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현행 융합교육에 대한 진단과 융합역량 제고 방안

        홍병선 한국교양교육학회 2016 교양교육연구 Vol.10 No.4

        The general reasons for why convergence education should be implemented are as follows. First of all, because the effective period of knowledge is too short, we can not solve complex problems with expertise in a specific field alone. Secondly, in response to sudden changes in the social environment, we not only demand a new talent fitted here, but also from the standpoint of a company, the reason is that the burden of reeducation is large. Nevertheless, most domestic universities are dead in the development of educational programs and subjects for the convergence capacity development. However, here are the following two problems. One is a real problem because of the possibility of ensuring core competence through convergence education. The other is a question about whether such ability can be actually secured through convergence education. What is more important than anything here is that if there is no answer to these questions, there will only be problems in the effectiveness of convergence education. This is because it is possible to block the possibility of concern about the discussion over convergence education by establishing a basis on which convergence ability can be secured through convergence education. The main purpose of this paper is to block the possibility of criticism that it simply follows the trend of education by establishing grounds as to whether or not core competence can actually be secured through convergence education. Ultimately, based on these theoretical grounds, prepare a direction and a detailed practical strategy for enlightenment of convergence ability to ensure the possibility of differentiated application according to the uniqueness of each university try to. If the convergence ability can be trained through education in relation to whether or not the convergence ability can be revitalized, such ability is not a capacity born with congenital nature, and it can not be acquired mentally It means that you can do it. On the contrary, if the convergence ability is a capability that can not be acquired at an acquired time, the education itself will be meaningless. In that respect, securing theoretical grounds for this has a very important meaning. This is because the grounds are the grounds for judging the applicability of the convergence education on site. Of course, obeying any definition for education is based on the possibility of acquired. Ultimately, education is the ability to be acquired afterwards through education rather than being capable of congenitally giving convergence ability in the dimension to cultivate specific abilities. 융합교육을 왜 실시해야 하는지에 대한 이유에 대해 일반적으로 사회 및 지식의 변화 속도가 너무 빠르고 지식의 유효기간이 짧아짐에 따라 어느 한 분야의 전문지식만으로는 복합적인 문제를 해결할 수 없다는 것이다. 또한 사회적 환경의 변화에 따라 새로운 인재를 요구할 뿐만 아니라, 기업의 입장에서는 재교육의 부담이 크다는 이유 등을 들고 있다. 이에 국내 대부분의 대학들이 융합역량 함양을 위한 교육프로그램 및 교과목을 개발에 사활을 걸고 있다. 하지만 여기에는 다음과 같은 두 가지 문제가 있다. 융합교육을 통한 핵심역량 확보의 가능성에 대한 현실적인 문제가 그 하나라고 한다면, 다른 하나는 융합교육을 통해 그러한 역량이 실제로 확보될 수 있는지에 관한 문제이다. 여기에서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이러한 물음에 대한 답변이 마련되지 못할 경우, 융합교육의 실효성에 문제가 생길 수밖에 없다. 왜냐하면 융합교육을 통해 융합역량을 확보할 수 있다는 이론적 근거가 마련되어야만 융합교육을 둘러싼 논의에 대한 우려의 가능성을 차단시킬 수 있을 것이기 때문이다. 이 글의 목적은 바로 융합교육이 단순히 교육트렌드에 따른다는 비판의 가능성을 차단하기 위하여 융합교육을 통해 핵심역량을 실제로 확보될 수 있는지에 대한 이론적 근거를 마련하는데 있다. 나아가 이러한 이론적 근거를 토대로 융합역량 계발에 위한 방향과 세부적인 실천적 전략을 마련하여 각 대학의 특수성에 따른 차별화된 적용의 가능성을 확보하고자 한다. 융합역량의 실현 가능성 여부와 관련하여 융합역량이 교육을 통해 길러질 수 있다면, 그러한 역량은 선천적으로 타고난 능력이 아니라 후천적으로 습득이 가능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만일 후천적으로 습득이 가능한 역량이 아니라고 한다면, 교육 자체는 무의미해질 것이다. 그런 점에서 이에 대한 철학적 근거의 확보는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왜냐하면 그 근거는 융합교육의 현장 적용 가능성의 판단 근거가 되기 때문이다. 물론 교육에 대한 그 어떠한 정의에 따른다고 하더라도 후천적 습득 가능성을 전제로 한다. 결국 교육은 경험적으로 특정한 역량을 기른다는 차원에서 융합역량 역시 선천적으로 주어지는 역량이기보다는 교육을 통해 후천적으로 길러지는 역량인 것이다.

      • KCI등재

        대학생들이 인식하고 있는 미래인재 육성 역량: D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양윤정,심태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3 No.1

        Objectives This study aims to examine what competency types college students need to produce as future talents in a situation where society is rapidly changing, and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and implications of each recognition type. Methods The Q methodology was used to identify the competencies that future talents should have. In addition, 38 P samples interested in career and employment preparation and competency were used. In order to classify Q, 104 students received a response saying, “What is the competency for fostering future talent?” and 148 responses were derived by combining the literature research items. In addition, in order to specify the students' thoughts, five college students were organized through FGI group interviews, and the final 40 statements were composed with help from five employment and competency research experts. For the Q factor analysis, correlation and major factor analysis methods were used using the QUANL program. Results The competencies necessary for fostering future talent that college students think of were derived into four types. Type 1 is a ‘self-development type using digital literacy’ by emphasizing the importance of competency for various information acquisition through digital while adapting to rapid social changes. Type 2 is a ‘flexible thinking-based information acquisition reinforcement type’ with an open attitude and flexibility in environmental change, and Type 3 is a ‘critical thinking reinforcement type for promoting social change’ that maintains objectivity and emphasizes constructive critical ability. Finally, Type 4 was classified into a ‘type of communication reinforcement for convergent thinking’ that recognizes diversity and differs and communicates appropriately based on it. Conclusions It is thought that if students recognize and cultivate the necessary competencies on their own, rather than presenting and acquiring the competencies needed by society and companies as education and school policies, they will become highly adaptable talents to the future society. If the curriculum and comparison programs for this purpose are supplemented, it will be possible to foster talent required by the future society. 목적 본 연구는 사회가 급변하고 있는 상황에서 대학생들이 미래인재로 낳아가기 위해 필요한 역량유형이 무엇인지 살펴보고, 인식유형별 특성 및 시사점을 파악하고자 한다. 방법 미래인재가 갖추어야 할 역량을 파악학기 위해 Q방법론을 활용하였고, 진로⋅취업준비 및 역량에 관심 있는 38명의 P표본을활용하였다. Q분류를 하기 위해 104명의 학생들에게 ‘미래인재 육성을 위한 역량이 무엇인가’라는 응답을 받았고, 문헌연구 항목과합쳐 148개의 응답을 도출하였다. 그리고 학생들의 생각을 구체화하기 위하여 대학생 5명을 FGI그룹 인터뷰를 통해 Q표본을 정리하고, 취업 및 역량연구 전문가 5명에게 도움을 받아 최종40개의 진술문을 구성하였다. Q요인분석은 QUANL Program을 이용하여 상관관계 및 주요인분석방법을 사용했다. 결과 대학생들이 생각하는 미래인재 육성을 위해 필요한 역량은 4개의 유형으로 도출되었고 제1유형은 급속한 사회변화에 적응하고 디지털을 통한 다양한 정보습득에 대한 역량의 중요성을 강조하여 ‘디지털리터러시를 활용한 자기개발 유형’이다. 제2유형은 환경변화에 개방적 태도와 유연성을 가진 ‘유연한 사고를 기반으로 한 정보습득 강화유형’이며, 제3유형은 사회변화에 대하여 객관성을 유지하고 건설적인 비판능력을 강조한 ‘사회변화 촉진을 위한 비판적 사고 강화 유형’이다. 마지막으로 제4유형은 다양성과 다름을 인지하고 이를 기반으로 적절한 소통을 하는 ‘융합적 사고를 위한 의사소통 강화 유형’으로 구분되어졌다. 결론 사회 및 기업이 필요로 하는 역량을 교육 및 학교정책으로 제시하고 습득하도록 하는 것이 아니라, 학생 스스로 인식하고 필요로 하는 역량을 파악하여 육성한다면, 급속히 변화하는 미래사회에 적응력이 뛰어난 인재가 될 것이라 생각된다. 이러한 역량을 기반으로 교과 및 비교과프로그램 등에서 보완해준다면 미래사회가 요구하는 인재를 육성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문화 습득 및 적응 능력의 개인차와 외국어 습득: 이문화 민감성 측정 도구의 종류와 활용에 관한 고찰

        최문홍 인문사회 21 2022 인문사회 21 Vol.13 No.6

        Individual Differences in Cultural Sensitivity and SecondLanguage Acquisition: An Overview of Assessment ToolsMunhong Choe Abstract: In an effort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individuals’ varying cultural sensitivity and their willingness and ability to learn a second language, this review paper aims to achieve two goals. First, we present a detailed overview of theoretical underpinnings and measurement models of cultural sensitivity, which has been referred to by various other names such as cultural intelligence, intercultural sensitivity, and multicultural competence. The commonly identified components and developmental aspects of cultural sensitivity are discussed along with the difficulties in operationalizing it for assessment purposes. Next, drawing upon four distinct methods of measuring individuals’ cultural sensitivity, we propose some areas of research that can incorporate or utilize the proposed conceptualizations and instruments in the context of second language teaching and learning. Key Words: Cultural Sensitivity, Intercultural Competence, Measurement, Second Language Acquisition, Foreign Language Education 문화 습득 및 적응 능력의 개인차와 외국어 습득:이문화 민감성 측정 도구의 종류와 활용에 관한 고찰최 문 홍* 연구 목적: 본 연구는 문화 습득 역량에는 개인차가 존재하고, 특히 문화적 차이에 대한 예민한 이해력, 수용력, 재현력의 차이가 외국어 습득에 큰 영향을 미친다는 가설의 이론적 배경과 의의를 검토할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연구 방법: 이 목적에 단계적으로 다가가기 위해 여기서는 문화 민감성(문화에 대한 예민한 감각)을 개념적으로 규명하고 실증적으로 측정하기 위한 기존 도구들을 종합적으로 고찰하였다. 연구 내용: 문화 민감성은 문화 지능, 이문화 감성, 다문화 역량 등 다양한 이름으로 논의되고 있는데, 지금까지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네 가지 도구가 가정하고 있는 문화 민감성의 속성과 구성 능력을 자세하게 살펴보았다. 또한 다문화 습득 능력은 외국어 습득의 기초를 이루는 중요한 개념임에도 지금까지 문화 민감성에 관한 연구가 주로 경영, 간호, 대중매체, 사회심리학 분야에서 이루어지고 있음을 지적했다. 결론 및 제언: 결론으로 다문화 습득과 외국어 습득의 관계를 탐구하기 위해 정립해야 할 문제들을 제시하고, 외국어 교수・학습 연구에 더 적합한 도구를 개발할 필요가 있음을 제안했다. 핵심어: 문화 민감성, 다문화 역량, 측정 도구, 외국어 습득, 외국어 교육 □ Received: Oct. 31, 2022, Revised: Nov. 18, 2022, Accepted: Dec. 20, 2022* Professor, Chonnam National Univ. (전남대학교 영어교육과 교수, Email: munhong@jnu.ac.kr)

      • KCI등재

        수학 예비교사들의 교과 역량 중심 수업 실행 지식 분석

        황윤희,김선희 대한수학교육학회 2023 학교수학 Vol.25 No.4

        국내외 수학교육 동향이 수학적 역량을 함양하는 것으로 설정되면서 교과 역량을 함양시키는 수업을 실행하는 것이 중요해졌다. 본 연구는 학생들의 교과 역량을 함양시키기 위해 교사가 수업을 어떻게 실행해야 할지에 대한 지식(KII)을 예비교사들의 수업실행에서 분석하였다. 예비교사들은 의사소통 역량을 함양시키는 발문과 학생 중심의 수업은 잘 이행하였으나 교과 역량 관련피드백 제공 지식은 미비한 것으로 나타났다. 예비교사들이 설계한 수업과 비교해볼 때, 학생들에게 요구하는 수학 교과 역량의수준이 수업 실행과 일치하지는 않았으나 교사가 학생의 반응을 민감하게 관찰하고 수용할 때 수업 실행에서 수업 설계보다 교과역량의 목표가 더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학생 역량이나 이해 과정에 관심을 두지 않고 수렴적 발문을 하고 교사가 자신의 질문에 스스로 답을 하는 교사 중심의 수업을 진행할 때는 수업 실행 지식이 수업 설계 지식보다 교과 역량의 목표 수준이 낮았다. 본 연구는예비교사의 수업 실행을 면밀히 분석하여 교과 역량 중심의 수업에서 나타나는 특징을 상세하게 나타냈으며, 이 사례들은 학교수업의 변화를 도모할 수 있는 예시가 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예비교사의 수업 실행 지식에만 초점을 두었으나 추후 현직교사의 수업 실행 지식과 학생의 역량 이해 지식을 포함한 연구로 그 내용이 확장될 필요가 있음을 제언하였다. As the direction of mathematics education was set to foster mathematical competency, implementing instruction that fostered mathematical competency became important. This study analyzed the teaching practices of preservice teachers and investigated KII of how teachers should carry out teaching to develop mathematical competency. Preservice teachers were found to have implemented the question to develop communication competency, student-centered classes, and guidance on mathematical competency evaluation, but their knowledge of providing feedback related to mathematical competency was found to be insufficient. Compared to the design of a course competency-centered class, the level of math competency intended did not match the instruction implementation. but when teachers implement sensitively to student responses, implementation is better than design. However, when conducting teacher-centered classes in which convergent questions were implemented and teachers answered questions on their own without paying attention to student competency or understanding processes, implementation is worse than design. This study closely analyzed the teaching practices of preservice teachers and showed in detail the characteristics that appear in instruction focused on mathematical competencies, and these cases can be examples that can promote changes in school classes. Since this study only focused on preservice teachers, it was suggested that the research contents need to be expanded to include in-service teacher and knowledge of understanding of students' competencies.

      • KCI등재

        조합 역량과 습득 역량이 해외 R&D 자회사 혁신 성과에 미치는 영향: 일본 다국적 기업 해외 연구소에 관한 연구

        박연진(제1저자) ( Yeon Jin Park ),송재용(교신저자) ( Jae Yong Song ),( Kazuhiro Asakawa ) 한국국제경영학회 2016 國際經營硏究 Vol.27 No.1

        This paper examines the factors that influence innovative performance of overseas R&D subsidiaries by analyzing data from overseas R&D laboratories of Japanese multinational corporations. After classifying the capabilities of the overseas R&D labs as sourcing capabilities and combinative capabilities, this paper analyzed the effects of such capabilities on innovative performance. This paper focused on the impacts of the two types of combinative capabilities associated with the abilities to combine and utilize knowledge from different knowledge sources on subsidiary innovative performance. This paper also explored the moderating role of combinative capabilities and autonomy. Statistical findings from negative binomial regressions with integrated data from surveys and patent data of overseas R&D laboratories of Japanese MNCs revealed that combinative capability related to combined knowledge from home country, host country, and other countries had a positive impact on the quality of subsidiary innovation. Additionally, the results also indicated that both sourcing capability and autonomy have a positive impact on innovative performance on an overseas R&D subsidiary. Furthermore, the degree of combinative capability related to utilizing knowledge from home country, host country, and other countries served to strengthen the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sourcing capability and the innovative performance of an overseas R&D subsidiary.

      • KCI등재

        국외 소외계층 영재 선발도구 요인 비교

        이신동(Shin-Dong Lee),이경숙(Kyung-Sook Lee) 한국영재교육학회 2017 영재와 영재교육 Vol.16 No.1

        소외계층 영재의 과소선발 해결 방안의 하나로 이들의 인지 특성에 맞는 적절한 선발도구 개발이 절실히 요청되어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소외계층 영재 선발도구의 요인을 구하고자 국외에서 개발되어 사용하고 있는 19개 소외계층 영재 선발도구의 유형과 요인을 조사하였다. 19개 소외계층 영재 선발도구의 요인 중 높은 비중 순서는 창의성, 문제 해결력, 작문, 학업 적성, 흥미, 읽기, 시각적 표현, 습득 속도의 순이었으며, 유추 능력을 요인으로 하는 비언어적 도구도 4개가 포함되어 있었다. 특히 창의성과 문제 해결력은 학업 성적이나 환경과 별개의 능력으로 소외계층 영재를 선발하기에 적절한 요인으로 간주 되어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기억력, 학업 성적과 같은 전통적 요인도 관찰과 사용의 용이성 때문에 선발도구의 요인으로 포함되어 있었다. 습득 속도는 교육기회가 제공되었을 때 소외계층 학생이 얼마나 향상할 수 있는 지, 학생의 역량을 측정할 수 있기 때문에 소외계층 영재선발도구요인으로 사용되고 있다. 체크리스트 유형은 사용의 용이성으로 인해 가장 많이 사용되는 유형이며, 교사의 정확하고 신뢰할 만한 평가를 위해 루브릭을 제공하거나 동일 내용에 대한 상반된 문항으로 쌍을 이루는 동질성 문항 구성 등을 제공하는 도구도 있었다. 또한 영재성은 고정되지 않고 성장할 수 있는 역량 중심의 관점과 영재 성의 영역 특수성보다는 타고난 영재성을 강조하는 영역 일반적 관점이 소외계층 영재 선발도구의 기본 관점을 이루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It is urgently required to develop a proper identification tool to reduce the underrepresentation of economically disadvantaged students in gifted education. This study analyzed 19 tools for identifying gifted students from disadvantaged families in foreign countries and tried to find out their types and common factors to develop an identification tool for these students. The frequent factors were creativity, interests, problem solving ability, writing ability, academic aptitude, reading ability, visual expression, and learning speed etc. in order. Four tools were non-verbal with analogical ability. Creativity and problem solving ability regarded as non parental influence factors were considered to be proper for identification of disadvantaged gifted students. Traditional factors such as memory and school achievement used in traditional identification processes, were also used for identifying disadvantaged gifted students, because of their familiarity and convenience. Learning speed took an important role because it measured students’ competency and the degree of improvement. Checklists were the most frequently used type because of its easiness. To support the reliability and the validity of teachers’ evaluation, some tools provided rubrics and homeogenous items. Giftedness is considered not as a crystallized but as a fluid ability so that there is a tendency to identify gifted students from economically disadvantaged families in domain-general rather than in domain-specific perspective which is regarded to be influenced more by environmental factors.

      • KCI등재

        환경동태성과 제품혁신의 관계에 대한 연구 : 내부 기술지식창출 및 외부 기술지식습득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김추연,유재욱,김광수 한국전문경영인학회 2024 專門經營人硏究 Vol.27 No.3

        본 연구는 환경동태성이 기업의 제품혁신에 미치는 영향과 그 기저 메커니즘 탐구를 위해, 내부 기술지식창출과 외부 기술지식습득의 매개 효과분석에 초점을 맞추었다. 중국 소재 제조 업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환경동태성은 제품혁신에 긍정적 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내부 기술지식창출과 외부 기술지식습득 모두 환경동태 성과 제품혁신 간의 관계를 매개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내부 기술지식창출은 외부 기술지식슥득을 통해 제품혁신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이중 매개효과를 보였으며, 이러한 내·외부 지식확보경로들이 환경동태성과 제품혁신의 관계를 완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흥미롭게도 외부 기술지식습득의 매개효과가 내부 기술지식창출의 매개효과보다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동태적 환경속에서 기업의 제품혁신 향상을 위한 기술지식 창출 및 관리 전략에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해 준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impact of environmental dynamism on firms' product innovation and the underlying mechanisms,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s of internal technological knowledge creation and external technological knowledge acquisition. Analyzing survey data from manufacturing SMEs in China,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 that environmental dynamism positively influences product innovation. Both internal technological knowledge creation and external technological knowledge acquisition were found to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environmental dynamism and product innovation. Additionally, internal technological knowledge creation exhibits a double mediating effect on product innovation through external technological knowledge acquisition, and these three internal and/or external knowledge securing pathways were found to fully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environmental dynamism and product innovation. Interestingly, the mediating effect of external technological knowledge acquisition was found to be greater in size than that of internal technological knowledge creation. These findings provide important implications for technological knowledge management strategies in dynamic environments to enhance firms' product innovation.

      • KCI우수등재
      • KCI등재

        A Narrative Study on Cambodian Migrant Workers' Competency Acquisition in Korea

        Songheang Ai,임세영,김연홍 한국직업교육학회 2019 職業 敎育 硏究 Vol.38 No.1

        The flow of unskilled workers from developing to developed countries is a critical trend regarding seeking high wages.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migrant workers’ competencies possessed from living and working in both origin and host countries in order to apply in the real-world setting for successful career after terminating the labor contract. The narrative inquiry was used to identify seven overarching themes emerged from data using an inductive approach, consisting of gratitude and devotion, getting along with people, hardworking and endurance, a sense of further studies, running own businesses, conflicting technical skills acquisition, and family living condition betterment. The findings concluded that public campaigns should be promoted to raise both employers and migrant workers’ awareness of South Korean labor-related law along with the strict labor law enforcement and attentions to migrant workers’ rights for migrant workers to acquire fruitful technical skill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