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사외이사비율과 사내이사 보상이 기업의 사회적 책임에 미치는 영향
박범진,이승범 세명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23 人文 社會科學硏究 Vol.31 No.1
· 연구 주제: 본 연구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에 대한 긍정적인 의사결정이 이사회를 구성하는 사외이사와 사내이사의 어떠한 특성에 의해 이루어지는지를 확인하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높이기 위한 최적의 이사회 구성 또는 방안들을 모색하는 기회를 제공하게 될 것이다. · 연구 배경: 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과 관련하여 이사회 내 사외이사와 사내이사는 이해의 충돌(conflicts of interests)이 발생할 수 있다. 사외이사는 주주의 보호에 초점이 맞춰져 있지만, 사내이사는 사익만 추구하여 대리인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 선행연구와의 차이점: 많은 선행연구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성과가 경영자 보상에 미치는 영향을 다루었다. 본 연구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경영자의 소극적 의사결정이 합리적인 장․단기보상체계를 통해 완화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 연구방법: 먼저 사외이사비율과 사내이사 단기보상이 각각 기업의 사회적 책임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회귀분석으로 검증하였다. 그리고 기업의 사회적 책임성과에 대한 사외이사비율과 사내이사 단기보상 간의 상호작용효과를 회귀분석으로 검증하였다. · 연구결과: 사외이사비율과 기업의 사회적 책임성과 간에 유의한 양(+)의 관련성이 발견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사외이사가 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에 대해 긍정적인 의사결정을 하며, 이사회 내 그들의 영향력이 커질수록 기업의 사회적 책임성과는 유의하게 높아지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이러한 양(+)의 관련성은 사내이사의 단기보상이 높을 때 강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사내이사 보상이 높을 때 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에 대해 사외이사와 사내이사 간에 상승(synergy)효과가 발생하는 것을 의미한다. 추가로 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에 대한 사외이사와 사내이사 간의 긍정적인 상호작용은 사내이사의 지분율이 높을 때 더 뚜렷하여 이러한 관련성이 사내이사가 장기적 보상유인을 가질 때 더 강화되는 것이다. · 공헌점 및 기대효과: 본 연구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성과를 높이기 위해 이사회 내에 사외이사 비중을 높이고 사내이사에게 합리적인 장․단기 보상계획을 제시해야 함을 시사하고 있다.
조명근,한송이 세명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25 인문사회과학연구 Vol.33 No.1
· 연구 주제: 본 연구는 대학생의 사회적 지지와 대학생활 적응 경험을 탐구하여, 대학 차원의 실천적 제언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 연구 배경: 대학생활 적응이 학업 성취와 사회적 성공의 중요한 지표라는 점과, 심리·사회적 요인인 사회적 지지가 대학생의 대학생활 적응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점에서 이 두 경험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 선행연구와의 차이점: 기존 연구들은 사회적 지지가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긍정적 영향을 다각도로 분석해 왔으나, 구체적인 지지 유형별 경험과 그에 따른 대학생활 적응 과정에 대한 심층 논의는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충청권 소재 A대학 재학생을 대상으로 정서적, 정보적, 물질적, 평가적 지지를 각각 어떻게 경험하는지를 탐색하고, 이러한 경험이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심층적으로 분석함으로써 기존 연구와 차별성을 갖는다. · 연구방법: 충청권 A대학교 재학생 8명을 대상으로 심층 면담을 통해 질적 자료를 수집하고, 귀납적 분석 방법을 사용하여 주요 경험과 주제를 도출하였다. · 연구결과: 연구 결과, A대학 재학생은 교수, 친구, 가족 등으로부터 정서적, 정보적, 물질적, 평가적 등 다양한 사회적지지를 경험하였으며, 이를 통해 대학생활 과정에서 정서적 안정과 학업 지속 등 적응을 경험하였다. · 공헌점 및 기대효과: 대학 차원에서 대학생의 적응을 위한 맞춤 지원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실천적 시사점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 Research topics: This study aims to explore college students' experiences of social support and their adaptation to college life, providing practical suggestions for institutional interventions at the university level. · Research background: Adaptation to college life is a critical indicator of academic achievement and social success. Given the significant role of social support—both psychological and social—in facilitating adaptation, this study investigates the interplay between these experiences. · Differences from prior research: Building on existing studies that address the positive impact of social support on college adaptation, this research uniquely examines the specific experiences of emotional, informational, material, and appraisal support among students at a university in the Chungcheong region, thereby offering a nuanced perspective on their adaptation process. · Research method: Qualitativ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with eight undergraduate students from A university. Thematic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an inductive approach to identify key themes and experiences. · Research results: The findings revealed that students experienced diverse forms of social support—emotional, informational, material, and appraisal—provided by professors, peers, and family members. These supports contributed significantly to emotional stability and sustained academic engagement throughout their college journey. · Contribution points and expected effects: The study offers practical implications for developing tailored support programs to enhance students' adaptation at the institutional level, thereby contributing to student success and retention.
황윤성,황재훈,류경무 세명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20 人文 社會科學硏究 Vol.28 No.1
The following study was conducted on Cheongju, Chungju, and Jechon cities, which were selected in 2017 as part of the Chungbuk region’s urban regeneration New Deal. In order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urban regeneration and social economy, their concepts, characteristics, and research trends were analyzed. In the process, Korean urban regeneration theories and urban regeneration new deal projects were taken into consideration. Recognizing and using the urban regeneration projects’ social roles’ impact on regional communities as the basis, aspects of social economy were categorized into socio-economic criteria to discover the shift in perception before and after 2017. For the analysis, theoretical models and previous studies were used to create questionnaires for each socio-economic sector. Then residents, citizens, and customers were surveyed. The study revealed that the public perception of social and economic environment and living environment before and after urban regeneration projects are different for each region. Also, the regeneration project thus far has been confirmed to have an impact in the perception of not only the physical environment, but also the social and economic environment and living environment. Based on this study, further urban regeneration projects should proceed while accommodating the unique regional characteristics. 2000년대 까지 무분별한 도시개발로 인한 도시팽창(Urban Sprawl)으로 인해 기존의 개발되었던 낙후된 도심지역이 쇠퇴하며, 도시공동화 현상이 발생하게 되었고, 이후 낙후된 원도심을 살리기 위한 도시재생의 개념이 도입되었다. 이는 미국이나 영국 등 선진국뿐만 아니라 국내 도시계획과 관리의 정책적 필요성으로 대두되었다. 도시재생(Urban Regeneration)은 기존의 개발 방식의 단점을 보완하는 방식으로 주목을 받게 되었다. 도시재생은 도로의 보수, 공원의 설치 및 확대 등 주변 인프라 구축, 미관과 성능을 고려한 건물의 리모델링, 역사적 가치가 있는 경관의 보전 등의 다양한 개발 방식을 통해 쇠퇴한 원도심 지역의 기능을 재건하는 사업을 의미한다. 2016년 도시재생법의 제정을 통해 도시재생의 관련법이 제도화되고, 이를 바탕으로 다양한 도시재생 사업과 도시재생 지원센터 등의 도시재생 관련조직들이 만들어지기 시작하였다. 도시재생 뉴딜 사업은 기존 도시재생사업에서 진행하던 대규모 철거 위주의 정비방식에서 벗어나, 소규모로 진행하는 생활 밀착형 도시재생 사업을 추진하면서, 지역주민이 주도하여 사업을 이끌어 갈 수 있는 지역여건에 맞춘 도시재생을 강조하고 있다. 사회적 경제는 자본주의 시장경제의 형성 및 확대와 더불어 발생한 다양한 사회적 격차, 차별 등 사회적 배체 현상에 대응하기 위해 출현한 경제개념으로, 시장경제의 폐해를 극복하고, 사람 중심의 경제조직을 중심으로 운영되고 있다. 사회적 경제를 바탕으로 도시재생 뉴딜사업에서 강조하고 있는 지역적 특색을 갖춘 도시재생과 주민협의체 등의 지속적 참여, 다양한 주체의 참여 등을 이끌어 낼 수 있고, 사회적 기업, 마을기업 등의 사회적 경제 조직은 일자리 창출 등 지역 발전에 직접적인 관계가 있다. 이를 통해, 도시재생사업과 사회적 경제와의 관계연구는 도시재생의 효율성 제고와 차별화된 추진체계를 위해 필요한 연구로 판단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도시재생 관련 정책과 발맞춰 충청북도의 지역적 여건과 특성에 맞는 도시재생정책과 도시재생사업을 통한 사회적 경제의 발전방향을 찾아보고자 연구를 진행하였다. 첫째, 도시재생사업에서 사회적경제의 역할과 필요성을 알아보고, 물리적 환경개선에 초점을 맞춰온 기존의 연구관점을 사회, 경제적 측면까지 파악함으로써 도시재생과 사회적경제의 통합적 해석을 진행하고자 한다. 둘째, 도시재생이 지역의 사회적 경제와 사회적 자본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생활만족·도시재생환경 등 사회적 요인과의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 도시재생사업의 사회적 경제 영역과 세부항목을 도출하였다. 셋째, 재생 사업이 진행되고 있는 충청북도 청주시, 충주시, 제천시를 대상으로 도시재생에 따른 사회적 경제의 인식차이를 분석하여, 유의한 관계가 있는지 확인하였다.
사회복지사의 감정노동과 행복감의 관계에서 회복 탄력성의 조절 효과
박현진,김명희 세명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24 인문사회과학연구 Vol.32 No.3
· 연구주제: 사회복지사들의 감정노동이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회복탄력성의 조절 효과를 분석하며, 감정노동은 표면행동과 내면행동으로 구분한다. 이를 통해 사회복지사들이 겪는 감정노동을 회복탄력성으로 조절해 사회복지사 개인의 행복감을 높일 방안을 마련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 연구배경: 서비스 현장에서의 사회복지사들은 감정노동에 노출되어 있으며, 스트레스를 받지 않기 위해 감정노동의 행위를 지속할 수밖에 없다. 하지만 장기간의 감정노동은 개인의 직무 만족이나 행복감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어, 사회복지사들의감정노동을 조절할 수 있어야 한다. · 선행연구와의 차이점: 감정노동과 행복감에 대한 연구는 다양한 서비스 직종에 연구가 많이 진행되고 있으나, 감정노동을 조절하기 위한 노력은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개인의 개인이 스트레스나 어려움을 회복시켜주는 회복탄력성을 이용하여 감정노동과행복감의 관계를 규명하고자 한다. · 연구방법: 사회복지사를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을 실시하며, SPSS를 활용하여 가설검증을 실시한다. 이때 조절효과는 평균중심화 방법을 활용한다. · 연구결과: 사회복지사의 감정노동 중 표면행동은 행복감에 부의 영향, 내면행동은 행복감에 의 영향을 미쳤다. 또한, 사회복지사의 감정노동 중 내면 행동이 행복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회복탄력성은 조절 효과가 있었다. · 공헌점 및 기대효과: 회복탄력성은 내면행동을 통한 감정조절이 사회복지사의 행복에 미치는 긍정적인 영향을 증대시킬 수 있는 중요한 조절 변수로 작용한다. 이는 사회복지사의 심리적 안녕과 직업 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으로 작용할 것이다. 이러한상호작용은 복지 현장에서의 긍정적인 분위기 조성, 사회복지사와 대상자 간의 관계개선 등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다문화 사회에서의 다문화가족지원법 개선방안에 대한 고찰 - 실효적 사회통합을 중심으로 -
정정희 세명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22 人文 社會科學硏究 Vol.30 No.4
· 연구 주제: 다문화사회에서의 사회통합을 위한 다문화 개념의 편협성과 적용 대상의 제한에 대한 비판적 검토, 정부 예산 편성 및 집행의 효율성을 지적, 다문화 교육에 근거한 이주민 법률 교육의 정책적 필요성 제고 등을 통한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또한 다문화가족의 생활법률 교육을 통한 공동체 사회의 건강한 통합 및 실효성을 확보하고자 한다. · 연구 배경: 20세기 후반 결혼이민자 가족 외의 구성원도 인구 극감시대 중요한 사회 공동체 구성원이라는 점에서 이들에 대한 지원방안을 강화하는 것이 필요함과 다문화가족을 보호함에 실질적인 대안을 제시하고 입법화에 있다. · 선행연구와의 차이점: 다문화가족의 사회적 위축, 자아 존중감 상실로부터 삶의 질 저하, 우리 공동체 사회의 구조적 결함과 문화적 부적응, 낙인에 따른 우울증 증가, 삶의 만족도 저하 등 문화적 이질감에 따른 사회적 갈등이 증폭되고 있는 현실이다. 이에 이러한 많은 요인들의 해소 방안으로 공동체 생활법률 교육을 통한 이주민의 생활 안정과 공동체 사회구성원의 역할과 책임을 강조, 건강한 사회통합에 기여함에 선행 논문과 차별화하고자 한다. · 연구 방법: 선행 논문(학회지)과 문헌 검토, 다문화가족지원법, 정부의 외국인 고용정책, 지방자치 단체 외국인 주민 현황 등 입법과정을 검토하였다. · 연구결과: 다문화 관련 법령인 다문화가족지원법, 국적법, 외국인처우법 및 고용법 등으로 중복 또는 누락된 부분을 체계적으로 정리할 필요성과 발전방안을 제시하였다. · 공헌점 및 기대효과: 첫째, 다문화가족의 삶의 만족도 향상 및 생활법률 교육프로그램 개발에 의한 인간성 존중 향상에 기여한다. 둘째, 다문화가족의 복지 향상에 실효적인 정책적 대안 마련에 기여하고자 한다.
다문화 가정의 사회적 차별 경험이 사회적 소외감과 문화 적응, 가족건강성에 미치는 영향
서상윤 세명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22 人文 社會科學硏究 Vol.30 No.3
· Research topic: We examined the effect of social discrimination the multicultural family experienced on social alienation, cultural adaptation, and family strength. · Research Background: Social discrimination among multicultural families has intensified due to the COVID-19, and how does this affect family health?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se causal relationships. · Differences from prior studies: There is a lack of research on the effects of the social disaster of the COVID-19 pandemic on the discriminatory behavior of nationals toward multicultural families and the effects of multicultural families on adaptation to Korean society and family health. · Research method: We tried to prove the relationship using structural equations model and ANOVA by measuring social discrimination, social alienation, cultural adaptation, family health, and spouse's support using a questionnaire for migrant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 Research results: Social discrimination increased the feeling of alienation, and this feeling of alienation had a negative effect on family health. Also social discrimination did not directly affect acculturation, but acculturation had a significant effect on family health. The higher the spouse's support, the higher the family health, but there was no interaction effect with acculturation and alienation. · Contribution points and expected effects: It provides policy implications and directions for supporting plans for the promotion of family health in multicultural families. · 연구 주제: 코로나 팬데믹 기간 동안 다문화가정의 이주민이 경험한 한국사회에서의 차별적 경험과 이로 인한 사회적소외감, 문화적응, 가족 건강성 간의 관계에 대해 규명하고자 하였다. · 연구 배경: 코로나 팬데믹으로 인해 다문화가정의 사회적 차별은 심화되었으며 이는 가족건강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가? 본 연구는 이에 대한 인과관계를 규명하고자 수행되었다. · 선행연구와의 차이점: 코로나 팬데믹이라는 사회적 재난이 다문화가정에 대한 자국민사람들의 차별적 행동과 이를 경험한 다문화가정의 한국사회에 대한 적응 및 가족건강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 연구방법: 다문화가정의 이주민들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이용하여 사회적차별, 사회적 소외감, 문화적응, 가족건강성, 배우자의 지지를 측정하여 구조방정식 및 분산분석을 이용하여 관계를 입증하고자 하였다. · 연구결과: 사회적 차별은 소외감을 높이고, 이러한 소외감은 가족건강성에 부정적 영향을 미쳤다. 그리고 사회적 차별은 문화적응에는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문화적응은 가족건강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배우자의 지지가 높을수록 가족건강성도 높았으나, 문화적응 및 소외감과 상호작용 효과는 없었다. · 공헌점 및 기대효과: 다문화가정의 가족건강성 증진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과 지원방안에 대한 방향성을 제시하여 준다.
사회자본이 긍정적 훈육 및 공동체 의식, 후속 자녀 출산의도에 미치는 영향: 정서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하정옥,민시은 세명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24 인문사회과학연구 Vol.32 No.1
· 연구 주제: 본 논문은 사회자본과 긍정적 훈육, 공동체 의식, 후속 자녀 출산의도 사이의 관계를 실증분석을 통해 연구하고자 한다. 또한, 정서적 지지가 사회자본과 후속 자녀 출산의도 간의 관계에서 조절효과가 있는지에 대해서도 실증분석을 수행하고자 한다. · 연구 배경: 우리나라의 인구가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현 시점에서 가장 시급한 국가의 문제는 바로 출산문제라고 할 수 있다. 이대로 출산율이 지속된다면 경제를 지탱할 수 있는 생산가능인구의 부족으로 국가위기에 처할 수 있다. 이러한 저출산 문제의 해결을 위해, 저조한 출산을 해소할 수 있는 방안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 선행연구와의 차이점: 첫째, 본 논문은 저출산으로 인해 인구가 감소하는 현 시점에, 출산율 증가를 위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시의적절한 주제를 연구하였다. 둘째, 사회자본이 가정의 다양한 요소인 긍정적 훈육, 공동체 의식, 그리고 후속 자녀 출산의도에 미치는 영향관계에 대해서 실증분석을 통해 객관적인 연구결과를 제시한다. 셋째, 사회적 지지 중 정서적 지지에 초점을 맞추어, 정서적 지지가 사회자본과 후속 자녀 출산의도 사이의 관계에서 조절효과가 있음을 규명함으로써, 정서적 지지의 중요성을 일깨워주었다. · 연구방법: 총 425명에게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불성실한 응답은 표본에서 제외하여 최종적으로 393명의 표본을 실증분석에 사용하였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수집한 표본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빈도 분석과 기술통계분석을 실시하였고, 측정항목의 신뢰성과 타당성을 검정하기 위하여 확인적 요인분석과 Cronbah’s α 계수를 활용한 신뢰성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사회자본과 긍정적 훈육, 가족공동체 의식, 후속 자녀 출산의도의 영향관계를 파악하기 위하여 구조방정식 모형을 활용하였다. 마지막으로, 사회자본이 후속 자녀 출산 의도에 미치는 영향관계에서 사회적 지지 중 정서적 지지의 조절효과 검정을 수행하였다. · 연구결과: 논문의 가설검정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자본의 하위요인인 신뢰와 규범이 긍정적 훈육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회자본의 하위요인인 네트워크, 규범, 참여가 가족 공동체 의식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사회자본의 하위요인인 네트워크, 규범, 참여가 후속 자녀 출산의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긍정적 훈육이 가족 공동체 의식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긍정적 훈육이 후속 자녀 출산의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가족 공동체 의식이 후속 자녀 출산의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곱째, 사회자본이 후속 자녀 출산의도에 미치는 영향관계에서 정서적 지지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조절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나타났다. · 공헌점 및 기대효과: 본 논문의 공헌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인구가 감소하는 현 시점에 시의적절한 주제를 연구하여 인구감소 방지를 위한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였다. 둘째, 사회자본이 긍정적 훈육, 공동체 의식, 그리고 후속 자녀 출산의도에 미치는 다양한 영향관계를 분석하여 객관 ...
청소년기 사회적 위축의 발달 궤적 및 영향 요인 분석: 잠재성장모형의 적용
조재언 세명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25 인문사회과학연구 Vol.33 No.2
· 연구 주제: 청소년기의 사회적 위축이 시간의 흐름에 따라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탐색하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함으로써 이론적 함의와 실천적 시사점을 도출하는 데 목적이 있다. · 연구 배경: 현재 청소년들의 사회적 위축이 심각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으며, 청소년기의 사회적 위축은 정신ㆍ신체 건강과 학업 및 미래 성공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므로 이에 대한 적극적인 대응이 필요하다. · 선행연구와의 차이점: 다수의 횡단 연구와 달리, 본 연구는 중1부터 고3까지 6년간 청소년기 사회적 위축의 변화를 종단적으로 분석하고, 잠재성장모형을 활용해 개인별 변화 경로를 추적하며, 생태체계이론의 미시체계 관점에서 환경 요인의 영향을 종합적으로 검토하였다. · 연구방법: 한국아동ㆍ청소년패널조사 2018의 중1패널 제1차(2018년)부터 제6차(2023년)까지 총 6년 동안의 자료를 잠재성장모형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 연구결과: 사회적 위축의 변화 양상은 2차 함수 모형이 최적 모델로 확인되었으며, 우울 수준이 높을수록 초기 사회적 위축이 높고 이후 감소하는 패턴이 뚜렷하였고, 스마트폰 의존은 초기 사회적 위축을 높였으며, 긍정적 양육 태도가 높을수록 초기 사회적 위축이 높았으나 이후 감소하였고, 또래 관계는 초기 사회적 위축을 낮추었으나 시간이 지나면서 사회적 위축을 증가시켰다. · 공헌점 및 기대효과: 본 연구는 청소년기 사회적 위축이 우울, 스마트폰 의존, 긍정적 양육 태도, 또래 관계와 같은 미시체계 요인의 영향을 받아 비선형적으로 변화하며, 이를 완화하기 위해 정서적 지원, 부모 교육, 또래 관계 증진, 스마트폰 사용 조절 등의 종합적인 개입이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 Research topics: The aim is to explore how social withdrawal in adolescence changes over time and to analyze the factors that influence it, drawing out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 Research background: Social withdrawal among adolescents is a serious problem that needs to be addressed as it negatively impacts mental and physical health, academic performance, and future success. · Differences from prior research: Unlike many cross-sectional studies, this study analyzes changes in social withdrawal longitudinally over a six-year period, tracks individual change pathways using latent growth models, and comprehensively examines the impact of environmental factors from the micro-systems perspective of ecological systems theory. · Research method: The data from the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2018, which covers a total of six waves of first-grade middle school panel, were analyzed using a latent growth model. · Research results: A quadratic function model was found to be the best model for the pattern of change in social withdrawal, with higher levels of depression associated with higher initial social withdrawal and subsequent decline, smartphone dependence associated with higher initial social withdrawal, positive parenting attitudes associated with higher initial social withdrawal and subsequent decline, and peer relationships associated with lower initial social withdrawal but increased social withdrawal over time. · Contribution points and expected effects: This study suggests that adolescent social withdrawal changes nonlinearly, influenced by micro-systemic factors such as depression, smartphone dependence, positive parenting attitudes, and peer relationships, and that comprehensive interventions such as emotional support, parental education, enhancing peer relationships, and moderating smartphone use are needed to mitigate it.
조성희 세명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22 人文 社會科學硏究 Vol.30 No.4
· 연구 주제: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적기업 종사자들이 인식하는 사회적 영향이 이직 의도에 미치는 영향과 조직 몰입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 연구 배경: 지속적으로 높은 수준을 보이는 사회적기업 종사자들의 이직 현상에 대한 개입이 필요하다. · 선행연구와의 차이점: 본 연구에서는 사회적기업의 종사자를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조직 몰입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 연구방법: 사회적기업 종사자 172명을 대상으로 구조방정식모형을 통해 사회적 영향이 이직 의도에 미치는 영향과 조직 몰입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 연구결과: 첫째, 사회적기업 종사자가 인식하는 사회적 영향과 조직 몰입은 이직 의도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회적 영향과 이직 의도의 관계에서 조직 몰입은 매개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 공헌점 및 기대효과: 사회적기업 종사자의 이직 의도에 대한 사회적 영향과 조직 몰입의 구조적 관계에 대한 이론적 검증과 함께 이직 의도를 낮추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지역사회 지원환경은 사회적경제조직의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가?: 네트워크와 협력거버넌스의 이중매개 효과를 중심으로
조상미,간기현,이수진 세명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22 人文 社會科學硏究 Vol.30 No.3
· Research topic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effect of the support environment of the local community on the performance of the social economy organization, and how the network and cooperative governance affect the performance of the social economy organization. · Research backgroun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the linkage between the support environment according to the government support policy and the actual growth of the local community network and governance, which in turn affects the performance of the social economy organization. · Differences from prior research: In the meantime, if the impact on social economic organizational performance on some factors among support environment, network, and governance has been partially analyzed, this study expanded from the previous study to identify the above factors in one model. · Research method: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using AMOS 28.0 programs to analyze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the effect of the support environment on social economy performance and whether the support environment affects social economy performance through the double mediation of network and cooperative governance. · Research results: First, it was found that each of the support environment, network, and cooperative governance had a positive (+) effect on the performance of social economy organizations. Second, it was found that network and cooperative governance each had mediating effect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upport environment and social economy organization performance. Third, it was found that network and cooperative governance had a double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upport environment and social economy organization performance. · Contribution points and expected effects: The theoretical domain was expanded by verifying the influence of the support environment on the performance of social economic organizations and the dual mediating effect of network and cooperative governance. In order to enhance the performance of social and economic organizations, it is important to resource regional networks and solidarity environments where network and cooperative governance can be created, and civil society itself should be awakened and made efforts together. · 연구주제: 본 연구의 목적은 지역사회의 지원환경이 사회적경제조직의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는 것으로, 지역사회 지원환경이 네트워크, 협력거버넌스를 통해 사회적경제조직의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지 그 영향관계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 연구배경: 정부 지원정책 기조에 따른 지역사회 지원환경이 실질적으로 지역사회 네트워크, 거버넌스를 성장시키고 이를 통해 사회적경제조직의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지 그 연계성을 파악하고자 한다· 선행연구와의 차이점: 그동안 사회적경제조직 성과에 지역사회 지원환경, 네트워크, 거버넌스 중 일부 요인에 대해 부분적으로 사회적경제조직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면 본 연구에서는 기존 연구에서 확장하여 위 요인을 하나의 모형에서 포괄적으로 확인하였다. · 연구방법: 지역사회 지원환경이 사회적경제조직 성과에 미치는 영향 및 지원환경이 네트워크, 협력거버넌스를 이중매개로 사회적경제조직 성과에 영향을 주는지에 대한 인과관계를 AMOS 28.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구조방정식모델분석법(SEM)법으로 검증하였다. · 연구결과: 첫째 지역사회 지원환경, 네트워크, 협력거버넌스 각각 사회적경제조직 성과에 정(+)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지역사회 지원환경과 사회적경제조직 성과와의 관계에서 네트워크, 협력거버넌스가 각각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지원환경과 사회적경제조직 성과와의 관계에서 네트워크, 협력거버넌스의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공헌점 및 기대효과: 사회적경제조직 성과에 대한 지원환경의 영향과 네트워크, 협력거버넌스의 이중매개효과를 검증함으로써 이론적 영역을 확장하였다. 사회적경제조직의 성과 제고를 위해 네트워크와 협력거버넌스가 조성될 수 있는 지역 관계망, 연대 환경의 자원화가 중요하며 시민사회 스스로 각성과 노력도 함께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