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자기효능감이 회복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 심리적 안녕감의 매개효과와 자기통제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배소피아앤,최광현 세명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24 人文 社會科學硏究 Vol.32 No.2

        · 연구 주제: 본 논문은 자기효능감이 회복탄력성에 미치는 효과를 미치는지 실증분석을 통해 검증하고, 심리적 안녕감이라는 매개변수를 통해 이 관계가 보다 강화됨을 규명한다. 그리고 자기효능감이 회복탄력성 간의 관계에서 자기통제가 어떠한 조절효과가 있는지 대해서도 실증분석을 통해 연구결과를 제시한다. · 연구 배경: 자기효능감과 회복탄력성 간의 관계에 대한 선행 연구들이 있지만, 이들 사이의 정확한 인과관계와 그 영향 메커니즘에 대한 이해는 명확히 규명되지 않았다. 따라서 자기효능감이 회복탄력성에 미치는 영향을 입증하는 것이 필요하며, 이를 이해함으로써 정신건강 및 스트레스 관리에 대한 다양한 영역에서의 적용 가능성을 탐구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자기효능감이 회복탄력성에 미치는 영향관계에서 심리적 안녕감은 매개역할을 통해 자기효능감이 회복탄력성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보다 강화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자기통제는 자기효능감과 관련이 깊으며, 회복탄력성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따라서 자기통제는 자기효능감이 회복탄력성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조절하는 요인으로 역할을 하는지에 대하여 살펴볼 필요가 있다. · 선행연구와의 차이점: 첫째, 본 논문은 자기효능감과 회복탄력성 사이의 관계를 조사하면서, 심리적 안녕감의 매개효과와 자기통제의 조절효과에 초점을 두고 연구하였다. 즉, 본 연구는 기존 연구들과 비교하여 자기효능감과 회복탄력성의 관계만 검증하는 것이 아니며, 심리적 안녕감의 매개효과와 자기통제의 조절효과에 중점을 두고 실증분석을 수행하였다. 둘째, 본 논문은 자기효능감, 회복탄력성, 심리적 안녕감 및 자기통제 간의 관계와 상호작용을 탐구하였다. 실증분석시, 자기효능감을 자기조절감, 자신감, 도전감의 하위요인으로 구분하여 각각 분석을 수행하였으며, 심리적 안녕감을 삶의 만족감, 긍정적 정서의 하위요인으로 구분하여 각각 분석을 수행하였다. 셋째, 본 연구는 심리상담의 관점에서 실무적으로 상담자에게 자기효능감을 심어주는 것이 회복탄력성을 향상하는 데 도움이 되는지에 대하여 유용한 정보를 제공한다. 이때, 심리적 안녕감이 매개역할을 한다면 회복탄력성 향상에 더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자기통제가 필요함에 대해서도 본 논문의 결과는 의미있는 정보를 제시한다. · 연구방법: 본 연구에서는 만 20세 이상의 성인 250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및 오프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데이터를 수집하였으며, 통계 분석에는 IBM 버전 29.0을 사용하였다. 표본의 인구 통계학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빈도 분석과 기술통계 분석을 수행하였으며, 측정 항목의 신뢰성과 타당성을 평가하기 위해 탐색적 요인 분석과 Cronbach's α 계수를 사용한 신뢰성 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자기효능감이 회복 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관계를 파악하고, 이 관계에서 심리적 안녕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매개효과 검정을 수행하였다. 그뿐만 아니라, 자기효능감이 회복 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관계에서 자기통제의 조절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조절효과 검정도 실시하였다. · 연구결과: “자기조절감은 회복탄력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라는 연구가설 1-1과 “자신감은 회복탄력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라는 연구가설 1-2, 그리고 “과업도전감은 회복탄력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 Research topics: This paper verifies the effect of self-efficacy on resilience through empirical analysis, and clarifies that this relationship is strengthened through the parameter of psychological well-being. In addition, the results of research are presented through empirical analysis on the moderating effect of self-control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fficacy and resilience. · Research background: Although there have been previous studi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fficacy and resilience, the exact causal relationship between them and the understanding of the mechanism of their influence have not been clearly identified.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prove the effect of self-efficacy on resilience, and by understanding this, it will be possible to explore its applicability in various areas of mental health and stress management. An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ffects of self-efficacy on resilience, psychological well-being is expected to be able to further strengthe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fficacy on resilience through a mediating role. In addition, self-control is deeply related to self-efficacy and can affect resilienc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examine whether self-control plays a role in controlling the influence relationship of self-efficacy on resilience. · Differences from prior research: First, while investiga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fficacy and resilience, this paper focused on the mediating effect of psychological well-being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self-control. In other words, compared to previous studies, this study did not only ve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fficacy and resilience, but also conducted an empirical analysis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psychological well-being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self-control. Second, this paper explored the relationship and interaction between self-efficacy, resilience, psychological well-being, and self-control. In the empirical analysis, self-efficacy was divided into sub-factors of self-regulation, confidence, and challenge, and psychological well-being was divided into sub-factors of life satisfaction and positive emotions, and each analysis was performed. Third, this study provides useful information on whether instilling a sense of self-efficacy in counseling in counseling practically helps improve resilience. At this time, if psychological well-being plays a mediating role, it has a more significant effect on improving resilience, and the results of this paper also suggest meaningful information about the need for self-control. · Research method: In this study, data were collected by conducting online and offline surveys on 250 adults over the age of 20, and IBM version 29.0 was used for statistical analysis. Frequency analysis and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were performed to understand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e sample, and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reliability analysis using Cronbach's α coefficient were performed to evaluate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measurement items. In addition, a mediating effect test was performed to identify the influence relationship of self-efficacy on resilience an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psychological well-being in this relationship. In addition, a moderating effect test was conducted to confirm the moderating effect of self-control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ffects of self-efficacy on resilience. · Research results: Research Hypothesis 1-1 of "Self-regulation will have a positive effect on resilience," "Confidence will have a positive effect on resilience," and research Hypothesis 1-2 of "Overwork challenges will have a positive effect on resilience." Research Hypothesis 1-3 of "Self-efficacy will have a positive effect on resilience" was adopted. Therefore, research hypothesis 1 of "Self-efficacy will have a positive effect on resilience" was adopted. Research hypothesis 2-1 of "Satisfaction with life wil...

      • KCI등재

        중소기업 조직구성원의 자기효능감이 직무열의와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구조모형분석-인공신경망 분석의 적용

        강태원,이용기,이용숙 한국벤처창업학회 2018 벤처창업연구 Vol.13 No.6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impact of self-efficacy of SMEs’ organization members on job engagement and job performance, and to analyze the difference between gender and marital status by applying SEM-ANN analysis. To accomplish the study purpose, 285 valid samples were collected from 400 SMEs' organization members and analyzed. In this study, self - efficacy consisted of three sub-dimensions: self-confidence, self-regulation efficacy, and task difficulty preference. As a result of the analysis, self - efficacy such as self-confidence, self-regulation efficacy, and task difficulty preference had a positive direct effect on job engagement. In addition, self-efficacy and self-control efficacy have a positive effect on job performance, but the preference of task difficulty has no significant effect. In addition, job engagement has a positive(+) effect on job performance, and has a medi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fficacy and job performance. Also, married males preferred self-regulation efficacy, while females preferred self-regulation and self-control efficacy regardless of marital statu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framework of self-efficacy-job engagement-job performance of SMEs by measuring the self-efficacy related researches mainly in education and service industries, and is meaningful that companies can help to find the basis of management of organization members by gender and marital status of organization members. In addition, the SEM-ANN analysis process of this study is different in that it explains the nonlinear (nonobservative) relationship that can analyze the influence or the combination of the reference variables in the linear (compensatory) relation using the SEM. 본 연구의 목적은 중소기업 조직구성원의 자기효능감이 직무열의와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고 SEM-ANN (structural equation modeling-artificial neural network) 분석을 적용하여 성별 (gender)과 결혼 여부의 변수에 따른 차이를 분석하기 위한 것이다. 연구목적의 달성을 위하여 400명의 중소기업 조직구성원들로부터 자료를 수집하여 285명의 유효표본이 분석에 이용되었다. 본 연구에서 자기효능감은 자신감, 자기조절효능감, 그리고 과제난이도 선호의 세 가지 하위차원으로 구성되었다. 분석 결과, 자신감, 자기조절효능감, 그리고 과제난이도 선호 등의 자기효능감은 직무열의에 직접적으로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자기효능감 중 자신감과 자기조절효능감은 직무성과에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나, 과제난이도 선호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직무열의는 직무성과에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자기효능감과 직무성과 간의 관계에서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미혼 남성은 과제난이도 선호 , 기혼 남성은 자기조절효능감을 가장 중요시하나, 여성은 결혼 여부에 관계없이 자신감과 자기조절효능감을 중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주로 교육 및 서비스업종 등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자기효능감 관련 연구를 다차원으로 측정하여, 중소기업 구성원들을 대상으로 하여 자기효능감-직무열의-직무성과 간의 프레임워크를 제시하고, 기업들이 조직구성원의 성별, 결혼 여부에 따른 조직구성원 관리의 근거를 찾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는데 의의가 있다. 또한, 본 연구의 SEM-ANN 분석 과정은 지금까지 SEM을 이용한 선형적(보상적) 관계에서 영향 또는 기준 변수들의 조합을 분석할 수 있는 비선형적(비보상적) 관계를 설명한다는 점에서 차별성이 있다

      • KCI등재

        부모자녀관계와 자기효능감이 청소년의 학업성취와 효도에 미치는 영향

        박영신(Youngshin Park),이임순(Yimsoon Lee),이상희(Sanghee Lee),김태우(Taiou Kim) 한국교육심리학회 2015 敎育心理硏究 Vol.29 No.3

        이 연구에서는 부모자녀관계와 자기효능감이 청소년의 학업성취와 효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데 주된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부모자녀관계는 부모 희생, 부모 존경, 부모에 대한 죄송함을 하위변인으로 하였으며, 자기효능감은 부모관계효능감, 자기조절학습효능감, 어려움극복효능감을 하위변인으로 포함하여 경로분석을 하였다. 분석 대상은 중학교 1학년 298명(남 169, 여 129)이었으며, 측정도구의 신뢰도는 α=.78∼.90이었다. 분석 결과, 첫째, 부모자녀관계(희생, 존경, 죄송함)는 자기효능감에 대해 정적인 영향이 있었는데, 특히 부모에 대한 존경심이 높을수록 청소년의 자기효능감이 높았다. 둘째, 자기효능감(부모관계효능감, 자기조절학습효능감, 어려움극복효능감)은 학업성취에 정적인 영향이 있었는데, 특히 자기조절학습효능감이 높은 청소년일수록 높은 학업성취도를 나타내었다. 셋째, 자기효능감은 효도에 정적인 영향이 있었는데, 특히 부모관계효능감이 높은 청소년일수록 부모에게 효도하였다. 넷째, 부모자녀관계는 자기효능감을 매개변인으로 하여 학업성취와 효도에 대해 간접효과가 있었는데, 특히 부모에 대한 존경심이 높은 청소년이 부모관계효능감을 매개로 하여 학업성취가 증진되고 부모에 대한 효도를 많이 하였다. 다섯째, 청소년의 학업성취와 효도는 정적인 관계를 나타내었다.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parent-child relationship and self-efficacy on adolescent academic achievement and filial piety. This is end, various path analyses were conducted while rotating the parent-child relationship variables (conceptualized as parental sacrifice, respect towards parents and indebtedness towards parents), and self-efficacy variables (conceptualized as adolescent``s relational efficacy towards their parents, self-efficacy for self-regulated learning, and resiliency of self-efficacy).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298 Korean middle school students (169 males, 129 females). The questionnaires displayed Cronbach alpha coefficients ranging from 0.78 to 0.90. The results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path coefficient of parent-child relationship (sacrifice, respect, and indebtedness) on self-efficacy, the direct effect was especially stronger with regards to the influence of respect for parents on adolescent self-efficacy, that is the higher the level of respect for parents the greater the adolescent self-efficacy. Second, the results showed a significant and positive path coefficient of self-efficacy (relational efficacy, self-efficacy for self-regulated learning, and resiliency of self-efficacy) on academic achievement, the direct effect was especially stronger with regards to the influence of self-efficacy for self-regulated learning on academic achievement, that is the higher level of self efficacy for self-regulated learning the higher the academic achievement. Third, the results also showed a significant and positive path coefficient of self-efficacy on filial piety, the direct effect was especially stronger with regards to the influence of adolescent``s relational efficacy towards their parents on filial piety, that is the higher level of relational efficacy towards their parents resulted in greater displays of filial piety. Fourth, indirect effects were seen for parent-child relationship upon academic achievement and filial piety, with the effects stronger for respect for parents and relational efficacy towards their parents, that is the higher the level of respect for their parents the higher the mediating effects of relational efficacy towards their parents, resulting in greater academic achievements and display of filial piety. Fifth,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academic achievement and filial piety.

      • KCI등재

        비서직무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에 관한 연구

        한나라(Han, Na-Ra),최애경(Choi, Ae-Kyung) 한국비서학회 2011 비서·사무경영연구 Vol.20 No.2

        본 연구의 목적은 비서 직무 상황에서 직업적 수행을 예측할 수 있는 비서직무 자기효능 감을 개념화하고, 이를 측정하는 도구를 개발하여, 타당도를 검증하는 데에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자기효능감에 대한 문헌고찰을 통해 도출된 자신감, 자기조절 효능감, 과제난이도 선호 세 가지 구인을 비서직무 자기효능감의 잠정적인 구성 요인으로 설정한 후 비서 직무에 대한 문헌고찰을 통해 비서 직무 내용을 전화응대, 방문객응대, 경조사업무, 일정관리, 회의관리, 출장관리, 사무환경정비, 문서관리, 회계업무, 개인신상 보좌업무로 분류하였다. 세 개의 구성요소와 열 개의 직무 내용 영역을 모두 포괄할 수 있는 60개의 문항으로 비서 직무 자기효능감 예비척도를 구성한 후, 이 척도를 사용하여 192명의 현직 비서에게 예비검사를 실시하였다. 예비검사 결과의 문항분석, 요인분석, 내용 타당도 검증을 통해 최종 척도 24문항이 선별되었다. 비서직무 자기효능감 최종 척도를 예비검사 때와는 다른 140명의 현직 비서를 대상으로 본검사를 시행한 후 다시 문항분석,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비서직무 자기효능감 척도의 신뢰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문항내적합치도(Cronbach's α)를 산출하였으며 비서직무 자기효능감 척도의 구성타당도 중 수렴변별타당도를 알아보기 위해 비서직무 자기효능감 척도의 하위요인들과 일반적 자기효능감 척도와의 상관분석을 실시하여 그 결과로 24문항을 확정하였다. 후속 연구에서는 보다 다양한 집단을 대상으로 한 검증과정을 거쳐 본 척도를 보다 정교화한다면 비서학 분야의 자기효능감 관련 연구의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d validate a secretary self-efficacy scale. Literature review and job analysis results indicated that there are three components of secretary self-efficacy: self-confidence, self-regulatory efficacy, and task difficulty preference in 10 job-related areas. On the basis of these sub-components, 60 items were constructed. The preliminary secretary self-efficacy scale was administered to 207 secretaries. The responses of 192 secretaries were analyzed. Item analysis was conducted to select appropriate items and common factor analysis was done to identify the sub components of the secretary self-efficacy scale. As a result, 24 items were selected and 3 factors were identified as the construct of secretary self-efficacy scale. The modified secretary self-efficacy scale and general self-efficacy scale were administered to 145 secretaries and the responses of 140 secretaries were analyzed. As a result of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24 final items were confirmed and 3 factors were identified as the construct of final secretary self-efficacy scale. The internal consistency of each factor was proved to be acceptable. Correlation analysis among the sub-scores of secretary self-efficacy scale and general self-efficacy scale were conducted for construct validity.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further studies were discussed.

      • KCI등재

        자기효능감이 노인 장기요양기관 이용자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강천국,최세영 한국사례관리학회 2023 사례관리연구 Vol.14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effect of self-efficacy of users of long-term care institutions for the elderly on the quality of life. This study surveyed and analyzed a total of 374 elderly people at elderly care institutions located in Seoul, Gyeonggi, and Chungcheong from October 2021 to April 2022. The results of the study on the effect of self-efficacy on life are as follows. First, self-acceptance (β=) among the sub-factors of self-efficacy of physical satisfaction.363, p<.001) and social efficacy (β=.136, p<.05)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Second, among the sub-factors of self-efficacy of psychological satisfaction, self-fulfillment (β=).247, p<.001), social efficacy (β=.203, p<.01), self-acceptance (β=.190, p<.01)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Third, among the sub-factors of self-efficacy of social satisfaction, social efficacy (β=.376, p<.001) and self-acceptance (β=.233, p<.001)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Fourth, self-acceptance (β=) among the sub-factors of self-efficacy of indoor living environment satisfaction.159, p<.05) and self-fulfillment (β=.150, p<.05) and outdoor living environment and self-acceptance (β=.159, p<.05) and self-fulfillment (β=.150, p<.05)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se results suggest that self-efficacy plays an important role in improving the quality of life of users of long-term care institutions for the elderly.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 장기요양기관 이용자의 자기효능감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본 연구는 2021년 10월부터 2022년 4월까지 서울, 경기, 충청 지역에 위치한 노인요양기관에서 총 374명의 노인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여 분석하였다. 자기효능감이 삶에 미치는 영향의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신체적 만족의 자기효능감의 하위요인 중 자기수용감(β=.363, p<.001)과 사회적 효능감(β=.136, p<.05)이 신체적 만족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둘째, 심리적 만족의 자기효능감의 하위 요인들 중에서 자기성취감(β=.247, p<.001), 사회적 효능감(β=.203, p<.01), 자기수용감(β=.190, p<.01)이 심리적 만족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셋째, 사회적 만족의 자기효능감의 하위 요인들 중에서 사회적 효능감(β=.376, p<.001)과 자기수용감(β=.233, p<.001)이 사회적 만족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넷째, 실내 생활환경 만족의 자기효능감의 하위 요인들 중에서 자기수용감(β=.159, p<.05)과 자기성취감(β=.150, p<.05)과 실외 생활환경과 자기수용감(β=.159, p<.05)과 자기성취감(β=.150, p<.05)은 실내외 생활환경 만족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자기효능감이 노인 장기요양기관 이용자들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 KCI등재

        예비 유아교사의 자기효능감 연구의 동향

        장상옥(Jang, Sang Ock)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예비 유아교사의 자기효능감 연구의 방향 모색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예비 유아교사의 자기효능감 연구 동향을 연구 연도, 연구유형, 자기효능감 종류, 측정도구 및 연구주제에 따라 분석하였다. 분석 대상은 2000년1월부터 2019년 12월까지 한국연구재단 등재(후보)지 32종에 게재된 예비 유아교사의 자기효능감 관련 논문 77편이다. 연구 결과, 예비 유아교사의 자기효능감 관련 연구는 2000년대에는 매우 미미하였으나 2010년대 전반부터 다소 증가하기 시작하여 2010년대 후반에는 비교적 활성화되었다. 연구유형은 양적연구가 압도적이었으며 혼합연구는 매우 적었고 질적 연구는 이루어지지 않았다. 양적 연구에서 조사연구는 최근으로 올수록 증가하였으나, 실험연구는 답보상태이었다. 자기효능감의 종류는 일반적 자기효능감이 학업적 자기효능감,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같은 특정 자기효능감보다 많았다. 측정도구는 연구자 개발도구가 외국 도구의 번안 및 재구성 도구에 비하여 더 이용되었다. 연구 주제는 예비 유아교사의 자기효능감 관련 변인 연구(80.5%)가 상당수를 차지하였고, 자기효능감 증진 프로그램 연구(19.5%)는 저조한 경향이었다. 예비 유아교사의 자기효능감을 증진하기 위하여 자기효능감 관련 변인들에 대한 분석과 교사교육 프로그램 개발 필요성이 논의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trend of early childhood pre-service teachers’ studies related to self-efficacy according to the research year, research type, self-efficacy type, measurement tool, and research theme. The subject of analysis was 77 early childhood pre-service teachers’ self-efficacy papers published in the Korea Research Foundation from 2000 to 2019. As a result of the study, an average of 3.9 self-efficacy studies of early childhood pre-service teacher were published annually for 20 years. The studies were very small in the 2000s, but began to increase somewhat in the first half of the 2010s, and were relatively large in the late 2010s. As for the research type, quantitative studies(97.4%) were overwhelming, mixed studies(2.6%) had a low weight, and qualitative studies were not conducted. In quantitative research, research has increased in recent years, but the rate of increase in experimental research has not been high. The types of self-efficacy were higher in general self-efficacy than in the study of specific self-efficacy such as academic self-efficacy and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As a measurement tool, the researcher s developed tool was used more than the tool for reconstruction and reconstruction of foreign tools. The theme of the study was many studies of variables related to self-efficacy, and the study of programs to promote self-efficacy was insufficient. The need to analyze the variables related to self-efficacy and develop teacher education programs were discussed in order to promote the self-efficacy of early childhood pre-service teacher.

      • KCI등재

        메타인지 기반 과학자기효능감 증진 교수학습 전략 개발

        조규영,김현섭 한국현장과학교육학회 2018 현장과학교육 Vol.12 No.2

        본 연구에서는 학생들의 과학자기효능감을 증진시키기 위한 방안으로 메타인지 기반 과학자기효능감 증진 교수․학습 전략을 개발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일반적인 학업적 자기효능감을 바탕으로 과학자기효능감을 정의하고 그 구성요소로 과학자기자신감, 과학수행자신감, 과학성취기대감을 추출하였다. 이어서 메타인지의 자기조절 전략을 활용하여 수업 단계를 준비, 참여, 조화, 평가 단계로 구분하고 각 단계마다 자기-질문을 통하여 자신을 점검하게 하였다. 그리고 수업 단계마다 다양한 성취경험과 대리경험을 제공하고 교사의 긍정적인 언어적 설득과 정서적 대처 훈련을 가미함으로써 학습자의 과학자기효능감을 증진시킬 수 있는 교수․학습 전략과 수업 과정을 개발하였다. 이렇게 개발된 교수․학습 전략을 중학교 과학교과‘자극과 반응’ 단원 수업에 적용한 후 과학자기효능감 증진에 미치는 효과를 설문지 검사를 통하여 알아보았다. 그 결과, 메타인지 기반 과학자기효능감 증진 교수․학습 전략 수업을 활용한 수업이 학습자들의 전체적인 과학자기효능감 증진과 과학자기자신감, 과학수행자신감 요소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teaching-learning strategies for improving the science self-efficacy in secondary school. For its sake, we have defined the science self-efficacy and extracted components of science self-efficacy from the base on the general academic self-efficacy. There are three components of science self-efficacy: self-confidence in science, performance-confidence of science, and achievement-expectation of science. And then we have developed the instruction process using the teaching and learning strategies to improve science self-efficacy based on the metacognition in secondary school science. In science class, the steps consist of preparing, engaging, orchestrating and evaluating based on the theory of self-regulatory strategy in metacognition, and the students would be checked their accomplishment by themselves through self-questions at each step. Also, there were provided various accomplishment experience, vicarious experience, verbal persuasion, and emotional arousal at each instruction step as strategy to improve the science self-efficacy. These strategies were applied to the 'stimulation and response' unit of middle school science subjects. We analyzed comparatively the result of pretest and post test for intervention group to test the effect in science class on science self-efficacy and science self-efficacy for science performance ability. As a result, There were positive effects on students’improvement of science self-efficacy and self-confidence in science, performance-confidence in science.

      • KCI등재

        자기효능감과 지적장애인에 대한 태도의 상관성 분석

        박순호,김시영 한국언어치료학회 2022 言語治療硏究 Vol.31 No.2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correlation between self-efficacy and perceptions of people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nd use it as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curricular and extracurricular courses related to the training of speech-language pathologists and early childhood teachers. Methods: A total of 324 students majoring in speech-language pathology and early childhood education were examined for their self-efficacy and perceptions of intellectual disabilities. All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through the statistical program SPSS 18.0.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independent sample t-test, one-way ANOVA, and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were performed. Results: The self-efficacy scores of the subjects averaged 3.10 out of 5. The self-regulation efficacy score was the highest, followed by confidence and task difficulty preference scores. In terms of self-regulation efficacy,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age factors. In terms of multidimensional attitude toward intellectual disabilities, the self-efficacy ‘high’ group scored 3.81, and the self-efficacy ‘low’ group scored 3.65. It was found that the group with high self-efficacy had a more positive multidimensional attitude toward intellectual disabilities than the group with low self-efficacy. Self-efficacy ha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multidimensional attitude toward intellectual disabilities (r=.19), and among the sub-factors,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affective attitude (r=.20) and behavioral attitude (r=.15). Conclusions: In order to positively change the attitudes of preliminary speech-language pathologists and pre-early childhood teachers toward intellectual disabilities, the need for development and operation of various educational programs in curricular and extracurricular training courses of each grade is raised. Through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it is necessary to develop training curriculum centered on various experiences to enhance self-efficacy of preliminary speech-language pathologists and pre-early childhood teachers. 목적: 연구의 목적은 자기효능감과 지적장애인에 대한 태도 상관을 파악하여 언어재활사 및 유아교사 양성과 관련한 교과 및 비교과 교육과정을 개발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는데 있다. 방법: 언어치료 및 유아교육을 전공하는 학생 총 324명을 대상으로 자기효능감과 지적장애인의 태도를 알아보았다. 설문자료는 통계 프로그램 SPSS 18.0을 이용해 분석하였다. 빈도 분석, 기술통계 분석, 독립 표본 t-검정, one-way ANOVA, Pearson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예비언어재활사와 예비유아교사의 자기효능감 점수는 5점 만점에 평균 3.10점으로 나타났다. 자기 조절 효능감 점수가 가장 높았으며, 자신감, 과제난이도 선호 점수 순이었다. 자기 조절 효능감에서는 연령 요인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자기효능감에 따른 지적장애인에 대한 다차원적 태도 점수에서는 자기효능감 ‘상’집단이 3.81점, 자기효능감 ‘하’집단이 3.65점이었다. 자기효능감이 높은 집단이 낮은 집단보다 지적장애인에 대한 다차원적 태도가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자기효능감과 지적장애인에 대한 다차원적 태도(r=.19)는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하위요인 중 정의적 태도(r=.20), 행동적 태도(r=.15)와는 유의한 상관을 나타냈다. 이는 자기효능감과 지적장애인에 대한 다차원적 태도 간에 의미 있는 정적 상관관계가 있음을 나타낸다. 결론: 예비언어재활사와 예비유아교사의 지적장애인에 대한 태도의 긍정적인 변화를 위해 양성과정 교육에서는 학년별, 교과 및 비교과활동에서 자기효능감 증진을 위한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및 운영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본 연구를 통해 예비언어재활사와 예비유아교사의 자기효능감을 제고를 위한 다양한 경험중심의 양성교육과정 개발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 KCI등재

        장애 청소년의 자기 효능감 증진을 돕는 기독교 상담에 관한 연구

        김춘이 한국실천신학회 2014 신학과 실천 Vol.0 No.42

        자기 효능감에 관한 연구가 일반 심리, 교육, 사회 복지학 분야에서는 심도 있게 다루어지고 있지만 기독교 상담 분야에서의 연구는 아직까지 심도 있게 다루어지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본 논문의 연구 대상인 장애인에 관한 연구는 더욱 미흡한 실정이며, 설령 그 연구가 이루어진다고 하더라도 발달 단계, 장애 유형별 등에 대한 고려 없이 장애인이라는 큰 범주 안에서만 연구되어 지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은 그 기초를 놓기 위한 작업으로 장애 청소년들의 자기 효능감의 증진을 돕는 기독교 상담 의 원리를 제시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자기 효능감은 행동을 선택하거나 지속하 는데 가장 중요한 영향을 끼치는 심리적 요인 중의 하나로 그 역할이 점차 강조되고 있다. 자기 효능감은 어떤 일의 목표를 산출하기 위한 자신의 능력에 대한 믿음이며, 인간은 자신의 주위 환경에 대한 자기 효능감이 높으면 그 환경 안에서 주어진 과제 를 잘 수행할 수 있지만, 자기 효능감이 낮으면 환경 부적응자가 될 수 있다. 장애 청 소년들의 자기 효능감 증진을 위한 기독교 상담은 일반 심리학의 관점과는 다른 관점 에서 그들에게 새로운 가치를 심어 줘야 한다. 새로운 가치란 하나님이 나를 창조하 셨고 구원해 주셨으며 능력을 주셨기 때문에 장애를 갖고 있지만 자신은 사랑스럽고 유능하고 소중한 존재라는 사실을 인식하게 함으로써 느낄 수 있는 것이다. 즉 하나 님의 형상(Imago Dei)으로 지음 받고 성령으로 말미암아 회복되고 새로워진다는 확신 에 기반을 둔 자기 효능감을 말한다. 이는 불변하고, 견고한 가치이며, 세상의 예측 불허한 반응과는 다르다. 따라서, 장애 청소년의 자기 효능감 증진을 위한 기독교 상 담은 하나님의 말씀과 관점에 근거를 둔 자기 효능감만이 진정한 자기 효능감이라는 것을 장애 청소년들에게 상기시켜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자기 효능감에 대해 자신을 하나님의 소중하고 사랑스러운 존재, 용서와 구속의 은혜를 받을만한 피조물의 관점 에서 재해석하여 건강한 자기 효능감의 기준을 제시한 Carlson의 이론 중 자기부인 (self-denial), 겸손(humility)함, 자격이 없는 것(unworthy) 등의 입장에 근거하여 장 애 청소년의 자기 효능감 증진을 위한 기독교 상담의 원리를 제시하였다. 장애 청소 년은 장애인이기 이전에 하나님의 형상대로 지음 받은 인간 그 자체이다. 장애인이기 이전에 비장애 청소년과 다름이 없는 청소년이다. 그 이유만으로도 그들은 존재의 목 적이 있다. 또한 자기 효능감은 현재를 해석하여 내가 미래를 만들어 가는 미래 지향 적이다. 따라서, 기독교 상담자는 장애 청소년을 상담함에 있어서 미래가 인간의 삶에 중대한 영향을 끼친다는 것을 인식하고 상담에 임해야 한다. 즉 장애 청소년들이 장 애로 인해 겪는 갈등과 스트레스 등 모든 상황에 대해 집착하고 고통 받고 좌절하는 것이 아니라 그 상황에 대해 정직하게 직면하게 한 다음 미래를 향해 다시 나아갈 수 있도록 도와주어야 한다. 이러한 기독교 상담자의 관점은 장애 청소년들에게 청소년 의 시기가 갈등과 방황의 시기가 아닌 미래에 대한 꿈과 동경, 도전 의식을 긍정적인 쪽으로 발전을 시켜줄 수 있도록 도움을 줄 것이다. In-depth studies about self-efficacy are being conducted in general fields of psychology, education, and social welfare. However, research is not being conducted deeply in the field of Christian counseling. In particular, there is a great insufficiency in the research about those dealing with disabilities, who are the research targets of this study, and even when research takes place, it is only executed within a wide category of subjects with disabilities without consideration of development stages or types of disabilitie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a foundation for this field of research by suggesting principles of Christian counseling that can assist the enhancement of self-efficacy in disabled adolescents. Self-efficacy is one of the psychological factors which cause the most important influence on selection or sustenance of behaviors and its role is gradually becoming more emphasized. Self-efficacy is belief in one's own abilities to generate a certain objective, and human beings can well implement given tasks within an environment if they hold high self-efficacy about their surrounding environment. However they may end up as a misfit to their environment if they have low self-efficacy. Christian counseling, which enhances self-efficacy of adolescents with disabilities, must provide new values to them from a dimension which differs from general psychology. The subjects will be able to perceive the meaning of new value and recognize themselves as a loveable, capable, and valuable existence despite their disabilities since God created them, brought salvation, and provided competence. In other words, this refers to self-efficacy which bases on the foundation that subjects are created by the Imago Dei of God and recovered and renewed by the Holy Spirit. This is an unchangeable and solid value and is different from the unpredictable responses of the world. Accordingly, Christian counseling which aims for the enhancement of self-efficacy in adolescents with disabilities should remind them about how self-efficacy that bases on the word of God as well as his perspective is a genuine form of self-efficacy. This study interpreted self-efficacy from the dimension of considering oneself as a valuable and loved being of God as well as a new creation who deserves to receive forgiveness and grace of redemption. Then, the theories Carlson suggested for the criterion for self-efficacy such as self-denial, humility, and worthiness were based on to suggest principles of Christian counseling for the enhancement of self-efficacy in adolescents with disabilities. Adolescents with disabilities are human beings created in the image of God, and this identity is much more significant than their identity as an adolescent with disability. They are just like any other adolescent without disabilities if it isn't for their disabilities. This reason itself holds a purpose in their existence. Additionally, self-efficacy is future oriented by the fact that individuals analyze their present condition and shape their own future. As a result, the Christian counselor should recognize how the counseling sessions cause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lives of the adolescents with disabilities upon providing counseling. In other words, assistance should be provided so that adolescents with disabilities will not feel attached and fall into despair about all the situations related to the disabilities such as conflicts and stress but encounter those situations honestly and take the next steps towards their future. This perspective of the Christian counselor will provide support for the adolescents with disabilities so that they can make positive developments for their dreams, longing, and sense of challenge during their adolescent period instead of go through a period of conflicts and confusion.

      • KCI등재

        혈액투석환자에서 식이관련 자기효능감 설문지의 타당도 평가

        서애림,박기수,김보경,김용림,최지영 대한임상건강증진학회 2012 Korean Journal of Health Promotion Vol.12 No.1

        Background: This study was performed to develop a dietary self-efficacy questionnaire and to determine how dietary self-efficacy is related to selected biochemical markers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hemodialysis patients. Methods: Participants included 172 patients who had been participating in a dialysis program for at least 6months at two teaching hospitals. A questionnaire was used to assess socio-demographic factors, dialysis-related factors, dietary self-efficacy, and kidney disease quality of life (KDQOL). Serum levels of potassium and phosphorus and interdialytic weight gain were also measured. Results: The internal reliability of dietary self-efficacy was 0.944 (Cronbach's alpha).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resulted in two factors, situational self-efficacy of compliance with dietary guidelines and self-efficacy of food choice. The correlation analysis showed a significant association between situational self-efficacy of compliance with dietary guidelines and serum potassium and KIDQOL. The average scores of situational self-efficacy of compliance with dietary guidelines and self-efficacy of food choice in the participants were 3.52±0.72and 3.61±0.71 respectively.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the situational self-efficacy of compliance with dietary guidelines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serum potassium level and KDQOL and self-efficacy of food choice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KDQOL. Conclusions: Based on our results, the developed dietary self-efficacy questionnaire may be a suitable survey tool for hemodialysis patients, which can play a role in predicting clinical indicators of patient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We recommend further research into clarifying whether the positive effects of increased dietary self-efficacy is maintained in long-term dialysis patients. 연구배경: 본 연구는 국내 혈액투석환자들에게 적합한식이 관련 자기효능감 설문문항을 개발하고, 개발한 식이관련 자기효능감을 환자의 임상검사 지표와 건강관련 삶의 질 예측인자로서 활용하고자 하였다. 방법: 본 연구의 연구 대상자는 2개 대학병원에서 연구당시 혈액 투석 관리를 받고 있는 환자 중 6개월이 경과된172명이었고, 환자들에게 직접 면접 설문조사하였다. 결과: 연구 결과 전체 문항의 내적신뢰도인 크론바흐알파는 0.944이었으며, 요인분석 결과 2개 성분이 추출되었으며, ‘요인1’은 상황별 식이지침준수 자기효능감, ‘요인2’는 음식선택 시 자기효능감으로 명명하였다. 편상관분석 결과 임상검사지표 중 혈중 칼륨(K)농도와 상황별 식이지침준수 자기효능감이 유의하였으며 신장질환 특이건강관련 삶의 질(kidney disease quality of life [KDQOL]-36)과의 분석결과 대부분 영역에서 식이관련자기효능감이 유의하였다. 식이관련 자기효능감 중 상황별 식이지침준수 자기효능감은 3.52±0.72점이었으며 음식선택 시 자기조절 자기효능감 점수는 3.61±0.71점이었다. 성별, 연령, 직업유무, 교육수준, 투석기간, 신부전의 원인질환 등으로 보정한 뒤 실시한 다중회귀분석 결과, 상황별 식이지침준수 자기효능감은 혈중 칼륨 농도(95% confidence interval [CI], -0.340~-0.002), 육체적 영역(95% CI,3.236~12.988), 정신적 영역(95% CI, 1.886~11.962), 증상(95% CI, 2.165~9.390), 질병 영향(95% CI, 2.927~11.480) 등의 영역에 유의한 관련성이 있었다. 음식 선택 시 자기효능감은 건강관련 삶의 질의 육체적 영역(95% CI, 0.584~8.449),정신적 영역(95% CI, 0.196~8.257), 증상(95% CI, 1.331~7.084), 질환의 영향(95% CI, 1.287~8.142), 질병의 부담(95% CI, 0.174~9.584) 등 다섯 가지 전 영역과 유의한 관련성이 있었다. 결론: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 개발된식이관련 자기효능감 설문 도구는 국내 혈액 투석환자들에게 적합하다고 할 수 있으며, 환자의 임상검사 지표와건강관련 삶의 질을 예측할 수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혈액 투석환자들 진료 시 식이에 대한 단순한 지식전달이 아닌 환자들의 자기효능감을 높일 수 있는 개입이 필요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