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한상석,옥광 한국골프학회 2024 골프연구 Vol.18 No.4
[목적] 본 연구는 한국 골프의 기원에 대한 담론을 통해 한국 골프 도입 시기를 재정립하고자 한다. 원산과 효창원에 각각 설치된 골프장에 대한 사료를 분석하여 한국 골프의 효시를 학문적으로 고찰하고, 한국 골프사 정립의 기초자료로 삼고자 하였다. [방법] 문헌고찰법을 활용하여 1·2차 자료를 수집하고, 관련 사료를 상호주관적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결과] 연구 결과, 1900년 원산의 골프장은 한국인과의 연관성 및 기록의 지속성이 부족하여 효시로 보기 어렵고, 1921년 효창원 골프장이 한국 최초의 공식적 골프장으로 평가된다. [결론] 효창원 골프장이 한국 골프의 효시로 적합하며, 이를 기반으로 한국 골프 역사를 재정립하는 것이 타당하다. [Purpose] This study aims to reestablish the origins of golf in Korea by examining historical discourses on its introduction. Through analysis of records related to golf courses established in Wonsan and Hyochangwon, the study seeks to provide an academic foundation for defining the beginnings of Korean golf history. [Method] Using a literature review approach, the study collected primary and secondary sources, analyzing relevant records from an intersubjective perspective. [Results] The analysis shows that the Wonsan golf course from 1900 lacks sufficient connection to Koreans and continuity in records, making it difficult to consider as the origin. Conversely, the Hyochangwon golf course established in 1921 is identified as Korea’s first official golf course. [Conclusion] The Hyochangwon golf course is suitable to be recognized as the origin of Korean golf, providing a basis for redefining the history of golf in Korea.
토픽 모델링 LDA기법을 적용한 한국골프학회 연구 트렌드 분석(2007-2023)
신승아 한국골프학회 2023 골프연구 Vol.17 No.3
[목적] 이 연구는 한국골프학회의 학문적 정체성과 골프산업의 미래 과제를 탐색하기 위하여 한국골프학회 창간호인 2007년부터 2023년 6월까지 게재된 논문을 대상으로 토픽 모델링을 적용하여 연구 트렌드를 분석하는 것이다. [방법] RISS에서 검색된 국내 학술연구 자료 중 국문 초록을 사용하였다. 검색 기간은 2007년~2023년 6월 게재까지 최종 720건의 연구자료를 선정했다. 자료처리는 Python 3.0을 이용한 빈도분석, 워드클라우드 시각화 분석, 토픽 모델링(LDA 모델 적용), pyLDAvis를 이용한 시각화 분석을 수행하였다. [결과] 토픽은 4가지로 선정되었으며, 골프장 서비스품질 향상을 위한 고객의도 파악과 개선 전략, 선수들의 몰입도와 전문성에 미치는 요인 분석, 프로 골퍼들의 스윙 기술과 경기력, 골프용품 브랜드의 경쟁력 강화에 관한 연구로 구분되었다. [결론] 한국골프학회는 골프산업의 미래 발전과 경쟁력 강화에 기여하며, 산업의 지속적인 성장과 확장에 도움이 될 것이다. 또한, 산업 현장에서도 이러한 전략들을 실제로 적용하여 새로운 비즈니스 기회를 발굴하고 고객들의 만족도를 높이는 데에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Purpose] This study analyzes research trends by applying topic modeling to papers registered from 2007 to June 2023, the first issue of the Korean Society of Golf Studies, to explore the academic identity of the Korean Society of Golf Studies and future tasks of the golf industry. [Method] Korean abstract was used among domestic academic research data searched in RISS. The search period selected the final 720 research data from 2007 to June 2023. For data processing, frequency analysis using Python 3.0, word cloud visualization analysis, topic modeling (applied to the LDA model), and visualization analysis using pyLDAvis were performed. [Results] Four topics were selected, and they were divided into research on identifying and improving customer intentions to improve golf course service quality, analyzing factors affecting players' immersion and expertise, swing skills and performance of professional golfers, and strengthening the competitiveness of golf equipment brands. [Conclusion] The Korean Society of Golf Studies contributes to the future development and competitiveness of the golf industry, and will help the industry continue to grow and expand. In addition, these strategies can be applied in the industrial field to discover new business opportunities and increase customer satisfaction.
곽지영,박정상,김민철 한국골프학회 2017 골프연구 Vol.11 No.2
[목적] 한국사회에서 공유되는 한국여자프로골프 성공담론을 사회문화적 맥락에서 살펴보고, 미디어텍스트를 분석 할 것이다. 이를 통해 한국여자프로골프의 담론 형성에 새로운 장을 마련해보고자 한다. [방법] 1단계의 문헌연구, 2단계는 미디어텍스트 추출을 위하여 신문기사분석을 실시하였다. 3단계는 미디어 텍스 트를 분석하여 범주화한 담론을 선수들과의 심층 면담을 통해 재확인하여, 선수들의 미디어 성공담론에 대한 인 식을 분석하였다. [결과] 한국여자프로골프의 성공에 대한 시대별 고찰은 한국여자골프가 본격적으로 형성된 1970 년대부터 현재까지 역사적 사건을 중심으로 자생기(1970년대 중반 ∼ 1987년), 전환기(1988년 ∼ 1997년), 발전기 (1998년 ∼ 현재)로 구분되었다. [결론] 한국여자프로골프에 대한 미디어 성공담론은 범주별로 다르게 나타났으며, 이를 KLPGA 소속 선수들과의 심층면담을 통해 확인한 결과, 상당수의 미디어담론들이 실제 사실과 다른 왜곡된 인식에 기반 하여 담론을 생산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provide base line data of new Korean Ladies Professional Golf(KLPG) discourse formation by the media report, discourse, and ideology structure which are diversely producing the discourse issues of KLPG, continuously receiving attention from the Korean society. [Method] First, the process of change by era on KLPG success has been followed through literature review. Second, media texts on KLPG were collected and analysed by media frame analysis. Third, the contents of analysis were used for depth interview with ladies professional golfer in KLPG. [Result] Study of KLPG by era was divided into Autogenous period (mid 1970s to 1987), Transition period (1988 to 1997), and Developing period (1998 to present) based on historical events from 1970s when Korean Ladies Golf began. [Conclusion] After depth interview with players in Korean Ladies Professional Golf Association(KLPGA) with contents based on categorized media texts for critical analysis on KLPG success discourse were found to be producing discourse based on distorted perspective.
소셜 빅데이터를 활용한 한국 남녀 프로골프대회 텍스트마이닝 비교 분석
곽규훈,오원근 한국골프학회 2020 골프연구 Vol.14 No.2
[목적] 한국의 프로골퍼를 스타마케팅으로 활용할 수 있는 자료를 제공하는 측면에서 한국 프로골퍼 이미지를 수요자 중심으로 객관화시키는 목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소셜 빅테이터를 활용하여 한국 남녀 프로골프대회 키워드로 텍스트마이닝을 비교 분석하 였다. [방법] 결과 도출을 위해 2008년도부터 2018년도까지 시간적 범위를 설정한 후, 한국 남녀 프로골프대회 키워드로 관련 기 사 및 댓글을 자료로 수집하여 텍스트마이닝, 의미연결망, 소셜데이터 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도출된 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언론기사의 텍스트 출현은 여자 프로골퍼의 빈도가 높았다. 둘째 연도별 남녀 프로골프선수 빈도는 여자 프로골퍼 상위 10위 선 수의 키워드가 상대적으로 높았으며, 여자는 상승패턴, 남자는 하락패턴 경향을 보였다. 셋째, 남녀 프로골프선수의 의미연결망 분석에서는 여자프로골퍼들이 강한 군집 연결망을 보였으며 해외 선수들의 관련 내용을 중심으로 네트워크가 강하게 구성되었다. 넷째 소셜빅데이터 분석에서는 남자가 부정적, 여자가 긍정적으로 강한 의미성을 보였다. [결론] 골프산업 기업들이 선수를 후원 하거나 스타마케팅 정책을 수립한다면, 해외파 여자 프로골퍼의 종합적 이미지가 팬들에게 호감을 줄 수 있어 이들을 선택하는 것이 소비자를 고려한 마케터의 최선책이라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Purpose] In order to provide data that uses Korean professional golfers as star marketing, this study analyzed text mining with keywords of Korean male and female professional golf tournaments using social big data, with the goal of objectively objectifying the professional golfer image projected on consumers. [Method] In order to derive the results, after setting the time range from 2008 to 2018, the related news articles and comments were collected with keywords of the Korean men and women professional golf competition, and text mining, semantic network analysis, and network analysis were conducted. [Result] According to the results, first, texts in the press articles appeared more frequently for female professional golfers. Second, the frequency of press articles on male and female professional golfers by year was relatively high in the keywords of the top 10 female professional golfers with the trend going upward for women and downward for men. Third, in the analysis of the semantic network of male and female professional golfers, female professional golfers showed a strong network of connections, and the network was strongly composed around the relevant content of overseas players. Fourth, in the analysis of social big data, males had significant negative significance and females had significant significance. [Conclusion] It is concluded that, when companies in the golf industry sponsor players or establish a star marketing policy, since the overall image of overseas women's professional golfers can appeal more to fans, they should choose them, which is deemed the best option for marketers considering consumers.
골프선수가 지각하는 부모의 교육관여가 선수의 자결성 동기 및 운동지속에 미치는 영향
전광우,정일미,김동규 한국골프학회 2018 골프연구 Vol.12 No.2
[목적] 본 연구는 골프 선수들이 지각하는 부모의 교육관여가 선수의 자결성 동기 및 운동지속에 미치는 영향력 을 규명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방법] 한국(여자)프로골프협회를 비롯한 대학골프연맹에 소속된 선수 198명을 대 상으로 SPSS 18.0과 AMOS 18.0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신뢰성 분석, 다중회귀분석 및 구조모형 검증을 실시하였다. [결과] 첫째, 부모의 교육관여가 골프선수의 자결성 동기에 부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부모의 교육관여가 골프선수의 운동지속에는 부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골프선수의 자결성 동기는 운동지속에 부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부모의 교육관여가 골프선수의 자결성 동기와 운동지속에 구조적 관계에서는 부모의 교육관여가 운동지속에만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선수가 지각하는 부모의 교육관여는 선수의 자결성 동기와 운동지 속에 부분적으로 긍정적 효과가 있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parents 'educational involvement on the Self-determination and Continued exercise of Golf Player. [Method] The collected data(198) were analyzed using frequency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multi regression analysis, structural equation model. [Result] Firstly, Parents' involvement in education has a significant effect on golf player self-determination. Secondly, Parental involvement has a significant effect on the continuation of the athlete's exercise. Thirdly, The self-determination of the golf player showed a slight influence on continue of exercise. Fourthly, Parent education involvement has a significant effect only on the continuation of the exercise in the structural relationship. [Conclusion] Therefore, the parents educational involvement is partially positve effect on self-determination and continued exercise
강방수,류동수 한국골프학회 2018 골프연구 Vol.12 No.4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perception of the professional knowledge of golf instructor. This study will provide it as basic data necessary for the improvement of professionalism of golf instructor and training course. [Method] This study used qualitative research method. Participants selected 5 professors to teach golf players. Data were colle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from September to December 2017. Data analysis used inductive category analysis and subject analysis method to analyze the raw data [Result] The golf instructor's professional knowledge was divided into several professional knowledge. First, golf content knowledge included theoretical and practical knowledge, second, golf teaching knowledge has golf training method and golfer management knowledge, third, golf purpose knowledge has teaching goal, and career enhancement knowledge, fourth, golf environment knowledge has golfer’s situation and their environmental knowledge, last, golf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has time and place knowledge. [Conclusion] This study searched the professional knowledge of golf instructor. It came to systematically classified professional knowledge.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the professional knowledge system necessary for the improvement of the professionalism of the golf instructor. [목적] 본 연구는 골프지도자를 대상으로 전문지식에 대한 인식을 탐색해 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골프지도에 필요한 전문지식을 체계적으로 정립해보고, 골프지도자의 전문성 향상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방법] 연구참여자는 유목적 표집방법을 이용하여 선정되었으며, 심층면담을 통해 2017년 9월부터 2018년 3월까지총 7개월에 걸쳐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분석은 주제별 분석방법과 귀납적 분석방법을 사용하였다. [결과] 골프지도자의 인식을 통해 알아본 전문지식으로는 첫째, 골프 내용지식으로 골프이론지식과 실기지식이 필요하고, 둘째, 골프 지도방법지식에는 훈련지식과 선수관리지식이 필요하였다. 셋째, 골프지도 목적지식은 골프지도자의 코칭철학, 지도목표, 그리고 자기관리지식이 포함되어야 했으며, 넷째, 골프지도 환경지식에서는 선수의 주변환경과상황을 파악하는 지식과 골프 직무지식으로 구성되었다. 마지막으로 골프 내용교수지식에서는 시기별, 장소별 지식이 필요하였다. [결론] 본 연구에서 얻어진 결과를 통해 골프지도자의 전문성 향상과 지도자 양성과정에 필요한전문지식체계를 확립하는데 안내자의 역할을 담당하길 기대한다.
DEA 모형을 통한 한국여자프로골프 선수의 효율성 평가 및 경기성적과 상금 영향 분석
김필수,이상현 한국골프학회 2023 골프연구 Vol.17 No.3
[목적] 한국여자프로골프(KLPGA) 선수의 효율성에 대해 이론적으로 개념화하고 해당 효율성이 실제 선수의 경기성적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는 것에 연구의 목적이 있다. [방법] 실증결과를 도출하기 위해 최근 10년(2014~2023년) 동안 한국여자프로골프 투어에 참여한 2,527명의 선수 경기기록을 KLPGA 홈페이지와 대회 이벤트 페이지에서 수집하여 패널 데이터를 구축하고 R4.3.1을 활용하여 자료포락분석을 시행하였다. 아울러, STATA 16을 활용하여 패널 분석방법 중 GLS 회귀분석모형을 적용하여 프로골프선수의 효율성이 톱텐 피니쉬율(TOP10 Finish), 상금, 평균 타수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결과] 한국여자프로골프 선수의 효율성은 선수의 성적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드러났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의 실증분석 결과 효율성이 높은 선수들이 우승을 경험할 가능성이 크다고 볼 수 있으며, 톱텐 피니쉬율, 상금, 상금 포인트 각각의 변수와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다. [결론] 최근 골프연구의 분야에서 중요한 개념으로 부상하고 있는 선수 효율성에 대해 이론적으로 확장하고 실증함으로써 한국여자프로골프 선수의 성적을 명확하게 규명하고 실무적으로 유용한 참고자료의 기능이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theoretically conceptualize the efficiency of KLPGA golfers and to identify the effect of efficiency on actual player performance. [Method] To derive our empirical results, we collected the game statistics and outcome records of 2,527 players who participated in the KLPGA Tour for the last 10 years (2014~2023) from the KLPGA website and tournament event pages to systematically construct a panel data and conducted a data envelopment analysis using R4.3.1. In addition, the GLS regression model was applied to analyze the effect of professional golfers' efficiency on their TOP10 finish rate, prize money, and average strokes gained using the STATA 16 statistical software package. [Result] Our statistical results find that the efficiency of KLPGA golfers affects their performance. Specifically, the empirical analysis of this study shows that players with higher efficiency are more likely to experience wins and a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each of the following variables: top ten finishes, prize money, and prize points. [Conclusion] By theoretically extending and empirically demonstrating player efficiency, which has recently emerged as an important concept in the field of golf research, this study is expected to clearly identify the performance of Korean women's professional golfers and serve as a useful reference in practice.
김성일 한국골프학회 2019 골프연구 Vol.13 No.3
[Purpose]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golf performance of Korean men players using data of golf players who participated in PGA tour for 19 years from 2000 to 2018. [Method] The eight variables of golf performance were selected and the descriptive statistics were compared and analyzed. In addition,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effects of golf technology factors on prize money ranking. [Result] Korean golfers showed good results in average putting number, scrambling, bunker save rate and non-Korean golfers showed good results in driver distance and green hit rate. The total number of Korean players in the past was 27 wins, Korean players were 16 wins, and American-Korean players were 11 wins. [Conclusion]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relative contribution of Korean athletes to the prize money rankings in the PGA tour competition, it was shown that the average number of hits, average number of birdies, average number of putts, and green hit rate were in order. [목적] 본 연구에서는 2000년부터 2018년까지 총 19년간 PGA 투어에 참가한 골프선수들의 자료를 이용하여 한국남자 선수들의 골프 경기력 분석을 하고자 하였다. [방법] 골프 경기력 9개의 변인을 선정하여 기술통계를 비교분석, 상관분석을 하였다. 상금순위에 대하여 골프 경기력 요인들의 기여도의 분석을 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한국 골프선수들은 평균 퍼팅수, 스크램블링, 벙커세이브율에서 좋은 결과를 보였으며, 비한국 골프선수들은 드라이버 비거리, 그린 적중률에서 좋은 결과를 보였다. 역대 한국선수들의 총 우승 횟수는 27승으로 나타났고, 한국선수들은 16승, 한국계 선수들은 11승의 결과를 보였다. [결론] PGA 투어대회에 참가한 한국선수들의 상금순위에 대한 상대적 기여도를 살펴본 결과 평균 타수, 평균 버디수, 평균 퍼팅수, 그린 적중률 순으로 나타났다.
국내 골프관련 연구동향 분석 : 한국골프학회지를 중심으로
이현우,이승훈 한국골프학회 2014 골프연구 Vol.8 No.3
이 연구는 국내 골프관련 연구동향을 분석한 것으로써 한국골프학회지를 중심으로 수행하였다. 이는 학문의 균형있는 발전을 위해 연구물의 동향 파악이 필요하다는 것에서 기인하였다. 한국골프학회지가 간행되기 시작한 2007년의 제1권 제1호부터 시작하여 지금까지 나온 2014년의 제8권 제2호의 156편의 논문을 전수조사하여 타당도와신뢰도를 높이는 데 주력하였다. 논문을 분석함에 있어서 그 기준을 명확하게 제시하기 위해 분석물에 대한 체크리스트를 작성하여 진행하였으며, 4명의 전문가가 토론을 통하여 의견을 일치시켰다. 구체적인 분석 결과, 주로경기력과 관련된 연구주제가 많았으며, 대부분 과학과 관련된 학문분야에서 수행된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과학이라고 하여 오로지 실험연구만 수행된 것은 아니었지만, 통계를 활용한 연구들이 주를 이루고 있어서 연구방법의 과학화가 명확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전체적으로 골프학문에 있어서 과학연구와 과학적 연구방법으로시도된 연구들이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는데, 골프 및 골프학문의 발전을 위해서는 기초학문이라 할 수 있는 인문분야 연구와 균형을 맞출 필요성이 제기된다.
한국 골프장과 내장객을 통한 골프장 산업 활성화 방안 : 충청권 중심으로
송낙훈,지훈,김동기 한국골프학회 2014 골프연구 Vol.8 No.1
본 연구는 골프장 산업과 관련된 각종 참고문헌, 2012년 12월 골프장 통계자료, 전문기관들의 자료를 비교 분석하여 골프장의 증·감 또는 골프장의 내장객 변화추이와 수요예측의 문제점을 분석하여 충청권 골프장 활성화 대응방안 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첫째, 충청권의 내장객 수와 골프장수, 둘째, 충청권의 현재 운영 중인 골프장과 건설 중인 골프장, 셋째, 충청권 골프장 발전 방안에 대해서 분석하였다. 그 결과, 충청권에 특징인 세종시와 도청이전과 같은 지역에 유리한 조건과 정보기술(IT)을 뒷받침해왔던 대전 대덕연구단지를 능가할 첨단 기술 ‘메카’, 서해안 고속 도로로 인해 빠른 교통편은 경기도 서울 수도권 지역의 사람들이 쉽게 골프장을 갈 수 있는 지역으로 발전되고 있 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충청권의 특징과 현황을 제시함으로써 골프장 활성화 방안과 역할을 모색하였고, 다른 지방자치단체의 체계적인 관리 인식과 경쟁적 우위 전략을 수립할 수 있도록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연구의 결과 는 한국골프장 산업의 성장 촉진제 역할과 더 나아가 골프 경영진의 기초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increase and decrease of golf courses or the problems of demand prediction as well as the change of visitors to golf courses to search for a countermeasure to revitalize golf courses in the Chungcheong region by comparing and analyzing various literatures related to the golf course industry and the golf course statistics and data of professional institution in December 2012. This study analyzed first the numbers of the golf course visitors in the Chungcheong region, second the golf courses that are currently in operation and in construction and third a plan to develop the golf courses in the Chungcheong region.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due to the quick transportation of Seohaean Expressway, the 'mecca' of advanced technology that can excel the Daejeon Daedeok Industrial Complex that have supported beneficial conditions and IT in the regions such as a characteristic of the Chungcheong region, Sejong-si and the area where the provincial government building transferred, the golf courses in the Chungcheong region develops to golf courses where the people of the Gyeonggi-do and Seoul metropolitan areas can easily visit. By suggesting these characteristics and situations of the Chungcheong region, the study searched for a plan to revitalize the golf course industry and furthermore, suggested a strategy to establish systematic management recognition and competitive advantages of other autonomous entities. At last, it is considered that this study can play a role in promoting the growth of the Korean golf course industry and furthermore, provide the golf management with basic inform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