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공공 사례관리자의 지식과 기술수준에 관한 연구 - 경력과 교육, 상급자 지지의 영향을 중심으로 -

        최지선 한국사례관리학회 2014 사례관리연구 Vol.5 No.1

        본 연구의 목적은 공공 사례관리자가 스스로 평가하는 지식과 기술수준이 어느 정도인지 파악하고 그 영향요인으로서 경력, 교육, 상급자 지지의 의미를 검증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전국 시군구 희망복지지원단 소속 사례관리자 452명이며 자기기입식 설문조사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분석결과, 연구대상자의 사례관리 지식과 사례관리 기술수준은 보통을 약간 상회하는 수준으로 나타났으며 복지업무 경력이나 사례관리 교육이수 시간의 영향은 유의미하지 않았다. 사례관리자가 인식하는 상급자 지지수준이 높을수록 사례관리 지식과 사례관리 기술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공공 사례관리자 교육에 있어서 프로그램 기획개념의 도입, 희망복지지원단 팀장 역량강화를 제안하였다.

      • KCI등재

        아동․청소년 복지분야 사례관리의 현황과 발전 방안

        김상곤 한국사례관리학회 2010 사례관리연구 Vol.1 No.1

        본 연구는 우리나라 아동청소년 복지분야 사례관리의 현황을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아동청소년 복지분야 사례관리의 발전방향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하여 우리나라 아동․청소년 복지사업에서 나타나고 있는 사례관리 실천을 개괄적으로 검토하고, 대표적인 사례관리 실천의 운영체계와 실천구조를 분석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아동․청소년 복지분야 사례관리의 발전방안을 제안하였다. 아동청소년 복지사업에서 사례관리 실천의 전문화를 위한 발전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사례관리 실천을 위한 여건의 조성이 필요하다. 둘째, 사례관리 운영모델의 통일성과 특수성을 반영한 아동․청소년 사례관리 모델의 정립이 필요하다. 셋째, 아동․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사례관리 실천에서 가족을 단위로 하는 사례관리 실천을 강화해 나갈 필요가 있다. 넷째, 사례관리를 기반으로 한 지역사회 네트워크를 강화해 나가야 한다. 다섯째, 사례관리자들의 업무량에 대한 조정이 필요하다. 여섯째, 사례관리자들에 대한 전문화 교육 및 지속적인 자문체계 구축이 필요하다. 일곱째, 사례관리 실천을 지원할 수 있는 전산 솔루션의 개발과 보급이 필요하다. 여덟째, 사례관리자들에 대한 신분 보장과 법제화가 필요하다. 아홉 번째, 사례관리 성과평가에 대한 패러다임의 변화가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사례관리자들의 안전 확보 방안이 강구되어야 한다.

      • KCI등재

        치매안심센터 사례관리자의 맞춤형사례관리 실천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김은옥 한국통합사례관리학회 2022 한국케어매니지먼트연구 Vol.- No.45

        본 연구의 목적은 치매안심센터에서 사례관리를 실천해 온 간호사와 사회복지사의 사례관리 실천 경험에 대한 질적 분석을 통해 치매환자 및 가족을 위한 표준화된 사례관리 실천 방향을 모색함에 있다. 연구대상은 6개치매안심센터 근무자 중 연구 참여를 수락한 1년 이상 맞춤형사례관리를 수행한 간호사 및 사회복지사 11명으로 하였다. 연구자는 대면 및 유선전화 심층면접을 통해 사례관리 경험을 표현하도록 하였고, 인터뷰 자료는 개인적 속성보다는 전체 연구 참여자의 공통적인 속성을 도출해 내는데 초점을 맞추는 Colazzi 분석방법을 적용하였다. 자료의 분석결과 연구 참여자들의 경험의 구조는 44개의 구성된 의미에서 17개의 주제모음을 확인하여4개로 범주화하였다. 4개의 범주화는 조직 환경, 스트레스, 대처, 성장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로 치매안심센터와 사례관리자의 맞춤형사례관리 수행에 긍정적인 변화를 도모하기 위하여 평가체계 재설정 및 표준업무매뉴얼 등 조직의 재정비가 필요함을 확인하였다. 여기에 치매 공공부문 사례관리 연계 및 협력 모형개발을제안하였으며, 또한 사례관리 실천과정에서 업무지도, 심리 및 교육적 지지와 치매안심센터 사례관리의 실천과정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여 개선할 수 있도록 슈퍼비전 체계 수립마련 등을 위한 후속 연구를 제언한다.

      • KCI등재

        사회복지현장에 기반한 가족중심사례관리 실천 모색 : 현장사례분석 중심으로

        김성천,박지영 한국사례관리학회 2012 사례관리연구 Vol.3 No.1

        본 연구는 가족중심의 사례관리’가 이론적으로 어떤 것인가에 대한 정체 규명을 고민하고, 우리나라에서 실천되고 있는 ‘가족중심의 사례관리’의 진단을 통해 그 함의와 발전방안을 탐 색적으로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에 외국의 주요 가족관계 사례관리 모델과 우리나 라에서 적용되는 여섯 개의 사회복지기관 사례를 질적 분석하여 도출된 가족중심사례관리에 대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가족중심 사례관리의 초점단위는 가족구성원 개인뿐 아니라 집단적 성격을 지닌 한 단위로서 ‘전체로서의 가족’이 주 대상이 되며, 둘째, 가족의 특성에 초점을 맞추면서 강점 관점으로 접근한다. 셋째, 가족의 기능과 체계, 가족환경에 대한 사정과 개입의 준거틀은 생태체계적 접근에 기반한다. 넷째, 가족중심사례관리자는 가족의 체계와 기 능을 변화시킬 수 있는 가족치료 및 상담, 가족옹호와 임파워먼트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며, 가족역동성에 대한 지식 및 훈련이 필요하다. 마지막 다섯째, 젠더관점에서 양성 평등적이고 문화적 다양성을 고려하는 문화민감성에 기반 한 사례관리 실천이 지향되도록 한다.

      • KCI등재

        다문화가족지원센터 사례관리사들의 현장 실천경험에 관한 사례연구

        김은재,최현미 한국통합사례관리학회 2019 한국케어매니지먼트연구 Vol.0 No.33

        본 연구는 다문화가족 사례관리사들의 다문화현장 사례관리 실천경험을 질적 사례연구(Yin, 2004)로 접근하여 다문화가족 사례관리사업 활성화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10명의 다문화현장 사례관리사와의 질적 사례연구를 실시한 결과 첫째, 다문화가족 사례관리서비스 플랫폼 구축하기의 핵심범주는 다문화사례관리업무에 대한 당사자 인식, 체계가 없어 좌충우돌하며 매뉴얼을 정립함, 대상자 발굴과 자원연계 시스템을 구축함 등으로 나타났다. 둘째, 다문화가족 사례관리실천의 다중적 딜레마는 다중적 클라이언트체계의 어려움, 공적/비공식적 경계가 불분명함, 심각한 복지의존증, 기관 내 인식부족으로 인한 역할혼동, 서비스 기간제한의 의미가 없음, 노하우를 상실시키는 센터 내 열악한 처우와 고용불안정, 지역기관의 업무 떠넘기기 등으로 나타났으며 셋째, 다문화가족 사례서비스에 대한 비판적 성찰은 일석이조의 효과성이 두드러짐, 해를 거듭할수록 쌓이는 노하우, 사례관리자로서의 자기성찰로 나타났다. 넷째, 다문화가족 사례관리 활성화를 위한 소고(小考)는 중복서비스 방지를 위한 지역사회통합사례관리회의 활성화, 정규사업 편입으로 지속가능한 사례관리서비스 확보, 다문화가족 사례관리 종사자들의 복지향상, 체계적인 사례관리 역량강화교육 등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다문화현장에서의 사례관리의 실천상의 이슈 해결과 다문화가족 사례관리 전문화 방안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후보

        사례관리 Best Practice의 개념과 구성요소:사례관리자 관점을 중심으로

        최지선,김연수 한국사례관리학회 2019 사례관리연구 Vol.10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earch the concept and components of case management best practice from the case manager’s perspective.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8 case managers who were awarded for 2014 Best Practice of case management from K institute. The focus group interview was conducted 3 times for 3 hours in each in order to find out what is the concept and components of case management best practice. The results of the contents analysis were following: Firstly, the concept of the case management best practice was defined that it is the process of being together between a case manager and a client and doing one’s best for the purpose of client’s ultimate change. Secondly, The core value of best practice was suggested as ‘respect for clients’ and the principal of best practice was ‘client’s autonomous participation’. Thirdly, the essential tasks of each process in case management were drawn from the study participant’s case management experience. Lastly, the identity as a case manager and the administrative system for case management which support best practice were defined. As a conclusion,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supporting best practice were suggested in terms of case management practice and policy. 본 연구의 목적은 사례관리 Best Practice란 무엇이며, 어떻게 가능한가에 관한 질문에 대한 답을 현장 사례관리자들로부터 얻는 것이다. 이를 위해 K기관에서 실시한『사례관리실천 우수사례 공모』에서 선정된 우수사례를 직접 진행한 사례관리자 8명을 대상으로 포커스그룹 인터뷰를 실시하여 Best Practice의 개념과 이를 구성하는 요인들을 파악하였다. 연구결과, 사례관리 Best Practice란 ‘클라이언트의 궁극적인 변화를 위해서 클라이언트와 함께 하면서 최선을 다하는 과정’으로 정의되었으며, 핵심가치는 ‘존중’, 실천원칙은 ‘클라이언트가 주체적으로 참여하는 사례관리’로 도출되었다. 또한 사례관리 Best Practice를 가능하게 하는 각 실천단계별 과업들과 사례관리자의 정체성, 그리고 이를 지원하는 사례관리 수행체계의 특성들이 분석되었다.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실천적 함의와 Best Practice의 확산에 필요한 제언을 하였다.

      • KCI등재후보

        지방정부 복지거버넌스와 통합사례관리 체계

        조추용,황미경 한국통합사례관리학회 2014 한국케어매니지먼트연구 Vol.12 No.-

        사회복지전달체계의 변화는 지역 중심의 통합서비스 실현을 위한 민관협력과 지역 중심의 복지거버넌스(welfare governance) 구도로 발전하여 왔다. 본 연구에서는 복지전달체계 개편과 통합서비스 체계 구축으로나타나는 지방 정부 복지거버넌스를 고찰하고, 일본 지역포괄지원센터의 시사점을 파악하였으며, 한국적인사례관리 모델에 따라 통합사례관리의 특성을 파악하였다. 지방자치단체를 중심으로 추진중인 통합사례관리는 사회복지법령에 근거한 활 동으로, 사례관리 거점 지정에 따른 핵심적 과정은 ‘연계’ 기능이며, 이에 따른 지방자치단체의 과제는 추진 체계 및 대상과 서비스 수준에 따른 통합사례관리 유형화 방안 등이다. 이에 지방자치단체가 추진하는 통합사례관리는 지방정부 복지거버넌스를 특성화 하므로 지역 중심 통합사례관리 유형화와 방향성을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sider the process of revising local governments’ welfaregovernance and social welfare delivery system and suggest the implementation system anddirectivity of integrated case management. To attain the goal, the study examined the process ofpolitical changes and Korean-style case management models and analyzed Japan’s welfaregovernance and cases of local inclusive support centers. According to the research results, in Korea’s local welfare governance, Integrated casemanagement should perform the function of social care centering around the local government, theservice provider, and it is the function that strengthens the function of ‘linkage’ through apublic-private partnership network. With regard to this, what Japan’s care management suggests to us is the teamwork among socialworkers, care managers, and nursing work force to provide support with preventive services for theaged with mild symptoms. Therefore, this paper will suggest the issues and directivity regardinghow to build a public-private cooperative integrated case management service delivery system atthe level of local welfare governance as written below:Integrated case management conducted by a local government is the activity of law enforcement,and it is needed to categorize the methods of case management according to the classification ofsubjects of welfare and strengthen its preventive function. Moreover, regarding the characteristics of integrated case management seen through Korean-style case management models, each individualmodel should strengthen the function to support the ‘linkage’.

      • KCI등재

        사례관리 사정단계에서 PIE 체계의 활용방안 연구

        이용창 한국사례관리학회 2016 사례관리연구 Vol.7 No.1

        본 연구는 사례관리 사정단계에서 PIE 체계의 실제적인 활용 방안을 모색하는데 목적이 있 다. 사례관리 실천은 전문직내의 단일화된 사정도구에 의한 합의된 의사소통이 가능해야 실질 적 의미의 사례관리라 할 수 있는데 이는 사례관리 초기 사례 접수, 사정, 개입 계획 등이 사 례관리 전 과정에 이르는 중요한 연결고리이기 때문이다. 한국 사회복지 현장에서의 사례관리 실천에서 나타나는 문제점은 개념의 혼란, 모형의 부재, 실천가들 간 관점의 차이로 인한 오 류 등이라 할 수 있는데 이는 사례관리 초기에 단일화된 사례 사정도구의 부재에서 기인한다 고 볼 수 있다. 미국의 사회복지 현장에서도 이러한 사례관리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방안 으로 PIE 체계를 개발하고 사례의 심각도, 지속기간, 문제의 대처능력 등을 수치화하고 실천 가들간의 의사소통으로 활용하는 방식으로 사례관리 실천에 적용하는 노력을 해 오고 있다. 한국 사회복지 현장에서 사례관리 사정단계에서 PIE 체계의 활용 방안 연구를 위해 각 분야 의 사회복지 현장 실천가들로 구성된 FGI 팀을 구성하여 PIE 체계를 사례 사정에 적용해 본 결과 사례관리 사정단계에서 PIE 체계의 실제적인 활용을 위해서는 한국 실천 현장에 맞는 양식의 수정, 사정의 범주화를 통한 통합적인 사정, PIE 체계의 문항 수를 간소화, 강점사정을 할 수 있도록 양식의 분리, 사례적용의 일치도를 높이기 위한 매뉴얼 등을 수정 보완한다면 유용한 사례관리 사정도구로 활용할 수 있겠다는 연구 결과를 확인하였다.

      • KCI등재

        복지관 평가에서의 사례관리 평가지표에 관한 연구 : -종합․노인․장애인복지관을 중심으로-

        김상곤,김승용 한국사례관리학회 2012 사례관리연구 Vol.3 No.1

        본 연구는 종합사회복지관, 노인복지관, 장애인복지관의 평가체계에서 사례관리 평가지표 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및 지표구성방안을 탐색함으로써 사례관리의 정착과 전문화를 도모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하여 6명의 사회복지 실무자들을 대상으로 Focus Group Interview(FGI)를 실시하였다. FGI를 통해 나타난 연구결과는 현재평가 시스템에서는 사례관리 에 집중할 수 없는 현실, 사례관리 실천의 혼란, 독립 모형과 서비스 병행 모형의 혼란, 사례 관리 개념의 혼란, 사례관리 클라이언트의 범주에 대한 논란, 빈약한 평가지표, 실적 위주의 평가 등이 나타난다고 하였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사례관리 기능을 제도화하 고 복지관 유형별 모형 개발이 필요하다. 또한 사례관리 개념에 대한 합의와 올바른 인식이 필요하고, 평가지표와 배점의 확대가 필요하다. 그리고 사례관리 평가체계에서 조직 내외적인 사례관리 운영체계의 구축 정도, 조직 내외적인 협력 수준, 적정 사례량, 사례관리의 과정, 사 례관리의 성과 등이 중요하게 고려되어야 한다.

      • KCI등재

        사례관리에 대한 권력 관점의 조망

        함철호 한국사례관리학회 2016 사례관리연구 Vol.7 No.1

        사례관리라는 조직행동은 사례관리체계를 통해 수행됨으로, 사례관리체계를 민-관협력 사례관리체계와 사례관 리자-클라이언트 체계로 대별하여 권력관점에서 검토하였다. 먼저, 사례관리를 네트워크 조직에 의한 협업으로 전제한다. 네트워크조직이란 시군구의 경우 희망복지지원단과 지역사회보장협의체 대상별 복지분과가 결합한 조직이고, 읍면동의 경우 맞춤형복지팀장과 읍면동지역사회보장협의체의 결합조직이다. 이러한 조직은 네트워크 구성능력, 욕구중심적 접근, 자원개발능력, 공적서비스 결정권, 대상자의 포괄성, 보건복지통합서비스 제공가능 성, 상담전문가, 지역적 포괄성이라는 8가지 사례관리기관으로서의 바람직한 조건을 모두 갖춘다고 보았다. 문 제는 이렇게 바람직한 민-관협력 사례관리를 위한 네트워크조직이 조직으로서의 존재이유, 즉 조직의 목표달성 에 비효과적이라는 것이다. 그 이유로 네트워크 참여자들의 자율성으로 인해 목표달성에 협력적 행동을 하지 않을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이러한 자율적 행위자들을 목표달성에 협력적인 참여자로 통제하기 위한 수단으 로 권력이 필요한 이유이다. 즉, 권력을 민-관협력 사례관리체계라는 네트워크조직의 효과변수로 보아야 한다는 주장이다. 민-관 협력 사례관리체계내 행위자를 민간과 공공으로 대별하여 검토한 결과 사례관리측면에서 민간 은 공공에 비해 도구적 열세에 있으며, 권력자원의 소유에 따라 권력-의존관계를 살펴본 결과 공공이 민간기관 의 생존수단인 재정자원과 법적 권력을 가지고 있으므로 해서 독립적 위치에서 민간에 대한 통제력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공공의 민간에 대한 통제력은 민-관협력 사례관리의 핵심기제인 통합사례회의라 는 위원회조직을 구성하는 권력이 된다. 제공자체계인 민관협력 사례관리운영체계에서는 권력이 긍정적 의미를 갖지만, 제공자와 클라이언트체계에서의 권력은 부정적 의미를 지닌다. 사례관리과정의 가장 중요한 가치인 클 라이언트의 자율성을 침해하는 요인이 되기 때문이다. 사례관리자가 클라이언트의 자율성을 신장하기 위해서는 클라이언트의 욕구와 선호하는 것에 대해 클라이언트 관점에서 이해한 후 서비스 계획에 반영해야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