금지급률, 학생1인당교육비를 투입하여 분석한 결과, 4개의 군집으로 유형화가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 특히 대학의 특성에 따라 군집유형이 현저하게 달리 나타나는 특징을 보였으며, 특히, 사립대학교의 경우에는 총 144개 대학을 분석대상으로 하였음에도 불구하고, 3개 군집으로 유형화됨으로써 우리나라 사립대학들이 5개 지표상으로 볼 때 유사한 특성을 나타내고 있음을 시사해준다. The purpose of the research is to validate construct by factor analysis and seek for typology of university by cluster analysis of the educability variables in terms of educational indicator in Korea. Recently, Korean educational policy and law is rapidly changing for opening of educational information to public.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educational indicators of Korean four-year college and university was collected through the Korean educational information center. Now, some major indicators is now being used to evaluate educability of university by Ministry of Eucation, Science & Technology. The research shows these indicators is valid and significant to assess quality and educability of university.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the followings: First, the five indicators of the current education are valid for evaluating educability. Their factor loadings is high and statistically significant. Second, cluster analysis shows three to five clusters based on educational quality in terms of national and public universities, private universities, and teachers' colleges. In conclusion, the systematic validation of educational indicators as a measure should be implemented continuously and significant educational indicators investigated for overcoming and innovating the current educational problems.

      • KCI등재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와 PISA 2009(PRA와 DRA) 연계를 통한 우리나라 학생들의 읽기 성취 특성 분석

        옥현진,송미영 한국교육평가학회 2013 교육평가연구 Vol.26 No.5

        본 연구에서는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NAEA)와 OECD 국제 학업성취도 평가(PISA)의 연계를 통해 우리나라 학생들이 읽기 영역에서 보이는 성취 특성을 보다 입체적으로 분석함으로써 향후 읽기교육개선과 읽기교육 연구에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특히 PISA의 경우에는 인쇄매체 읽기 평가(PRA)와 디지털 읽기 평가(DRA)의 결과를 둘 다 활용하여 NAEA와의 관련성을 살핌으로써 매체 변화에 따른 국어과 읽기 교육과정의 변화의 필요성에 대해서도 점검해 보았다. 또한 이 연구에서는 NAEA와 PISA에서 우리나라 학생들이 보인 성취수준에 따라 두 개의 동질집단과 두 개의 이질집단을 구성하여 교육맥락변인과의 관계를 탐색적으로 살펴보았다. 각 평가 간에 대립적으로 작용하는 교육맥락변인들이 두드러지지는 않았으나, 이러한 결과는 서로 다른 평가 간의 연계를 통해 교육맥락변인이 읽기교육에 작용하는 방식을 보다 더 분명하게 밝힐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읽기 자료의 다양성 지수와 같이 평가에 따라 조금씩 다르게 작용하는 교육맥락변인도 있는 만큼 이러한 변인이 합의하는 바를 읽기교육에서 적극적으로 검토할 필요가 있으며, 후속 연구를 통해 이와 유사한 성격을 보이는 교육맥락변인들을 추가적으로 찾아낼 필요도 있다. This study aimed to provide an educational implication for reading education and reading research by linking the results of National Assessment for Educational Achievement(NAEA) and OECD PISA and then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students' achievements. Especially including two different reading assessments of PISA, Print Reading Assessment(PRA) and Digital Reading Assessment(DRA), this study tried to find the relationship among NAEA, PISA PRA and PISA DRA. This study also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educational backgrounds and students' achievement by composing two groups (two homeogenous groups and two heterogenous groups) according to their levels of achievement and comparing them each other. Even though remarkable variables were not found from this analysis, it could confirm that most of the important educational variables in reading education influence students' reading achievements similarly. Some educational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for further studies were discussed based on the analysis.

      • KCI등재

        토픽 모델링을 활용한「교육평가연구」학술지의 연구 동향 분석

        유예림,김지은 한국교육평가학회 2023 교육평가연구 Vol.36 No.3

        이 연구는 토픽 모델링을 활용하여 우리나라 교육측정․평가 분야의 연구 동향을 탐색하기 위한 것으로, 한국교육평가학회에서 발간하는「교육평가연구」학술지에 1993년부터 2022년까지 게재된 논문 총 969편의 국문 초록을 수집하여 키워드 빈도 분석과 LDA 토픽 모델링 분석을 시행하였다. 주요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 ‘문항’, ‘검사’, ‘모형’, ‘평가’, ‘추정’, ‘학업성취도’, ‘능력’ 등의 키워드가 중요하게 언급되었으며 주요 키워드는 10년 단위로 변화하였다. 둘째, 주요 연구 주제로는 총 12개 토픽이 등장하였고 논문 수에 따라 ① 문항반응이론 모형, ② 측정도구 개발 및 타당화, ③ 학업성취도 영향 요인 분석, ④ 프로그램평가 및 수행평가, ⑤ 채점자 효과 및 피험자 분류, ⑥ 검사 동등화, ⑦ 교사 및 학생평가, ⑧ 모형 비교, ⑨ 대학 입학 시험, ⑩ 집단간 차이 분석, ⑪ 종단 자료 분석, ⑫ 컴퓨터 활용 검사의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12개 토픽의 비율은 시간에 따라 변화하였다. 특히 학업성취도 영향요인 분석, 문항반응이론 모형, 교사 및 학생평가의 경우 증가 추세를, 컴퓨터 활용 검사, 대학 입학 시험, 프로그램평가 및 수행평가의 경우 감소 추세를 보였다. 끝으로「교육평가연구」학술지를 통해 드러난 우리나라 교육측정․평가 분야 연구 동향의 특징을 분석하고 향후 과제를 논의하였다. This study aims to explore research trends in educational measurement and evaluation by applying text-mining and analyzing the abstract of 969 articles published in the Journal of Educational Evaluation from 1993 to 2022, published by the Korean Society for Educational Evaluation. The main findings from keyword frequency analysis and topic modeling analysis based on LDA algorithm are as follows. First, keywords such as ‘student,’ ‘question,’ ‘test,’ ‘model,’ ‘evaluation,’ ‘estimation,’ ‘academic achievement,’ and ‘ability’ were generally mentioned as necessary in abstracts from the journal, and the main keywords changed over time. Second, a total of 12 topics appeared, including ‘the Item Response Theory model’,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measurement tools’, ‘analysis of the factors influencing academic achievement’, ‘program evaluation and performance assessment’ and so on. Third, the ratio of the 12 topics that represent research trends changed with time. Especially, the topics of ‘analysis of factors influencing academic achievement’, ‘the Item Response Theory model’, and ‘teacher evaluation and student assessment’ had an increasing trend. In contrast, the topics of ‘computer-based evaluation’, ‘college entrance exam’, and ‘program evaluation and performance assessment’ had a decreasing trend. Lastly, the traits of research trends in the South Korean educational measurement and evaluation shown in the Journal of Education Evaluation were analyzed and future development and improvement tasks were discussed.

      • KCI등재

        「교육평가」 수업 사례 분석

        권순달 한국교육평가학회 2019 교육평가연구 Vol.32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and improve instruction of the subject 「educational evaluation」. For this purpose, the researcher conducted 「educational evaluation」 classes for 3 semesters at E University and analyzed the results of students' achievement and lecture evaluations. During the three semesters, the textbook, lecture plan, achievement test, and lecture evaluation items were the same. He got the feedback on the results of the first semester lecture, and lectured more easily in the second semester lecture with many examples.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students' achievement improved as the semester progressed. Students with low achievement(grade B) in the first semester showed a low score in the lecture but in the second semester it was very high.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scores of students with high credit scores (grade A) and significant differences those of low students(grade B).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instructor needs to analyze the results of the lecture evaluation according to the achievement level of the students and to make the class appropriate to the level of the students. 본 연구는 교직이론 과목인「교육평가」수업을 사례 분석하여 개선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연구자가 E사범대학 및 교직과정 학생들을 대상으로 3학기 동안 직접「교육평가」수업을 실시하고, 학생들의 성취도 및 강의 평가 결과를 분석하였다. 3학기 동안 교재, 강의계획서, 성취도 검사지, 강의 평가 문항이 동일하였다. 1학기 강의 평가 결과를 반영하여 2학기 강의에서 예를 많이 들어 보다 쉽게 강의를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 학기가 거듭될수록 학생들의 성취도가 향상되었다. 1학기에서 성취도가 낮은(B학점) 학생들의 강의 평가 점수가 낮게 나타났으나, 2학기에서는 매우 높아졌다. 강의 평가 점수 1, 2학기별 비교에서 성취도가 높은(A학점) 학생들의 점수는 차이가 없었으나, 낮은(B학점) 학생들의 점수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수업자는 학생들의 성취 수준에 따른 강의 평가 결과를 분석하여 학생들의 수준에 맞는 수업을 실시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 KCI등재

        텍스트 분석을 활용한 맞춤형 학업성취도 자율평가 관련 언론보도 분석

        노혜림(Hye Rim Noh),이현숙(Hyun Sook Yi) 한국교육평가학회 2023 교육평가연구 Vol.36 No.1

        본 연구의 목적은 맞춤형 학업성취도 자율평가에 대한 이해당사자 및 대중의 인식을 분석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맞춤형 학업성취도 자율평가 관련 뉴스에 대해 LDA 토픽분석을 진행하였으며, 단어 간의 관계를 통해 평가 자체에 대한 인식과 이해당사자별 인식을 확인하고자 의미연결망 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뉴스기사에 포함된 댓글에 대해 주제어 빈도분석을 수행하였다. 토픽분석 결과, (1) 맞춤형 학업성취도 자율평가 확대에 대한 시·도교육감들의 상반된 반응, (2) 자율평가의 참여 유도로 인한 교육청과 교원단체 간의 갈등, (3) 기초학력 보장 종합계획 시행, (4) 학력 신장을 위한 보수성향 교육감의 평가 확대, (5) 맞춤형 학업성취도 자율평가 대상 확대, (6) 2021년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결과, (7) 맞춤형 학업성취도 자율평가 시행과 사교육 총 7개 토픽이 도출되었으며, 댓글 분석에서는 자율평가 시행의 필요성 및 이에 대한 우려가 주로 등장하였다. 의미연결망 분석 결과, 자율평가를 통해 서열화와 사교육이 증가할 것이라는 주장과 일제고사 형식의 평가는 지양하지만 자율평가 도입을 통한 학력 진단은 필요하다는 견해가 제시되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를 통해 살펴본 이해당사자 및 대중의 인식을 바탕으로, 맞춤형학업성취도 자율평가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erception of stakeholders and the public on the Customized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 (CAEA) proposed to ensure the basic level of academic performance of students in South Korea. For this purpose, news articles and online comments were collected from major newspapers and broadcasting stations using web-crawling method. The LDA topic modeling and semantic network analysis were carried out for the news articles, while keyword frequency analysis were carried out for the news articles and comments. Seven topics were extracted from the LDA analysis: (1) conflicting responses from superintendents for expansion of the CAEA, (2) conflicts between the Office of Education and teacher organizations over participation in the CAEA, (3) implementation of the comprehensive plan to ensure that every student meets the basic level of academic standards, (4) expansion of the CAEA for improving academic performance by conservative superintendents, (5) expansion of CAEA’s target grades, (6) the 2021 National Level Academic Achievement Assessment result, and (7) implementation of the CAEA and private education. In addition, the need for the national or state-level customized assessment and concerns about polarization in education associated with mandatory administration were found in the analysis of comments on news articles. Finally, based on the perceptions of stakeholders and the public explored through this study, implications for the educationally-sound applications of the CAEA were discussed.

      • KCI등재

        학교교육의 책무성 제고를 위한 학교평가지수 산출모형 비교: 학업성취도를 중심으로

        강상진(Sang-Jin Kang),차인숙(In-Sook Cha),김성연(Sung-Yeon Kim) 한국교육평가학회 2009 교육평가연구 Vol.22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four generic types of accountability models(i.e., status model, growth model, value-added unconditional model, value-added conditional model) in terms of “consistency”, “fairness”, and “feasibility” by analyzing the data from the Korean Educational Longitudinal Study of 2005~2007 which is a national sample of 6,908 students and 150 middle schools. The results show that (1)the four models reached inconsistent evaluation for each of the schools, but value-added conditional and unconditional model produced highly close evaluation indices, and(2) the school indices produced by the value-added model showed the lowest correlation with student background variables. Based on the results, this study concludes that the value-added unconditional model is a credible and feasible model that can be used to identify effective and ineffective schools. 이 연구는 학교교육 책무성 모형에서 학업성취도를 준거로 사용하는 다양한 학교평가지수 산출모형을 경험적 관점에서 비교한 것이다. 학교평가지수를 산출하는 모형인 지위모형, 성장모형, 부가가치 기초 및 연구모형을 수리모형, 적용방법, 모형 간 합치도, 모형적용의 용이성과 평가의 공정성 측면에서 비교 분석하였으며, 한국교육종단연구(한국교육개발원, 2005-2007)자료를 사용하였다. 분석결과 학교평가지수는 모형에 따라 상이(相異)하게 산출되어 지수간 합치도가 낮았다, 따라서 어떤 모형을 적용하는가에 따라 학교평가결과가 크게 달라질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평가의 공정성 측면에서 부가가치 연구모형이 산출한 학교평가지수는 학생의 배경변수와 가장 상관이 낮았으며, 부가가치 기초모형과 유사한 결과를 보였다. 또한 학교평가지수의 학교간 서열 순위에서도 두 모형 간에 거의 일치하는 결과를 보여주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