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영재교육 연구의 최근 동향 분석: 한국영재교육학회 학술지 ‘영재와 영재교육(2010-2014)’에 발표된 논문을 중심으로

        최병연,이명숙 한국영재교육학회 2015 영재와 영재교육 Vol.14 No.4

        본 연구에서는 한국영재교육학회 학술지 ‘영재와 영재교육’에 최근 5년 동안 발표된 논문 중 영재 혹은 영재교육에 관한 86편의 논문을 연구 대상, 영재성 영역, 연구주제, 연구 방법 등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첫째, 이들 연구에서 가장 많이 활용한연구 대상은 초등학생(37%), 교원(22%), 중학생(18%), 고교생(7%), 전문가(7%), 그리고학부모(5%)의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영재성 영역으로는 과학(54%), 수학(17%), 발명(10%), 언어(7%)의 순으로 한정되어 나타났다. 셋째, 이들 연구에 대한 연구 주제는10개의 영역으로 구분할 수 있었으며, 영재성 및 특성(36%), 교육과정 및 프로그램(12%), 창의성 및 문제해결력(10%), 교수-학습 전략(9%), 선발 및 판별(8%), 영재교육동향 및 정책(7%), 교원의 전문성(6%), 진로 및 상담(5%), 부모 및 가족(5%), 특수영재(2%) 등의 순으로 연구의 빈도를 나타내었다. 마지막으로, 연구 방법의 유형으로는 조사연구(44%), 문헌연구(20%), 혼합연구(15%), 질적연구(12%), 실험연구(9%)의 순으로수행되었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최근 영재와 영재교육에 관한 연구 동향의 결과에근거한 논의점과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후보

        영재통합교육과정 모형 개발을 위한 이론적 탐색

        이신동(Lee Shin Dong),홍종선(Lee Shin Dong) 한국영재교육학회 2008 영재와 영재교육 Vol.7 No.2

        통합교육과정은 새로운 지식 창출, 인간의 전인적 발달 도모, 일상생활에서 사용할 수 있는 지식 습득으로 인하여 영재교육에서도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영재통합 교육과정 모형 개발을 위해 이론적으로 통합교육과정의 개념을 알아보고, 통합교육과정의 유형을 통합접근 방법, 통합 형태, 통합학습 요소, 학문관련 방식에 따라 나누어 살펴보았다. 그리고 영재통합교육과정 모형 개발을 위한 기초 작업으로 선행조건과 일반교육과정의 수정을 알아보았다. 그런 다음 기존의 영재교육과정 모형과 Van Tassel-Baska의 통합교육과정 모형을 살펴 본 뒤 교육과정 모형의 체제에 맞추어 목표, 구성 원칙, 내용, 평가를 알아보았다. 영재통합교육과정 모형의 목표는 인지적, 정의적, 사회적, 심미적인 측면과 함께 학습의 내용, 과정, 산출 등 모든 내용을 통합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구성 원칙으로 통합성은 지식의 관계성을 파악하고, 학습과 인격의 통합에 연결시켜야 하며 계열성은 교과서의 순서, 교사의 선호, 학문의 구조, 학습자의 흥미, 학습의 위계, 학습자의 발달을 고려해야 한다. 다음으로 내용 중 속진은 교과 요소를 통합하는 양적 접근과 요소들을 재조직하는 질적 접근이 함께 이루어져야 하며 심화는 심리적․기능적 통합으로 실제 경험적인 활동과 어떻게 통합할 것인가에 초점을 맞추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평가는 학생의 수준에 맞는 교육과정을 제공하고, 다음 단계의 학습과 피드백을 제공하기 위해 통합교육과정의 내용, 과정, 산출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This study was conducted under 3 purposes. First, to review the concept and styles of the integrated curriculum. Second, to find prerequisites for developing integrated curriculum for gifted and matters to be modified in general curriculum. Third, to review the general curriculum for gifted and the integrated curriculum by VanTassel-Baska then to find goals, principles of structure, contents and assessments for developing new integrated curriculum for gifted. As a result, the definition of integrated curriculum was suggested as that is a processing of organize or relate educational experiences or knowledges. Thus, styles of integrated curriculum was classified as approaches of integrated curriculum, forms of integration, learning elements for integration, ways of academic-related. Also the prerequisites for developing integrated curriculum for gifted were suggested as follows; set the goals and documented curriculum plan, needs assessment, systematical and financial support, and ready for expected numbers of registration. In modification of General curriculum for developing integrated curriculum for gifted were suggested as follows; contents modification, process modification, environment modification and product modification. Based on these, the goals of new model of integrated curriculum for gifted suppose to be integrated with learning contents, process and product as well as cognitive, definitive, social and aesthetic. Above that, the principles for structure were suggested as integration and sequence. The integration should be realize relations with utmost knowledges which are changing by social context, then verification procedures need to be related to integration of learning and personality of learner. The sequence should be concerned about order of subjects, teacher preference, structure of study, learner's interests, hierarchy of learning and development of learner. The contents are divided into acceleration and enrichment. The acceleration aims to placement for above-grade level and credit load. The enrichment refers that activities which expanding depth and areas of particular contents. Finally, the assessment was considered into external factors (teacher, student, environment) and internal factors (validity, appropriateness, relevance, flexibility, practicality), content, process, and product to provide proper curriculum for level of learners, and learning for next level and feedback.

      • KCI등재

        다문화가정 유아교육경험 여부에 따른 영재와 영재교육에 관한 교사의 인식 차이

        성영화(Young Hwa Sung),이신동(Sin Dong Lee) 한국영재교육학회 2015 영재와 영재교육 Vol.14 No.4

        본 연구는 다문화가정 유아영재 및 영재교육에 대한 교사의 일반적인 인식 및 다문화가정 유아 교육 경험 여부에 따른 차이를 비교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서울에 위치한 어린이집에서 근무하는 교사 27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후 수집된 자료는 카이검증을 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교사들은 다문화가정 유아영재는 일반영재로, 잠재된 능력과 성취가 불일치한 영재로 보았다. 특히, 다문화가정 유아들이 지닌 영재특성은 특정 분야에서의 탁월한 재능을 뽑았고, 부정적 특성으로는 사회적 불안 및 소외감과 언어발달 지연이 있었으며 이는 교사의 다문화가정 유아 교육경험유무에 따라 차이를 보였다. 둘째, 교사들은 다문화가정 유아영재를 판별할 때 창의성 및 사고력 검사를 실시해야 하며, 만 3세 이후가 되면 판별할 수 있다고 보았다. 셋째, 교사들은 다문화가정 유아영재교육이 필요하며, 이에 대해 다문화가정 유아를 교육해본 교사가 그렇지않은 교사에 비해 높게 인식하였다. 또한 교사들은 다문화가정 유아영재교육의 목적은 잠재력 계발 및 소외영재로 발굴 가능성 증진에 있고, 사회성 및 정서 발달에 대한 교육내용을 바탕으로 놀이를 통해 교육을 실시해야 하며 다차원적으로 평가해야 한다고 보 았다. 이 중에서 교육 내용 및 교육 방법에 대해서는 교사 집단 간 차이를 보였다. 넷째, 다문화가정 유아영재교육은 학기 중 평일을 이용하여 개인수준에 따라 횟수를 정해서실시하고, 1~5명으로 구성된 집단으로 영재교육담당 공교육기관에서 영재교사에 의해실시되어야 한다고 교사들은 인식하였으며, 집단 간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교사의 인식을 바탕으로, 다문화가정 유아영재교육을 위한 방향에 대해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cognize of teachers' general perceptions about gifted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nd to compare the differences by teachers' education experience of young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For this study, participants were 270 teachers working in daycare centers located in Seoul, and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using chi-square test.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eachers perceived gifted young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s generally gifted, and mismatched between achievement and potential ability. In particular, teachers perceived outstanding talent in a particular field as a characteristic of gifted young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s a negative characteristic, teacher responded social unrest and alienation, delays in language development and it showed differences between groups. Second, teachers responded that creativity and thinking skills tests must be carried out to determine gifted young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nd the gifted young children can be classified after three years old. Third, teachers perceived the need of gifted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Especially, teachers with educational experiences of young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highly responded on the need of the gifted education. Also, teachers responded that purpose of education for gifted young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were to increase potential development and excavation possibility of disadvantaged and gifted young children. Moreover, the contents of gifted education should focus on social and emotion development, and it should be implemented as play-based, and the measurements should be a multidimensional. Among them, educational contents and methods showed differences between groups. Forth, teachers responded that gifted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need to be conducted during weekdays of the education year depending on the individual level as a group of 1-5 young children and the education needs to be implemented in public gifted education institutions by gifted teacher. And it's perception showed no difference between groups. Based on the recognition of teachers, suggestions were provided about the direction for gifted young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 KCI등재

        한국 영재교육 10년의 성과와 향후 발전 방안

        최호성(Ho Seong Choe) 한국영재교육학회 2014 영재와 영재교육 Vol.13 No.3

        한국의 영재교육은 지난 10년 이상 동안 괄목할만한 양적 성장을 지속해 왔다. 영재교육 수혜 대상자가 크게 확충되었으며, 초창기 영재교육 담당 교원의 부족 현상도 해소되었다. 교사관찰추천제를 중심으로 한 영재판별 방법과 절차가 정립되었으며, 수ㆍ과학 중심의 영재교육에서 인문, 예술, 발명, 정보 등 다양한 분야로 확대되었다. 한편, 연구 기관의 역량이나 연구 성과물이 증가하였는가 하면, 정부의 영재교육진흥 정책 수립이나 재정 지원에 있어서도 상당한 발전을 이룩해 왔다. 이 연구는 그 동안의 영재교육 연구와 실천에 대해 성찰적 입장에서 평가하고 미래지향적 발전 방향을 제시하는 데 초점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영재와 영재성 개념의 정의, 영재교육 접근 관점 등을 개관하고 지난 10년 동안의 양적 성장에 대해 영재판별, 교육과정, 교원연수, 지원 체제, 법률과 정책 및 연구 성과 등의 측면에서 논의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향후 한국의 영재교육이 지향해야 할 방향과 실천방안을 영재성의 개념화, 영재교육 연구 패러다임의 정립, 영재교육과정과 수업, 영재 교육 관련 법령과 행ㆍ재정적 지원, 미래의 영재 교육 연구 이슈 등을 중심으로 현안과 해결책을 제시하였다. Since the proclamation of special law for promoting gifted and talented education in 2000, Korean gifted education had developed rapidly and quantitatively. While Korean gifted education continues growth and development in many aspects, many advocates stress the importance of efforts to ensure an advanced qualitative jump via critical reflection on gains and losses of past 10 years. This study is a sort of such an attempt to reflect critically on Korean gifted education. Synthesizing results of various research endeavors which were accumulated so far, this study suggests 9 recommendations for productive changes in gifted and talented education. They encompass changes in conceptions of giftedness and the gifted, gifted education policies to facilitate, curriculum and instructional improvements, adapting identification of the gifted to educational services, reexamining regulations and legislations of gifted education, and also prospective research themes including gifted education systems of North Korea, female gifted education, and sophistication of research methodology in gifted education et al.. This study can not be comprehensive enough to include various issues raised in the field of Korean gifted education. However, it would be recognized as a catalyst to stimulate an open discourse on essential academic topics like definitions of giftedness, harmony of excellence and equity ideology, providing more adequate and differentiated education services, authentic assessment approaches, administrative and legislative supports to gifted and talented education in Korea so on.

      • KCI등재

        한국 영재교육의 방향 모색 : 융합형 창의 인재 육성

        송인섭,도승이,이정규,김누리,성은현 한국영재교육학회 2011 영재와 영재교육 Vol.10 No.3

        본 연구는 우리나라 영재 교육의 현실을 진단하고 세계 교육 패러다임의 변화에 따른 영재교육의 새 방향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국내 전문가 의견조사와 해외사례 분석을 실시하였다. 영재교육 전문가들의 의견을 조사한 결과 영재교육에서 개선해야할 점은 ‘간학문적 영재교육 강화, 학생주도적 교수학습 강화, 인성·리더십 교육 강화, 교사의 전문성 증진’으로 나타났으며, 영역 간 소통을 가능하게 하는 융합형 영재학교가 필요하다는 의견이 수렴되었다. 또한 외국 영재교육의 사례를 분석한 결과 수준별 선택과목 개설, 개방형 교육과정, 모듈형 교육과정, AP 프로그램운영, 사사학습, 인성, 리더십 교육, 다양한 특별활동 프로그램 운영, 소그룹 중심의 실험, 현장학습, 토론학습, 협동학습, 개별지도 등의 교수학습방법을 실시하고 있었다. 국내 영재교육 전문가의 면담 및 설문조사와 해외 사례 분석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교육목표, 선발, 교육과정 및 교수학습 방법, 영재교육프로그램 측면에서 우리나라 영재교육의 새로운 방향을 모색하고 제안하였다. This study aims to propose a new direction of gifted education in Korea based on literature review, a case study of gifted and talented education in foreign countries and an expert survey about current situation, problems and measures of Korean gifted and talented education. The results of the survey suggest that multidisciplinary approach for gifted and talented education, student-centered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personality and leadership education, improvement of teacher's speciality, and establishment of fusion school are key factors for successful gifted and talented education. The analysis of gifted and talented education in foreign countries indicates that they have introduced various curricular system and teaching method in gifted and talented education including course organization according to students' level, open curriculum, modular system, AP program, individual research, mentoring, co-curricular activities, experiments in small group, field education, discussing learning, cooperation learning, and individual tutoring. Based on these results, we propose a new model of Korean gifted and talented education covering various areas such as purpose of education, selection, curriculum, and teaching & learning method.

      • 초등과학 영재교육 대상자의 후속학습의 연계와 영재성 발현에 관한 연구

        권치순,김재영,강완,김갑수,유주선 한국과학영재교육학회 2009 과학영재교육 Vol.1 No.1

        영재교육 대상자의 후속학습의 연계와 영재성의 발현을 알아보기 위하여 S교육대학교 부설 과학영재교육원에서 초등영재 교육과정을 이수한 영재교육 대상자 402명을대상으로, 전화 인터뷰를 통하여 중등과정의 영재교육원으로의 진학률과 영재교육 관련수상 실적을 조사하였다. 영재교육 대상자를 성별, 학습 분야별, 교육 연도별, 입학당시의 학년별로 구분하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영재교육 대상자의 후속학습의연계에서 학습 분야별 및 교육 연도별 집단 간에 의미있는 차이가 나타났다. 즉, 과학및 수학 분야의 영재교육 대상자가 정보 분야의 영재교육 대상자보다 진학률이 높고,2004년과 2007년에 이수한 영재교육 대상자가 2005년과 2007년에 이수한 영재교육 대상자보다 진학률이 높은 것으로 파악되었다. 둘째, 영재성의 발현과 관련하여 영재교육 관련 수상 실적은 성별, 학습 분야별, 교육 연도별 및 입학 당시의 학년별로 의미있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즉, 영재교육 관련 수상 실적은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높고,수학 및 과학 분야가 정보 분야보다 높으며, 2004년도에서 2007년도로 갈수록 감소하고,입학 당시의 학년이 저학년일수록 높게 나타나 조기에 영재교육을 받은 학생일수록 보다 높은 영재성을 발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후보

        영재교육에서 내러티브 사고양식의 가치 탐색

        강현석(Kang Hyeon suk),이자현(Lee Ja hyun),유제순(Yoo Jae soon) 한국영재교육학회 2007 영재와 영재교육 Vol.6 No.1

          인간의 가장 중요한 행동 특성 중 하나는 ‘인간이 무엇을 어떠한 방식으로 생각하느냐’ 하는 것이다. 지금까지의 영재교육이 패러다임적 사고양식에 치중하면서, 그 결과 많은 문제들이 노출되고 있다. 다양한 학문적 논의에 따르면 인간의 사고양식은 다양하다. 사고력 개발과 영재교육의 필수조건 중 하나가 바로 인간사고 본질과 사고 양식의 다양성을 이해하는 것이다. 영재교육은 사고의 본질과 사고양식의 다양성에 기초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영재교육에서 사고교육의 경향과 문제점을 살펴보고, 기존 문제점을 개선할 수 있는 효과적인 대안으로 거론되고 있는 내러티브 사고의 특성과 의의를 논의해본다. 그리고 영재교육에서 내러티브 사고의 가치를 탐색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 논의된 내러티브 사고의 가치는 장차 영재교육현장에서 적용되고 실천되어야 하며, 그 구체적인 방안 마련이 요청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arch the value on narrative mode of thought in the gifted education. As the gifted education attachs importance to paradigmatic mode of thought, there has been many problems. According to the result of various disciplinary discourse, modes of thinking are multiple ones. One of the prerequisites in developing the ability to think in the gifted education is understanding nature of thinking and variety of mode of thinking. The gifted education is based on nature of thinking and variety of mode of thinking. Complementary presented to paradigmatic mode of thought, narrative mode of thought is mode of thinking to grasp meaning of human"s life and structure of knowledge. If thought is social process that is distributed at social network, we shall consider importance on social thought of the gifted education. In context of construing narrative curriculum on the gifted education, we will have many suggestions. In this paper, what we argue is constructed on the basis of narrative mode of thought, personal-practical knowledge, narrative heuristics, folk pedagogy, culturalism in the gifted education. We will look forward to seeing new picture of the gifted education centered in narrative mode of thought.

      • KCI등재

        KEDI 영재 리더십 프로그램

        김미숙(Kim, Mee sook) 한국영재교육학회 2009 영재와 영재교육 Vol.8 No.2

        2000년 ‘영재교육진흥법’ 제정이후 영재교육은 국가 정책차원 뿐 아니라 교육현장에서 지대한 관심을 받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많은 사회 여론 지도층 인사들과 전문가들은 영재가 창의적 인재로 자라남과 동시에 사회적 리더로 자라날 수 있도록 영재의 인성교육, 리더십교육, 정서교육을 주문하고 있다. 이러한 리더십 교육의 필요성에 따라 한국교육개발원에서 영재의 리더십 함양을 위한 프로그램이 개발되었다. 이는 우리 사회구성원의 영재 리더십에 대한 인식조사와 성인리더의 특성조사를 수행한 결과를 토대로 하였을 뿐 아니라 영재의 리더십을 구성하는 구성요인을 분석함과 더불어 타당성과 신뢰성을 갖춘 리더십 검사도구를 개발함과 함께 추진되었다. 개발된 리더십 프로그램은 총 24종으로 ‘비전’, ‘자신감’, ‘자기관리’, ‘도덕성’, ‘과제책임감’, ‘의사소통’, ‘타인배려’, ‘사회헌신’ 등 8가지 교육 목표를 교사가 탐색, 발전, 심화 단계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도 있도록 하였다. 리더십은 이론적인 학습보다는 학생들의 자긍심과 정서적인 지지를 해 줄 수 있는 활동이 중요하기 때문에 역할극, 모델링, 현장답사, 대중 발표 등의 다양한 활동 중심의 프로그램으로 개발하였다. 또한 리더십 검사도구를 통해 강약점을 진단하여 학생에게 필요한 리더십 프로그램을 선택적으로 융통성 있게 실시할 수 있는 맞춤형 리더십 교육이 가능하도록 설계되어 우리나라 영재의 리더십 교육 정책 방향 수립 및 현장을 지원하는 초석이 되어줄 것이다. Since 2000 when ‘Gifted Education Promotion Act’ had established, gifted education drew attention from the various parts of the society including educators and policy makers. Regarding this, many opinion leaders and experts have emphasized on socio-emotional aspects of gifted education such as development of character and leadership skills of the gifted so that they successfully become the future good leaders of the society. To address this issue, the National Research Center for Gifted and Talented Education at KEDI(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conducted the five years of research on leadership including extensive literature review and a meta-analysis of leadership components, development of a leadership inventory, a survey on Korean people’s expectations for gifted children’s leadership, and a study of current Korean adult leaders’ leadership characteristics. Based on the series of the studies, KEDI Leadership Program for the gifted was finally developed. KEDI Leadership Program is composed of twenty-four teacher guidebooks which identified eight specific targets for leadership education such as ‘vision’, ‘confidence’, ‘self-control’, ‘morality’, ‘responsibility’, ‘communication skills’, ‘caring for others’, and ‘commitment to the society’ in three levels of program for each eight target. The program basically has an activity-orientation which generates plenty of student-teacher and peer interactions for the gifted to practice and enhance their leadership skills. Although further studies are necessary to test the effectiveness of this program, the program itself conveys the message to the field about the importance of leadership education for the gifted.

      • KCI등재

        영재교육 패러다임의 변화와 전망

        이신동(Shin-Dong Lee),이정규(Jeong-kyu Lee) 한국영재교육학회 2014 영재와 영재교육 Vol.13 No.2

        The term paradigm means a system of thought or practice that controls thinking, feeling, and doing in an academic field. In gifted education over 10 years in Korea, it can be important to gain the insight into the paradigm of gifted education. Thu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have an insight and establish three kinds of paradigms of gifted education, and then present a prospective paradigm for the sustainable development of gifted education. To set up a paradigm and a vision, we describe the paradigm shift in gifted education as three paradigms. (1) identification paradigm, (2) talent development paradigm, and (3) differentiation paradigm, based on comparative analysis of the four framework, "basic assumptions", "educational purposes", "selection", "teaching strategies". We compare and contrast three paradigms and find some limits of these paradigms. Finally, we propose Eminent Achievement Paradigm for future study that continues to assist exceptional people to achieve their accomplishments through intensive researches on people with eminent achievements in history. 패러다임이란 어떤 학문분야에서 생각하고, 느끼고, 행동하는 것을 지배하는 사고 또는 실행 시스템을 의미한다. 10년이 넘은 우리나라 영재교육에 있어서도 영재교육에 관한 패러다임에 대한 통찰이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영재교육에 대한 세가지 패러다임을 통찰하여 정립하고, 영재교육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해 미래의 영재교육패러다임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영재교육의 비전과 패러다임 설정을 위해 "기본가정", "교육 목적", "영재 선발", "교수전략"의 네 가지 분석틀에 기초하여, 지금까지의 영재교육의 패러다임의 변화를 (1) 영재 판별 패러다임, (2) 영재 재능계발 패러다임, (3) 영재 차별화 패러다임으로 구분하였다. 이후 세 가지 패러다임이 갖는 한계점을 발견하고 새로운 영재교육의 패러다임으로서 탁월한 성취를 보인 사람들에 대한 집중 연구를 통해 이런 탁월한 성취를 이룬 사람들이 계속적으로 나타날 수 있게 하는 "영재 탁월한 성취 패러다임" 연구가 차기 영재교육의 패러다임이 될 것으로 제언하였다.

      • KCI등재후보

        고등학교급 영재교육기관의 교육과정의 비교 및 발전방안

        이정규(Lee Jeong kyu),김현철(Kim Hyun chul) 한국영재교육학회 2007 영재와 영재교육 Vol.6 No.1

        이 연구의 목적은 고등학교급 영재교육기관인 한국과학영재학교와 과학고등학교의 교육과정을 비교분석하여 발전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영재를 위한 교육과정을 고찰하기 위해, 먼저 문헌연구로서 국내ㆍ외 영재교육과정에 대한 이론적, 경험적 연구를 살펴보았다. 미국의 영재교육과정에 대한 25년간의 연구사와 주요한 이론적 배경을 살펴보았으며, 국내의 영재교육과정에 대한 문헌연구를 하였다. 그리고 국내의 영재교육과정에 대해 보다 자세히 살펴보기 위하여, 한국교육개발원의 영재교육연구원의 영재교육과정에 대한 그동안의 연구결과물을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한국과학영재학교와 서울과학고등학교의 교육과정을 비교분석하고 영재교육의 질적 제고를 위한 행정적ㆍ제도적 개선방안과 교육과정의 충실한 실행 및 운영방안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curriculum for the gifted between Korean Science Academy and Science Highschool, and to imply the developmental way. To explore the curriculum the gifted, first of all, the domestic and foreign literature was reviewed. The history and main theories of curriculum for the gifted in the U.S.A. for the 25 years were reviewed. And the domestic curriculum for the gifted was reviewed. And then, to find the domestic curriculum for the gifted in detail, the outcomes of The Gifted Education Center of The Korean Education Development Institute were analyzed. Finally, to compare the curriculum for the gifted between Korean Science Academy(KSA) and Science Highschool, to improve the curriculum for the gifted in the highschool, a reform of the administrative structucture, the developmental way and the implemental way were provid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