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한국인 비서와 외국인 상사간의 문화간 커뮤니케이션 갈등요인에 관한 연구

        황혜진(Hwang Hae-Jin),유현정(Yu Hyun-Jung) 한국비서학회 2004 비서·사무경영연구 Vol.13 No.1

        본 연구는 한국인 비서와 외국인 상사간의 갈등 요인에 대해 알아보고 비서의 문화간 커뮤니케이션 갈등 해소를 위한 능력을 향상을 위한 자료를 제시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외국인 상사와 일하는 한국비서 15명을 대상으로 하여 총 23명의 심층 인터뷰를 통해 연구를 실시하였고, 인터뷰 응답은 내용 분석법을 사용하여 요인을 도출하였으며 이를 문화적 요인, 커뮤니케이션 요인, 업무적 요인, 기타 요인으로 나누었다. 문화적 요인의 부정적 갈등 요인은 지위, 고정관념, 중간적 입장, 문화의 역이용, 개인주의 등으로 나타났으며 긍정적 갈등 요인으로 한국 문화의 이해, 타 문화의 이해, 개방성, 비서존중 등이 나타났다. 이는 상사의 한국 문화에 대한 이해도에 따라 갈등이 나타나는 결과를 보여주고 있다. 커뮤니케이션 요인에서는 커뮤니케이션 패턴과 영어, 두 가지 요인이 나타났다. 이는 영어로 인한 언어적 요인 뿐 아니라 상사와 비서가 얼마나 원활하고 수평적으로 커뮤니케이션을 하느냐 즉, 커뮤니케이션 패턴이 주요 요인임을 의미하고 있다. 업무 요인에서 나타난 부정적 갈등 요인은 업무 모호, 업무 정의, 업무 방식 등으로 나타났으며 긍정적 갈등 요인으로는 비서 업무. 비서 개념, 보상 등이 있었다. 또한 기타 요인은 성격 요인이 높은 빈도를 나타내었으며, 상호 관계, 경험, 상사의 체류기간 등이 긍정적 갈등 요인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인터뷰를 하면서 생긴 새로운 이슈가 요인화 되었는데 이는 연구 방법의 특성상 예상치 못한 요인이 추가되었고, 이를 잠재적 요인으로 추가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한국인 비서와 외국인 상사간의 커뮤니케이션 갈등 요인은 문화적 요인 이외에 문화 이외의 요인들도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성격 요인은 중요한 요인으로 나타났으며 아울러 외국인 상사가 한국 문화를 수용하고 비서도 외국인 상사의 문화에 대해 이해할 때 갈등이 일어나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외국인 상사와 한국인 비서의 적극적이며 수평적인 커뮤니케이션은 갈등을 방지할 수 있는 중요한 요인임을 알려주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intercultural communication conflict factors between Korean administrative professionals and their foreign supervisors. To exam the conflict factors. in-depth interviewing (qualitative method) is conducted. The subjects of the study are 15 administrative professionals who work with foreign supervisors. 4 administrative professionals who work with Korean supervisors. The main interview questions are as following: "Do you have conflict with your foreign supervisor?" and "Why do you have conflict with your foreign supervisor?". For data analysis, contents analysis was employed. As a result, many issues were identified and these issues were categorized to four groups of factors, they are cultural factors. communication factors. work-related factors and other factors. According to this research, non-cultural factors. especially personality would affect the conflict with cultural factors. Also the way to communicate between supervisor and administrative professional is a consequence factor. In terms of culture, understanding each other and accept other culture should prevent to have conflict. Even though this study conducted by small size of subjects and one way research which did not regard supervisor's side, it reveals that many factors are affected conflict between administrative professionals and supervisors. This study provides a guideline for future or current administrative professionals who would be working in the multicultural environment and also related studies in this field should conduct.

      • KCI등재

        한국비서학회지의 비서교육 연구 동향에 대한 분석: 1993-2022

        김미영 한국비서학회 2022 비서·사무경영연구 Vol.31 No.2

        본 연구는 한국비서학회 창립 30주년을 맞이하여 그동안 한국비서학 학술지에 게재된 비서교육의 연구 동향을 분석해 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한국비서학회에서 비서교육 연구들이 어떻게 수행되고 있는지에 관한 연구 동향을 분석함으로써 미래 비서교육의 방향을 찾는 것은 의미가 있을 것이다. 분석대상 논문은 1993년 비서학회 학술지 창립호부터 2022년 3월까지(1권 ~31권 1호) 비서교육과 관련해 게재된 총 78편의 연구논문이다. 비서교육의 연구 동향 분석은 연구영역인 연구주제, 연구방법 그리고 연구 적용대상을 중심으로 이뤄졌다. 연구주제는 교과교육, 교수·학습법, 교육과정, 교육방향으로 분류되었다. 연구방법은 문헌연구, 조사연구, 질적연구 등으로 분류되었다. 비서교육 연구 적용대상은 대학에서의 비서교육과 현직 비서교육으로 분류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비서교육의 연구주제는 교과교육 영역에서 가장 많은 연구가 이뤄졌으며, 교수·학습법 영역, 교육과정 영역과 교육방향 영역 순으로 비중이 높았고 이 영역에서 모두 10% 이상의 연구가 수행된 것으로 나타나 특정 연구영역에 편중되어 연구논문이 발표되지 않았다. 둘째, 비서교육의 연구방법에서 지난 30년 동안 ‘조사연구’ 방법으로 가장 많은 연구가 수행되었다. 비서교육에서 문헌연구 방법은 비서학회 창립 직후 10년 동안 23편의 연구에서 이뤄졌으나, 이후에는 감소하였다. 질적연구 방법으로는 수업운영 사례연구와 심층인터뷰를 통한 연구들이 수행되며 꾸준하게 연구결과가 발표되었다. 셋째, 비서교육의 연구 적용대상은 대학에서의 비서교육에서 80% 이상의 많은 연구가 이뤄져 왔으며, 현직 비서교육은 상대적으로 비중이 높지 않았다. 향후 현직 비서를 대상으로 하는 다양한 연구영역에서의 비서교육 연구가 활발히 진행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비서·사무경영연구』의 연구동향 분석: 비서직의 진로 및 경력에 대한 연구를 중심으로

        김민아,윤홍인,백지연 한국비서학회 2022 비서·사무경영연구 Vol.31 No.2

        본 연구는 1993년부터 2021년까지 한국비서학회의 학술지인 비서·사무경영연구에 게재된 논문 중에 비서직의 진로 및 경력에 대한 연구동향 분석을 통해 향후 비서학의 학문적 실무적 방향성을 제언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비서학 전공자들의 진로에 대한 논문 39편과 비서직의 경력에 대한 논문 37편으로 총 76편의 논문을 대상으로 발행연도, 연구대상, 연구방법, 연구 변인 및 연구주제어를 분석한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발행연도는 진로 논문 수는 2011년부터 2015년까지 16건으로 가장 많았고, 경력 논문 수는 2016년부터 2020년까지 14편으로 가장 많았다. 연구대상별 현황은 전문대 비서과 재학생이 38.5%, 현직비서가 38.5%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연구방법별 분석 결과는 양적연구가 59건으로 전체의 절반을 훨씬 넘는 72.0%에 해당했으며, 질적연구는 23건으로 28.0%로 나타났다. 양적연구의 변인은 개인적 요인, 환경적 요인, 진로, 경력의 4차원으로 분석하였고, 그 결과 진로에서는 개인적 요인이, 경력에서는 환경적 요인의 비중이 크게 나타났다. 결과변인은 진로와 경력의 2차원으로 분석하였고, 그 결과 진로에서는 진로심리 관련 변인이, 경력에서는 조직효과성 변인이 가장 많이 연구되었다. 그리고 질적 연구의 주제어 분석 결과 진로에서는 학위관련 변인이, 경력에서는 경력개발관련 변인이 가장 많이 연구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비서직의 진로 및 경력의 연구에 대한 추후 연구방향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영어의 중요성과 활용에 관한 기초연구

        이주현(Lee, Juhyun),마크 누펠드(Neufeld, Marc),전지현(Jeon, Jihyeon) 한국비서학회 2016 비서·사무경영연구 Vol.25 No.2

        본 연구는 비서직에서의 영어의 중요성과 활용에 대한 탐색을 목적으로 하였다. 구체적으로 1) 비서직 입사 시와 승진 시 영어능력이 중요하게 고려되는 지 2) 비서직 영어능력 평가는 어떻게 이루어지는 지 3) 기업유형이나 비서유형에 따라 비서업무에서 영어활용에 차이가 있는 지에 대한 정보를 얻고자 하였다. 연구자료의 수집은 세 가지 방식으로 이루어졌다. 비서직의 경우를 다른 사무직 직군과 비교해 보기 위하여 한국노동패널조사에서 모든 직군을 대상으로 조사한 직장에서의 영어의 중요성과 활용에 관한 설문문항과 응답자료를 수집하였다.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통하여 비서업무 중 영어활용이 가능한 44개의 업무를 도출하였다. 한국노동패널조사에서 활용된 문항, 44개의 비서업무, 그리고 기업유형, 비서유형을 구분하는 문항을 포함하는 설문을 작성하여 215명의 비서를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비서직의 경우 다른 사무직 직군보다 입사나 승진 시 영어가 중요하게 고려되었으며, 영어공인성적을 제출하거나 회사에서 자체 시행하는 영어시험을 치르는 등 영어능력에 대한 평가가 더 많이 이루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비서업무에서의 영어활용 정도가 기업유형이나 비서유형에 따라 다름이 파악되었다. 본 연구는 비서를 위한 영어교육의 개선을 위하여 필수적인 비서의 영어활용에 대한 기본적인 자료를 제공한다. This study explores to find out 1) if a high English ability is required for employment or advancement of secretaries; 2) what is used as the evidence of English ability for secretaries; and 3) the frequency of English use for secretarial tasks depending on the company type and the secretary type. The data were collected in three ways. To compare with other office professions, relevant questionnaire items and data collected by Korean Labor & Income Panel Study (KLIPS) were obtained. Through a focus group interview, 44 secretarial tasks that might require English use were deduced from all secretarial tasks. A questionnaire was constructed and administered to 215 secretaries. The result showed the following: 1) English ability was considered important for both employment and advancement, and English ability was assessed through submitting proficiency test scores or taking in-company tests more for secretaries than other office positions; and 2) the frequency of English-use tasks varied depending on the company types and the secretary types. The study presents information on secretaries’ English use, which is essential for the improvement of English education for secretaries.

      • KCI등재

        신입 및 경력 비서의 교육 개선을 위한 한국, 미국, 일본의 비서 교육 프로그램 분석

        정은영(Chung, Eun-young),조덕주(Jo, Dukjoo) 한국비서학회 2016 비서·사무경영연구 Vol.25 No.1

        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 미국, 일본의 신입 비서와 경력 비서 교육 프로그램을 비교 분석함으로써 국내 비서 교육을 위한 개선 방향을 탐색한 것이다. 분석 준거는 교육의 체계, 프로그램의 목적, 프로그램의 내용이다. 연구결과, 첫째, 비서 교육 체계에 있어서 한국의 비서 교육은 비서유형이 주로 업무비서인 반면, 미국과 일본 대학의 경우에는 비서유형을 보다 전문화・다양화하고 있으며, 경력비서의 경우도 업무수행능력 제고 및 경력개발을 위해 다양한 교육 참여 기회가 제공되고 있다. 둘째, 프로그램의 목적을 보면, 한국과 일본은 지식․기능․태도 모두를 강조하고 있는데 비해, 미국은 비서의 전문성 제고라는 목적 하에 지식과 기능이 보다 강조되고 있다. 셋째, 프로그램의 내용을 보면, 일본과 미국의 경우 교육 목적에 따라 이에 적합한 교과목 들이 제시되어 있다. 즉, 일본의 경우 인성을 중시하는 교육목적에 적합한 교과목들이 제시되어 있고, 지식․기능․태도 관련 교과목들이 균형 있게 제시되고 있으며 미국의 경우도 비서의 전문성 제고라는 목적에 적합한 교과목들이 제시되어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비서 교육 체계의 측면에서는 신입과 경력 비서 교육 체계의 다양화, 목적의 측면에서는 비서 교육의 명확한 목적 설정 및 인문적 소양의 강조, 내용의 측면에서는 목적 달성에 적합한 교과목의 제공 및 기능․태도․지식 관련 교과의 균형 있는 개설 등의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educational programs of entry-level and experienced secretaries in Korea, USA, and Japan and to explore the desirable directions of improvement of secretarial programs in Korea. A comparative analysis is conducted based on three criteria: the structures, purposes and contents of the programs. First, from the viewpoint of their structures, the secretarial education programs in the USA and Japan are more varied and have more professional characteristics than those in Korea. Second, in Korea and Japan, their purposes are well established focusing on knowledge, skills and attitude in a balanced way. Specially, in Japan, professional attitudes are more emphasized than in Korea. In the USA, the development of professional skills is stressed as the major purposes of the secretarial program. Third, the adjustment of the program contents(subjects) according to the purpose is found in all three countries. That is, in Japan, many subjects are included which help to develop the attitude of a professional secretary, and, in the USA, various subjects are developed to foster their competences.

      • KCI등재

        15년간의 한국 비서학 연구의 성과, 반성 그리고 제안

        심재권(Shim Jae-Kwon),박광철(Park Kwang-Chul),정석환(Jung Seok-Hwan) 한국비서학회 2007 비서·사무경영연구 Vol.16 No.2

        사회적 욕구변화와 학문의 세분화는 20세기 후반에 들어와 비서학이라는 신생학문의 탄생 배경이 되었다. 그러나 비서학의 성립은 전통적인 학문처럼 고유한 연구주제와 연구영역이 있어서라기보다는 산업구조의 발달에 따른 사회역사적 필요성과 요청이 더 큰 이유였다. 특히 조직이 거대화되고 전문화됨에 따라 최고관리층이 필요로 하는 정보량은 크게 증대되었고, 이러한 엄청난 정보량의 증가는 전문성 및 정보처리 능력을 갖춘 전문비서의 중요성을 현저하게 증가시켰다. 그리고 그 동안 단순 노무직으로 인식되어온 비서직의 인식변화를 가져오는 계기가 되었고, 점차적으로 비서들은 조직에서 중요 존재가 되었다. 이러한 시대적 필요성과 요청이 비서학에 대한 관심을 증가시켰다. 그러나 아직도 국내에서의 비서학 연구의 역사는 타학문에 비하여 일천하고 사회적 인식 또한 그리 높은 편은 아니다. 심지어는 비서학의 정체성의 위기까지 논하는 상황까지 이르고 있다. 이 연구는 비서학이 하나의 독립된 학문으로서 성장 발전하는데 기여하고자 지난 15년 동안 축적된 한국 비서학자들의 연구 성과물인 한국 〈비서학논총〉의 발표논문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를 통해 도출할 수 있었던 함의와 제안은 첫째는 연구영역에 있어 교육과 행태분야 등의 연구에 많이 집중되는 현상을 보이고 있다. 둘째는 연구성격에 있어 처방적 연구가 대다수를 차지하고 있었으며, 셋째는 연구방법론적인 측면에서 질적연구와 양적연구는 상당한 수준에서 균형을 이루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에서 제시한 연구결과는 한국 비서학 연구에 대한 전반적 경향을 파악하는데 도움을 줄 것이며, 나아가 향후 비서학의 연구방향의 정립 등에 어느 정도는 기여 할 것으로 보여 진다. The new science of secretarial studies in the late 20th century is based on the subdivision of academic research in Korea. Not like traditional studies which started with a unique domain of research, the secretarial studies have been the outcome of social needs after gradual development of industrial structure. The importance of professional secretaries to deal with increased information for top management in a company has changed the concept of a secretary, which was once considered a simple assistant. In this article, in order to help establish the secretarial study as an independent study, the research of Journal of Secretarial Studies, the academic achievement of Korean secretarial scholars for the last 15 years, has been analyzed experimentally. The analysis of the articles in the journal first shows that the domain of research in this field has been confined to certain parts: education and activities. Secondly, the nature of research is dominantly remedial. Thirdly, the research is well balanced between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approaches.

      • KCI등재후보

        국내 비서교육의 현황 및 연구동향

        양혜련(Yang Hye-Ryun),조문경(Cho Moon-Kyung),이화진(Lee Wha-Jin) 한국비서학회 2004 비서·사무경영연구 Vol.13 No.2

        본 연구의 목적은 1980년 이후의 한국의 비서교육 분야에서 이루어진 연구들을 비서학논총과 석박사학위논문을 중심으로 분석하여 연구의 동향을 파악하고 향후 우리 나라의 비서교육 연구 활동이 추구해야 할 과제를 제시하고자 한다. 분석은 주로 세 가지 주요 영역에서 이루어졌는데, 연구의 대상, 연구의 주제 및 연구방법이다. 주요 결과는 첫째, 대부분의 연구들이 기업비서를 대상으로 이루어졌으며, 둘째, 연구제는 비서의 업무와 역량, 인간관계와 커뮤니케이션, 교과과정의 개발과 개선 등이 주를 이루고 있었으며, 마지막으로 연구방법으로 문헌연구와 조사연구가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었다. 향후 비서교육 연구는 다양한 이론적 관점과 대안적인 방법론을 탐색하는 방향으로 수행되어져야 하며, 비서교육의 학문적 정체성을 확립하는 방향으로 나아가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the trends of researches on secretarial studies and education and to suggest the direction of future researches. Researchers analyzed both articles of Journal of Secretarial Studies and master's and doctorial thesis to investigate the trends of 1) the subject, 2) main themes. and 3) research method. As the major outcomes, following trends of research in secretarial studies and education were fairly outlined: 1) most studies were for corporate secretaries, 2) main themes were studied as following topics: secretarial job & core competencies, human relations & communication, and curriculum development & improvement, 3) literature review & empirical research were also as many applied as research method. In future, researches should be performed through exploring the various theoretical perspectives and the alternative methodology.

      • KCI등재

        공직 여비서의 직무만족에 관한 연구

        이헤숙 한국비서학회 2007 비서·사무경영연구 Vol.16 No.2

        This study aims at establishing rational operation system of human resources with policies to promote the job satisfaction through substantial analysis of the job satisfaction of ministerial or vice-ministerial women secretaries in the central government. This study uses a frequency analysis to know responses basic attitude through 6 personal character questions, 21 questions of job satisfaction effect factors and 4 questions of job satisfaction. I separate effect factors of job satisfaction by three sectors ; organization structure, organizational personnel and organization environment. Then I use a divergence analysis about job satisfaction by re-establishing 9 factors along with each sector. Most of the women secretaries graduate university under the 30 ages and work for less than 10 years. College graduate workers have high satisfaction in job-relative factor and higher educated workers have it in task importance factor. Also, more experienced workers are satisfied with human relation factor. Because of job preference to public sector in korea society, the women secretaries in the central government have high satisfaction. The women secretaries in the public sector are mostly technical service following central employees and officials in special government service. In people's government era, there are not nearly contract employees of women secretaries. However, current government increase the number of public servant especially contract officials. For budget burden, nest government will be expected to decrease the number of public officials. The official in special government service are more desirable than contract employees. The qualification of women secretaries in special government service should be enacted, such as completion of secretary-relative course in university or official institution or employment of personnel with secretary qualification. 본 연구는 중앙정부의 장·차관급 여비서의 직무만족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여 정책대안을 도출하여 합리적인 인적자원 관리체계를 정립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은 개인적인 특성에 6개 문항, 직무만족 영향요인에 21개 문항, 직무만족에 4개 문항을 설정하여 응답자들의 기본적인 태도를 알아보기 위해 빈도분석을 하였다. 직무만족 영향요인을 조직구조, 조직인, 조직환경 등 3가지 범주로 나누어 각 범주별 요인분석을 하여 9개의 요인을 재설정하여 직무만족에 대한 분산분석을 하였다. 여비서는 30세이하, 근무년수 10년이하, 대졸 졸업자가 가장 많았다. 업무관련요인은 전문대 졸업자가 만족도가 높았고 직무비중요인은 학력이 높을수록 높았고, 근무년수가 많을수록 인간관계요인에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공직 여비서는 기능직이 가장 많고 계약직, 별정직 순으로 되어있다. 한국사회의 공직 선호성 때문에 공직 여비서직에 대한 직무만족도는 높게 나타나고 있다. 특히 신분보장이 되는 기능직의 직무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국민의 정부에서는 강력한 작은 정부를 지향하기 때문에 여비서직은 계약직이 거의 없었는데 현 정부에서는 공무원 수, 특히 계약직 공무원이 대폭 증가 하였다. 공무원 증원에 따른 예산부담이 커지므로 차기정부에서는 공무원 감축이 예상된다. 따라서 공직 여비서의 경우는 기능직 공무원을 더 많이 활용하게 된다. 기능직 여비서의 직무만족도가 다른 직종보다 높게 나왔는데 직무만족도와 업무효율성과는 별개의 문제라고 생각한다. 기능직 여비서가 비서직을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 적극적인 교육훈련기회가 주어져야 한다. 기능직 공무원의 노령화와 감소로 인하여 여비서직 충원에 대한 대책이 수립되어야 한다. 공직여비서를 일반직화 하여 비서직렬을 만들 수 없는 상황이라면 계약직보다는 별정직으로 여비서를 충원해야 한다. 별정직 여비서 채용자격에 대학이나 공증된 기관에서 비서관련 과목을 이수하였거나, 비서자격증 소지자를 채용해야 한다는 규정을 법제화해야 한다.

      • KCI등재

        미, 중, 일 3개국의 비서, 비서교육 및 비서학 연구현황에 대한 비교연구

        백지연(Paek Jeeyon),서리리(Xu Lili),조현정(Cho Hyun Jung),김혜원(Kim Hye Won) 한국비서학회 2010 비서·사무경영연구 Vol.19 No.2

        이 연구의 목적은 그동안 상대적으로 활발히 연구 교류를 시도했던 미국, 일본, 중국의 비서에 관한 포괄적인 비교연구를 통해서 앞으로 다양한 국가의 비서에 관한 연구수행을 위한 기초를 마련하는데 있다. 비서학이 미국, 일본, 중국의 나라별 비서의 일반적인 특성과 현 상황, 비서협회, 비서의 유형과 유형별 교육내용, 교육기관, 비서자격제도, 비서에 대한 연구학회 및 학술지 등에 대하여 비교 연구하였다. 연구 결과, 미국의 경우에는 비서의 유형이 매우 세분화되어 있고 민간차원의 협회가 발달한 반면, 중국의 경우에는 정부에서 근무하는 비서가 많으며 이에 따라 비서가 높은 사회적 위상을 차지하고 있고, 성, 도시 별로 다양한 학회와 협회가 존재하여 활발한 교류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본의 경우에는 미국과 비슷한 다양한 산업분야별 비서의 유형을 보이나, 일본 조직의 특성에 따른 그룹형태의 비서진이 특징적이었고, 일본비서학회가 일본비즈니스실무 학회로 전환하는 등의 비서직에 대한 보다 폭넓은 적용이 이뤄지고 있다. 이 연구는 미, 중, 일 3개국의 비서교육과 비서연구에 대한 현황을 비교 분석한 첫 연구로서 의의가 있으며, 향후 이 연구를 기반으로 보다 구체적인 나라별 비서에 대한 연구를 제안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 foundation for research about secretaries in various countries through a preliminary comparative study on secretaries in the USA, Japan, and China. This study compared and researched each country's secretaries in general, the current status of secretaries, secretary associations, secretary education, secretary research associations, and research journal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in the US, types of secretaries are segmented and secretary associations have been developed based on the private sector. However, in China, secretaries working for governments obtained a relatively high status, and various associations and scholarly communities have been formed in urban and regional levels. Japanese secretaries show similar segments compared to those in the US; however, a group-form of secretaries is a feature of Japanese secretaries which is unique among the three countries. In addition, the Japanese Society of Secretary Studies changed its name to the Japan Society of Applied Business Studies in order to expand its boundaries. This study has implications as the first comparative study about foreign secretary education and secretary research, and it suggests the need for future research and more specific and in-depth studies about each country's secretary education.

      • KCI등재

        2000년대 비서학연구의 저자동시인용분석

        문주영(Moon Ju Young) 한국비서학회 2011 비서·사무경영연구 Vol.20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저자동시인용분석을 통해 2000년대 비서학 연구의 지적구조를 규명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비서학의 대표적 학술지인 『비서학논총』의 2001년 10권 1호부터 2010년 19권 2호 까지 10년분의 학회지에 수록된 160편 논문 중 640건의 인용데이터를 분석하였다. 149명의 제1저자 중에서 6회이상 인용된 37명의 대표저자를 분석대상 저자로 선정하여 각 저자쌍에 대한 동시인용빈도를 구하였다. 분석결과 총 7개의 군집으로 분류되었으며 그 주제는 〈비서역할ㆍ역할인식〉, 〈교육과정〉, 〈실무중심교육〉, 〈직무수행ㆍ직무역량〉, 〈비서-상사관계〉, 〈조직문화ㆍ고용형태〉, 〈영어ㆍ국제 비서자격시험〉으로 나타났다. MDS 지도상의 중심부에 〈비서역할, 역할인식〉주제 군집이 위치하여 이 주제 분야가 분석기간 동안 비서학 연구의 중심 주제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세로축을 중심으로 오른쪽에는 〈조직문화ㆍ고용형태〉, 〈비서-상사관계〉, 〈비서역할ㆍ역할인식〉, 〈직무수행ㆍ직무역량〉 등의 경영학 및 직업교육 관련 이론들을 접목한 주제들이, 왼쪽에는 교육학 및 어학 관련 이론들을 접목한 주제들(교육과정, 실무중심교육, 영어ㆍ국제비서자격시험)이 분포하였다. 본 연구는 인용분석의 대표적 기법중 하나인 저자동시인용분석을 이용해 비서학의 지적구조를 분석한 최초의 연구로 그 의의가 있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intellectual structure of Secretarial Studies by analyzing published articles in the Journal of Secretarial Studies from 2001 to 2010 with author co-citation analysis. Altogether, 160 articles and 37 authors were selected and analyzed in detail using multivariate statistical techniques such as multidimensional scaling and cluster analysis in order to express the intellectual structure of the discipline and its research patterns. To the analysis of this intellectual structure, main research topics were the secretary’s role and role understanding, secretary’s performance and ability, curriculum and educational programs in the secretarial department, secretary and boss relationships, English communications, international qualification examination, hands-on training in the secretarial field, and organizational culture and employment types. The results of ALSCAL analysis show that the core subject area is the secretary’s role and understanding of that rol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