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민사건설재판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한나라 ( Han Nara ),김성화,양승욱,이단비 사법정책연구원 2023 연구보고서 Vol.2023 No.6

        민사건설재판은 전문적이고 복잡하며 복합적인 건설사건의 특성상 심리가 어렵고 소송기간이 길어지며 소송비용이 크다는 문제가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공정하고 충실하며 효율적인 건설사건 심리를 위해 각급 법원에 민사건설전담재판부를 설치하고 전문적 지식이 필요한 대부분의 건설사건에서 증거방법으로 감정을 실시하고 있으며, 법원의 전문성을 위해 건설사건 전문법관, 건설 분야 상임전문심리위원 제도를 시행하고 있다. 또한 건설감정절차와 민사건설재판 실무를 돕기 위한 각종 실무서, 프로그램 등을 운용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 민사건설재판의 문제점이 계속되고 있다. 이는 주로 감정 제도와 관련되는데, 감정인의 자격이 부족하거나 소송관계인의 전문성과 준비가 부족하여 감정결과가 부실해지고 감정절차가 지연되며, 감정료가 과다하다는 문제 등이다. 또한 건설사건의 복잡성, 과다한 사건수, 다양한 유형 등으로 인해 사건 심리가 어렵다는 문제도 있고, 결과적으로 소송이 지연되고, 당사자들의 절차 만족도와 사법 신뢰가 저해된다. 민사건설재판의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우리나라의 현황을 살펴보는 외에 외국의 관련사례를 검토하여 시사점을 얻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 먼저 영국의 경우 건설사건을 전담하는 기술 및 건설 재판부(TCC)를 설치하였고, 재결, 소송 전 규약으로 법원의 사건수를 감소시켰다. 재판을 하는 경우 법원의 사건관리권한과 변론 전의 준비절차를 강화하여 사건을 집중적으로 처리하고, 전문지식을 보완하기 위해 전문가 증거 제도를 두고 있다. 독일의 경우 법원과 건설 관련 협회가 긴밀히 연결되어 감정인의 자질을 보장하고, 상공회의소에 의해 임명 및 관리되는 공적인 감정인 제도를 두고 있다. 또한 감정인의 조언자로서의 역할, 당사자의 절차 참여권 등을 강조한다. 프랑스의 민사건설재판에서도 감정이 중요한데, 감정절차를 전담하여 주관하는 특임법관 제도를 실시한다. 감정절차에서도 대심주의가 강조되며 당사자에 대한 설명과 참여를 위해 감정서 제출 전 수차례의 감정회의를 거친다. 또한 각 법원에서 엄격한 절차를 통해 등록, 관리하는 법원감정인 제도를 두고 있고, 다수의 단체가 감정인명단 등록 시 적합성 심사에 관여한다. 일본의 경우 전문가와 변호사들로 구성된 건축관계소송위원회를 설치하여 감정인 등의 후보자 추천, 관리 및 민사건설재판의 운영에 관한 논의 등을 담당한다. 민사건설전담재판부가 설치되어 표준화된 심리모델과 건설사건의 각 쟁점에 관한 각종 일람표를 마련하여 효율적인 심리를 강조하며, 전문 지식 보완을 위해 전문위원의 참여가 증가하고 있다. 위 논의에 기초하여 재판절차 효율화, 감정인 자격, 전문성 강화와 관련하여 구체적인 개선방안을 제시한다. 먼저 재판 준비 단계에서 사건 시작 시 상세한 심리계획을 수립하기 위해 사건관리정보표, 사건관리계획표를 사용할 것과 사건관리계획에 관한 민사소송규칙 개정안을 제안한다. 사건유형별 쟁점정리표를 마련하여 홈페이지를 통해 공개하는 것도 필요하다. 감정 단계에서 감정준비명령, 단계별 감정사항 점검표를 활용하여 감정기일을 실질화할 것을 제안하고, 감정인과 당사자, 소송대리인의 감정회의를 의무화하는 감정예규 개정안을 마련한다. 감정자료의 제출기한, 감정서 제출기한 및 감정보완 횟수와 기한을 제한하여 감정절차를 신속화할 필요가 있고, 이미 마련된 감정서 표준서식을 개정할 것과 지체상금 등 계산 프로그램을 제작할 것을 제안하며 일부 유형의 건설사건에서 참조할 판결서 구조를 제안한다. 다음으로 건설감정인 자격에 관하여 일본과 유사한 건설감정인 선정·관리 위원회를 설치할 것을 제안하고, 기존의 감정인 명단 조정 제도와 평정 제도가 활성화되어야 한다. 감정인 평정과 관련하여 합의부원의 평정 및 소송대리인과 상임전문심리위원의 평정에 대한 의견 제시를 가능하게 하고 감정인에게 사건 결과 등을 통지할 필요도 있다. 마지막으로 민사건설재판의 전문성 강화를 위하여 사건 초기에 원칙적으로 상임전문심리위원 참여결정을 하고, 소규모 건설사건에서 가능한 경우 상임전문심리위원을 특허법원의 전문심리관 형태로 참여시키는 방안을 제안하며, 이를 위해 상임전문심리위원의 공동 참여결정을 활성화하고 상임전문심리위원을 증원할 것을 제안한다. 또한 감정절차를 통일적, 집중적으로 관리하는 감정담당판사 제도를 실시하고, 궁극적으로 건설사건 전문법관, 감정담당판사, 상임전문심리위원 등이 주축이 된 감정센터의 구축을 제안하며, 장기적으로 영국 재결제도의 도입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 Given the highly specialised, technical, and complex nature of construction disputes, the civil construction litigation process would be difficult, time-consuming, and costly in terms of practice. In Korea, in order to ensure the just, faithful and efficient trial in the civil construction cases, special civil divisions on construction are established in several district and high courts; expert evidence is commonly employed in most construction cases that require special technical knowledge; and for greater expertise, a “Construction Case Specialist Judge” and a “Standing Technical Adviser” system are implemented in the construction litigation sector. In addition, several practical handbooks and programs are in place to help with expert evidence procedure and construction litigation practice. Despite the above efforts, problems regarding civil construction litigation still remain unresolved in Korea. They are mainly related to the expert evidence system, such as a lack of qualifications for experts and a lack of expertise and preparation of litigants, which contribute to poor results, delayed procedures, and high costs. Moreover, due to the complexity, numerous case-dockets, and various types of construction cases, construction litigation per se is a complicated and convoluted process. Consequently, the above factors lead to delays in litigation, lowering the parties' satisfaction with the procedure and causing a negative impact on the public’s trust in the judicial system.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and improve the civil construction litigation system in Korea, efforts should be made to draw implications by reviewing related systems in foreign countries as well as to examine Korea’s current situation. First, the UK has established the Technology and Construction Court (TCC) dedicated to construction cases. Adjudication and the Pre-Action Protocol for Construction and Engineering Disputes successfully has played a part to reduce the amount of litigation. When the disputes end up in litigation, the courts’ case management power and pre-trial preparation are to be strengthened to ensure intensified proceedings. Furthermore, the expert evidence system is employed to supplement the expertise of the court. In Germany, courts and construction-related associations are closely connected to guarantee the qualifications of experts, who are publicly appointed and managed by Chambers of Commerce. It focuses on the role of experts as advisors and the parties’ right to participate in the process. Expert evidence system is also important in France’s civil construction litigation, which appoints an “Especially Entrusted Judge” to supervise the expert evidence proceedings. The adversarial principle should also be abided by in expert evidence procedures, and several expert meetings (Accedit) are held before submitting the expert report in order to inform the parties thereof and allow them to comment thereon. Additionally, Judicial Experts are registered and managed in a strict manner by the Court of Cassation and each Court of Appeal, and several entities are involved in qualification screening for the registration of the list of experts. In Japan, the Committee on Construction Lawsuits, composed of both experts and lawyers, is involved in the recommendation and management of each expert. It discusses the improvement measures for civil construction litigations. Japanese courts have established specialist divisions to deal with construction cases and have provided standardised proceeding models and Scott Schedule examples regarding some types of construction cases to promote efficiency in dealing with cases. Recently participation of Technical Advisers has been on the increase to bolster the expert knowledge in the proceedings. Based on the analysis above, this research suggests the specific improvement measures by categorizing following three parts; efficiency of proceedings, qualified expert system, and strengthened professionalism. In the pre-trial stage, this research proposes “Case Management Information Tables” and “Case Management Plan Tables” to be used by courts and the parties to set down a detailed plan. The research also makes suggestion to amend the Supreme Court’s Civil Procedure Regulation for the purpose of providing the legal grounds for planned trials. Examples of tables which clearly set out the issues and evidence in dispute should be provided and available on the website. At the expert evidence stage, it is emphasized to operate the date for expert testimony substantively by using preparation orders and a step-by-step checklist, and also to revise the existing Supreme Court’s Practical Guidance Manual for the purpose of encompassing mandatory expert meetings where experts, parties, their representatives etc. should be obliged to attend. To prevent delays, it proposes the implementation of deadlines within which an expert is to submit his or her report, parties are to give necessary documents to the expert and submit questions as to an expert’s report. Revision of previous handbooks and standard forms, and the development of calculation programs for the reimbursement on the delayed performance are also suggested. This research offers an example structure of judgment in a specific type of construction case. Next, regarding the qualification of experts, a construction expert selection and management committee should be established and the current evaluation of experts in specific cases and expert list adjustment system need to be activated. With respect to the evaluation system, it is also necessary to enable the evaluation of collegiate panels and the presentation of opinions on the evaluation of lawyers (representatives) and standing technical advisers, and to notify the examiners of the results of the case. Finally, in order to strengthen the expertise of civil construction litigations, it is suggested that standing technical advisers should participate in at an early stage of every construction case in principle, and furthermore if possible, especially in small-scale cases, they can take part in as a technical examiner in the Intellectual Property High Court. To this end, it is necessary to promote a joint participation order by two or more standing technical advisers and enlarge the number of standing technical advisers. This research additionally proposes implementation of the Examination Dedicated Judge system that uniformly and intensively manages expert evidence procedures; ultimately the establishment of the Examination Center led by construction case specialist judges, examination dedicated judges, standing technical advisers etc.; the introduction of a British-style adjudication system in the long term.

      • 건축에 의한, 건축을 위한 올바른 프로세스 : 건축을 위한 부지 분석과 다이어그램, 개념 설정을 중심으로 한 단계별 프로세스 연구

        한나라 ( Na-ra Han ) 숙명여자대학교 디자인연구소 2021 숙명디자인학 연구 Vol.31 No.0

        건축은 사회의 패러다임을 반영하여 현실로 전환하는 매개체로서 작용한다. 그러나 기존의 전통적 설계과정을 통해서는 기술 문명의 발달로 인하여 끊임없이 확장, 변형되어 가는 현대사회를 반영하기에는 매체로서의 한계점을 보이고 있다. 그리하여 현대 건축에서는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고자 관습화된 양식이나 형태에 대한 선입견으로서 벗어나려는 대안으로 다이어그램에 주목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현대 사회의 특성에 적극적으로 반응하는 건축이 되기 위해서는, 건축화 과정에서 사용할 새로운 도구가 필요하다는 생각에서 출발하여 다이어그램을 살펴봄으로써 건축의 프로세스에서 다이어그램과 같은 초기 단계가 얼마나 중요한지 새로운 가능성을 밝히고자 한다. Architecture acts as a medium for transforming into reality by reflecting the paradigm of society. However, through the existing traditional design process, it shows limitations as a medium to reflect the modern society that is constantly expanding and transforming due to the development of technological civilization. Thus, in order to overcome these limitations, modern architecture focused on diagrams as an alternative to escape as a preconceived notion of customary styles or forms. Therefore, in this study, in order to become an architecture that actively responds to the characteristics of modern society, Starting with the idea that new tools are needed to be used in the architectural process, we want to reveal new possibilities of how important initial steps such as diagrams are in the architectural process.

      • KCI등재

        비서직무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에 관한 연구

        한나라(Han, Na-Ra),최애경(Choi, Ae-Kyung) 한국비서학회 2011 비서·사무경영연구 Vol.20 No.2

        본 연구의 목적은 비서 직무 상황에서 직업적 수행을 예측할 수 있는 비서직무 자기효능 감을 개념화하고, 이를 측정하는 도구를 개발하여, 타당도를 검증하는 데에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자기효능감에 대한 문헌고찰을 통해 도출된 자신감, 자기조절 효능감, 과제난이도 선호 세 가지 구인을 비서직무 자기효능감의 잠정적인 구성 요인으로 설정한 후 비서 직무에 대한 문헌고찰을 통해 비서 직무 내용을 전화응대, 방문객응대, 경조사업무, 일정관리, 회의관리, 출장관리, 사무환경정비, 문서관리, 회계업무, 개인신상 보좌업무로 분류하였다. 세 개의 구성요소와 열 개의 직무 내용 영역을 모두 포괄할 수 있는 60개의 문항으로 비서 직무 자기효능감 예비척도를 구성한 후, 이 척도를 사용하여 192명의 현직 비서에게 예비검사를 실시하였다. 예비검사 결과의 문항분석, 요인분석, 내용 타당도 검증을 통해 최종 척도 24문항이 선별되었다. 비서직무 자기효능감 최종 척도를 예비검사 때와는 다른 140명의 현직 비서를 대상으로 본검사를 시행한 후 다시 문항분석,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비서직무 자기효능감 척도의 신뢰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문항내적합치도(Cronbach's α)를 산출하였으며 비서직무 자기효능감 척도의 구성타당도 중 수렴변별타당도를 알아보기 위해 비서직무 자기효능감 척도의 하위요인들과 일반적 자기효능감 척도와의 상관분석을 실시하여 그 결과로 24문항을 확정하였다. 후속 연구에서는 보다 다양한 집단을 대상으로 한 검증과정을 거쳐 본 척도를 보다 정교화한다면 비서학 분야의 자기효능감 관련 연구의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d validate a secretary self-efficacy scale. Literature review and job analysis results indicated that there are three components of secretary self-efficacy: self-confidence, self-regulatory efficacy, and task difficulty preference in 10 job-related areas. On the basis of these sub-components, 60 items were constructed. The preliminary secretary self-efficacy scale was administered to 207 secretaries. The responses of 192 secretaries were analyzed. Item analysis was conducted to select appropriate items and common factor analysis was done to identify the sub components of the secretary self-efficacy scale. As a result, 24 items were selected and 3 factors were identified as the construct of secretary self-efficacy scale. The modified secretary self-efficacy scale and general self-efficacy scale were administered to 145 secretaries and the responses of 140 secretaries were analyzed. As a result of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24 final items were confirmed and 3 factors were identified as the construct of final secretary self-efficacy scale. The internal consistency of each factor was proved to be acceptable. Correlation analysis among the sub-scores of secretary self-efficacy scale and general self-efficacy scale were conducted for construct validity.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further studies were discussed.

      • KCI등재

        무대 의상에 나타난 블랙의 미적 특성 -뮤지컬 "시카고"를 중심으로-

        한나라 ( Na Ra Han ),김영삼 ( Young Sam Kim ) 복식문화학회 2010 服飾文化硏究 Vol.18 No.6

        This study examined that the black dress is the one of having aesthetic value as well as symbolism while delivering specific image, from the perspective of color, which is essential element in forming design of the Stage Costume. This study carried out the theoretical research of centering on the literature consideration and the empirical research of centering on a case side by side. It analyzed the works and design based on the clothing, which had been performed in Korea with a revival version of Musical ``Chicago``. Aesthetic characteristics in more than two are being shown in one dress. If so, the following are the results that considered on aesthetics characteristics in black, which were shown in Stage Costume of Musical ``Chicago``, which is increasing the theme consciousness through Stage Costume, which is simple and sexy black. First, as emotion of coming to stay in agony and sadness on the basic fact called death, the Stage Costume in black led to being shown sorrow of implying death, fear and murder. Second, the dignity, which corresponds to noble beauty in the aesthetic category, expresses dignity and elegance with flat material in black, and is revealed the aspect of expressing fashion, which emphasized spirit rather than body. Third, as the aesthetic characteristic of causing sexual desire, the sensuality was shown, which has the aspect of being expressed through exposure, concealment and emphasis. Fourth, it was expressed with androgyny, which evokes androgynous image. Fifth, black in Musical ``Chicago`` formed the whole mood with a sense of weight by arranging the whole feeling with color in similar tone, thereby having been indicated the harmony of being formed with theme, which is aimed to be indicated in drama.

      • 2021년 국가수준 초·중학생 디지털 리터러시 수준 측정 연구

        한나라(Nara Han) 한국컴퓨터교육학회 2022 한국컴퓨터교육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26 No.1

        4차 산업혁명으로 인한 초지능화·초연결 사회가 도래하고, 코로나19로 인한 각 분야의 디지털 전환(Digital Transformation)이 가속화됨에 따라 사회·경제 전반의 구조적 변화가 심화되고 있으며, 그에 따라 개인에게 요구되는 미래핵심 역량도 변화하고 있다. 특히, 디지털 기기, 디지털 공간이 우리 삶에 차지하는 비중이 점차 높아짐에 따라, 디지털 세상에서 올바른 시민으로 살아가기 위한 기본 소양인 디지털 리터러시(Digital Literacy)의 필요성이 무엇보다 강조되고 있다. 전 세계적으로 디지털 리터러시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는 가운데, 우리나라에서는 한국교육학술정보원 주도로 2007년부터 약 15년간 초·중학생의 디지털 리터러시 수준을 측정하고 연도별로 심층 분석하여, 교육적·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해 오고 있다. 이에 본 튜토리얼은 2021년 실시된 국가수준 초·중학생 디지털 리터러시 수준 측정 연구 결과를 살펴보고자 한다. 2021년 디지털 리터러시 검사는 초등학교 4학년에서 중학교 3학년까지 6개 학년의 학생을 대상으로, 17개 시도별, 지역규모별, 성별, 학급 당 학생 수 등을 고려해 약 1%를 유층 무선표집하여 10월 19일부터 11월 8일까지 약 3주간 실시되었으며, 최종적으로 본검사에 응시한 학생 약 2만 2천여명(초등학교: 203개교, 9,062명, 중학교: 198개교 13,054명)의 결과를 분석하였다. 본검사 실시에 앞서, 연구진 검토 및 전문가 자문을 통해 2020년 검사의 내용 타당도 및 측정학적 양호도를 검증하여 검사 문항 개선 작업을 수행하였으며, 예비 검사 실시 후 디지털 리터러시 7개 하위 영역별로 4문항씩 초등학생용 검사 28문항, 중학생용 검사 28문항으로 최종 본검사 문항을 확정하였다. 본검사 실시 후 디지털 리터러시 원점수에 대한 총점 및 하위영역별 총점에 대한 분석을 진행하여, 학교급별, 학년별, 성별, 지역규모별 디지털 리터러시 수준 분석 결과를 제시하였다. 이와 더불어, 2021년 연구에서는 2018-2019-2021년 세 시점 간 디지털 리터러시 수준의 연도별 비교를 위해 검사 동등화 및 연계화를 실시하여, 코로나 이전과 이후의 디지털 리터러시 총점과 성취 수준에 대한 비교 분석 결과를 제시하였다. 또한 교사 및 학생 설문을 통해 디지털 기기 접근성, 디지털 기기 활용 효능감, 태도 등 학교, 교사, 학생 및 가정 차원의 다양한 변인들과의 디지털 리터러시 수준과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우리나라 학생들의 디지털 리터러시 수준에 대한 교육적 시사점 및 정책적 제안을 제시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