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Water Resources in the Middle East: Conflict and Management
홍성민 한국중동학회 2005 韓國 中東 學會 論叢 Vol.25 No.2
중동지역에 있어서 물의 부족은 중동지역을 지구상에서 가장 다루기 어려운 수자원 분쟁지역으로 만들면서 역사적, 정치적 및 종교적 긴장 등으로 복합적으로 관련돼 있다.<BR> 물의 부족에 부가하여 중동의 물은 주된 세가지 수로: 티그리스-유프라테스강, 나일강 및 요르단 강으로부터 발원한다. 수자원에 관한 상호의존은 1967년 중동전쟁과 이란-이라크 전쟁과 같은 대치상황을 유발함으로써 물이 분쟁을 위한 기폭제가 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본 논문은 중동에 있어서 "물전쟁"의 분쟁과 가능성을 고찰한다. 본고는 또한 국제법하에서 이 지역의 수자원 관리를 고찰한다.<BR> 석유는 항상 중동분쟁의 원인으로 현재까지 인식되고 있다. 그러나 물은 이제 중동에 있어서 석유로부터 분쟁의 원인을 대체하고 있다.<BR> 중동에서 수자원 분쟁은 협력과 합의를 통할 때 만 해결이 가능하다. 그러나 국제법은 유프라테스나 티그리스강의 물의 배분을 정할 수 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법은 협상을 위한 기본을 제공한다. 하지만 수자원 관리의 문제는 그것을 관리하는 국제법이 개발되어 있지 못하고 모순적이며 강제력이 없다는 사실 때문에 기능을 발휘하지 못하고 있다.<BR> 수자원의 관리와 배분은 단순히 분리할 수 없는 것이다. 개선된 관리는 높은 경제적, 사회적, 정치적 비용과 정상적으로 일치한다는 사실에 기인하고 있다는 것이 그 이유이다. 특히 관리의 옵션이 해수의 담수화나 물의 수입과 같은 전통적인 자원의 개발을 의미하는 경우에는 더욱 그렇다. 중동에서 수자원문제와 관련하여 가장 주요한 문제 중 하나는 이스라엘과 PLO간의 평화협상이다. 이는 중동에서 물문제를 평화적으로 해결하는 중요한 요인이 되고 있다.
홍성민 한서대학교 동양고전연구소 2016 동방학 Vol.35 No.-
이 논문은 ‘中節’의 의미에 대한 분석을 통해 朱子의 도덕감정론을 해명하고 있다. 中節은 성리학의 수양론에서 중요한 주제일 뿐 아니라 현대 도덕 감정이론과 소통할 수 있는 의미 있는 테마라 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에 대한 연구는 아직까지 충분히 진행되지 않은 듯하다. 그래서 이 논문은 주자의 중절 개념을 분석하여 성리학의 도덕 감정론을 해명하고 나아가 그것의 현대적 의의를 밝혀보고자 하였다. 먼저 이 논문은 주자의 도덕 감정 범주를 고찰하고 있다. 고찰에 따르면, 주자는 四端과 七情을 도덕 감정과 일반 감정으로 구분하지 않았으며, 오직 中節을 기준으로 감정의 도덕성 여부를 구분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그 다음으로 이 논문은 中節의 의미가 무엇인지 고찰하였다. 이 논문에 따르면, 중절이란 공평무사한 공감적 관찰자의 입장에 도달하는 것인데, 감정의 주체가 인륜의 관계망 안에서 보편타당한 감정 상태에 도달하는 것을 의미한다. 마지막으로 이 논문은 주자가 제시하는 中節의 공부, 즉 窮理와 持志에 대한 분석을 통해 주자 도덕 감정론이 다분히 이성적이고 의지적인 색채를 띠고 있음을 주장하고 있다. This paper illuminates the meaning of Zhu Xi's Moral Emotion Theory through analyzing the concept of appropriateness(Zhongjie 中節). Despite the appropriateness is so important concept in Neo-Confucian Cultivation theory and crucial theme in contemporary moral emotion theory, there is hardly one who research about this. So this paper researches this theme. First, this paper analyzes Zhu Xi's thought about Four moral emotion(Siduan 四端) and Seven general emotion(Qiqing 七情), According to this research, Zhu Xi didn't discriminate between Four moral emotion and Seven general emotion, and He suggested appropriateness as criteria of morality. Second, this paper elucidates the meaning of appropriateness is to arrive at the position of impartial sympathetic spectator. And finally, this paper analyzes the cultivating ways of appropriateness, and illuminates that the concept of moral emotion in his idea strongly implies rational and volitional nuances.
Fétichisme et violence symbolique : Bourdieu dans le courant marxiste
홍성민 한국프랑스문화학회 2008 프랑스문화연구 Vol.17 No.-
이 논문은 프랑스의 대표적인 지성의 하나로 꼽히는 부르디외 사상의 단면을 맑스와 비교함으로써 현대 맑시즘의 조류에서 부르디외 사상의 의미를 점검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서 필자는 부르디외의 상징적 폭력과 맑스의 물신숭배(Fetichimus)의 개념을 비교의 준거틀로 삼아 보았다. 맑스에게 물신숭배란 상품의 교환관계에서 암시적으로 작동하는 주객의 전도현상을 의미한다. 한편 부르디외에게 상징적 폭력이란 정치적 영역에서 발생하는 가치관의 전도현상, 혹은 허위의 동일시 현상을 의미한다. 다시 말해 맑스는 물신숭배의 현상을 경제적 교환관계에서 유래하는 구조적 모순으로 파악했던 반면, 부르디외는 상징직 폭력을 정치/문화의 영역에서 시작되는 구조적 모순으로 파악하고 있는 것이다. 두 사람의 사상이 자리하고 있는 영역은 경제와 정치(문화)로 구분되는 듯 하지만, 여기서 필자는 두 사상가의 공통된 문제의식을 발견할 수 있었다. 이러한 발견을 토대로 자본주의 사회에서 정치란 경제적 영역 못지않게 사회변혁을 이루어내는데 중요한 변수로 작용하고 있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맑시즘의 역사에서 보면 부르디외의 상징적 폭력의 개념은 “상부구조의 자율성” 정도로 간과되었던 정치(문화)분야의 독자성을 강조한 것이라고 평가할 수 있다.
GPOPS를 이용한 다단 대공 유도 미사일의 중량 및 궤적 최적화
홍성민,이준용,탁민제,이창훈 한국항공우주학회 2015 한국항공우주학회 학술발표회 논문집 Vol.2015 No.11
본 논문에서는 다단 대공 유도 미사일의 최적화 문제에 대해서 다룬다. 유도 무기의 초기 설계단계에서는 구조 중량 비, 추력 및 공력 등의 하위 시스템들의 요구조건이 주어지는데, 이 조건들을 이용하여 유도 미사일의 중량 및 비행 궤적의 최적화를 수행함으로써 필요한 추진제의 양, 구조 중량등을 추산할 수 있다. 이 최적화 문제를 동시에 수행함으로써 초기 개념 설계 단계에서의 시간을 절약할 수 있으며, 비용 절감 효과도 얻을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다단으로 이루어진 대공 유도 미사일의 궤적 최적화와 중량 최적화를 동시에 수행하기 위한 문제를 정의하였으며, 정의된 문제를 상용 최적화 프로그램인 GPOPS 를 이용하여 최적화를 수행한 결과를 기술하였다. This paper deals with optimization problem for multi-stage anti-air guided missile. During an initial design phase of guided missile, subsystem requirements such as structural weight ratio, thrust and aerodynamic coefficients are given. Using given conditions, required amount of propellant and structural weight can be estimated by the optimization. Time and cost reduction can be obtained by conducting a weight and trajectory optimization problem simultaneously at the initial conceptual design phase. For that, the optimization problem is formulated for multi-stage anti-air guided missile. The simulation is obtained by using commercial optimization tool, GPOPS and results are described.
고속혼화기의 하수 슬러지 탈수공정 적용에 따른 환경영향 저감효과 분석
홍성민,이종효,김두환,황용우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 2024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지 Vol.41 No.3
없음 As the urgency of achieving carbon neutrality becomes more pronounced, the expansion of eco-friendly sewage treatment processes is essential. Notably, the use of high-speed flash mixers in sludge dewatering, which helps reduce sludge water content and water contamination levels in sewage treatment, is gaining traction as an effective technology. Although several pilot projects have demonstrated the effectiveness of such an approach, the broader environmental impacts of such a process have not been thoroughly investigated. This study addresses this gap by performing a comprehensive life cycle assessment (LCA) to compare the environmental impacts of the current sewage sludge dewatering process (current process) with a process enhanced by high-speed flash mixers (improved process). The results show substantial reductions in several environmental indicators: ozone depletion potential (ODP) and photochemical ozone creation potentials (POCP) decreased by 8.81E-07 kg CFC-11-eq. (▼22.0%) and 3.97E-03 kg C2H4-eq. (▼13.4%), respectively. Additionally, the eutrophication potential (EP), abiotic depletion potential (ADP), acidification potential (AP), and global warming potential (GWP) decreased by 2.64E-02 kg PO4 3—eq. (▼4.1%), 5.13E-01 kg Sb-eq. (▼4.0%), 1.37E-01 kg SO2-eq. (▼4.0%), and 8.05E+01 kg CO2-eq. (▼4.0%), respectively. However, this study did not account for the environmental impact of treating dried sludge after dewatering because of data limitations. Nonetheless, the study also highlights the significant environmental impact of using polymer coagulants during dewatering and suggests that improving the reaction rate between the sludge and polymer coagulants can enhance environmental performance. This includes reducing polymer use and developing eco-friendly alternatives that improve the environmental sustainability of sludge dewatering processes. The findings emphasize the importance of policy support and management within related industries and advocate for ongoing research and development to promote eco-friendly practices in sewage treatment to support carbon neutrality objectives.
교회건축물의 디자인 의사결정 요소에 대한 사용자 인식에 관한 연구
홍성민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9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4 No.1
(Background and Purpose) Although the church architecture design is a problem for all of the protestant church building users, only architects, some pastors and church laymen have participated in the design decision process, and most of the members of the church have been neglected in this process. Therefore, this study analyzes the major decision making elements that should reflect the user's recognition in the church architecture design through the analysis of the previous research, analyzes the subjective thoughts of the members who are the users of these elements, and purpose to provide basic data that can reflect the general recognition of church architecture users about the major decision making elements of the church architecture design process. (Method) Firstly, we analyzed the major elements of decision making in the church architecture design process from the 90 's until recently by analysing previous research, and classify it into a hierarchical structure for AHP questionnaire method. Next, a total of 176 randomly selected church building users in Busan were classified into three hierarchically structured primary-level decision making elements, 10 secondary-level decision making elements, and 18 tertiary-level decision making elements conduct an AHP questionnaire method. (Results) First,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higher - level decision making elements showed that users are conscious of the order of functionality-publicness-symbolism when setting direction of church architecture design. Second, the importance of sub decision making elements of functionality appeared in order of worship function-education function-service function-society function. Thir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sub decision making elements of publicness, the importance appeared in order of participating in community welfare-participating in community culture- participating in community education, and showed importance in the order of sub decision making elements of community welfare participation is local resident care-disabled care-homeless & teenage runaway care- multicultural family & north Korean defectors. Fourth,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the sub decision making elements of symbolism, it appeared that the overall building expression-image expression-partial elements expression, and subordinate element of overall building expression was modern style-symbolic style-classical style-traditional style, in the image expression elements are familiar/comfortable image-elegant/beautiful image- refined/modern image-new/fresh image-solemn/strict image order, and in the partial elements expression elements are Bible verses elements-christianity art elements-symbolic emblem elements-symbolic color elements- symbolic number elements order. (Conclusions)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importance of each factor through the AHP questionnaire analysis method and to provide the user 's recognition to refer to the design priority among the main elements in the decision making process of the church architecture design. (연구배경 및 목적) 교회건축 디자인은 교회건축 사용자 모두의 문제임에도 불구하고, 지금까지 건축가와 일부 교역자, 중직자만이 참여하여 디자인 의사결정을 하여 왔으며, 대다수의 교회 구성원들은 이 과정에서 소외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선행연구의 분석을 통해 교회건축디자인에서 사용자의 인식이 반영되어야 하는 주요의사결정요소들을 추출하고 이 요소들에 대해 사용자인 교회 구성원들이 가지고 있는 주관적인 생각들을 분석하여 AHP설문 분석법을 통해 제시함으로서 교회건축디자인 과정의 주요의사결정요소들에 대한 교회건축 사용자의 전반적인 인식이 반영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 먼저 교회건축디자인에 대한 선행연구 분석을 통해 90년대 이후부터 최근까지 부각된 교회건축디자인 과정에서의 주요의사결정요소들을 추출하고 AHP설문을 위한 계층구조로 분류한다. 다음으로 무작위로 선정된 부산지역 교회건축 사용자 176명을 대상으로 3개의 계층구조로 분류된 3가지 상위계층 의사결정요소, 10가지 2차 계층 의사결정요소 및 18가지 3차 계층 의사결정요소에 대한 AHP설문을 시행한다. 회수된 설문지의 응답내용을 분석하여 각 계층 의사결정요소들 사이의 우선순위와 중요도 값(가중치)을 구하고 이를 통해 교회건축디자인에서 주요의사결정요소에 대한 사용자의 인식을 알아본다. (결과) 첫째, 상위 계층 의사결정요소 분석결과 사용자들은 교회건축디자인의 방향설정 시 기능성-공공성-상징성의 순서로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외형보다는 본질에 충실한 것이 교회건축디자인의 방향설정에 중요하다고 인식하였다. 둘째, 기능성의 하위요소 중요도는 예배 기능-교육 기능-봉사 기능-교제 기능의 순서로 나타났고, 예배 기능이 나머지 3개 요소 전체 합과 비슷할 정도로 중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셋째, 공공성의 하위요소 분석결과, 지역사회 복지참여-지역사회 문화참여-지역사회 교육참여의 순서로 중요도가 나타났고, 이 중 지역사회 복지참여 요소의 하위요소는 지역주민 배려-장애인 배려-노숙인․가출청소년 배려-다문화․탈북자 배려의 순서로 중요하다고 인식하였다. 넷째, 상징성의 하위요소 분석결과, 교회 건물 전체로 표현-이미지로 표현-부분요소로 표현의 순서로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고, 교회 건물 전체로 표현 요소의 하위요소는 현대적인 표현-상징적인 표현-고전적인 표현-전통적인 표현의 순서로, 이미지로 표현 요소는 친숙한/ 편안한 이미지-우아한/ 아름다운 이미지-세련된/ 현대적인 이미지-새로운/ 신선한 이미지-엄숙한/ 엄격한 이미지의 순서로, 부분요소로 표현은 성경구절-상징문양-성화-상징색채-상징 수의 순서로 나타났다. (결론) AHP설문 분석법을 통해 각 요소별 중요도 값을 제시하여 교회건축디자인 의사결정과정에서 주요 요소들 간의 디자인 우선순위 설정에 참고할 수 있는 사용자의 인식 특성을 제공했다는 것에 본 연구의 의의를 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