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여자프로선수의 프로페셔널이미지, 미디어노출, 외모관리행동과 경기력의 관계

        김연,차은주,김영재 한국스포츠사회학회 2015 한국스포츠사회학회지 Vol.28 No.2

        Nowadays, female sports player’s physical appearance has become a crucial means for them toenhance athletic performance as well as displaying physical shapes or looks that make fans gocrazy. In this regard, female sports players try to improve their appearance. In order to carry outthis study, Atheletes from 6 Korea Women's Basketball League that was registered in 2014 and 6Korea women's volleyball team players altogether 176 people participated in the study. Focus ongroup interview which was carried out from June to August, 2014, and collected data of 159respondents which was analyzed by using SPSS 21.0 program, except some problematic responses. Study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female pro player’s professional image, media exposureperception and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had effects on athletic performance. Second,regarding the effect of female pro player’s professional image, media exposure and appearancemanagement on athletic performance, such media exposure perception and appearance managementbehavior as the management of hair and skin had significant effects on individual athleticperformance. As the study shows that media exposure perception and appearance of ProfessionalWomen Athletes, especially management of their hair and skin care appeared to affect the individualperformances a lot. A lot of professional women athletes wants to be remembered as a player thathas a great skills combine with their pretty looks. If women's beauty pageant with a good exerciserather than exercise could well mean that a more positive impact on the performances. In short, ifplayers manage their appearance at a moderate level, they will improve in athletic performance. 본 연구는 여자프로선수들의 경기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프로페셔널이미지 인식과 미디어노출에따른 외모관리행동의 관련성을 규명하기 위하여 설문지를 이용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 분석대상은2014년 현재 한국여자농구연맹에 등록된 6개 여자프로농구팀 및 한국프로배구연맹에 등록된 6개 여자프로배구팀소속 선수 176명을 으로 하였으며 설문조사를 통해 회수된 설문지 중 이중기입 및 미기입을제외한 159부의 정리와 분석은 SPSS 21.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된 연구결과 첫째, 여자프로선수의 팀 경기력에 프로페셔널이미지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여자프로선수의미디어노출 인식과 외모관리 중 특히 헤어 및 피부관리가 개인 경기력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자프로선수들은 프로페셔널한 선수가 되기 위하여 많은 준비를 하고 있으며, 운동실력뿐만 아니라 예쁜 외모까지 겸비한 선수로 기억되고 싶어 한다. 예뻐서 운동을 잘 하는 것이 아닌 운동을 잘하면서 예쁘면 경기력에 더욱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의미이다. 이처럼 외모중시 현상이 운동선수들에게까지 나타나고 있으나, 이는 외모관리가 경기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기 때문에 좋은 경기력을 위해서과하지 않은 외모관리가 필요하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으며, 이러한 요인들을 잘 관리하고 활용한다면경기력을 향상 시키는데 도움을 줄 것이다.

      • KCI등재

        프로농구선수의 연봉 보완도구로서 상금보상보험에 관한 연구

        박성희 ( Seong Hee Park ),강준호 ( Joon Ho Kang ) 한국스포츠정책과학원(구 한국스포츠개발원) 2005 체육과학연구 Vol.16 No.2

        본 연구의 목적은 프로농구선수의 연봉 보완도구로서 상금보상보험의 가능성과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연구자는 프로농구선수 5명과 프로농구구단의 연봉계약 담당자 3명, 보험회사 담당자 2명을 연구 참가자로 선정하여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심층면담, 관련 문헌 분석, 녹취 및 비디오 녹화 등으로 자료를 수집하고 이를 전사 및 코딩하는 과정을 거쳐 귀납적 범주 분석을 실시하는 질적 연구방법이 사용되었다. 또한, 타당성과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연구 참여자의 내용 검토, 관련 전문가의 협의 과정 및 다각도 분석법도 함께 시행되었다. 도출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현행 연봉계약에 대해 프로농구선수들이 인식하고 있는 문제점으로는 샐러리 캡 제도와 최저연봉제 및 실력에 맞는 대우를 받지 못하는 현행 프로농구상황을 들 수 있으며, 이에 대한 대안으로는 샐러리 캡의 확대와 수련생 제도의 활성화 및 옵션 계약의 양성화 등이 제시되었다. 둘째, 상금보상보험에 대해 프로농구선수들이 인식하는 순기능으로는 동기 부여와 철저한 자기관리가 강조되었으며, 역기능으로는 개인중심의 플레이와 팀플레이 상실의 우려 및 보험의 사행성 등이 지적되었다. 셋째, 연봉계약에 대해 프로농구구단이 인식하고 있는 문제점으로는 높은 선수 연봉, FA제도, 샐러리 캡 및 시장의 성숙도 등이 지적되었으며, 이의 대안으로는 FA제도의 수정과 샐러리 캡 한도의 증가 및 옵션계약의 양성화 등이 제시되었다. 넷째, 상금보상보험에 대해 프로농구구단이 인식하고 있는 순기능으로는 동기 부여와 구단의 경제적 부담감 감소가 제시되었으며, 역기능으로는 보험료지불 주체의 문제와 가입 조건 및 개인플레이가 지적되었다. 다섯째, 상금보상보험에 대해 보험 회사가 인식하고 있는 순기능으로는 신규 수익 채널의 확보와 이미 검증된 상품의 안정성이 인정되는 반면, 역기능으로는 보험료 수준과 보험가입 조건 등, 보험 회사가 감수해야 할 위험들이 지적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sporting prize indemnity insurance as a complementary salary tool for professional basketball players. The main subjects of this study were five professional basketball players. Three salary contractors and two insurance company underwriters were also chosen as additional subjects. The methods used to collect data from the subject were in-dept interviews, documents related to the research participants, sound recording, and video recording. The data were analyzed through inductive categorical analysis. To obtain the trustworthiness of this research, member checks, expert discussions and triangulation method were adapted. On the basis of the results,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drawn from the research. First, the salary cap system, the minimum wage system, and inappropriate salary for the player`s ability were the problems of the current salary contract perceived by professional basketball players. The alternatives to these problems suggested by the players are to enlarge the salary cap system, to activate a novice system and to officially introduce the option contract. Second, the positive functions of sporting prize indemnity insurance perceived by professional basketball players are to motivate players and to make players look after themselves more. The negative functions of sporting prize indemnity insurance perceived by the players are to deal with the speculative attribute of insurance and to prevent players` self-centered plays to receive insurance money. Third, the problems on the current salary contract perceived by professional basketball teams are the high salary, the free agent(F.A) system, and the immaturity of the market. The alternatives to these problems suggested by the teams are to revise free agent(F.A) system, to enlarge salary cap system and to officially introduce the option contract. Fourth, the positive functions of sporting prize indemnity insurance perceived by professional basketball teams are to motivate players and to reduce financial burden of the teams. The negative functions of sporting prize indemnity insurance recognized by the teams are to decide who pays the premium and the conditions for insuring and to prevent player`s self-centered plays, which had a negative influence on teamwork. Fifth, insurance companies perceived developing and obtaining a new profitable and successful product as the positive function of sporting prize indemnity insurance. The negative functions of sporting prize indemnity insurance recognized by the insurance companies are to determine the conditions for insuring and to decide the appropriate premium.

      • KCI등재

        프로스포츠 선수의 급여체계 개선방안- MLB 및 NBA의 연봉 관련 법제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

        김범준 한국스포츠엔터테인먼트법학회 2017 스포츠와 법 Vol.20 No.4

        Compensation is an important component of players’ welfare. The different compensation structures and systems in the leagues can influence players’ decisions about their physical and mental health, for example, when to play through injury and when to retire. In addition, without adequate financial returns, players may find themselves insufficiently prepared to meet their physical and mental health needs, especially in the event of crisis and this can lead to a vicious cycle. That is, poor heath outcomes lead to financial losses, which worsen the ability to combat physical and mental health impairments, which in turn further deplete financial resources. As such, players’ financial health is in and of itself an important component of their welfare. This article seeks to improve the welfare of professional sports players by comparing compensation policies in the U.S. MLB and NBA to Korean KBO and KBL. Those leagues share considerable similarities—they are organizations that coordinate elite-level athletic competitions for mass audiences and the practices and policies by which the leagues operate are very similar. However, there are also differences between the two countries. Considering organizations operating within the same industry can learn better practices and policies from one another, this article tries to identify and understand those different policies in order to suggest several ways in which the KBO and KBL can learn from the MLB and NBA and further protect players’ financial health. 프로스포츠 선수에게 있어서 연봉을 비롯한 급여 관련 사항은 개별 선수들의 현재와 미래의 복리후생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소가 아닐 수 없다. 프로스포츠 선수들이 현역으로 활동하는 동안은 일반적으로 높은 임금을 받는다고 생각되어 질 수 있으나 선수 간 소득격차가 심하고, 현역으로 활동하는 기간이 일반인의 근로기간 보다 현저하게 짧은 현실을 감안한다면 이들에 대한 금전적 보상은 일반인들에 대한 급여 이상으로 후견적으로 설계되고, 보호되어야 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이에 본고는 프로스포츠 선수의 복리후생을 향상하기 위한 방안의 일환으로서 미국의 프로리그, 특히, MLB 및 NBA와 KBO 및 KBL 간의 선수연봉 관련 정책을 비교・분석하고 있다. 즉, 동일 종목의 프로리그는 일반 대중을 상대로 최상위 수준의 스포츠 경쟁을 선보이기 위해 매우 유사한 시스템으로 운영되고 있지만, 동시에 많은 차이점도 가지고 있다는 점에 착안하여 그 차이점을 확인하고 이해하는 작업은 상호의 정책을 개선하는 데에 크게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우리 프로스포츠 선수에 대한 보상체계를 점검하고, 미국의 동일 종목 프로리그에서 활용되고 있는 제도를 검토함으로써 우리 제도의 개선가능성을 모색해 보고자 하였다.

      • KCI등재

        한국 프로 농구선수의 연봉격차와 연봉 불평등 연구

        이장영 국민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22 社會科學硏究 Vol.34 No.2

        In any group, income difference and income inequality exist because members have different incomes.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121 first-team players from ten teams belonging to the Korean Professional Basketball Federation in the 2011-12 season. The minimum value, maximum value, and mean were used for income distribution, and standard deviation and Gini coefficient were used for inequality. The minimum salary for all players is 25 million won, the maximum is 700 million won, and the average is 144 million won. The standard deviation is 125 million won and the Gini coefficient is .429. In the analysis according to each team, the average annual salary of Wonju Dongbu is the largest and the average value of Goyang Orions is the lowest. Looking at the Gini coefficient, Wonju Dongbu is the largest, and the Anyang KGC is the lowest. The average annual salary for each position increases in the order of center, guard, and forward. Center inequality is the largest. As for the average annual salary according to the number of years of experience, players with one year of experience have a lower salary and a lower Gini coefficient. Players with 2-5 years of experience have the highest Gini coefficient. It is hoped that this study will help to understand the salary distribution and salary inequality of domestic professional basketball players and to establish appropriate policies. 어느 집단에서나 구성원의 소득이 다르기 때문에 연봉 격차와 연봉 불평등이 존재한다. 본 연구는 2011-12 시즌 한국 프로농구연맹에 소속된 열 개 팀 121명의 1군 선수를 대상으로 진행됐다. 연봉 분포는 최소값, 최대값, 평균을 그리고 불평등은 표준편차와 지니계수를 사용하였다. 전체 선수들의 연봉 최소값은 2천 5백만 원이고 최대값은 7억 원이며 평균은 1억 4천 4백만 원이다. 표준편차는 1억 2천 5백만 원이며 지니계수는 .429이다. 지니계수가 낮은 이유는 1군 등록 선수 121명을 대상으로 하였기 때문이다. 한국 프로 농구연맹은 선수들의 연봉을 공개하지 않고 있다. 1, 2 군 선수들이 모두 포함된다면 불평등도는 더 커질 것이다. 각 팀에 따른 분석은 원주 동부의 연봉 평균이 가장 크며 고양 오리온스의 평균값이 가장 작다. 지니계수를 보면 원주 동부가 가장 크며 안양 KGC가 가장 낮다. 팀내 연봉격차와 불평등도가 큰 팀이 리그 안에서 그렇지 않은 팀에 비해 더 좋은 성적을 거두었다. 팀 내 연봉 불평등과 팀 성적과의 관계는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 포지션에 따른 연봉 평균은 센터, 가드, 그리고 포워드 순서로 커진다. 센터의 불평등도가 가장 크다. 경력연수에 따른 연봉 평균은 경력 1년 선수들은 연봉이 낮고 지니계수도 낮다. 경력연수 2-5년 선수들의 지니계수가 가장 큰데, 이는 선수들 사이에서 가장 활발한 실력경쟁과 그에 따른 연봉경쟁이 일어나기 때문으로 여겨진다. 본 연구가 국내 프로농구 선수들의 연봉 분포와 연봉 불평등을 이해하고, 적절한 정책을 수립하는데 도움이되기를 바란다.

      • KCI등재

        경로분석을 통한 코칭행동, 코치-선수 간 상호작용, 팀 분위기, 그리고 운동선수 탈진의 관계 분석

        정구인(Jung, Kookin),임동기(Lim, Dongki),최헌혁(Choi, Hunhyuk)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20

        본 연구의 목적은 경로분석을 통해 여자프로농구 선수가 지각한 코칭행동, 코치-선수 간 상호작용, 팀 분위 그리고 운동선수 탈진의 관계를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2018년 6월부터 2018년 7월까지 여자프로농구 6개 팀 78명의 선수로부터 코칭 행동(자율성지지 및 통제적 코칭행동), 코치-선수 간 상호작용, 팀 분위기 그리고 운동선수 탈진에 대한 내용을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2.0과 Amos 22.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빈도분석, 기술통계, 신뢰도 검증, 확인적 요인분석, 경로분석을 검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자율성지지 코칭행동은 코치-선수 간 상호작용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둘째, 통제적 코칭행동은 코치-선수 간 상호작용에 부적인 영향을 미쳤다. 셋째, 코치-선수 간 상호작용은 팀 분위기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넷째, 팀분위기는 운동선수 탈진에 부적인 영향을 미쳤다. 마지막으로 코치-선수 간 상호작용은 운동선수 탈진에 부적인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결과는 코치-선수 간 상호작용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고, 긍정적으로 팀 분위기를 유지할 경우 여자프로농구 선수들의 탈진을 낮추거나 예방하는데 효과적임을 확인하였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analy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coaching behavior, interactions among coach-athlete, team atmosphere and athlete burnout through path analysis in professional female basketball players. For this, measurements were made of information collected from 78 athletes from 6 professional female basketball teams regarding autonomy support coaching behavior, controlling coaching behavior, interactions among coaches and players, team atmosphere, and athlete burnout. Collected data was verified using the SPSS 22.0 and AMOS 22.0 programs through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reliability test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path analysis, and a structural equation model. The significance level of all hypotheses in this study was α=.05, and the analyzed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utonomy support coaching behavior had a positive effect on interactions among coaches and players (β=.448, p<.001). Second, controlling coaching behavior had a negative effect on interactions among coaches and players (β=-.363, p<.001). Third, interactions among coaches and players had a positive effect on team atmosphere (β=.397, p<.001). Fourth, team atmosphere had a negative effect on athlete burnout (β=-.274, p<.05). Lastly, interactions among coaches and players had a negative effect on athlete burnout (β=-.314, p<.01). Overall, this study confirmed that, from a positive aspect, when teams have strong interactions among coaches and players and good team atmospheres, this prevents athlete burnout.

      • KCI등재

        프로 농구선수들의 몰입 경험에 대한 탐색

        양한승 ( Yang Han Seung ),이비 ( Li Fei ),풍해도 ( Feng Haitao ),황진 ( Hwang Jin ) 한국스포츠심리학회 2021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Vol.32 No.2

        목적: 이 연구는 프로농구선수들이 시합상황에서 경험하는 ‘농구 몰입’에 대한 심층적인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다. 방법: 프로농구선수 11명을 대상으로 몰입 상황, 몰입 전 또는 순간에 대한 느낌, 몰입 이후 필수요소 등의 질문을 통해 심층 면담을 실시하고 귀납적 내용분석을 통해 결과를 도출하였다. 결과: 몰입발생 이전과 몰입 진입 단계에서 경기 전에 나타나는 몰입 단서를 통해 몰입의 전조 증상을 진술했으며 이를 통해 플레이에 보다 집중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몰입경험 중에는 몰입상황을 통제할 수 없었으며 시합상황 파악, 상대 움직임 예측, 완벽한 컨디션 그리고 시간의 변형 같은 몰입을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몰입결과 단계에서는 시합 영상분석을 통해 몰입 유지 및 재정비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부상 통증을 잊고 경기에 뛰거나, 몰입경험의 놀라움 반응 등의 몰입의 특별함이 진술되었다. 결론: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몰입상황을 유지하고 적응하기 위해서 자기 수행에 긍정적인 요소들이 활성화 되어야하며, 더 많은 경험을 추구할 수 있는 충분한 기회의 제공 여건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in-depth information on ‘basketball flow’ that professional basketball players experience in real game situations. Methods: 11 professional basketball players were given in-depth interviews based on questions about flow situations, their feelings before and at the moment of flow, and the essential factors after flow. The results were derived from inductive contents analysis. Results: The results of the study said that before flow and at the beginning of flow, players stated signs of flow through the clues to flow occurring before games and those signs helped players to pay more attention to games. The results also said that players couldn’t control flow situation but experienced flow such as the grasp of the game situation, the prediction about the opponents, perfect condition, and the transformation of time. At the stage of flow result, players were provided with self-regulatory feedback through analysis of video images of the game and they stated reactions of surprise about their flow experiences like finishing games without recognizing their pain from injury. Besides, players’ mood states, routine, feelings of achievement, and their relations with coaches were mentioned. Conclusion: Discussions were made based on results and more follow-up research on professional sport players’ flow was suggested.

      • KCI등재

        2021-2022시즌 한국프로농구 선수들의 부상 현황 분석

        장원봉,지무엽,송기재,윤진호,오재근 한국융합과학회 2024 한국융합과학회지 Vol.13 No.2

        Purpose This study attempted to analyze the status of musculoskeletal injuries during the 2021-2022season among 165 men players from 10 teams registered in the Korean professional basketballleague. Methods From May 10, 2021 to April 6, 2022, the injury rate, injury part, type of injury,mechanism of injury, and injury period were recorded by the qualified certified athletic trainers. Forall data, descriptive statistics were calculated and frequency analysis was conducted. Result The totalexposure of players (AE; athletic exposure) was 61,215, with about 3.22 injuries (3.22/1,000 (AE);95% CI = 2.77, 3.67) occurring when one player participated in training and match 1,000 times, andthe total time exposure (TE) was 5,967,720 minutes, resulting in 0.033 injuries (0.033/1,000 (TE); 95%CI = 0.028, 0.038) per 1,000 minutes of training and match. As for the injured part, lower extremityinjuries (136 cases, 69.1%) were significantly more common than upper limb injuries (22 cases,11.1%). The most common types of injury was muscle sitting (49 cases, 16.5%). The mechanism ofinjury was non-contact injuries in 132 cases (67.4%), more than contact injuries in 64 cases (32.6%). In the period of injury, 103 cases (50.5%) occurred in the off-season and 101 cases (49.5%) in theseason. Conclusion It is thought that it is necessary to develop training programs suitable for theKorean professional basketball league and the players' situation and exercise programs to preventinjury 연구목적 본 연구는 한국프로농구리그에 등록된 10개 팀 165명의 남자선수를 대상으로 2021-2022 시즌중 근골격계 부상 현황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2021년 5월 10일부터 2022년 4월 6일까지 부상율, 부상부위, 부상종류, 부상원인, 부상시기를 자격을 갖춘 각 팀의 선수트레이너(ATC)들이 기록하였다. 모든자료는 SPSS Ver. 23.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치를 산출하고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총 선수 노출(AE)은 61,215명, 선수 한 명이 훈련과 경기에 1,000번 참여 시 약 3.22번의 부상(3.22/1,000(AE); 95% CI = 2.77, 3.67)을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총 시간 노출(TE)은 5,967,720분, 훈련과 경기에 참여한 1,000분당 0.033번의 부상(0.033/1,000(TE); 95% CI = 0.028, 0.038)을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상 부위는 하지 부상(136건, 69.1%)이 상지 부상(22건, 11.1%)보다 월등하게많이 발생하였다. 가장 많은 부상 종류는 근육 좌상(49건, 16.5%)으로 나타났다. 부상 원인은 비접촉부상이132건(67.4%)으로 접촉성 부상 64건(32.6%)보다 많이 발생했다. 부상 시기는 비시즌이 103건(50.5%),시즌 101건(49.5%) 발생하였다. 결론 한국 프로농구리그와 선수들의 실정에 맞는 훈련 프로그램과. 부상예방을 위한 운동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 KCI등재
      • KCI등재

        선수 성추행한 감독에 대한 프로구단의 사용자책임

        주종미,남기연 한국스포츠엔터테인먼트법학회 2013 스포츠와 법 Vol.16 No.4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specific requirements to identify if the club takes the vicarious liability based on the article 756 of Civil Law for the coach who sexually abused against his player. The significance of the vicarious liability and the necessity of this study were found from 2 cases of P coach from W woman's professional basketball club of Korea and Sandusky coach from Pennsylvania State University of USA. To accomplish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conclusion was made after the liability for the coach's tort, legal ground and requirements for the club's vicarious liability, and vicarious liability of teams by analyzing similar cases were examined. First, the coach who sexually abused his player takes the liability for the tort. Second, the club takes vicarious liability for the coach's tort because the coach is considered as an employee who was hired and supervised by the club. Even though sexual abuse is not happened during the business related activity, vicarious liability may be asked to the club at where sexual abuse is happened by coach against player at the similar business related situation considered. Third, in order to be exempted from vicarious liability, the club should fulfill thoroughly duty of care in recruitment and should exercise duty of care with continuous management and supervision at doing business activity. If there is a reason attributable such as ‘deliberate indifference’, for example, by club, possibility of immunity is not easy to be accepted. Fourth, the club is able to exercise the right to indemnity to the coach. 본 연구의 목적은 프로구단의 감독이 소속 선수를 성추행 한 행위에 대하여 민법 제756조에 근거하여 구단의 ‘사용자책임’ 성립이 가능한지 그 구체적인 요건을 고찰하는데 있다. 본 연구는 한국의 W여자프로농구 구단의 P감독 사건과 미국 팬실배니아주립대학 샌더스키 코치의 사건을 통해 ‘사용자책임’의 중요성을 발견하고 본 연구의 필요성을 찾게 되었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감독의 불법행위에 따른 책임을 검토하였고, 구단의 사용자책임의 법적근거 및 요건, 그리고 유사사례들을 통해 구단의 사용자책임을 확인 한 후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선수를 성추행 한 감독은 피해선수에게 불법행위 책임이 있다. 둘째, 구단은 감독의 불법행위에 대한 사용자책임이 있다. 그러한 근거는 감독이 구단의 지휘·감독을 받기 때문에 피용자에 해당이 되며, 성추행 자체는 사무집행과 관련이 없지만, 사무와 밀접한 관련성이 인정되는 상황에서 발생한 성추행은 구단의 사무집행 행위로 볼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책임이 인정된다. 셋째, 구단이 감독의 행위에 대한 사용자책임을 면하기 위해서는 감독의 채용에 있어서 그리고 감독의 업무활동에 대하여 지속적인 관리·감독상의 주의의무를 다 했었어야 한다. 만약 예를 들어 ‘고의적 무관심’과 같이 구단에게 귀책사유가 있을 경우 면책가능성은 인정되기 어렵다. 넷째, 구단은 감독에게 구상권을 청구할 수 있다.

      • KCI등재

        한국 남자 프로농구(KBL) 선수들의 시즌·비시즌 중 부상 분석

        정태중,이상선,손윤석,홍성민,김대호 한국체육대학교 체육과학연구소 2022 스포츠사이언스 Vol.40 No.1

        This study was conducted to learn about the injury rate, injury area, type, and injury mechanism for Korean men's professional basketball players and to provide basic data for injury management of players.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15 players belonging to the Korean Basketball League (KBL).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A total of 68 injuries (22 cases before the season, 32%; 46 cases during the season, 68%) were recorded in 15 players during the season. The total number of players exposed (AE) was 6,347, and when one player participated in training and games 1,000 times, he experienced about 11 injuries (10.71/1,000AE; 95% CI = 8.17, 13.26). The risk of injury increased as the frequency of games increased. Injuries were the most common in the order of ankles (20 cases, 29.4%), knees (20 cases, 29.4%), thighs (8 cases, 11.7%), and lower limb injuries were more common than upper limb injuries, and chronic injuries were more common in lower body injuries. Progressive chronic injuries included frequent Achilles tendinitis and patellar tendinitis, and muscle injuries included hamstring injuries. The subjects who participated in this study were judged to have relatively more chronic damage than acute damage due to the league game schedule, training due to the call-up of the national team, and exposure time to the game. Therefore, it is judged that additional follow-up studies are needed. In addition, through this study, it will be a good basic data for establishing a systematic player injury management system and designing and implementing prevention programs for frequent injur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