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지각된 유용성과 사용용이성이 기업 이러닝 교육의 학습전이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자기효능감과 업무환경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박대범,구자원 대한경영정보학회 2018 경영과 정보연구 Vol.37 No.3

        본 연구는 이러닝 학습 경험이 있는 국내외 기업 종업원 390명을 대상으로 지각된 유용성, 사용용이성, 자기효능감 및 업무환경이 학습전이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 분석하였다. 또한 각 요인의 학습전이에 대한직접효과와 더불어 자기효능감과 업무환경의 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이러닝 학습자의 지각된 유용성과 사용용이성은 자기효능감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보였으며, 상사 및 동료 지원과 조직 분위기에도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갖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자기효능감은 학습전이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보였으며, 상사 및 동료 지원과 조직 분위기도 학습전이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각된 유용성 또한 학습전이에 유의미한 영향을 갖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하지만 지각된 사용용이성은 학습전이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매개효과 분석결과 자기효능감과 업무환경은 각각 지각된 유용성, 지각된 사용용이성과 학습전이에 대해 모두 매개효과를 갖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시사점은 첫째, 기업교육에서 보편화된 이러닝에 대해 기술수용 단계를 벗어나 수용 후 실질적인 학습전이 효과에 대한 영향요인을 반영한 새로운 연구 모형을 제시하였다. 기술수용모델에서 외부 특성요인에 대한 매개변수로 사용되는 지각된 유용성과 지각된 사용 용이성을 독립변수로, 외부특성요인으로 연구되었던 자기효능감과 조직 환경을 매개변수로 사용한 연구모형을 도출하였다. 둘째, 기술수용과 학습전이에 관한 연구는 단일국가를 대상으로 한 연구들이 대부분이다. 26개 국가의 표본을 대상으로 다양한 샘플을 사용하여 연구 모형을 검증함으로써 신뢰성을 높였다. 셋째, 기존의 연구에서 지각된유용성과, 사용용이성을 수용의향 및 학습전이의 주요 결정요인으로 고려하였다. 본 연구는 수용된 정보기술에 대해 학습자 및 환경 요인의 매개효과를 탐색하여 지각된 유용성, 사용용이성의 학습전이에 대한 경로를 강화하고 보완하였다. 본 연구에서 활용된 다양한 국가의 표본 분석을 기반으로 향후 국제비교연구도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This research performed the empirical test for the effects of learning transfer on perceived usefulness, perceived ease of use, self-efficacy and work environment using 390 employees who have experienced e-learning in domestic and foreign companies. Analyzed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efficacy and work environment in addition to direct effect of each factor on learning transfer. The results showed that perceived usefulness and perceived ease-of-use of e-learning learner had a positive(+) effect on self-efficacy and a positive influence on supervisor and peer support and organizational climate. Self-efficacy showed a positive effect on learning transfer, and supervisor support, peer support and organizational climate had a positive influence on learning transfer as well. Perceived usefulness also had a positive effect on learning transfer. However, perceived ease-of-use had no significant effect on learning transfer. As a result of the mediating effect analysis, self-efficacy and work environment were analyzed to have mediating effects between perceived usefulness, perceived ease of use, and learning transfer.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is study designed a new research model that reflects factors influencing the effect of learning transfer on acceptance of e-learning that is common in corporate education. It has derived a research model of perceived usefulness and perceived ease-of-use, which were used as mediating variables for external characteristics factors, as independent variables, using self-efficacy and work environment as mediating variables, which were studied as external factors. Second, most of the studies on technology acceptance model and learning transfer are conducted in a single country. The reliability was enhanced by testing the study models using different samples from 26 countries. Third, perceived usefulness and ease-of-use in existing studies have been considered as key determinants of acceptance intention and learning transfer. This study explored the mediating effects of learner and environmental factors on the accepted information technology and strengthened and supplemented the path of learning transfer of perceived usefulness and ease-of-use. In addition, based on the sample analysis of various countries used in this study, it is expected that future international comparative studies will be possible.

      • KCI등재

        비인간적 존재들의 지각 경험이 갖는 표상적 내용에 대한 개념주의적 접근

        김태경 ( Kim¸ Tae-kyung ) 한국가톨릭철학회 2019 가톨릭철학 Vol.0 No.32

        지각 경험의 내용이 전적으로 개념적 내용으로만 구성되지 않음을 주장하는 비개념주의의 이론 중 하나는 동물과 같은 비인간적 존재들의 지각 경험을 근거로 지각적 표상 내용의 비개념적 측면이 있음을 강조하는 것이다. 비개념주의자 피콕과 헐리에 따르면, 동물과 같은 존재들은 우리 인간과 마찬가지로 지각 경험을 하는 것이 가능하고, 우리와 동일한 표상적 내용을 갖는다. 하지만 이들은 우리가 갖는 개념 혹은 개념적 능력을 소유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이들의 지각적 표상의 내용은 비개념적 내용에 해당된다. 만일 이들의 주장이 옳다면, 비인간적 존재들의 지각 경험과 그러한 경험을 구성하는 내용은 특정한 방식으로 증명될 수 있고, 지각 경험의 표상적 내용은 지각의 주체가 소유한 개념 혹은 개념적 능력으로 부터 독립되어 구성된다는 것 또한 증명될 수 있다. 본 논문은 이러한 접근 방식이 갖는 두 가지 문제를 지적한다. 첫째, 비인간적 존재들의 내적 경험을 ‘지각의 가능조건(an enabling condition of perception)’만으로 판단 할 수 없다는 것이고 둘째는, 지각 주체와 대상사이의 ‘지향적 인과관계(intentional causation)’의 성립을 명확히 밝힐 수 없다는 점이다. 이로부터 본 논문은 지각 경험의 내용의 개념성과 비개념성을 판단하는 데 있어 동물의 지각적 표상의 가능성을 전제로 논의하는 것은 ‘마치 그럴듯한 귀속(as-if attribution)’에 기반한 논증임을 주장할 것이다. One of the non-conceptualist accounts (in particular, Peacocke 1983; Hurley 1998) appeals to animal experience, in order to show that there may be non-conceptual content on the ground that conceptually unsophisticated creatures, such as honeybees and human infants, can enjoy perceptual experience without possessing or entertaining any concept at all as human adults do. If those studies are correct, they seem to provide appropriate reasons for accepting non-conceptualism and also suggest that it may be possible for us to have a content of experience without possessing or entertaining any concept at all. With very popular experiments of perceptual constancy―honeybees and human infants, I indicate two potential problems involved in the empirical studies of non-conceptual character of experience. First, it is assumed that we can share the inner experience of animals through a physiological analysis of vision and the physical properties of colours. Second, this type of study seems to involve excessive and arbitrary interpretation of non-conceptual creatures’ intentional attitudes, i.e., misinterpretation of intentional causation. Then I argue that it is ‘as-if attribution of perceptual representation’ if the non-conceptualists above start from a very strong premise that animals have perceptual representational content by looking at neurophisiological facts and those creatures’ beaviours toward a target object.

      • KCI등재

        지각된 유용성과 지각된 즐거움이 스마트워치 수용에 미치는 영향과 소비자 관성의 조절효과

        이진명,박서니,나종연 한국소비문화학회 2018 소비문화연구 Vol.21 No.2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perception of product attributes of smartwatch on the intention to adopt smartwatch by mediating perceived usefulness and perceived enjoyment. This study also examined whether the effects of perceived usefulness and perceived enjoyment on intention to adopt smartwatch are moderated by consumer inertia as a tendency to maintain the status quo. We developed research models and hypotheses based on previous studies on product attributes and modified technology acceptance model. Data were collected through an online survey of 409 respondents in their 20s and 40s who did not have smartwatch and analyzed through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pproach.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compatibility of smartwatch had a positive effect on perceived usefulness, privacy risk had a negative effect on perceived usefulness, and perceived usefulness had a positive effect on intention to adopt smartwatch. Second, design and self-image enhancement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perceived enjoyment, and perceived enjoyment had a positive effect on intention to adopt smart watch. Third,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moderating effect of consumer inertia in adopting smartwatch through multigroup analysis, the effect of perceived enjoyment on the intention to adopt smartwatch was significantly stronger in the group with high inertia. This study shows that enhancing both perceived usefulness as functional motivation and perceived enjoyment as emotional motivation is important for consumers' adoption of smartwatch, considering smartwatches have both attributes of IT devices and fashion products. Moreover, this study implies that perceived enjoyment can be a more important factor in adoption of new technology than perceived usefulness for consumers who tend to stick to current situation. 본 연구의 목적은 IT와 패션이 결합된 융복합 제품으로서 스마트워치 제품속성에 대한 인식이 지각된 유용성과 지각된 즐거움을 매개로 스마트워치 수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지각된 유용성과 지각된 즐거움이 스마트워치 수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이 혁신적 대안이 존재함에도 현상을 유지하려는 경향으로서의 관성(inertia)에 의해 조절되는지 검증하는 것이다. 온라인 설문조사를 통해 스마트워치를 보유하지 않은 20대에서 40대 소비자 409명의 응답 자료를 수집하고 구조방정식 모형 검증 및 다집단 분석을 통해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스마트워치의 적합성은 지각된 유용성에 정적 영향을, 프라이버시 위험은 지각된 유용성에 부적 영향을 미치며, 지각된 유용성은 스마트워치 수용의도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디자인과 이미지 고양은 지각된 즐거움에 정적 영향을 미치며, 지각된 즐거움은 스마트워치 수용의도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다집단 분석을 통해 지각된 유용성과 즐거움이 스마트워치 수용의도에 미치는 영향력이 관성에 의해 조절되는지 살펴본 결과, 지각된 즐거움이 수용의도에 미치는 효과가 관성이 높은 집단에서 관성이 낮은 집단보다 유의하게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기능적 유용성과 정서적 즐거움이 소비자의 스마트워치 수용에 모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밝히고, 특히 관성이 강한 소비자에게는 새로운 기술 수용에 있어 유용성보다 즐거움이 보다 중요한 동기일 수 있다는 점을 규명했다는 점에서 학문적 의의를 갖는다.

      • KCI등재후보

        지각에 대한 현상학적 이해와 문화예술교육

        이모영 한국문화교육학회 2010 문화예술교육연구 Vol.5 No.3

        This thesis is to review an alternative approach to the perception based on the phenomenological understanding of perception, and study the connotative meaning that the alternative understanding of this perception suggests in culture arts education. For this purpose, this study examined Rudolf Arnheim's visual thinking, Maurice Merleau-Ponty's Phenomenology of Perception, and the embodied mind theory attracting a new attention in the field of philosophy and cognitive science recently. According to phenomenological understanding, perception is an active process to discover and constitute the meaning concerning the perception target in the interactive relation of mind-body-environment. In the concept of this perception, the method of knowing by the direct experience is newly emphasized, which is another phase of human cognition. In this sense, the embodied mind theory appearing newly in the area of recent cognitive science presents a great suggestion in culture arts education. That is, if mind is not confined to the action inferring the knowledge represented logically in the head, but the action in the dynamic interactive relation of body and environment, the action of mind is forced to be affected greatly by the direct experience with the object. And the problem of this direct experience is a part of the realm of the important issue of culture arts education. Therefore, it can be fairly said that culture arts education has a significant meaning which cannot be neglected in the scene of education. It is expected that the change of the mind frame and the new understanding of perception will arouse the wind of the new change also in culture arts education. 본 논문은 지각에 대한 현상학적 이해에 기초하고 있는 지각에 대한 대안적 접근들을 살펴 보고, 지각에 대한 대안적 이해가 문화예술교육에 시사하는 함축적 의미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논문에서는 아른하임의 시각적 사고, 메를로퐁티의 지각현상학 그리고 최근에 철학 및 인지과학의 분야에서 새롭게 관심을 모으고 있는 체화된 마음 이론을 살펴보았다. 지각에 대한 현상학적 이해에 의하면 지각은 마음-몸-환경의 상호적 관계 속에서 의미를 발견하고 구성하는 능동적 과정이라는 것이다. 이 지각의 개념에서는 인간 인지의 또 다른 한 측면인 직접체험에 의한 앎의 방식이 새롭게 강조된다. 이와 같은 의미에서 최근 인지과학의 분야에서 새롭게 대두되고 있는 체화된 마음이론은 문화예술교육에 시사하는 바가 매우 크다. 마음이 머릿속에서 표상된 지식을 논리적으로 추론하는 작용에 국한되어 있기보다는, 몸과 환경과의 역동적인 관계 속에서 작용한다면. 마음의 작용은 대상과의 직접적인 경험에 의해 크게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그리고 이 직접경험의 문제는 문화예술교육의 중요한 문제 영역의 한 부분이다. 따라서 문화예술교육은 주지주의 교과 못지않게 교육의 장면에서 등한시 될 수 없는 중요한 의미를 지니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마음에 대한 생각 틀의 변화와 지각에 대한 대안적 이해는 문화예술교육에도 새로운 변화의 바람을 불러일으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지역사회에서 서비스제공자와 가족으로부터 경험하는 정신장애인의 지각된 강요에 관한 연구

        최경숙(Choi, Kyung Sook),서미경(Seo, Mi Kyung) 한국사회복지실천연구학회 2021 미래사회복지연구 Vol.12 No.2

        본 연구는 입원 못지않게 지역사회 서비스이용과정에서도 정신장애인이 강요를 지각할 수 있다는 전제를 가지고 그들이 가족과 서비스제공자로부터 지각하는 강요의 예측요인과 그것이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지역사회 정신건강서비스를 이용하는 정신장애인 170명을 대상으로 가족으로부터, 서비스제공자로부터의 지각된 강요와 인구통계학적 변인, 병식, 증상, 사회적 기능, 진단명과 같은 임상적 변인 그리고 그들의 삶의 만족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서비스제공자로 인한 지각된 강요가 가족으로 인한 지각된 강요보다 높았고 이 둘 간에는 의미 있는 상관관계가 있어 한 유형의 강요를 높게 지각하면 다른 유형의 강요도 높게 지각하였다. 두 유형의 지각된 강요에 대한 인구통계학적 변인의 예측력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으나 임상적 변인 중 증상이 두 유형 모두에 의미 있는 예측력을 보였다. 그 외의 임상적 변인 중 사회적 기능은 서비스제공자로부터의 지각된 강요를, 진단명과 병식은 가족에 의한 지각된 강요를 의미 있게 예측하였다. 또한 임상적 변인을 통제한 상태에서 두 유형의 지각된 강요가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한 결과 의미 있는 영향력을 보이지 않았다. 따라서 삶의 만족은 지각된 강요가 아닌 임상적 변인이 더 의미 있는 설명력을 가지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자들은 최소한의 규제를 표방한 지역사회에서 지각된 강요를 감소시킬 수 있는 임상적 개입, 역량강화 전략 등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effect of socio-demographic and clinical variables of people with mental illness on two types of perceived coercion, that from service providers and family members. Subsequently, when controlling clinical variables, we also analyze the effect of these perceived coercion types on life satisfaction. We evaluated several clinical variables(symptoms, psychosocial functioning, diagnosis, and insight), levels of perceived coercion from service providers and family, and life satisfaction in 170 people with mental illness living within the community and useing ae community-based mental health program. The results, indicate that perceived coercion from service providers was higher than that from family. Some clinical variable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both types of perceived coercion, but demographic variables had no significant effects. When controlling clinical variables, neither perceived coercion type had a significant effect on life satisfaction. Based on these findings, the researchers suggest a strategy to reduce coercion that supports minimal restrictiveness and clinical controls.

      • KCI등재후보

        김창협 미발지각론 연구

        박정원 이화여자대학교 한국문화연구원 2013 한국문화연구 Vol.25 No.-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larify the meaning and the characteristics of Un-awakened perception in Kim Chang-hyeup’s philosophy. Kim Chang-hyeup argues Un-awakened Perception cannot be transformed to ‘Right-wrong-debating wisdom’(是非之心) because it is not activity. And also Un-awakened perception cannot be transformed to Wisdom(智) which is one of Five-Nature(五性) because it has it’s own spiritual function. So his concept has to explain in the context of either Awakened or Un-awakened, not in the context of either ‘Right-wrong- debating wisdom’ or Wisdom. The relation between Un-awakened perception and Awakened perception can be applied the ‘Substance-Function’(體-用) relation. Awakened perception is a kind of a clear and distinct, conscious activity. But Un-awakened perception is a kind of a unconscious active power which gives rise to all things. Un-awakened perception is an unconscious perception which it is so deep and continuously that distinct consciousness can perceive it. But Un-Awakened perception has it’s own Spiriual functin. So it is the Universal Mind’s manifestation itself that cannot distinguished subject from object. In this point, Kim Chang-hyeup’s Un-awakened perception theory comes in touch with Toegye’s concept of the Manifestation of Li. 이 논문의 목적은 17세기 후반의 조선성리학자 김창협(1651~1708)의 미발지각(心知) 논의를 통해 인간 마음이 갖는 지각활동의 이중-층위적 차원과 그 함의를 밝히는 데에 있다. 미발지각(의식으로 드러나지 않는 마음의 지각활동성)은 과연 있는가? 미발지각의 성립 가능성 문제는 율곡학파 내에서 ‘지각과 智의 논변’으로 다뤄지지만 이 논변의 기본 구도인 智(性, 理)와 시비지심(心, 氣)의 구분으로는 충분히 해명되기 어렵다. 오히려 이 문제는 ‘已發지각(시비지심)’과 ‘未發지각(허령지각)’의 구분에 의해서 온전히 밝혀질 수 있다. 김창협은 미발지각의 존재를 분명히 인정한다. 시비지심으로 나타나는 ‘이발지각’ 활동의 근거가 바로 ‘미발지각’의 층위이다. 미발지각은 마음의 ‘허령 활동성’이며 마음의 ‘자체-광명성’이다. 그는 마음이 체와 용을 겸하고 있다는 것을 강조한다. 미발지각이 있다는 것은 마음의 체를 性의 차원에서 말할 때와는 다른 방식으로, 마음의 체가 虛寂無爲이면서도 ‘광명’이라는 자체활동성(本用)을 갖는다는 것을 말해준다. 마음 자체의 광명성인 미발지각은 주객분별적 지각활동과는 그 층위를 달리하며 마음 자체가 무매개적으로 자기발현되는 마음의 주객미분적 자기지각활동이다. 미발지각은 단지 도덕적 주체의식을 강조하기 위해 가정하거나 필요한 요청적 개념이 아니라 일체의 지각활동의 근저에서 ‘이미 이루어지고 있는’ 것이다.

      • KCI등재

        케이블 TV홈쇼핑 프로그램에서 지각된 위험과 희소성 메시지가 이용경험이 다른 소비자의 반응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이규완(Kyu-Wan Lee),구자은(Ja-Eun Koo) 한국언론정보학회 2006 한국언론정보학보 Vol.32 No.-

        케이블 TV홈쇼핑을 통한 제품 구매 시 소비자들의 지각된 위험(perceived risk)은 케이블 홈쇼핑의 저해요소로 작용한다. 이러한 저해요소에 반하여 홈쇼핑 광고에서 자주 쓰이는 수량과 시간을 제한하는 희소성메시지는 홈쇼핑 구매를 촉진하는 요소로 알려져 왔다. 그러나 홈쇼핑을 이용하는 소비자의 이용경험의 정도에 따라 지각된 위험이나 희소성메시지는 그간 알려진 바와는 다른 역할을 할 수도 있을 것이다. 먼저 이용경험이 많은 소비자들과 그렇지 않은 소비자들 사이에 지각된 위험에 대해 느끼는 정도가 서로 다를 것이라고 예상할 수 있다. 나아가서 이용경험이 많은 소비자들이 지각된 위험을 높게 느낄 때 지금까지 촉진 요소로 알려진 희소성메시지가 여전히 촉진요소로서 작용할지에 대해서도 의문을 가질 수 있다. 본 연구는 이렇게 홈쇼핑의 저해요인과 촉진 요인이 동시에 제공되는 상황에서 이용경험이 다른 소비자들의 반응은 어떠한 형태로 나타나는지를 알아보고자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지각된 위험, 희소성 메시지 그리고 소비자의 이용경험을 세 가지 독립변인으로 설정하고 홈쇼핑 제품에 대한 소비자의 구매의도, 광고에 대한 태도 그리고 제품에 대한 태도를 소비자의 반응이라는 종속변인으로 측정하고자 하였다. 연구를 위해서 대학의 평생교육원에서 수강하는 110명의 주부들을 대상으로 실험연구를 실시하였다. 주부들을 대상으로 한 것은 이들이 홈쇼핑의 가장 실제적인 소비자라고 판단하였기 때문이었다. 본 연구에서는 홈쇼핑 프로그램을 녹화한 비디오를 사용하여 시청하게 한 다음 설문조사에 응하도록 하였다. 지각된 위험 변인의 처치는 홈쇼핑 프로그램을 방영하고 제품을 판매하고 회사의 이름을 이용하였다. 홈쇼핑 프로그램이 방영될 때 그 회사의 로고가 화면 상단에 표시되는 점에 착안하여 현재 문제가 되고 있는 유사 홈쇼핑 회사의 가짜로고를 만들어서 지각된 위험변인으로 조작하였다. 상대적으로 통제 집단에는 같은 내용이지만 유명 홈쇼핑 회사의 로고가 그대로 노출된 화면을 시청하게 하여 지각된 위험에 대한 반응의 정도를 비교하였다. 또한 희소성 메시지는 제품의 수량을 제한하는 자막을 넣어서 제작하였다. 이 또한 상대적으로 희소성 메시지를 처치하지 않은 비디오를 시청하게 한 통제집단을 두어서 희소성메시지에 대한 반응을 비교하였다. 소비자의 홈쇼핑 이용경험은 설문문항을 통해 측정하였다. 실험은 4개의 집단으로 나누어져 실시하였는데 한 집단은 지각된 위험과 희소성 메시지에 동시에 누출되도록 하였고 두 번째 집단과 세 번째 집단은 각각의 두 요인 중 하나의 요인에만 노출되도록 하였다. 그리고 나머지 한 집단은 통제집단으로 지각된 위험이나 희소성 메시지를 모두 처치하지 않은 프로그램을 시청하게 하였다. 연구결과 흥미로운 사실들이 발견되었는데 이용경험에 상관없이 모든 이용자들은 지각된 위험에 부정적인 반응을 보였으며 특히 이용경험이 풍부한 홈쇼핑이용자들인 경우 이용경험이 적은 소비자에 비해 지각된 위험에 더욱 민감하게 반응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희소성 메시지에 대해서는 통계적으로는 유의미하지 않았지만 이용경험이 높은 소비자가 이용경험이 적은 소비자들 보다 오히려 부정적인 반응을 보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지각된 위험과 희소성 메시지의 상호작용효과의 경우 이용경험이 높은 집단의 소비자가 특히 제품에 대한 태도반응에서 매우 부정적인 반응을 보임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사실은 이용경험이 풍부한 소비자일수록 신뢰가 생기지 않는 지각된 위험의 상황에서 희소성메시지가 제시될 때 희소성메시지의 설득적 의도를 위협적인 요소로 생각한다고 해석할 수 있다. 이상의 결과는 선행 연구들에서 지각된 위험이나 희소성 메시지를 각각 독립적으로 연구한 결과와는 다른 결과로 홈쇼핑 주 이용자들의 특성을 다시 한 번 생각하게끔 한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양한 종류의 지각된 위험 요소가 내재된 홈쇼핑의 효과적인 설득전략을 위해서는 단순히 시간과 수량을 제한하는 희소성 메시지 기법 외에 이용자의 특성에 맞는 새로운 메시지 전략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This study examines primarily rhe effects of perceived risk and scarcity massage on consumers in CATV homeshopping. For consumers, the perceived risk is the cause of delaying purchase decision in CATV Homeshopping while scarcity message in the Ad facilitate purchasing intention in the CATV homeshopping. And another important characteristic of consumer which exerts impact on the response of consumer to the Ad and the produce is the frequency of purchasing experience. Thu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test the effect of 3 factors on consumer's response to homeshopping Ad and produce: one is perceived risk, another is scarcity message and the third is consumer's difference in purchasing. And these are defined as independent variables. The responses of the consumer, the dependent variables of this test are measured in three dimensions; 1) the purchasing intention of the produce, 2) the attitude toward the Ad, and 3) the attitude toward product of the consumer. 110 housewives are sampled and assigned to 4 experimental groups. All the groups first watched a video-taped homeshopping Ad messages, and then filled up their responses on the administered questionnaire.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s as follows: 1) Perceived risk has negative effect to consumer response. 2) Scarcity message has positive effect to consumers response. 3) But especially perceived risk has negative effect to high frequency purchasing experience group. 4) Scarcity message has also negative effect to high frequency purchasing experience group. 5) The interaction effect of perceived risk and scarcity message is most prominent to the consumers of high frequent purchasing experience.

      • KCI등재

        서비스 회복의 지각된 공정성과 진정성 그리고 회복성과

        김미정(Mi Jeong Kim),박상일(Sang Il Park) 한국마케팅학회 2013 마케팅연구 Vol.28 No.3

        지금까지 서비스실패와 회복에 관한 다수의 선행연구들은 서비스실패에 대한 서비스제공자의 대응에 고객이 어떻게 반응하는지에 대해서 연구하였으며, 주로 공정성 이론에서 이론적 토대를 갖고 있다. 그러나 소비자의 사고와 반응은 인지적 판단에 의해서만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인지적 측면에서 공정하다는 지각만으로 실패로 인한 고객의 부정적인 반응을 완화시킨다고 설명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서비스회복의 효과를 논의하는데 있어, 소비자의 감정적 측면에서의 평가가 함께 이해되어야 한다. 그러나 아직까지 기업의 서비스회복노력에 대한 고객의 인지적 그리고 감정적 판단이 회복성과에 대해 어떠한 결과로 나타나는지를 종합적으로 살펴본 연구는 찾아보기 힘들다. 따라서 본 연구는 서비스 기업의 회복노력에 대한 인지적 평가인 지각된 공정성과 감정적 평가인 지각된 진정성이 회복성과와 어떠한 관계를 갖는지를 살펴보았으며, 특히 회복만족과 부정적 감정에 대해 지각된 공정성과 진정성이 상호작용하여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연구결과에 따르며, 회복노력에 대한 지각된 공정성은 회복만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회복노력에 대한 지각된 진정성은 부정적 감정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각된 공정성과 회복만족간의 관계에 있어 회복노력에 대한 진정성을 높게 지각한 고객들은 공정성의 지각 수준이 클수록 회복만족이 크게 영향을 받지만, 회복노력에 대한 진정성을 낮게 지각한 고객들은 공정성의 지각 수준에 따라 회복만족이 크게 영향을 받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지각된 진정성과 부정적 감정의 관계에 있어 지각된 공정성을 낮게 지각한 고객들은 지각된 진정성의 수준에 따라 부정적 감정이 크게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회복만족은 재방문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부정적 감정은 재방문 의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서비스회복에 대한 지각된 공정성과 진정성의 성과를 실증적으로 제시함으로써 서비스회복의 역설을 이끌어내고자 하는 서비스 기업들에게 보다 능동적이고 이해타당하며 진정성 있는 회복노력의 중요성을 인식시켜 줄 수 있으리라 여겨진다. Most studies on service failure and recovery focuses on how customers respond to service providers recovery efforts in coping with their service Failure. These studies are based on the equity theory. However, customers recognition and response may not occur in line with the cognitive process. There are some limitations in explaining that customer`s perception of justice on recovery efforts in the cognitive process can alleviate customer`s negative emotions arising from service failures. The evaluation of customers on recovery efforts in affective aspects should be considered in understanding the service recovery effect. There has been relatively little research to examine synthetically the effects of customer`s evaluation both in cognitive and affective perspective on service recovery performance. Therefore, this study attempts to investigate the direct effects of perceived justice (i.e.. cognitive evaluation) and perceived authenticity (i.e.. affective evaluation) on recovery efforts and of recovery efforts on recovery performance (recovery satisfaction arid negative emotion). The present study also examines the interaction effects of perceived justice and authenticity on recovery performance. The statistical results reveal that consumers` perception of justice on service provider`s recovery efforts has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customers` recovery satisfaction. Consumers`s perceived authenticity on service provider`s efforts also has a significant negative effect on customer`s negative emotions. The effect of perceived justice on recovery satisfaction was stronger for customers who perceived high authenticity than for those who perceived low authenticity. The effect of perceived authenticity on negative enrntion was stronger for customers who perceived high justice than for those who perceived low justice. Finally, recovery satisfaction and negative emotions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revisit intention. The results of the study imply that managers who want to create ``service recovery paradox`` should recognize and understand the important roles of proactive, fair, and authentic recovery efforts by examining the effects of perceived justice and authenticity on recovery efforts.

      • KCI등재

        지각적 표상은 비명제적 내용을 갖는가? - 지각적 표상 내용에 대한 개념주의적 접근 -

        김태경 ( Kim Tae-kyung ) 한국동서철학회 2021 동서철학연구 Vol.- No.100

        개념주의자 맥도웰에 따르면, 모든 지각 경험의 내용은 믿음의 내용이나 사고의 내용과 마찬가지로 명제적 내용을 갖는다. 맥도웰의 이러한 주장은 지각 경험의 내용에 대한 개념주의의 두 가지 핵심 논변으로 이해될 수 있다. 첫째는 지각이 사고(thought) 의 유형 중 하나이므로 사고의 내용과 마찬가지로 개념적이고 명제적인 내용을 담는다는 것이다. 둘째는 우리는 지각 경험의 내용에 접근할 수 있는 개념적 능력을 가지고 있고, 이를 통하여 지각 경험이 무엇을 표상하였는지에 대해 명제적으로 표현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에 반해, 비개념주의를 옹호하는 크레인은 우리가 지각적 표상내용에 대해 명제적 형태로 표현할 수 있다는 사실이 지각 경험의 내용이 개념적이거나 명제적임을 함축하지는 않는다고 주장한다. 말하자면, 지각 경험의 내용에 대해 보고 (report)할 수 있는 능력은 개념적, 명제적 기술에 불과할 뿐, 지각적 표상이 명제적으로 구성될 수 있음을 함축하지는 않는다는 것이다. 이 논문에서 필자는 개념주의의 두 가지 핵심 논변과 이에 대한 크레인의 반론을 검토하고, 크레인의 논증이 지각의 옳음 조건을 만족시키지 못하는 애매성에 의존하고 있고, 지각 주체의 의식적 접근 가능성을 배제한 논증임을 보일 것이다. 이로부터 맥도웰이 제시한 두 가지 논변을 공격하는 데에는 실패했음을 보일 것이다. 마지막으로 필자는 지각의 표상적 내용은 지각자의 개념적 능력으로부터 독립되어 발생될 수 있으나 이 사실이 지각 경험의 내용의 비개념성 혹은 비명제성을 보여주지 않음을 주장할 것이다. According to conceptualist John McDowell (1994), all the content of perceptual experience has propositional content as well as the content of thoughts and beliefs. This argument is supported by two arguments of conceptualism. The first argument is that perception is a type of thought; therefore, the content of perceptual experience must be conceptual and propositional because thought-content is always engaged with a conceptual capacity which produces propositional content. The second argument is that we are able to conceptually grasp perceptual representational content via a certain type of conceptual capacity, which we can state is ‘what is represented’ in experience. On the other hand, non-conceptualist Tim Crane (2008), argues that we are able to report what is represented in our perceptual states using propositions, but this does not imply that perceptual representational content is provided by the propositions. That is to say, the propositional content of experience that conceptualists hold is just a conceptual description of representational content, not the representational content itself. If Crane is right, then we are not able to clearly see what is represented in our perceptual experience through our conceptual capacities, and this is a serious threat to the two arguments from conceptualism. In this paper, I argue that Crane’s argument fails to succeed in showing that the first argument and the second argument from conceptualism are wrong. This paper argues that empirical facts may show that perceptual representation sometimes occurs without any type of conceptual capacity, but these facts do not follow that the content of perceptual experience is neither conceptual nor propositional.

      • KCI등재

        지각의 지각과 공통 감각 - 아리스토텔레스의 『영혼론』 425b12-25 -

        전헌상 서강대학교 철학연구소 2015 철학논집 Vol.40 No.-

        이 글은 『영혼론』 3권 2장에서 제시되는 지각의 지각에 대한 아리스토텔 레스의 논의를 다룬다. 이 내용은 아리스토텔레스의 의식 이론, 혹은 더 나아가 통 각 이론을 재구성하는 데 가장 결정적인 텍스트로 간주되어 온 것이다. 이 글에서 필자는 우선 아리스토텔레스의 논의의 구조를 분석한 다음, 지각의 지각이 어떤 능 력에 의해 가능한가가 그의 관심사라는 전통적인 해석에 반대하는 캐스톤의 소위 ' 활동-해석'을 검토할 것이다. 그의 해석은 많은 후속 논의를 촉발한 흥미로운 제안 을 담고 있기는 하지만, 궁극적으로는 텍스트의 기본 취지를 왜곡하고 있다는 것임 이 드러날 것이다. 필자는 마지막 단락에서 지각의 지각을 공통감각의 작용으로 이 해하는 해석을 소개하고, 정확히 공통감각의 어떤 측면이 지각의 지각과 밀접히 연 관되어 있다고 볼 수 있는가에 관해서 하나의 생각을 제안할 것이다. 이 제안은 지 각의 지각 능력이 지각의 비활성화에 대한 지각의 능력을 함축하며, 이것이 시간에 대한 지각 능력과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다는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