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트위터 이용 동기가 이용자의 정서적 유대감, 공동의 공간감, 정보의 신뢰성, 정서적 친밀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윤승욱 한국정치커뮤니케이션학회 2011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 Vol.22 No.-

        트위터, 페이스 북, 미투데이 등과 같은 SNS(Social Network Service)가 사회적으로 널리 확산되면서 다른 사람들과 정보 및 뉴스 등을 공유하고 자신의 의견이나 정보를 쉽고 빠르게 교환하며 새로운 커뮤니케이션 환경을 창출하고 있다. 특히 이러한 서비스는 다양한 의견 교환의 장으로, 오락적 가치와 정보 전달 플랫폼으로, 그리고 인적 네트워크 형성 등에 크게 기여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트위터 이용자들의 이용동기를 분석하였다. 나아가 이용자의 이용동기가 정서적 유대감, 공동의 공간감, 정보의 신뢰성, 정서적 친밀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았다. 연구결과, 트위터 이용자들의 이용동기 요인은 정보추구 동기, 사회적 영향 동기, 습관적 오락 동기, 인적관계 형성 동기 등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이용자의 트위터 이용동기가 기존 매체에 대한 이요동기와 유사하게 나타났지만, 트위터라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가 갖는 특성을 반영한 인적관계 형성 동기는 기존 매체 이용동기와 구별되는 또 다른 요인으로 조사되었다. 나아가 본 연구에서 밝혀진 트위터 이용동기 요인들은 이용자의 정서적 유대감, 공동의 공간감, 정보의 신뢰성, 정서적 친밀감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인적관계 형성 동기는 정서적 친밀감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회적 영향 동기는 공동의 공간감에 가장 큰 영향력을 미쳤고, 정보추구 동기는 정보의 신뢰성에 가장 많은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New communication environment sharing information and news and exchanging one's opinion and information easily and promptly among other people has created as SNS(Social Network Service) such as twitter, face-book and me-today spread widely in a society. In particular, the service contributes to building social network as information and recreational value delivery platform and various opinion exchange site. This study analyzed the twitter user's use motive. Moreover, this study took a look at the effect of the twitter user's use motive on the emotional connectedness, awareness of co-space, reliability of information and emotional intimacy. As a result of study, factors of the twitter user's use motive appeared as an information pursuit motive, social influence motive, habitual entertainment motive, personal relationship formation motive, etc. The research indicates that the twitter user's use motive are similar to ones of existing media but the motive of social network formation to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twitter-based social network are unlikely to be different from the use motive of existing media users. Besides, factors of twitter use motive clarified by this study appeared to have a meaningful effect on the user's emotional connectedness, awareness of co-location, information reliability and emotional intimacy. Especially, the personal relationship formation motive appeared to have the biggest effect on emotional intimacy, the social influence motive appeared to have the biggest effect on awareness of co-location, and the information pursuit motive appeared to have the biggest effect on information reliability.

      • KCI등재후보

        트위터 이용 동기가 이용자의 정서적 유대감, 공동의 공간감, 정보의 신뢰성, 정서적 친밀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윤승욱 한국정치커뮤니케이션학회 2011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 Vol.0 No.22

        트위터, 페이스 북, 미투데이 등과 같은 SNS(Social Network Service)가 사회적으로 널리 확산되면서 다른 사람들과 정보 및 뉴스 등을 공유하고 자신의 의견이나 정보를 쉽고 빠르게 교환하며 새로운 커뮤니케이션 환경을 창출하고 있다. 특히 이러한 서비스는 다양한 의견 교환의 장으로, 오락적 가치와 정보 전달 플랫폼으로, 그리고 인적 네트워크 형성 등에 크게 기여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트위터 이용자들의 이용동기를 분석하였다. 나아가 이용자의 이용동기가 정서적 유대감, 공동의 공간감, 정보의 신뢰성, 정서적 친밀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았다. 연구결과, 트위터 이용자들의 이용동기 요인은 정보추구 동기, 사회적 영향 동기, 습관적 오락 동기, 인적관계 형성 동기 등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이용자의 트위터 이용동기가 기존 매체에 대한 이요동기와 유사하게 나타났지만, 트위터라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가 갖는 특성을 반영한 인적관계 형성 동기는 기존 매체 이용동기와 구별되는 또 다른 요인으로 조사되었다. 나아가 본 연구에서 밝혀진 트위터 이용동기 요인들은 이용자의 정서적 유대감, 공동의 공간감, 정보의 신뢰성, 정서적 친밀감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인적관계 형성 동기는 정서적 친밀감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회적 영향 동기는 공동의 공간감에 가장 큰 영향력을 미쳤고, 정보추구 동기는 정보의 신뢰성에 가장 많은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New communication environment sharing information and news and exchanging one's opinion and information easily and promptly among other people has created as SNS(Social Network Service) such as twitter, face-book and me-today spread widely in a society. In particular, the service contributes to building social network as information and recreational value delivery platform and various opinion exchange site. This study analyzed the twitter user's use motive. Moreover, this study took a look at the effect of the twitter user's use motive on the emotional connectedness, awareness of co-space, reliability of information and emotional intimacy. As a result of study, factors of the twitter user's use motive appeared as an information pursuit motive, social influence motive, habitual entertainment motive, personal relationship formation motive, etc. The research indicates that the twitter user's use motive are similar to ones of existing media but the motive of social network formation to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twitter-based social network are unlikely to be different from the use motive of existing media users. Besides, factors of twitter use motive clarified by this study appeared to have a meaningful effect on the user's emotional connectedness, awareness of co-location, information reliability and emotional intimacy. Especially, the personal relationship formation motive appeared to have the biggest effect on emotional intimacy, the social influence motive appeared to have the biggest effect on awareness of co-location, and the information pursuit motive appeared to have the biggest effect on information reliability.

      • KCI등재

        성과연봉제 공정성 지각이 외재적 및 내재적 동기부여와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석유화학업종 생산부문을 중심으로

        김해룡,김태화 한국기업경영학회 2021 기업경영연구 Vol.28 No.3

        본 연구는 성과연봉제의 공정성 지각이 동기부여와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며 그 과정에서 동기부 여의 매개역할에 초점을 맞춘다. 성과보상제도에 대한 다양한 선행연구가 이루어졌으나 성과보상제도와 동기 부여 그리고 태도에 대한 실증적 연구가 부족한 실정을 연구의 유효한 출발점으로 인식한다. 더불어 성과보상 제도의 외재적 및 내재적 동기부여 과정에 대한 실증적 연구가 부족한 기존 연구의 한계를 극복하고자 울산지 역 석유화학회사 생산부문 종사자를 대상으로 연구를 실시한다. 선행연구의 고찰을 통하여 성과연봉제의 공정 성 지각 즉, 연봉결정의 절차공정성과 연봉의 분배공정성이 외재적 동기부여 및 내재적 동기부여에 미치는 영향과 정서적 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직접효과와 간접효과의 가설적 관계를 수립하였다. 설정된 가설 관계는 울산지역의 석유화학회사 생산부문 종사자 153명을 대상으로 수집된 자료를 활용하여 검증하였다. 설 문조사에 활용된 측정도구의 신뢰성 및 타당성을 검증하였으며 다중회귀분석을 통하여 주효과 가설들이 검증 되었으며 부트스트래핑방법을 활용한 구조방정식모형분석을 통하여 간접효과 가설들이 검증되었다. 자료분석과 가설검증을 위하여 SPSS 23.0 및 AMOS 23.0이 활용되었다. 분석결과, 성과연봉제의 공정성 지각은 외재적 및 내재적 동기부여는 물론 정서적 조직몰입에 유의한 직접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외재적 및 내재 적 동기부여는 정서적 조직몰입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성과연봉제의 공정성 지각이 정서적 조직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외재적 및 내재적 동기부여가 간접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를 바탕으로 성과연봉제의 공정성을 확보함으로써 외재적 및 내재적 동기부여를 활성화 할 수 있고 구성원의 태도를 제고할 수 있음을 강조하였다. 마지막으로 연구의 한계점과 미래연구를 위한 제언 이 논의되었다.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perceived justice of performance-based annual salary system on extrinsic and intrinsic motiva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focusing on the mediation role of motivation. Although there have been various studies on performance-based pay system so far, only a limited number of studies dealt with the relationship of performance-based pay system with motivation and commitment at the same time. Actively recognizing the limits as the effective staring point, this study tried to overcome the limit of the prior studies which have not examine the effects of performance-based pay system on extrinsic and intrinsic motivation with the sample of employees working in the petrochemical industry. On the basis of relevant literature review, this study developed the hypothetical relationship of the direct and indirect effect of the perceived justice of performance-based pay system, the procedural justice of pay decision and the distributive justice of pay, extrinsic and intrinsic motivation, and affective organizational commitment. The hypothetical relationships were empirically tested with the data collected 153 employees from petrochemical companies in Ulsan. The measurement instruments employed were tested in terms of reliability and validity, the direct effect hypotheses were tested with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the indirect effect hypotheses were tested with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using bootstrapping method. This study employed SPSS 23.0 and AMOS 23.0 to analyze the data and test the research hypothese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perceived justice of performance-based pay system h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nfluence not only on extrinsic and intrinsic motivation but also affective organizational commitment. Extrinsic and intrinsic motivation affect significantly affective organizational commitment. Also, extrinsic and intrinsic motivation hav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direct influence on the relationship of the procedural justice of pay decision and the distributive justice of pay with affective organizational commitment. It is emphasized on the basis of the results that securing justice of performance-based pay system leads to activate extrinsic and intrinsic motivation and increase members' attitude. For the last part, this study indicated limitations and suggested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 KCI등재

        지방공무원의 공공봉사동기(PSM)가 인간관계를 통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강동철(Kang, Dong-Chul) 강원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16 사회과학연구 Vol.55 No.2

        본고에서는 공공봉사동기(PSM)가 인간관계를 강화시킬 수 있는지, 이직의도를 감소시킬 수 있는지 검증하고자 하였다. 검증에 활용된 표본은 부산광역시 산하 기초자치단체에 소속된 지방공무원 218명이다. 본고의 목적에 따라 제시된 가설을 검증하기 위하여 구조모형을 만들었다. 이 구조모형은 공공봉사동기가 이직의도에 직접적으로 미치는 영향과 인간관계를 통해 간접적으로 미치는 영향을 비교할 수 있는 모형이다. 이 구조모형을 통하여 실증적 분석이 이루어졌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모든 공공봉사동기의 하위 변수는 이직의도를 직접적으로 감소시키지 못하였으며, 인간관계를 통해서만 감소시킨다. 다만, 공공봉사동기의 하위 변수들 중 규범적 동기는 유의한 영향력이 없었으며, 정서적 동기는 유의한 영향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정서적 동기는 인간관계에 긍정적 선행요인이며, 인간관계를 통해 이직의도를 감소시킬 수 있음을 함의한다. 함의된 내용을 바탕으로 제언하면, 공무원의 효과적인 인적자원관리를 위해서 정서적 동기를 고취시켜 나가야 할 것이다. 또한 정서적 동기를 고취시키기 위해서는 윤리적 리더십이 필요하며, 윤리적 리더십은 공명심(功名心)에 의한 발로보다 공명심(公明心)에 의한 발로가 이루어졌을 때, 효과적으로 고취될 수 있다. 효과적으로 고취된 윤리적 리더십은 정서적 동기에 긍정적이므로 조직 구성원들 간의 인간관계를 강화시킬 수 있으며, 긍정적인 인간관계를 통해 이직의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This paper presents a study that determined the relationship of public service motivation and human relations and turnover intentions and examined the contribution of variables, public service motivation and human relations on turnover intentions. The sample consisted of 218 Local Public servants in the Busan metropolitan city. The results hypothesized that public service motivation and human relation variables are positively and significantly related to reduced turnover intentions. The study found that some of the public service motivation sub-variables, and human relations had a significant contribution and positive effect on reducing turnover intentions. The study revealed that affective motives accounted for larger variance in turnover intentions than from norm-based motives. Findings and implications for public administration" human resource management in the study are discussed and put forward.

      • KCI등재

        교사의 동기부여방식과 학습자의 심리적 욕구 및 사회-정서적 행동과의 관계

        임창하,송용관 한국코칭능력개발원 2023 코칭능력개발지 Vol.25 No.5

        이 연구는 교사의 동기부여방식이 청소년 학습자의 심리적 욕구 및 사회-정서적 행동과 어떤 관련이 있는지를 검증하였다. P시 소재중학교 2곳과 고등학교 1곳에서 체육수업에 참여하고 있는 중학생(187명)과 고등학생(100명)을 대상으로 청소년들이 느끼는 체육교사의 동기부여방식, 심리적 욕구 만족과 좌절 그리고 사회적/정서적 행동에 관한 인식을 조사하였다. SPSS와 AMOS 통계프로그램을 통해 빈도, 기술, 신뢰도, 타당도, 상관 및 경로분석을 수행하였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긍정적인 동기부여방식인 체육교사의자율성지지는 청소년 학습자의 심리적 욕구 만족과 사회-정서적 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청소년 학습자의 심리적 욕구 만족은 사회-정서적 행동을 정적으로 예측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셋째, 부정적인 동기부여방식인 체육교사의 통제적 방식은 청소년 학습자의 심리적 욕구 좌절을 정적으로 예측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넷째, 청소년 학습자의 심리적 욕구 좌절은사회적 기술을 부적으로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체육교사의 자율성지지는 청소년 학습자의 심리적 욕구 좌절을 부적으로예측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이는 체육교사의 자율성지지 동기부여방식은 청소년 학습자의 심리적 욕구 만족뿐만 아니라, 사회-정서적 행동을 함양하는 데 긍정적으로 작용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체육교사의 통제적 동기부여방식은 학습자의 심리적 욕구 좌절을 경험하게 하고, 자율성지지 방식은 학습자의 심리적 욕구 좌절 경험을 감소 및 예방하는 동기부여방식이라는 것을 보여준다. 무엇보다 학습자의 심리적 욕구 만족은 사회-정서적 행동에 긍정적으로 영향을 미쳤으며, 욕구 좌절은 사회적 기술을 부정적으로 발달하는 데 영향을 미치는 선행변인이라는 것을 보여준다. 결론적으로 자율성지지를 통한 체육교사의 긍정적인 동기부여방식은 학습자의심리적 욕구 만족뿐 아니라 사회-정서적 행동을 발달하는데 실제적이고 중요한 동기부여방식이라는 것을 체육교육 현장에 시사한다. The present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a teacher's motivating style on students' basic psychological need satisfaction and frustration, as well as social and emotional skills in Physical Education (PE). Based on the cross-sectional, 278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187 middle school students and 100 high school studen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and completed the questionnaire to measure their perceptions of PE using teacher motivating style (i.e., autonomy support and control), psychological need satisfaction, psychological need frustration, social skill and emotional skill PE. Analyses showed that the teacher autonomy support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tudent social and emotional skills and teacher autonomy support but not psychological need satisfaction in PE. Specifically, teacher autonomy support had a positive influence on psychological needs satisfaction whereas it was negative effect on the psychological need frustration. And teachers autonomy support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social and emotional skills. In conclusion, the teacher autonomy support on psychological needs among students social and emotional skills that PE teacher was the powerful predictor of creating by a social and emotional skills. More details and future directions were discussed.

      • KCI등재

        수정된 골프참여동기 척도의 구인타당성 검증 및 자기결정행동 예측

        정용각,김창욱,안종성 한국골프학회 2021 골프연구 Vol.15 No.4

        [목적] 본 연구는 일반 성인 골퍼를 대상으로 수정된 골프참여동기 척도의 구인타당성을 검증하고 자기결정행동 을 예측하는데 목적이 있다. [방법] 연구대상은 B광역시 지역에서 현재 골프를 즐기고 있는 20세 이상의 성인 241명(남 158, 여자 83)으로 하였다. 수정된 골프참여동기 척도의 타당성 검증을 위해 기존 선행연구(정용각, 2019)의 하위요인별 4개 문항을 3개 문항으로 축소하고 자연으로부터 느끼는 힐링동기 요인을 추가하여 검증하였 으며, 자기결정행동을 예측하기 위해 기본적 심리욕구만족과 정서적 경험과의 관계성을 살펴보았다. [결과] 수정 된 골프참여동기 척도에 대한 탐색적 요인분석 및 확인적 요인분석결과 내적동기, 힐링동기, 교류동기, 건강동기, 경쟁동기, 무동기의 6요인 구조가 적합 및 타당한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골프참여동기는 기본적 심리욕구만족과 정서적경험과의 관계에서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를 통해 검증된 수정된 골프참여동기 척 도는 국내 골퍼의 자기결정행동을 예측하고 골프참여동기를 측정하는데 효과적인 분석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construct validity of revised golf participation motivation scale and to predict self-determination behaviors on Korean adult golfers. [Method] A total of 241 adult golfers (158 males, 83 females) who are currently playing golf in the B city of Korea. To verify the construct validation of revised golf participation scale, 4 items for each sub-factor of previous study(Jung, 2019) were reduced to 3 items, and nature healing motivation factor had added for the analysis. Furthermore, the relationship among Basic Psychological Need Satisfaction(BPNS), Golf Participation Motivation(GPM) and Emotional Experience(EE) were analysed to predic self-determination behavior. [Result] The 6-factor stucture of golf motivation (intrinsic, healing, affiliation, health, competition, amotivation) have examined through the exploratory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Moreover, GPM was partially mediating between BPNS and EE. [Conclusion] This revised GPM scale could be used to predict the self-determination behavior and analyze adult golfers' GPM more effectively.

      • KCI등재

        소비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과 커피 소비동기가 커피전문점 재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

        정자영 한국자료분석학회 2013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15 No.5

        우리나라에서 커피소비가 꾸준하게 늘어오고 있는데 특히 커피전문점을 통한 커피소비가 급격하게 증가해왔다. 본 논문에서는 커피 소비동기와 커피전문점 재방문 등에 관하여 세 가지의 가설을 중심으로 연구하였다. 첫째, 인구통계적 특성이 커피전문점 재방문의도에 영향을 미치는지, 둘째 커피 소비동기가 커피전문점의 재방문의도에 영향을 미치는지, 셋째, 인구통계적 특성에 따라 커피 소비동기와 커피전문점 재방문의도에 차이가 있는 지를 연구하는 것이 연구의 목적이었다. 커피 소비동기는 웰빙적 동기, 기분전환적 동기, 사회적 동기, 습관적 동기, 정서적 동기 등 5가지로 나누었다. 인구통계적 특성은 성별, 연령, 결혼여부, 직업, 학력, 거주지, 월평균소득, 월평균외식비 등 8가지를 중심으로 연구하였다. 연구 본 연구를 위하여 2013년 3월에 서울과 경기도에 거주하는 사람들을 중심으로 600부의 설문지를 배포하여 480부를 회수하고 유의성이 있는 470부를 자료 분석에 사용하였다. 웰빙적 동기를 제외한 기분전환적 동기, 사회적 동기, 습관적 동기, 정서적 동기 등이 커피전문점 재방문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구통계적 특성에 따른 커피소비동기는 성별, 결혼유무, 학력 등에 따라 커피 소비동기에 차이가 있었다. 인구통계적 특성에 따른 커피전문점 재방문의도는 학력과 월평균 외식비를 제외한 나머지 인구통계학적 변수에 따라서 재방문의도에 통계적으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whether factors of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ffect the revisit intention of the coffee shop, the motivations of coffee consumption affect the revisit intention of coffee shop, and there were statistic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demographic factors. The survey was conducted on Seoul City and Kyeongki-do province in March. 600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and 480 sheets were collected and 470 samples were used for the analysis this study.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except for the wellbeing-motivation all the other motivations statistically affected on the revisit intention of coffee shop. Second, according to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such as gender, marital status, education level, there were statistic differences on the motivations of coffee consumption. Third, there were statistic differences on the revisit intention of coffee shop according to the gender, age, marital status, occupations, and incomes. The implications this study were there were different motivations of coffee consumptions, and the revisit intention of coffee shop were affected according to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 KCI등재

        장기요양요원의 정서적 동기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 인간관계의 매개효과 -

        강동철 한국노인복지학회 2016 노인복지연구 Vol.71 No.2

        This study sought to find out whether affective motives and human relations can provide a reason for turnover intentions reduction. Specifically, this study explored whether the relationships among human relations and affective motives, and the turnover intentions of Long term care workers were mediated by human relations. Using a sample of 217 long term care workers drawn from eight nursing home, this study found that affective motives had some positive significant relationship to the turnover intentions reduce of Long term care workers when human relations was considered. In order to identify how the affective motives influenced human relations, path analysis was conducted. According to the result, All two sub-variables of affective motives turned out not to significantly influence the turnover intentions. However, Human relations turned out to significantly influence the turnover intention. In addition, among subvariables of affective motives, compassion significantly influenced human relations, but self-sacrifice not to significantly influence human relations. Major accomplishment in these research is that mediated effect on the human relations was some confirmed when affective motives influenced turnover intentions, and also that a indirect effect of affective motives was confirmed as well. 본 연구는 정서적 동기와 인간관계가 이직의도 감소에 좋은 방안이 될 수 있는지 그 여부를 알기 위하여 노력하였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정서적 동기가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게 되는 경로에서 인간관계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고자 사회복지법인 산하 장기요양기관 8개소에서 217명의 장기요양요원을 표본으로 추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정서적 동기는 인간관계의 매개효과를 통하여 장기요양요원의 이직의도 감소에 긍정적인 효과가 일부 있는 것으로나타났다. 정서적 동기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경로에서 측은지심과 자기희생은 직접적으로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그러나 인간관계는 이직의도 감소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한편정서적 동기가 인간관계에 미치는 경로에서 측은지심은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지만, 자기희생은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자기희생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는 것은이타주의의 약화가 우려된다. 왜냐하면, 본 연구의 표본이 오랫동안 노인복지를 실천해 온사회복지법인 산하 장기요양기관들이기 때문이다. 즉, 장기요양보험제도의 실시 이후 영리와비영리는 혼재되어 왔으며, 이러한 혼재는 이타주의의 약화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이타주의의 약화는 고차원적 동기를 가진 장기요양요원을 감소시키게 되며, 고차원적 동기를지닌 장기요양요원의 감소는 장기요양에 관련된 비용을 상승시키게 될 뿐만 아니라 서비스품질을 저하시키게 되는 원인이 될 수 있으므로 장기요양제도에서 이타주의를 강화시킬 수있는 방법을 모색하는 것은 서비스 품질 강화와 재정안정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된다.

      • KCI등재

        직무요구가 내재적 동기부여에 미치는 영향 : 상사와 동료의 정서적 및 수단적 지원의 삼원조절효과

        조영삼,홍가혜 대한경영학회 2019 大韓經營學會誌 Vol.32 No.1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job demand and social support on employees’ intrinsic motivation based on the job demand-resource model. Although many researchers have examined the antecedents of intrinsic motivation, a study of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demand and intrinsic motivation was overlooked. Futhermore, there has been a limitation that the existing studies investigated the social support from the dichotomous or integrative perspective (i.e. supervisor and colleague or emotional and instrumental supports). Thus, we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demand and intrinsic motivation first, and then the respective effects of the four types of social support on intrinsic motivation. Especially, unlike previous literature, the remarkable difference in this study is considering the supports of both supervisor and colleague between them, simultaneously. Drawing upon the conservation of resource theory, we expected that employees would be selectively dependent on the social support they needed in the situation of high job demand. Hypothesis 1: Job demand will be negatively related to intrinsic motivation. Hypothesis 2: Supervisor’s emotional support (2a) and instrumental support (2b) will be positively related to intrinsic motivation. Hypothesis 3: Colleague’s emotional support (3a) and instrumental support (3b) will be positively related to intrinsic motivation. Hypothesis 4: Social supports will positively moderate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demand and intrinsic motivation. In the situation of high job demand, the positive moderating effect will be stronger when selectively depending on the support by either supervisor or colleague than when depending on the supports by both supervisor and colleague. Especially, the positive moderating effect will be the strongest when depending on supervisor’s instrumental support. The result indicated that job demand was negatively related to employees’ intrinsic motivation. Contrary to our expectation, only emotional supports of supervisor and colleague were positively related to their intrinsic motivation. The results of the three-way interaction effects showed that job demand and intrinsic motivation was positively related only when supervisor’s instrumental support was stronger and colleagues’ emotional or instrumental support was weaker. Based on these research finding, we discussed theoretical and managerial implications. 본 연구는 직무요구-자원 모형을 기반으로 직무요구와 사회적 지원이 조직구성원들의 내재적 동기부여에미치는 영향을 고찰하였다. 많은 연구자들이 내재적 동기부여의 중요성을 인지하며 그 선행변수를 살펴본실증연구가 상당히 진행되어 왔음에도 불구하고, 직무요구와의 직접적인 관계를 고찰한 연구는 상대적으로간과되어 왔다. 더불어 사회적 지원에 대한 연구 역시도 상사 및 동료의 지원 또는 정서적 및 수단적 지원등의 이분법적이거나 하나의 변수로 통합한 관점에서만 살펴보았다는 한계점이 존재한다. 이에 본 연구는먼저 직무요구와 내재적 동기부여 간의 관계에 주목하고, 사회적 지원을 네 가지 유형 즉, 상사의 정서적지원, 상사의 수단적 지원, 동료의 정서적 지원, 동료의 수단적 지원으로 구분하여 그 원천과 유형에 따른개별적인 직접효과를 조명하였다. 특히, 기존연구와는 달리 본 연구가 가지는 가장 큰 차별점은 직무요구와내재적 동기부여 간의 관계에서 삼원조절효과를 통해 사회적 지원의 핵심적인 두 축으로서 상사와 동료의지원을 동시에 고려하였다는 점이다. 실제로 조직에서 상사와 동료의 지원을 분리하여 이해하는 것보다는공존하는 관계 속에서 차별적인 역할을 규명하는 것이 좀 더 현실적인 접근이라 할 수 있겠다. 본 연구는자원보존이론을 토대로 직무요구가 높은 상황에서 조직구성원들은 자신에게 필요한 사회적 지원에 선택적으로 의존할 것이라고 예상하였다. 연구결과, 직무요구는 내재적 동기부여와 부의 관계를 나타냈다. 네 가지유형의 사회적 지원과 내재적 동기부여 간의 정의 관계는 예상과는 달리 상사의 정서적 지원과 동료의 정서적지원만이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삼원조절효과의 결과는 직무요구가 높은 상황에서 상사와 동료의 지원모두에 의존하기 보다는 상사의 수단적 지원에 선택적으로 의존할 때 내재적 동기부여에 대한 긍정적인 조절효과가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에서는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이론적 및 실무적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학업성취요인은 창의성 신장에 어떻게 기여하는가? : 신념, 목표, 동기 및 태도의 통합적 접근

        안동근(Donggun A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9

        목적 본 연구에서는 교과지식교육에서 강조하는 학업성취요인이 역량계발교육에서 초점을 두는 창의성 향상에 어떻게 기여하는지 탐구하기 위해, 학업과 관련된 신념, 목표, 동기 및 태도 요인이 학문적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력을 검증하였다. 방법 이러한 연구목적을 위해 대학생 152명을 대상으로 지능성장신념, 숙달목표, 내적조절 동기, 정서적 몰입 및 학문적 창의성을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경로분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연구결과, 내적조절 동기는 학문적 창의성에 유의미한 영향력을 미쳤지만, 학문적 창의성에 대한 정서적 몰입의 영향력은 유의미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능성장신념이 숙달목표, 내적조절 동기와 정서적 몰입에 미치는 영향력과 숙달목표가 내적조절 동기와 정서적 몰입에 미치는 영향력은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정서적 몰입에 대한 내적조절 동기의 영향력도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간접효과와 관련하여, 지능성장신념은 내절조절 동기를 매개하여 학문적 창의성에 유의미한 영향력을 미쳤고, 지능성장신념이 숙달목표와 내적조절 동기를 순차적으로 매개하여 학문적 창의성에 미치는 간접적인 영향력도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는 학문영역에서 수행되는 창의성에 대한 학업적 발현기제의 역할을 다측면적(신념, 목표, 동기 및 태도) 관점에서 통합적으로 탐구했다는 점에서 학술적 의의를 지닌다. 실제적 측면에서는 교과지식교육과 역량중심교육이 연계될 수 있는 구체적인 방안을 모색했다는 점에서 의미 있는 시사점을 제공한다. Objectives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academic belief, goals, motivation, and attitude on scholarly creativity. We investigated how academic achievement factors that are focused on content knowledge education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of creativity, which is important for competency-based education. Methods The participants were 152 college students in South Korea. This study measured their intelligence growth belief, mastery goals, internal regulation motivation, affective flow experience in learning, and scholarly creativity.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path analysis method. Results The results showed that internal regulation motivation significantly influenced scholarly creativity, but the effect of affective flow in learning on scholarly creativity was not significant. The effects of intelligence growth belief on mastery goals, internal regulation motivation, and affective flow in learning and the effects of mastery goals on internal regulation motivation and affective flow in learning were significant. Also, the effect of internal regulation motivation on affective flow in learning was significant. Regarding indirect effects, intelligence growth belief significantly influenced scholarly creativity mediated by internal regulation motivation. Finally, intelligence growth belief significantly influenced scholarly creativity successively mediated by mastery goals and internal regulation motivation. Conclusions This study suggests scholarly implications for investigating the roles of academic mechanisms for scholarly creativity from the multidimensional (belief, goals, motivation, and attitude) approach with an integrative method. Also, it has practical implications for suggesting specific ways for connecting content knowledge education and competence-based edu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