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놀이행태 분석을 통한 어린이집 실외놀이공간 디자인에 관한 연구

        김수정,박수빈 한국실내디자인학회 2018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Vol.27 No.6

        자연환경이 적용 된 보육공간의 실외놀이공간은 유아의 상호작용을 활성화 시키는 해결책으로 제안된다. 실외놀이공간에서 진행되는 놀이활동은 유아의 신체적, 정서적 발달을 지원하고 감정을 보다 자유롭게 표현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실외놀이공간에서 놀이를 통해 진행되는 유아의 공간사용 행태와 자연과의 접근성, 또래와의 상호작용을 중심으로 관찰하였다. 보육공간의 실외놀이공간은 유아의 다양한 신체적 활동을 지원하고 또래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사회적 능력 발달을 돕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본 연구에서는 유아의 공간사용 행태를 기반으로, 자연요소가 접해진 실외놀이공간에 적용 될 공간요소와 디자인을 제안한다. 연구대상지는 부산시 내의 생태유아교육 프로그램이 운영되는 어린이집 두 곳으로 선정하였다. 연구대상자는 상호작용이 시작되는 만3세에서 4세의 유아이다. 자연과 함께 진행되는 유아놀이행태 관찰을 통해 실외놀이공간에서 행해지는 유아의 상호작용과 선호하는 공간, 시설물을 파악함으로 생태유아교육 프로그램이 운영되는 보육기관의 실외놀이공간에 적용 될 디자인 요소와 방안을 제시한다. The background of this study is as follows. Children enjoy playing in nature of outdoor play space and form relationship with friends. Recent research suggests outdoor play space of nature as a solution for giving a boost to children's community. Outdoor spaces help children express their feelings more than they do indoor spac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pplement the outdoor play space design of childcare centers. The children's play activities are reviewed in light of the concepts and contents of previous research and documents. Field surveys and observations are subject to review of the literature. Two childcare center in Busan was surveyed and the children's behavior there was carefully observed from May 5th to May 25th, 2018. This study confirms the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s play and outdoor play space. (1) Children's prefer barrier free sites and places where they can play with natural object. (2) Sand play is the most frequent activities among children. The sand play area should be planned as a independable place and located near to water sink. (3) The rest area should be designed with shades and benches. These results contribute to design a outdoor play space for children's sustainable community activities.

      • KCI등재

        유치원의 실외놀이의 구성 및 운영 실태에 관한 조사연구

        신은수,김은정,유영의 순천향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2 순천향 인문과학논총 Vol.31 No.3

        본 연구는 서울, 경기, 충남, 제주 지역에 위치한 유치원 교사 420명을 대상으 로 실외놀이시설의 공간 구성, 운영 실태, 안전점검 실태를 분석함으로써 실외놀 이를 활성화 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독립적인 실외놀이 공간의 유무, 실외놀이 시간 편성유무, 실외놀이 계획안 작성유무에서는 지역의 차이없이 대부분의 유치원에서 독립적인 실외놀이 공간을 갖고 있고. 실외놀이의 시간을 편성하고 계획안을 작성하여 운영하고 있는 것으 로 나타났다. 실외놀이의 위치 및 영역구성, 실외놀이 대체 장소, 실외놀이 횟수, 놀이 시간대, 시간대 계획시 고려사항, 보조교사 활용유무, 실외놀이 시간량, 실외 놀이 시설의 안전점검 실태 등에서는 지역간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유치원의 실외놀이의 구성 및 운영 실태에 관한 조사연구

        신은수 ( Eun Soo Shin ),김은정 ( Eun Joung Kim ),유영의 ( Youn Geui You ) 순천향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2 순천향 인문과학논총 Vol.31 No.2

        본 연구는 서울, 경기, 충남, 제주 지역에 위치한 유치원 교사 420명을 대상으로 실외놀이시설의 공간 구성, 운영 실태, 안전점검 실태를 분석함으로써 실외놀이를 활성화 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있다. 독립적인 실외놀이 공간의 유무, 실외놀이 시간 편성유무, 실외놀이 계획안작성유무에서는 지역의 차이없이 대부분의 유치원에서 독립적인 실외놀이 공간을 갖고 있고. 실외놀이의 시간을 편성하고 계획안을 작성하여 운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외놀이의 위치 및 영역구성, 실외놀이 대체 장소, 실외놀이 횟수,놀이 시간대, 시간대 계획시 고려사항, 보조교사 활용유무, 실외놀이 시간량, 실외놀이 시설의 안전점검 실태 등에서는 지역간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current environmental conditions and uses of kindergarten outdoor playgrounds. Data collected was through a questionnaire presented to teachers on the conditions and content of outdoor play. In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most kindergartens had their own outdoor playgrounds. Fixed play equipment structures such as swings, slides, and seesaws were the most frequently provided items in outdoor playgrounds. Future programs to active outdoor plays should include various outdoor activities including safety education and safety checks on play facilities, and possible ways to take advantage of currently given space and environment for outdoor play. Also, for the purpose of children`s entertainment and recovery in their own traits, it is noteworthy to provide such conditions and environments.

      • KCI등재

        아동의 공간복지를 위한 주거지 실외놀이공간의 환경 특성 연구

        유다은,박인경,김정원,윤지예,김소영 한국도시설계학회 2023 도시설계 : 한국도시설계학회지 Vol.24 No.5

        아동의 건강한 발달과 성장을 지원하는 양질의 놀이환경 제공을 위해 공간복지의 관점에서실외놀이공간의 환경적 특성을 분석하고 이에 대한 개선방안 및 시사점을 제안한다. 놀이환경의평가 기준을 통합하여 서울의 아동 가구가 많은 저층 대상지에 적용할 수 있는 평가 기준을 도출하고 현장답사에 기반하여 실외놀이공간을 관찰하고 평가하였다. 영유아 및 아동의 인구수가많은 5개의 연구 대상지를 선정하여 현장답사와 GIS분석을 통해 데이터를 수집하고 평가한 결과 아동 실외놀이공간은 놀이기구의 양과 질, 편의시설, 유지관리 측면에서 대체로 우수하게 나타났으나 놀이영역의 다양성, 자연 바닥재의 사용, 체험형 자연요소 설치 등의 측면에서 일부미흡하게 나타났다. 이를 바탕으로 실외놀이공간을 공급하는 주체가 환경의 전반적인 관리와 실외놀이공간 조성 시 고려해야 할 사항들을 제안하였다. 특히 그중에서도 아동을 위한 실외놀이공간의 면적과 무장애 설계에 대한 논점을 제시하며 이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Providing a high-quality play environment is crucial for children’s development and growth.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of outdoor play spaces and provide improvement implications to promote children’s spatial welfare. Various evaluation criteria for play environments were integrated to derive appropriate evaluation criteria applicable to low-rise sites for households with children. Five study sites with large populations of infants and children were selected, and data were collected and evaluated through field visits and GIS analysis. As a result, the children’s outdoor play space was generally good in terms of the quantity and quality of play equipment, convenience facilities, and maintenance. However, diversity of the play area, use of natural flooring, and installation of natural elements were found to be insufficient. Based on this, we propose matters that providers of outdoor play spaces should consider when managing and creating overall outdoor play spaces and the need for research on the sizea and barrier-free design of outdoor play spaces was presented.

      • RISS 인기논문 KCI등재

        ‘코로나 위드’시대 유아교육공간의 대안으로서 바깥놀이의 가치 재조명

        오향지(Oh, Hyang-Ji),임부연(Lim, Boo-Yeu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1

        본 연구는 ‘코로나 위드’시대 안전하고 재미있는 놀이를 통해 배움을 실현할 수 있는 공간으로서 바깥놀이의 가치를 재조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공립유치원 만5세 유아 24명을 대상으로 보다 넓은 공간과 안전성을 제공하는 실외에서 제2의 실외교실을 구성하며 유아의 놀이와 배움을 지원하고 있는 2019개정 누리과정 중심 실행연구의 과정을 담았다. 실행연구 결과 첫째, 열린 가능성과 대안적 공간을 마련하는 실외환경은 코로나19로 인해 실종되어가던 유아의 놀이성과 관계성을 되살아나게 하였으며 둘째, 자연 속 실외공간에서 제2의 실외교실을 구성함에 따라 유아의 삶(놀이)과 배움이 어우러지는 미래형 유아교육환경으로서 바깥놀이의 새로운 공간적 의미와 가치가 드러났다. 마지막으로 코로나19 확산 상황에서 현장의 유아와 교사가 실외의 공간에서 대안을 찾아가는 과정을 통해 ‘코로나 위드’시대로의 교육적 전환의 가능성을 발견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코로나19로 인해 유아의 놀이성이 위협받고 있는 현 시점에서 유아교육현장에 공간적 대안을 마련함으로써 진정한 의미로서의 유아·놀이 중심 교육과정의 회복과 실천을 가능하게 할 것이다. 본 연구를 통해 새로운 각도에서 바깥놀이가 지닌 공간적 가치를 재발견함으로써 ‘코로나 위드’시대로의 교육적 전환의 계기를 마련하고 유아교육현장에서 진정한 의미로서의 유아 놀이가 되살아나기를 기대하는 바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hed new light on the value of outdoor play as a space for learning through safe and interesting play in with the age of covid-19 where living with corona was unavoidable. An action study was implemented by being centered on the revised 2019 Nuri curriculum that assisted young children s play and learning, after a second classroom was prepared for 24 five-year-old public kinder- garteners in the outside that was more spacious than indoors and guaranteed safety. As a result of conducting the action study, the outdoor environment where the alternative space was prepared restored the young children s playfulness and relationship that had been being waned, and turning the outdoor space into a second classroom made it possible to discover the new spatial meaning and values of outdoor play as a future-oriented early childhood education setting where living and learning mingled together among the young children. In addition, it was possible to prepare the transitional opportunity for post-humanistic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with the age of covid-19 while the young children and their teacher looked for an alternative in the outdoor space of nature. This study that rediscovered the potential value of outdoor play from a new angle is expected to provide the opportunity for educational transition into with the age of covid-19 . and to facilitate the true revival of young children s play in the educational setting.

      • KCI등재

        유아의 실외놀이환경 어포던스 및 놀이공간 선호도 조사연구

        신동주 ( Shin Dong-ju ),김윤희 ( Kim Yunhee ) 한국유아교육학회 2022 유아교육연구 Vol.42 No.2

        유아는 놀이환경에 대한 명철한 관찰자이며 공간의 구조와 특성에 대한 선호를 능동적으로 표현하고 활용하는 행위 주체이다. 본 연구에서는 특정 대도시 거주 유아의 지역사회 실외놀이 환경에 대한 어포던스와 유아의 놀이공간 선호도를 탐색해보고자 하였다. 서울시 A구 거주 만 4세와 5세 유아 103명이 본 연구에 참여하였으며, 사진 자료를 활용한 반구조화 면담에 참여하였다. 어포던스 면담은 Kyttä(2002)가 개발한 도구를 수정·번안하여 사용하였으며, 놀이공간 선호도는 관련 문헌 및 건축 전문가 자문에 기초하여 직접 개발하여 사용하였다. 주요 결과는 첫째, 유아에게 지각되지 않은 환경특성은 ‘물’, ‘구멍·터널’, ‘고정된 사물’, ‘나지막한 언덕’, ‘모래·흙’ 등이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둘째, 놀이공간 선호도는 대부분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수평적 공간배치’ 대비 ‘수직적 공간배치’에 대한 선호와 ‘안전한 공간’ 대비 ‘도전적 공간’에 대한 선호가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를 기초로 유아에게 지각되지 못한 실외놀이환경의 특성을 보완하는 지역사회의 노력이 필요한 것과 유아를 위한 공간설계 시 유아의 관점을 적극 고려해야 함을 논의하였다. Children are keen observers of the surroundings and they can actively express their play space preferences.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advance our understandings of the children’s affordances of neighborhood outdoor play environments and to explore children's play space preferences. We conducted semi-structured individual interviews with 4 to 5-year-old children in A-gu, Seoul. We modified and used the affordances taxinomy and interview procedures developed by Kyttä(2002). As for play space preferences, semi-structured interview questions were developed based on the literature and after consulting with two architecture professionals.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not perceived affordances” at high rates were ‘water’, ‘holes/tunnels’, ‘non-rigid, attached object’, ‘relatively smooth slopes’, and ‘dirt/sand’. Second, there was little difference in children’s play space preferences; however, children showed relatively high preferences for 'vertical spatial arrangement' over ‘horizontal arrangement’ and ‘challenging structure' over ’safe structure’. Based on the findings, we suggested that local community administrators need to assign greater efforts to provide young children with rich outdoor play environments while also considering the affordances that are not well identified by the children in the community. This study also discussed the necessity to actively consider childrens' perspectives when designing play spaces and facilities for them.

      • 발도르프유아교육에서 실외놀이의 교육적 효과에 대한 실행연구

        김선희 한국발도르프영유아교육학회 2015 발도르프교육연구 Vol.7 No.1

        본 연구에서는 발도르프유아교육에 따른 실외놀이 활성화를 위한 실행연구를 진행하여 그 교육적인 효과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충남의 B어린이집 117명 중 103명의 영유아를 대상으로 실행연 구를 실시하였다. 먼저 실외놀이를 활성화시키기 위한 구체적인 방법으로 물리적 공간 마련하기, 시간 적 질서 가꾸기, 자유로움 안에서 아이들의 놀이 동반하기 등을 시도하였다. 그 결과 발도르프유아교육 에 따른 실외놀이는 영유아를 자연의 리듬으로 성장하게 하고 다양한 신체 자극을 통해 건강한 생활을 하게 해 주었으며 문제 상황 해결력과 창의성을 증진시키고 집중력과 의지력의 발달과 정서적 안정과 도덕성 형성 및 관계성과 사회성의 함양에 많은 효과를 보여주었다. 이러한 교육적 결과는 실외놀이를 위한 다양한 물리적인 공간 마련, 영유아의 창의력과 의지력을 길러주는 교사의 구성자로서의 역할, 자 연에서 많은 것을 경험할 수 있게 하는 다양한 실외놀이의 특성에 따른 것이라 할 수 있다. To promote outdoor play based on Waldorf's early childhood education, this study conducted a practice research and examined its educational effect. The research was conducted on 103 infants in B daycare center in South Chungcheong province. As for concrete ways to promote outdoor play, creating physical space, bringing temporal order, and accompanying children in freedom were tried. The research result showed that outdoor play based on Waldorf's early childhood education helped infants grow up in natural rhythm, maintain healthy life through various physical stimulations, improve problem-solving abilities and creativity, enhance concentration and will power, form emotional stability, morality, human relationship, and sociality. These educational benefits are attributed to creation of various physical space for outdoor play, the role of teacher as a constructor who raises creativity and will power of infants, and various characteristics of outdoor play that makes it possible to experience a lot in nature.

      • KCI등재

        숲 유아교육기관의 자연적 공간에서의 놀이활동 탐색

        나귀옥 ( Kwi Ok Nah ),김경희 ( Kyoung Hee Kim ) 한국유아교육학회 2012 유아교육연구 Vol.32 No.6

        유아의 놀이를 위한 공간으로 특별하게 고안되지 않은 자연적 공간에서 실외놀이를 매일 실시하는 숲유아교육기관 한 곳을 선정하여 놀이활동이 실행되는 환경특성은 어떠한지, 어떻게 운영되는지, 그 놀이활동의 가치는 무엇인지를 조사·분석하였다. 이 기관의 유아, 교사 및 유아의 학부모와 반구조화된 형식적 면담과 비형식적 면담을 실시하였고, 유아들의 놀이활동 및 모든 일과를 참여·관찰하였다. 또한 홈페이지에 게재된 놀이활동에 대한 사진 및 동영상을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이 기관은 융통성있고 비구조적인 자연적 공간에서 유아들이 스스로 재미있는 놀이를 만들어 가고 있었으며, 자연을 체험하고, 발견과 탐색을 즐기고 있었다. 활동은 미리 정해지지 않았으며, 유아의 요구, 날씨, 계절과 그에 따라 출현하는 동식물에 근거하여 융통성있게 실행되었다. 또한 자유로운 활동을 통해 기관에 쉽게 적응하고 능동적이고 도전적인 활동을 함으로써 독립심과 자신감을 획득하며 건강에 기초한 행복을 추구하는 장이었다. This study investigates how the play activities of children in a forest school are implemented in a natural outdoor space, which is largely undeveloped and not necessarily predetermined as a space for children`s play. Children, their parents, and teachers were interviewed formally and informally. Children`s play activities in the natural outdoor space were observed by two observers once or twice a week for 7 months. Monthly and weekly plans, and photos and video clips were obtained from the observers and the website of the school. All data were analyzed by the two researchers according to grounded theory and method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outdoor space used for play by children of this school was unstructured natural space. Children were making their own playful play, enjoying exploration and discoveries in this natural space. The curriculum was implemented flexibly according to the weather, seasons, and children`s wish, and children were given the rights for choice on the activities. This flexible and natural space was a site for pursuing independence and confidence, physical fitness and happiness. However, there was tension between desire for free play in natural outdoor space and pressure for academic activities due to the academic climate of Korean society.

      • KCI등재

        어포던스 이론이 유아교육기관 놀이환경 구성에 주는 시사점

        차기주 ( Cha Ki-joo ),최지은 ( Choi Jieun ) 한국유아교육학회 2023 유아교육연구 Vol.43 No.3

        공간은 ‘제3의 교사’라 칭해질 만큼 유아의 성장과 발달에 있어 중요하다. 본 연구는 유아의 놀이에 영향을 미치는 실내외 공간과 놀잇감을 포괄하는 물리적 환경으로서의 유아교육기관 환경을 어포던스 이론 및 개념과 관련지어 분석한 국내외 연구들을 살펴보고 그 결과가 유아교육기관 환경 구성에 주는 시사점을 도출하는 데 그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먼저 어포던스의 개념과 하위 유형들을 살펴보고, 이어서 유아교육기관 실내외 공간 및 놀잇감으로 구분하여 어포던스 관련 연구를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이를 종합하여 관련 연구들에 대한 포괄적 논의를 바탕으로 어포던스 개념이 유아교육기관 물리적 환경 구성에 주는 시사점으로 1) 빈 공간의 힘: 넓고 개방적이며 다양한 영역으로 구성된 실외 공간의 제공, 2) 즉각적 피드백 제공과 실패의 허용: 실외 자연과의 접근성 제고, 3) 직관의 힘: 저절로 이해되고 사용할 수 있는 실내 환경으로 구성, 4) 창의적·발산적 사고의 자극: 개방적 놀잇감 및 다양한 유형의 놀잇감 제공, 5) 모험과 절제 사이: 조절력을 함양하는 역동적이고 도전적인 환경 제공의 5가지를 도출하고, 후속 연구에 대해 제언하였다. The phrase “environment as the third teacher” well reveals the importance of educational environments for young children’s sound growth and development. Children, as the agents of their own development, actively explore and experience the surrounding world while utilizing their senses and physically interacting with the environment.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concept of affordance as an environmental characteristic that supports or elicits human behaviors. In this context, to draw implications for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al environments, this study aimed to examine affordance-related domestic and oversees studies, which encompass indoor and outdoor spaces and play materials that influence children's play. For this purpose, the theoretical concepts and subtypes of affordances were examined, which was followed by an investigation of studies categorized by indoor and outdoor spaces and play materials respectively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Based on the review of relevant studies, five implications to construct better early childhood educational environments were derived and discussed, which are: 1) the power of empty space: environments composed of wide, open, and diverse areas, 2) immediate feedback and embracing failure: more frequent access to natural environment, 3) the power of intuition: intuitive and user-friendly indoor environments, 4) stimulating creative and divergent thinking: environments that provide open-ended and diverse types of play materials, and 5) between adventure and restraint: dynamic and challenging environments that allow for free exploration. Finally, suggestions for further research were discussed.

      • KCI등재

        공동주택 실외 놀이 공간 계획의 친환경적 평가에 관한 연구

        마현 ( Xuan Ma ),어성신 ( Sungsin Eo ),김지현 ( Jihyeon Kim ),황연숙 ( Yeonsook Hwang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7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2 No.4

        (Background and Purpose) Outdoor play spaces are often the most frequently used public spaces in apartment housing, and places where various communities are formed and residents` health and comfort can be improved. This interest in outdoor play spaces, combined with growing emphasis on environment-friendly materials and energy conservation, has expanded the necessity of developing outdoor play spaces that are in harmony with and protective of the environm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environment-friendly elements relevant to outdoor play spaces to improve the quality of outdoor play spaces within apartment complexes, and, based on the results, to provide baseline data related to environment-friendly planning measures for future apartment housing outdoor play spaces. (Method) This study targeted seven apartment housing outdoor play spaces located in Seoul and conducted a case analysis through on-site survey. Environment-friendly elements were extracted from preceding environment-friendly research and the environment-friendly certificate system, and, based on the elements, a checklist was made for environment-friendly evaluation of outdoor play spaces. Then, on-site surveys were performed at the seven target spaces using the checklist. (Results) This study, which evaluated seven play spaces and classified the environmental elements of land use, traffic, ecological environment, energy, and environmental load, found that apartment housing outdoor play spacing houses appeared to have inadequately considered the environment in their planning stages. First, although plans for play spaces utilizing the existing natural terrain were established in most cases, some had problems in the use of bike lanes and exclusive pedestrian roads near and directed toward the play space. Second, with respect to the artificial greening technique, side greening and facade greening were well applied, but the axis of the green belt was insufficiently considered. Third, although the systems for both rainwater load reduction for water resource conservation and trash and garbage disposal turned out to be relatively favorable, there was no plan for the use of rainwater, and the energy use and garbage disposal spaces were not sufficiently considered. (Conclusions) When play spaces are planned, a primary goal should be to promote children`s safety. This includes creating separate bike lanes and pedestrian roads towards play space. It also requires more attention paid to environment-friendly materials in the play space, including creating the green axis using the existing green belt as well as various types of ecology. Sustainability must also be an important consideration. Plans for outdoor play spaces should include water and energy conservation measures through rainwater use systems, water resource conservation systems, energy systems, and solar-powered lighting and recycling-type garbage disposals in harmony with adjacent landscapes to maintain cleanliness. In the future, follow-up studies should be conducted on the specific measures to utilize the study results as guidelines for the design of environment-friendly outdoor play spac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