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수개념발달에서의 한국적 특징 : 한국아동의 수개념 발달에 영향을 주는 문화 심리학적요인

        신은수 한국인간발달학회 2000 人間發達硏究 Vol.7 No.1

        본 연구는 한국 아동의 수학적 능력 발달에 영향을 주는 심리적 요인을 문화심리학적 관점에 기초하여 살펴본 이론 연구이다. 한국 아동의 수학적 능력의 독특성을 살펴본 결과, 한국 아동은 서양 아동보다 유아기부터 수개념 발달의 하위 능력인 수세기, 수연산 및 조작, 수상징 능력, 수추론 능력등에서 수학적 우수성을 나타낸다. 한국 아동의 수학적 우수성은 한국 문화와 관련된 가정, 학교, 사회의 수학적 교육환경과 관련성이 높으며, 한국 아동의 수개념 발달에 영향을 주는 문화 심리적 요인은 교육 문화 심리적 요인과 언어 문화 심리적 요인으로 나타났다. 첫째, 한국의 교육 문화 심리적 요인으로 한국 가정과 학교의 수학교육에 관한 교육태도의 적극성과 높은 기대, 교육방법 및 내용의 높은 난이도와 교육시간, 연산의 구구사용과 수학적 도구의 사용은 한국 아동의 수학적 합리성이 높은 사고구조를 발달시킨다고 볼 수 있다. 둘째, 한국의 언어 문화 심리적 요인으로 한국의 언어에 기초한 수량 단어의 논리성과 규칙성, 수체계의 합리성과 이중체계는 한국 아동의 인지적 수표상과 수학추론 능력에서 긍정적인 교육효과를 나타낸다고 볼 수 있다.

      • KCI등재

        부산 향토음식 동래파전의 조리표준화 및 영양분석

        신은수,김상애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07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36 No.11

        The purposes of the study were to find refined taste of ancestor through historical research about traditional cooking method and ingredient for the purpose of enriching today's dietary life and to hand down a particular style of regional dish and excellence of nutritional aspect by providing a standard recipe and nutrition analysis data on 'Dongrae Pajeon'. To collect data about traditional ingredients and cooking method, researcher interviewed seven local natives who have kept a traditional food costumes, visited four restaurants, and reviewed ten cookbooks. The interviewees recalled and demonstrated the cooking procedure. The standard recipe of 'Dongrae Pajeon' was created after three experimental cookings, based on the recipes of the natives, restaurants, and cookbooks. According to the natives' statements, 'Dongrae Pajeon' was a special dish that was offered to the king at 'Samzinal' (March 3rd of the lunar calendar). It was also a seasonal (before cherry blooming time) and memorial service dish of the province's high society. The main ingredients were small green onion, dropwort, beef, seafood (large clam, mussel, clam meat, oyster, shrimp, fresh water conch), waxy rice powder, nonwax rice powder, and sesame oil which were abundant in Busan and Kijang region. Energy per 100 g of 'Dongrae Pajeon' was 148 kcal. Protein, lipid, fiber, Ca, and Fe contents were 8.8 g, 2.0 g, 8.6 g, 57.7 mg, and 1.8 mg respectively. Contents of cystine, lysine, leucine, valine, isoleucine which are essential amino acids were high in 'Dongrae Pajeon'. Fatty acids contents are oleic acid (20.5%), linoleic acid (20.1%) and linolenic acid (10.4%) while P/M/S ratio was 0.73/0.67/1. 동래파전의 유래에 대한 문헌이 없어 문헌적 고찰이 이루어지지 않았다. 사례연구에 의하면 조선조에서 삼짇날 임금님께 진상한 음식(동래할매파전 옥호의 주인의 구술)인 상류층 음식으로, 벚꽃 피기전의 초봄의 계절음식 및 재실음식(이씨 및 왕씨 부부, 추씨 등의 민간구술)으로 이루어졌고 이로써 부산 향토음식임이 입증되었다. 동래파전의 식재료는 조선쪽파, 미나리, 해산물(대합, 홍합, 조갯살, 굴, 새우, 논고동), 쇠고기, 계란, 찹쌀 및 멥쌀가루, 맛국물(멸치, 다시마 국물) 등이며, 이들 식재료를 조리 순서대로 얹어 참기름으로 구워낸 것으로 5가지 기초 식품군이 골고루 배합된 음식이다. 동래파전의 표준화에서 맛에 관련된 인자는 식재료 인자와 열원인자를 들 수 있다. 식재료 인자 중 찹쌀 및 멥쌀가루에 멸치와 다시마의 국물을 섞은 반죽에서 쌀가루의 전분과 파가 어우러져 파전에 깊은 맛을 주고, 맛국물은 구수한 맛과 칼슘을 공급하여 파전에 맛과 영양의 상승효과를 주고 있으며, 참기름은 불포화지방산의 공급과 함께 파전에 유지맛과 고소한 맛을 주고 있다. 또한 조리 시, 강한 열원에서 번철을 달구어 식재료를 순서대로 얹어 뒤집고, 다시 반죽을 얹어 뚜껑을 덮은 후 열원을 약하게 하여 쌀 전분의 완전호화를 도와 파전의 깊은 맛을 배가시킨다. 동래파전의 100 g 당 에너지는 148 kcal, 단백질 8.8 g, 지방 2 g, 식이섬유 8.6 g, 칼슘 57.7 mg, 철분이 1.8 mg이었으며 1인분(245 g)당 에너지는 364 kcal, 단백질은 21.6 g, 칼슘은 141 mg, 철분은 4.4 mg으로, 철분과 단백질의 함량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아미노산 조성은 시스틴, 리신, 루이신, 발린, 이소루이신 등의 필수 아미노산의 함량이 높았으며 필수 및 비필수 아미노산의 조성이 균형된 음식이다. 구성 지방산 중 올레인산, 리놀레산, 리놀렌산의 함량이 각각 20.5%, 20.1%, 10.4%로 불포화지방산이 58.3%이었으며 P/M/S가 0.73/0.67/1이었다. 동래파전의 섭취 증가를 위하여서는 자주 먹을 수 있는 일상의 음식으로, 또 저 연령층의 섭취확대를 위한 급식메뉴로, 그리고 때와 장소의 구애 없이 간편히 이용할 수 있고, 우리국민은 물론 외국인의 입맛을 공략할 수 있는 조리방법 개발에 많은 노력과 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본 연구에서는 전통적, 향토적 동래파전의 식재료 종류와 분량, 조리법에만 중점을 둔 조리표준화를 행하였으나 향후의 연구는 동래파전의 산업화에 중점을 두고 젊은 층을 중심으로 고 연령층 등 각 연령층이 선호할 수 있는 우리전통음식인 동래파전 패스트푸드화에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 KCI등재

        미국과 영국의 유아교육 효과연구 결과가 한국 유아교육 발전에 주는 시사점

        신은수,정미라,박은혜,권정윤,전홍주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08 유아교육학논집 Vol.12 No.5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put forward a proposal for Korean early childhood education by examining international trends for reinforcing early childhood education to develop human resources. This study explores the increasing recognition of the importance of developing human resources from the early years among the economically developed countries of the OECD. Also, the study analyzes that the educational context of the United States and United Kingdom, specifically the strengthening of public early childhood education since the year 2000. In addition, the study draws policy implications for Korean early childhood education by analyzing longitudinal studies conducted in the U.S. and the U.K. that prove the educational and economic effect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The implications are as follows: increasing levels of economic investment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providing quality education for 0 to 5 year olds, lowering the student-teacher ratio and upgrading teacher quality, establishing a free public education system for 3 to 5 year olds, and supporting research on the short/long term effect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t the governmental level, and applying the results of such research to policy making. 본 연구는 국가의 인적자원 개발을 위하여 영유아기 교육을 강화하는 세계적인 추세에 대한 고찰을 통하여 우리나라 유아교육의 발전방향에 대한 제안을 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OECD 경제 선진국들의 영유아기 인적자원 개발에 대한 인식을 고찰하고, 2000년 이후 영유아기 공교육 체제로 전환하여 교육을 강화하는 국가교육정책을 실행한 미국과 영국의 유아학교(pre-school)****** 본 연구에서는 교육부 관장 하의 만 3세에서 5세 대상의 미국의 공립 유아학교(universal pre-kindergarten)와 영국의 유아교육기관(nursery schools, reception class)을 통칭하여 유아학교(pre-school)로 사용하였음. 의 교육적, 경제적 효과에 대한 종단 연구를 분석하였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 얻은 정책적인 시사점은 영유아기 교육에 대한 재정적 지원 확대, 0~5세 영유아에게 양질의 유아교육 보장, 만 3~5세 무상 공교육 체제 구축 등이다.

      • KCI등재

        개인 및 기관변인에 따른 보육교사의 과학 교과교육학지식과 과학 교수태도

        신은수,김현진 한국보육학회 2013 한국보육학회지 Vol.13 No.1

        본 연구는 개인 및 기관변인에 따른 보육교사의 과학 교과교육학지식과 과학 교수태도를 알아보고, 둘 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서울⋅경기지역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3, 4, 5세 보육교사 196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개인 및 기관변인에 따른 보육교사의 과학 교과교육학지식은 학력, 기관유형, 담당학급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둘째, 개인 및 기관변인에 따른 보육교사의 과학 교수태도는 학력, 기관유형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셋째, 보육교사의 과학 교과교육학지식과 과학 교수태도는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This study examines child care center teachers'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and attitudes toward science teaching according to the internal and external background. To achieve the study goals, a survey was carried out for 196 child care center teachers working at child care center in Seoul, Kyeonggi Do. The analysis of data, employing the SPSS WIN statistical program which include ANOVA and Sheffe test. The results of this study reveal that teachers’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differs according to their an academic background, a type of child care center, a type of class. Teacher' attitudes toward science teaching differs according to their an academic background, a type of child care center. Last, teachers’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is correlated in teacher' attitudes toward science teaching.

      • 쌓기 영역의 교재교구를 활용한 구성놀이가 유아의 공간조망능력에 미치는 효과

        신은수,박현경 덕성여자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06 사회과학연구 Vol.12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constructive play in block area on the ability of the concept of orientation and the spatial perspective-taking ability. The subjects are 60 5-year-olds in two kindergartens, one of which is education group and the other is comparision group. Children's spatial perspective-taking ability is assessed in pre/post test. which includes the concept of orientation, the concept of spatial perspective. In the result, constructive play in block area has a significant effect on the spatial perspective-taking ability.

      • KCI등재

        표준직업분류(ISCO, KSCO)에 의한 유치원교사와 초등학교교사, 보육교사 직업 비교 분석

        신은수,안부금,이선명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14 유아교육학논집 Vol.18 No.5

        본 연구는 유치원 교사의 직업적 성격을 표준직업분류에 기초하여 규명하고, 유치원교사의 직업에 대한 국제 및 한국 표준을 초등학교교사와 보육교사와 비교·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유치원교사의 전문성을 직업적 관점에서 논의하였다. 유아의 교육을 담당하는 교사의 전문성에 대한 표준직업분류 관점에 의한 접근은 유치원교사와 초등학교교사, 보육교사의 직무 유사성, 동일 직업 집단의 소속여부, 각 직업 집단에게 요구하는 업무능력 수준과 학력 즉 교육 수준의 유사성 등을 판단하는 하나의 준거가 될 수 있다. 이러한 연구의 필요성에 의하여 본 연구는 첫째, 국제 및 한국표준직업분류의 분류체계와 직능수준을 중심으로 표준직업분류의 개념을 논의하였고 둘째, 국제 및 한국표준직업분류에 의해 유치원교사와 초등학교교사, 보육교사의 분류체계와 직능수준을 분석하였으며 셋째, 한국표준직업분류에 의한 유치원교사와 초등학교교사, 보육교사 직업에 요구되는 교육수준을 국제표준교육분류와 연계하여 비교, 분석하고 이를 실제 교육현장 교사들의 학력 즉 교육수준과 비교하여 적합성을 검토하였다. 연구의 시사점은 국제 및 한국표준직업분류에 의한 직업적 관점에 초점을 맞춘 유아를 교육하는 교사 전문성의 대안적 탐색을 통해 유치원교사의 직업적 정체성(위상, 위치)과 교직전문성 인식 확립을 위한 구체적인 방안을 제시하였다는 점에 있다. This study illuminated the career nature of kindergarten teachers based on standard classification of occupations (SCO). It discussed the professionalism of the kindergarten teacher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career aspects of kindergarten teachers to those of primary school teachers and child care workers. According to the needs of such research, this research suggests the following. First, this research discusses the basic notion of ‘standard classification of occupations’ based on international and Korean occupation classification standards and skill level. Second, it analyzed the classification system and skill level of kindergarten teachers, primary school teachers and child care workers based on international and Korean standard classification occupations. Third, it examined the adequacy of the actual teachers by comparing their education level to the required education level of kindergarten teachers, primary school teachers and child care workers according to international and Korean standard classification occupations. The core implication of this research was to establish career identity and teaching professionalism of kindergarten teachers by focusing on their occupational perspective based on international and Korean standard classification of occupations.

      • 미국, 캐나다, 영국의 유아교육과정 내용체계 분석 연구

        신은수,황은희,김다영 덕성여자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2 사회과학연구 Vol.17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the analysis of the contents and structures of the curriculum of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USA(Pennsylvania, New Mexico, Nevada), Canada, and UK in order to aid establishing effective guiding principles for creating curriculum in Korea. To meet the purpose, this paper argues the following three points: first, the curriculum should suggest specific standards for the learning contents based on the child's age group and developmental stage; secondly, the curriculum needs to contain contents that demonstrate the continuity in educating children from birth to school age to prevent them from going through unnecessary redundancy or exclusion of any part of learning experience; lastly, the curriculum should offer resources that can help teachers and parents to better understand each developmental stage of children.

      • KCI등재

        교사개입의 유형과 유아의 놀이형태와의 관계

        신은수 한국유아교육학회 1990 유아교육연구 Vol.10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교육 현장에서 교사의 놀이개입의 유형과 유아의 놀이형태와의 관계를 밝히는 것이다. 사건표집 관찰법을 사용하여 교사들의 놀이개입, 유아들의 놀이형태, 놀이영역, 그리고 유아의 성별 간의 관계를 연구하였다. 열 명의 교사들을 대상으로 하여, 자유놀이 시간에 유아의 놀이와 관련된 교사의 개입을 각 교실당 5일간 관찰하였다. 관찰을 위하여, 9유형의 교사개입과 12형태의 유아놀이를 범주화 하였다. 변인들 간의 관계는 빈도를 사용하여 기술적 분석(a descriptive analysis)과 Log Linear Model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교사의 놀이개입은 유아의 놀이형태와 관련되어 의미있게 차이가 있었다. 2. 교사의 놀이개입은 놀이영역과 관련되어 의미있게 차이가 있었다. 3. 교사의 놀이개입과 유아의 성별 간에는 의미있는 차이가 없었다. 4. 유아의 놀이형태와 놀이영역, 그리고 교사의 놀이개입 간에는 상호작용의 효과가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교사의 놀이개입은 유아의 놀이형태와 놀이영역에 의하여 영향을 받아 차이가 나타나지만, 유아의 성별에 다른 차이는 없다는 것을 밝혀 주었다. 그러므로, 위의 연구 결과의 실제적인 적용에서는, 유아교사는 유아의 놀이에 상호작용을 하려면, 유아의 놀이행동과 놀이현장을 고려하면서 다른 유형의 개입을 사용하여야 교육적 효과가 있다는 것을 제안하고 있다.

      • 인지적 갈등유도에 의한 과학교수방법이 유아의 과학적 문제해결능력에 미치는 영향

        신은수,안경숙 덕성여자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1995 사회과학연구 Vol.1 No.-

        This study compared the effects of science teaching methods between traditional science teaching method based on teacher's plan and verbal explanation and cognitive conflict inducement science teaching method based on children's interest and play. According to the purpose of the study, the research question was raised as following : Is there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wo types of science teaching method in children's problem solving abilities? ; Is there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wo types of science teaching method in participation of scientific process activities? The subjects were 40 kindergarten children in Seoul. Data was collected the scores of children's problem solving abilities and participation of scientific process activities by the checklist based on the observation in children's science activities. The differences between two groups were analized the total scores using ANOVA. The result indicat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children's problem solving abilities and participation of scientific process activities. This study suggested that science teaching method based on cognitive conflict inducement should be applied in early childhood science edu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