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SCOPUS

        수술실 간호사의 handoff 의사소통의 개념분석

        한나라(Han, Nara),김지훈(Kim, Jihun) 한국간호교육학회 2025 한국간호교육학회지 Vol.31 No.1

        Purpose: This study aimed to provide a theoretical basis for the handoff communication of operating room (OR) nurses by defining and organizing the concept behind it. Methods: For this study, we analyzed five articles found through a literature search using Walker and Avant’s conceptual analysis. Results: An analysis of OR nurses’ handoff communication shows that its antecedents include individual competencies, performance experience, improving interpersonal relationships, securing the OR environment, and the existence of relevant protocols. Additionally, effective handoff communication possesses attributes such as conciseness and accuracy of verbal communication, the ability to convey information concisely and accurately, OR resource availability and risk factors, timeliness of communication, and structured handoff communication protocols related to surgeries. These factors improve patient safety and result in the consistent communication of patient information, improved teamwork, and increased work efficiency. Conclusion: This study can enhance the understanding of handoff communication among perioperative nurses and be used to help develop a systematic protocol. Additionally, it can serve as a foundation for constructing a theory of handoff communication and for formulating guidelines specific to the OR.

      • 2021년 국가수준 초·중학생 디지털 리터러시 수준 측정 연구

        한나라(Nara Han) 한국컴퓨터교육학회 2022 한국컴퓨터교육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26 No.1

        4차 산업혁명으로 인한 초지능화·초연결 사회가 도래하고, 코로나19로 인한 각 분야의 디지털 전환(Digital Transformation)이 가속화됨에 따라 사회·경제 전반의 구조적 변화가 심화되고 있으며, 그에 따라 개인에게 요구되는 미래핵심 역량도 변화하고 있다. 특히, 디지털 기기, 디지털 공간이 우리 삶에 차지하는 비중이 점차 높아짐에 따라, 디지털 세상에서 올바른 시민으로 살아가기 위한 기본 소양인 디지털 리터러시(Digital Literacy)의 필요성이 무엇보다 강조되고 있다. 전 세계적으로 디지털 리터러시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는 가운데, 우리나라에서는 한국교육학술정보원 주도로 2007년부터 약 15년간 초·중학생의 디지털 리터러시 수준을 측정하고 연도별로 심층 분석하여, 교육적·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해 오고 있다. 이에 본 튜토리얼은 2021년 실시된 국가수준 초·중학생 디지털 리터러시 수준 측정 연구 결과를 살펴보고자 한다. 2021년 디지털 리터러시 검사는 초등학교 4학년에서 중학교 3학년까지 6개 학년의 학생을 대상으로, 17개 시도별, 지역규모별, 성별, 학급 당 학생 수 등을 고려해 약 1%를 유층 무선표집하여 10월 19일부터 11월 8일까지 약 3주간 실시되었으며, 최종적으로 본검사에 응시한 학생 약 2만 2천여명(초등학교: 203개교, 9,062명, 중학교: 198개교 13,054명)의 결과를 분석하였다. 본검사 실시에 앞서, 연구진 검토 및 전문가 자문을 통해 2020년 검사의 내용 타당도 및 측정학적 양호도를 검증하여 검사 문항 개선 작업을 수행하였으며, 예비 검사 실시 후 디지털 리터러시 7개 하위 영역별로 4문항씩 초등학생용 검사 28문항, 중학생용 검사 28문항으로 최종 본검사 문항을 확정하였다. 본검사 실시 후 디지털 리터러시 원점수에 대한 총점 및 하위영역별 총점에 대한 분석을 진행하여, 학교급별, 학년별, 성별, 지역규모별 디지털 리터러시 수준 분석 결과를 제시하였다. 이와 더불어, 2021년 연구에서는 2018-2019-2021년 세 시점 간 디지털 리터러시 수준의 연도별 비교를 위해 검사 동등화 및 연계화를 실시하여, 코로나 이전과 이후의 디지털 리터러시 총점과 성취 수준에 대한 비교 분석 결과를 제시하였다. 또한 교사 및 학생 설문을 통해 디지털 기기 접근성, 디지털 기기 활용 효능감, 태도 등 학교, 교사, 학생 및 가정 차원의 다양한 변인들과의 디지털 리터러시 수준과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우리나라 학생들의 디지털 리터러시 수준에 대한 교육적 시사점 및 정책적 제안을 제시하였다.

      • 건축에 의한, 건축을 위한 올바른 프로세스 : 건축을 위한 부지 분석과 다이어그램, 개념 설정을 중심으로 한 단계별 프로세스 연구

        한나라 ( Na-ra Han ) 숙명여자대학교 디자인연구소 2021 숙명디자인학 연구 Vol.31 No.0

        건축은 사회의 패러다임을 반영하여 현실로 전환하는 매개체로서 작용한다. 그러나 기존의 전통적 설계과정을 통해서는 기술 문명의 발달로 인하여 끊임없이 확장, 변형되어 가는 현대사회를 반영하기에는 매체로서의 한계점을 보이고 있다. 그리하여 현대 건축에서는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고자 관습화된 양식이나 형태에 대한 선입견으로서 벗어나려는 대안으로 다이어그램에 주목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현대 사회의 특성에 적극적으로 반응하는 건축이 되기 위해서는, 건축화 과정에서 사용할 새로운 도구가 필요하다는 생각에서 출발하여 다이어그램을 살펴봄으로써 건축의 프로세스에서 다이어그램과 같은 초기 단계가 얼마나 중요한지 새로운 가능성을 밝히고자 한다. Architecture acts as a medium for transforming into reality by reflecting the paradigm of society. However, through the existing traditional design process, it shows limitations as a medium to reflect the modern society that is constantly expanding and transforming due to the development of technological civilization. Thus, in order to overcome these limitations, modern architecture focused on diagrams as an alternative to escape as a preconceived notion of customary styles or forms. Therefore, in this study, in order to become an architecture that actively responds to the characteristics of modern society, Starting with the idea that new tools are needed to be used in the architectural process, we want to reveal new possibilities of how important initial steps such as diagrams are in the architectural process.

      • KCI등재

        무대 의상에 나타난 블랙의 미적 특성 -뮤지컬 시카고를 중심으로-

        한나라 ( Na Ra Han ),김영삼 ( Young Sam Kim ) 복식문화학회 2010 복식문화연구 Vol.18 No.6

        This study examined that the black dress is the one of having aesthetic value as well as symbolism while delivering specific image, from the perspective of color, which is essential element in forming design of the Stage Costume. This study carried out the theoretical research of centering on the literature consideration and the empirical research of centering on a case side by side. It analyzed the works and design based on the clothing, which had been performed in Korea with a revival version of Musical ``Chicago``. Aesthetic characteristics in more than two are being shown in one dress. If so, the following are the results that considered on aesthetics characteristics in black, which were shown in Stage Costume of Musical ``Chicago``, which is increasing the theme consciousness through Stage Costume, which is simple and sexy black. First, as emotion of coming to stay in agony and sadness on the basic fact called death, the Stage Costume in black led to being shown sorrow of implying death, fear and murder. Second, the dignity, which corresponds to noble beauty in the aesthetic category, expresses dignity and elegance with flat material in black, and is revealed the aspect of expressing fashion, which emphasized spirit rather than body. Third, as the aesthetic characteristic of causing sexual desire, the sensuality was shown, which has the aspect of being expressed through exposure, concealment and emphasis. Fourth, it was expressed with androgyny, which evokes androgynous image. Fifth, black in Musical ``Chicago`` formed the whole mood with a sense of weight by arranging the whole feeling with color in similar tone, thereby having been indicated the harmony of being formed with theme, which is aimed to be indicated in drama.

      • KCI등재

        비서직무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에 관한 연구

        한나라(Han, Na-Ra),최애경(Choi, Ae-Kyung) 한국비서학회 2011 비서·사무경영연구 Vol.20 No.2

        본 연구의 목적은 비서 직무 상황에서 직업적 수행을 예측할 수 있는 비서직무 자기효능 감을 개념화하고, 이를 측정하는 도구를 개발하여, 타당도를 검증하는 데에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자기효능감에 대한 문헌고찰을 통해 도출된 자신감, 자기조절 효능감, 과제난이도 선호 세 가지 구인을 비서직무 자기효능감의 잠정적인 구성 요인으로 설정한 후 비서 직무에 대한 문헌고찰을 통해 비서 직무 내용을 전화응대, 방문객응대, 경조사업무, 일정관리, 회의관리, 출장관리, 사무환경정비, 문서관리, 회계업무, 개인신상 보좌업무로 분류하였다. 세 개의 구성요소와 열 개의 직무 내용 영역을 모두 포괄할 수 있는 60개의 문항으로 비서 직무 자기효능감 예비척도를 구성한 후, 이 척도를 사용하여 192명의 현직 비서에게 예비검사를 실시하였다. 예비검사 결과의 문항분석, 요인분석, 내용 타당도 검증을 통해 최종 척도 24문항이 선별되었다. 비서직무 자기효능감 최종 척도를 예비검사 때와는 다른 140명의 현직 비서를 대상으로 본검사를 시행한 후 다시 문항분석,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비서직무 자기효능감 척도의 신뢰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문항내적합치도(Cronbach's α)를 산출하였으며 비서직무 자기효능감 척도의 구성타당도 중 수렴변별타당도를 알아보기 위해 비서직무 자기효능감 척도의 하위요인들과 일반적 자기효능감 척도와의 상관분석을 실시하여 그 결과로 24문항을 확정하였다. 후속 연구에서는 보다 다양한 집단을 대상으로 한 검증과정을 거쳐 본 척도를 보다 정교화한다면 비서학 분야의 자기효능감 관련 연구의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d validate a secretary self-efficacy scale. Literature review and job analysis results indicated that there are three components of secretary self-efficacy: self-confidence, self-regulatory efficacy, and task difficulty preference in 10 job-related areas. On the basis of these sub-components, 60 items were constructed. The preliminary secretary self-efficacy scale was administered to 207 secretaries. The responses of 192 secretaries were analyzed. Item analysis was conducted to select appropriate items and common factor analysis was done to identify the sub components of the secretary self-efficacy scale. As a result, 24 items were selected and 3 factors were identified as the construct of secretary self-efficacy scale. The modified secretary self-efficacy scale and general self-efficacy scale were administered to 145 secretaries and the responses of 140 secretaries were analyzed. As a result of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24 final items were confirmed and 3 factors were identified as the construct of final secretary self-efficacy scale. The internal consistency of each factor was proved to be acceptable. Correlation analysis among the sub-scores of secretary self-efficacy scale and general self-efficacy scale were conducted for construct validity.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further studies wer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