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탐구기반 과학수업 프로파일의 분석: PISA 2015 한국과 싱가포르 비교

        손원숙,박정 이화여자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2017 교과교육학연구 Vol.21 No.6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patterns of inquiry-based science teaching and learning practices using PISA 2015 data. Also its relationships with students' affective variables such as enjoyment of science, science selfefficacy and science activities were also explored. The participants consisted of a total of 10,808 students (49% females) sampled from two countries (Korea and Singapore). Latent profile analyses were conducted based on five facets of inquiry based science teaching and learning, which resulted in revealing four different patterns. In the fully activated group (16%), students reported that all of inquiry based teaching and learning occurred frequently in their science lessons. The second pattern was labelled as the partially activated group (11%) since only some of the facets of inquiry-based teaching and learning were implemented in science lessons to a very limited degree. In the third pattern (called average group (51%)), students experienced all of the facets on average. The last pattern was labelled as the limited activation group (22%) since it hardly provided students with opportunities to experience inquiry-based teaching and learning in their science lessons. Also it was found that these patterns provided different opportunities for students to develop their affective achievement such as science enjoyment, self-efficacy and activities. The fully activated group had the highest level of affective achievement while the limited activation group had the lowest one. Finally, the results of Korea and Singapore were compared and the implications for both science instruction and assessment in the classroom were discussed. 본 연구에서는 탐구기반 과학수업(inquiry-based science teaching and learning) 프로파일을 도출하고, 각 프로파일에 속 한 학생들의 정의적 성취 양상을 비교하고자 한다. 연구대상으로는 PISA 2015에 참여한 한국(5,127명)과 싱가포르(5,681명) 의 만 15세 학생을 포함하였다. 탐구기반 과학 수업 유형 도출을 위하여 탐구기반 수업(Duschl, 2003; Furtak & Seidel, 2008) 은 상호작용, 핸즈온, 학생연구 및 실생활 적용 등 교수학습 활동의 하위 국면에 기반 하여 정의하였다. 분석 결과, 4개의 탐 구기반 과학 수업 프로파일이 도출되었는데, 구체적으로 과학수업에서 탐구기반 수업의 활성화 정도에 따라 ‘고활성화(full activation)(16%)’, ‘평균형(average)(51%)’, ‘저활성화(limited activation)(22%)’ 유형이 분석되었다. 이와 더불어 탐구기반 수업 의 활성화 정도가 일부 유형에서만 높고 나머지 유형에서는 낮은 ‘차별적(partial)(11%)’ 유형도 추가되었다. 프로파일별 분포 는 국가 간 차이를 보였는데, ‘저활성화’ 및 ‘차별적’ 유형은 한국에서, ‘평균형’ 및 ‘고활성화’ 유형은 싱가포르에서 높게 분 포 되었다. 한편 탐구기반 수업 유형은 학생들의 정의적 성취와 차별적인 관련성을 보였는데, 즉 정의적 성취는 고활성화 집 단에서 가장 높고, 저활성화 집단에서 가장 낮은 경향이 나타났다. 또한 이러한 관련성 양상에 있어서 국가 간 차이도 관찰 되었는데 특히 한국의 차별적 집단이 가장 특징적인 양상을 보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국내 과학수업 개선 을 위한 교육적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학교 향상도 유형에 따른 일반계 고등학교의 학교 특성 분석

        손원숙,김경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3 교육과정평가연구 Vol.16 No.2

        본 연구에서는 ‘교육관련기관의 정보공개에 관한 특례법 시행령’에 의하여 2011년에 첫 공시된 ‘학교 향상도’ 지수에 기반하여, 우리나라 일반계 고등학교의 학력향상 유형을 탐색하고, 각 유형별 학교 특성 차이를 파악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2011년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고2 자료가 사용되었고, 학력향상을 유형화하기 위하여 국어, 영어, 및 수학 등 3개 교과의 학교 향상도 지표, 해당 학교의 ‘기초수급대상자 비율’ 및 ‘성취도’를 고려하였다. 먼저 학교를 유형화하기 위한 방법론으로는 잠재 프로파일 분석이 적용되었고, 도출된 학교 유형별 특성을 탐색하기 위하여 학교 교육의 외적인 특성과 학생 특성을 포함한 내적인 특성 등으로 구분하여 그 차이를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첫째, 우리나라 일반계 고등학교의 학력향상 유형은 향상도 크기 면에서 가장 높은 집단부터 가장 낮은 집단 등 총 5가지로 구분되었고, 최고 향상도를 보인 학교유형은 가장 낮은 학교 SES 수준을 갖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평균적인 성취도와 가장 높은 학력향상의 특징이 나타났다. 또한, 학교 향상도 유형별 학교 특성 차이를 분석한 결과, 학교 교육의 외적인 특성 중에서 설립유형, 시 · 도교육청 및 지역규모 변인, 내적인 특성 중에서는 ‘학력향상 중점학교’ 시행 여부 및 학습부진지도유형, 교사 풍토 등에서 차이를 나타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에서 파악된 학력향상 유형별 학교 특성을 토대로 ‘효과적인 학교’가 되기 위한 학교의 노력 및 학교별 맞춤형 지원 정책 방안의 필요성에 대한 논의를 추가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relationships between school characteristics, such as school context, student affective characteristics, and school practice, and school progress based on their achievement. Data of general high school collected from NAEA 2011 were used, and latent profile analysis was utilized to explore types of schools with different profiles in terms of School Progress Indexes for Korean, Math and English subjects. The study revealed that there were five profiles of school progress representing differences in their school progress level, school SES, and achievement level. The type of schools with the highest degree of school progress showed average level of achievement despite of the lowest level of school SES. The school characteristics associated with profiles of school progress were found as school funding type, school district, and region size, which measured aspects of school context. Also the school characteristics related to school practice such as the educational policy called ‘performance-focused school’, types of programs for low performers, and teacher climate also affected the degree of school progress. Finally the necessity of education policy considering individual school characteristics and the further search for school characteristics making a difference for effective school were discussed.

      • KCI우수등재

        심리측정에서 비극단 응답양식의 효과: 다집단 잠재계층 요인분석의 적용

        손원숙 한국교육학회 2016 敎育學硏究 Vol.54 No.1

        The present research used a multi-group latent class factor analysis(MLCFA) to measure response style and measurement equivalence across gender and school-level(age) groups. In addition, this study focused on the extent to which response style leads to measurement inequivalence when comparing a psychological construct across subgroups. Analyses were based on five items measuring self-concept for a sample of 13,232 participants selected from the database of Seoul Education Longitudinal Survey(SELS) 2012. Results indicated that the two factor model with both self-concept and response style factors showed better model-data fit and mild response style(MLRS) which is the complement of ERS was identified in answering likert-type items on self-concept. Females or middle school students(7th graders) tended to avoid extreme responding more than males or primary school students did that supported the results of previous research based on Korean data. Also the impact of controlling for MLRS on measurement equivalence across gender and school-level groups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but controlling for it yielded more equivalent measurements. This finding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correcting for response style in large-scale assessment research and the usefulness of multi-group LCFA in both analyzing measurement equivalence and response style. 본 연구에서는 다집단 잠재계층 요인분석(Multi-group Latent-Class Factor Analysis : MLCFA)(Vermunt & Magidson, 2005)을 통하여 심리측정 도구에서 발생하는 응답편파 경향을 탐색하고, 응답편파가 집단 간 측정동등성에 미치는 효과를 경험적으로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서울교육정보원에서 주관하는 2012년 서울교육종단연구 자료(SELS 2012)의 학생 설문지 중 자아개념 척도 5개 문항을 사용하였고, 학교급(초, 중, 고) 및 성별(남, 여)에 따른 집단 간 응답편파의 차이 및 측정동등성을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 자아개념 측정에서는 극단응답 범주보다는 ‘보통이다(3점)’를 포함해 비극단 응답 범주를 선호하는 응답편파 유형인 ‘비극단 응답양식(Mild Response Style : MLRS)’이 탐색되었다. 대체로 여학생 또는 중학생이 높은 MLRS 경향을 보였고, 반대로 남학생 또는 초등학생은 극단반응을 선호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또한 MLRS의 요인의 통제는 후속되는 하위 집단 간 측정동등성 모형의 적합도를 향상시키고, 하위집단 간 요인계수 및 문항절편의 차이를 감소시킴으로써 MLRS는 자아개념의 측정 비동등성에 어느 정도 기여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심리척도의 하위집단 간 측정동등성 평가뿐 아니라, 측정 비동등성을 유발하는 응답편파를 동시에 탐색할 수 있는 방안으로 MLCFA의 유용성을 제안하였고, 다문화 집단, 교육수준 및 학습기회의 차이 등과 같은 다양한 하위집단을 대상으로 한 후속 연구의 필요성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초·중학교 교실평가 실제와 학생의 정의 및 인지적 성취 간의 관계 : TIMSS 2011 한국, 싱가포르 및 핀란드

        손원숙,신이나,배주현 한국교육평가학회 2014 교육평가연구 Vol.27 No.5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classroom assessment practices and fourth- and eighth-graders' math achievement, math confidence, and enjoyment by comparing Korea, Singapore and Finland using TIMSS 2011 data. The results showed that student affective characteristics such as math confidence and enjoyment are partially related to math achievement across the three countries and two grades(4th and 8th). However, teachers' classroom assessment practices are related to student math achievement differently across the three countries and the two grades. Also the role of classroom assessment suggested by Brookhart's model(Brookhart, 1997) was not fully supported that almost all practices didn't interact with student affective characteristics among the three countries. The comparative study provided a description of the unique role of assessment practices in math achievement for Korea, Singapore and Finland. Implications of the study and recommenda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discussed. 본 연구의 목적은 초·중학교 교사의 교실평가 실제와 학생의 정의 및 인지적 성취 간 관계를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TIMSS 2011의 성취도 상위국가에 해당하는 한국, 싱가포르 및 핀란드의 초4 및 중2 수학교사 및 학생 자료를 분석하였고, 분석방법으로는 위계적 선형모형을 적용하였다. 본 연구 결과, 첫째, 국가별로 교사 수준의 수학 성취도 분산은 초4와 중2 모두 싱가포르에서 가장 컸고, 초4에서는 한국, 중2에서는 핀란드에서 가장 작게 나타났다. 둘째, 수학교사의 평가실제는 학생의 수학성취도에는 부분적으로 유의한 직접 효과를 미쳤고, 또한 평가실제와 수학흥미 및 자신감과의 혼합 효과는 부분적으로 지지되었다. 초4의 경우에는 숙제 빈도 및 피드백 제공방식에 따라서 국가별로 차별적인 효과를 나타냈으며, 평가유형별로는 3개국 모두에서 외부평가에 중점을 두는 교사일수록, 해당 학생의 수학성취도가 높은 경향을 보였다. 한편 중2의 경우에는 숙제 및 평가 빈도는 한국을 제외하고, 학생의 수학성취도와 정적 또는 부적 효과를 보였고, 숙제피드백 및 평가문항의 유형이 성취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효과를 나타냈다. 마지막으로 우리나라 교실평가 실제 현황에 대한 진단의 필요성과 추후 학생들의 학습 개선을 위한 교실평가의 정책 제언을 추가하였다.

      • KCI등재
      • KCI등재

        학업성취도 검사의 차원성 검증: DIMTEST와 HAC 프로그램 적용

        손원숙 한국교육평가학회 2003 교육평가연구 Vol.16 No.2

        본 연구에서는 본질적인 일차원성(essential unidimensionality)을 검증하는 DIMTEST(Stout, 1987) 프로그램을 실제 자료인 한 수학 학업성취도 검사에 적용시켜 보았다. 이 검사의 차원 구조(dimensional structure)를 평가하기 위하여 일종의 확인적인 방법인 DIMTEST와 더불어서 탐색적인 방법인 위계적 군집분석(HACXRoussos, 1995, 1997)을 상호 보완적으로 사용하였다. HAC과 DIMTEST 분석 결과, 선다형 문항은 2개의 차원으로 구분되어졌고, 선다형과 구성형 문항은 차원상 서로 구별되는 것으로, 두 문항 유형간 구인 동등성은 검증되지 않았다. 이는 두 문항 유형은 각 문항을 응답하는 과정이나 기술 등에 있어서 서로 다르다는 일부 선행 연구 결과를 지지하였다. 마지막으로 차원성을 평가하는 데 있어서, HAC과 DIMTEST의 활용 방안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This study applied two Statistical techniques for assessing dimensionality of a mathematics achievement data set: DIMTEST(Stout, 1987, 1990) and Hierarchical Agglomerative Clustering (HAC) technique (Roussos, 1995, 1997). Specifically, this study determined the dimensionality of the . multiple choice items and then the relationship of multiple~choice (MC) and constructed response (CR) items contained on the math test. Results showed (a) the MC items showed two distinct dimensions, and (b) the CR items were dimensionally distinct from the MC items. This finding seems to support that the item types invokes different processes involved in responding to the items. Finally, the paper discussed how to use DIMTEST and HAC techniques for assessing dimensionality.

      • KCI등재

        여고생이 지각한 어머니와 교사의 자율성지지와 학업성취도 간의 관계: 학습동기와 학습전략의 매개효과

        손원숙,배주현 한국여성심리학회 2014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Vol.19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structural relationships of perceived mothers' or teachers' autonomy support, learning motivation and learning strategy with academic achievement. Specifically, we examined the mediating effects of learning motivation and strategy between perceived mothers' or teachers' autonomy support and academic achievement.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398 female students(10th graders) sampled from one high school located in S city. By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e compared three research models hypothesized based on previous studies and theories. The results showed that mothers' autonomy support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on students' intrinsic or extrinsic motivation in either positive or negative ways, while teachers' autonomy support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only on students' extrinsic motivation in addition to students' learning strategy. Second, students' learning motivation had significant effects on their learning strategy in that their intrinsic motivation had positive effects while their extrinsic motivation had negative effects. Third, mothers' autonomy support had significant indirect effects on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mediating by both learning motivation and learning strategy. On the other hand, teachers' autonomy support had significant indirect effects on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mediating by both extrinsic motivation and learning strategy or only by learning strategy. The size of indirect effects related to students' extrinsic motivation was relatively larger than that of their intrinsic motivation. Results suggest the importance of mothers’ and teachers' autonomy support, students's motivation and strategy in improving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Finally, the necessity of developing a general achievement model including non-cognitive achievement in addition to cognitive achievement was discussed.

      • 차별문항기능 기법의 응용: 교육 및 심리검사의 번안과정에서

        손원숙 한국조사연구학회 2002 춘계학술대회 발표논문집 Vol.2002 No.-

        이 연구의 주된 목적은 외국의 교육 및 심리검사를 번안하여 사용하는 경우, 번안된 검사와 原 검사간의 평형성 (equivalence)을 경험적으로 측정하기 위하여 차별문항기능기법을 응용하는 것이다. 즉, 평형성이라는 것은 타당한 그룹비교를 위한 하나의 전제조건으로서 이런 평형성이 확립되지 않은 채 번안된 검사들의 무분별한 사용은 바람직하지 않다. 서로 다른 접근법을 가지고 있는 두 개의 차별문항기능기법, 로지스틱 판별분석과 SIBTEST가 상호보완적인 목적으로 이용되었고, 최선의 대응변수를 모색하려는 시도로서 다변량 대응기법과 순환적인 정화기법이 사용하였다.5개의 하위척도를 가진 외향성 척도 중 3개의 척도에서는 적은 수의 차별기능문항을 발견하였으나, 나머지 2개의 척도에서는 반 이상의 문항에서 차별기능을 추출하였다 마지막으로, 대응변수의 선택에 대한 문제들이 논의되고 있다.

      • 성격요인검사의 문화 타당도 연구

        손원숙 한국조사연구학회 2002 조사연구 Vol.3 No.2

        High fidelity translations of measurement instruments from one language to another are required for meaningful comparisons between cultures. A differential item functioning technique, PSIBTEST was used to assess the degree to which a personality test provided cross-cultural validity across U.S. and Korea. The Sixteen Personality Factor (16PF) questionnaire was administered in English to 844 American college students and in Korean to 538 Korean college students. Results of PSIBTEST classified 23 out of 51 items as significantly biased. Implications of this procedure for translation evaluation are discussed. 이 연구의 주된 목적은 성격요인검사의 문화간 타당도를 문항수준에서 평가해 보고자 하는 것이다. 차별기능문항분석법 중 Shealy와 Stout(1993)가 개발한 SIBTEST 프로그램을 이용하여서 두 문화집단, 즉 한국과 미국간에 차별적으로 기능하고 있는 성격요인검사 문항을 밝혀냄으로써, 각 문항이 한국과 미국집단에서 동일한 내용을 측정하고 있는지 경험적으로 평가해 보았다. SIBTEST의 결과에 따르면, 5개의 하위척도를 가진 외향성 척도 중 총 45%의 문항이 두 문화집단에서 차별적으로 기능하고 있음이 밝혀졌다. 따라서 이 검사 점수를 이용하여 집단간 타당한 비교는 어려울 것이며, 일부문항에서 점수 동등성이 보장되지 못한 원인에 대한 후속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차별기능문항기법의 적용에 관한 방법론적인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