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태변흡입증후군 생존 환아에서 발생하는 하기도질환의 양상 및 위험 인자
김광희,김단비,윤영아,이주영,김환수 대한 소아알레르기 호흡기학회 2022 Allergy Asthma & Respiratory Disease Vol.10 No.4
Purpose: Meconium aspiration syndrome (MAS) occurs when aspiration of meconium itself or meconium-stained amniotic fluid enters into the airways. The relationship between MAS and how they affect the respiratory outcome after recovery from MAS remains unknow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type of lower respiratory tract illness (LRTI) in those surviving MAS survivors and to find out whether any clinical findings or treatment determine the type of LRTI. Methods: We used the Catholic Medical Center’s clinical data warehouse to review data from 4 university hospitals. We first included 1,331 newborns born between March 2016 and February 2021 with diagnostic codes including labor and delivery complicated by fetal stress (distress), intrauterine hypoxia, and neonatal aspiration syndromes. We finally included 239 patients who visited the out-patient clinic with diagnosis of pneumonia, acute bronchitis, acute bronchiolitis, and asthma, according to the Korean Standard Classification of Diseases. Results: We observed a significantly higher number and fraction of eosinophils at birth in the bronchitis group. We also found significantly lower levels of white blood cells in the asthma group. After a regression analysis, we found that mechanical ventilation and steroid usage for treatment for of MAS was significantly related to bronchitis, and that antibiotics treatment acted as a protective factor for bronchiolitis. Conclusion: Laboratory findings and treatment at birth in infants with MAS appear to have impact on determining LRTI in those who survived MAS.
김광희 국어학회 2011 국어학 Vol.60 No.-
국어 대용 표현의 연구는 대명사 체계를 세우고 이를 다듬어내는 과제와 더불어 결속이론을 도입하고 국어의 매개변인화를 검토하는 방향으로 진행되어 왔다. 이 글에서는 국어 대용 표현 연구를 통사론적 시각에서 조명함으로써 대용체언과 대용용언 그리고 생략과 영대용화에 대한 그간의 주요 논점들을 소략하게나마 살펴보았다. 또한 대용은 그 자체로도 흥미로운 문법 현상이지만 이를 활용하면 구문 분석의 중요한 도구로 활용될 수 있음을 보조동사문, 사동구성과 부정구성, 병렬문, 접속문 등의 분석을 통해 확인하였다. 대용 표현에 대한 연구가 현재는 다소 소강상태에 머물고 있는 듯이 보이지만 앞으로 통합통사론 내지 통합문법론의 방향에서 대명사와 재귀사의 핵자질 설정, 공범주의 통합 기술, 비변형적 통제이론, 대용어 장거리 결속 등이 더 깊이 탐구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