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한국언론정보학회 20년, 비판적 학술운동의 고민과 한계
김서중(Suh-Jung Kim),김은규(Eun-Gyoo Kim) 한국언론정보학회 2008 한국언론정보학보 Vol.43 No.3
한국언론정보학회가 창립된지 20년이 지났다. 이 글은 비판적 학술운동이라는 창립정신으로 출발했던 학회의 20년을 되돌아보면서 그 정체성을 점검하고자 했다. 논문은 크게 세 영역으로 구성되어 있다. 첫째는 1980년대 후반에 태동되었던 비판적 학술운동이 한국사회의 변화와 맞물려 어떻게 변화되었는지를 살펴본다. 둘째는 비판언론학 진영의 학술운동을 표방하며 출발했던 ‘한국사회언론연구회’의 활동을 되돌아본다. 구체적으로 학회의 창립배경과 창립정신에 기반한 학술연대 운동, 언론연대 운동, 현안 대응 연대 운동 등의 활동을 점검한다. 셋째는 한국언론정보학회로 전환한 이후 학회의 활동 사항에 대한 점검이다. 학회의 20년을 되돌아볼 때, 무엇보다도 가장 큰 성과는 비판언론학의 학문적 영역을 확장시켰다는 것이다. 이에 따라 학회의 외연 역시 성장하였다. 하지만 학회의 초기 정신과 정체성이 제대로 지켜지고 있는가에 대해서는 여러 논란이 존재한다. 이에 본 글에서는 결론적으로 학회의 정체성 강화를 위해 사회적 현안에 대한 유기적 학술회의의 조직, 학보정체성 강화, 학문후속세대에 대한 지원, 분과활동의 활성화를 강조하고 있다. KACIS was established in 1988 for critical academic movement in communication area. For 20 years after establishment, KACIS has grown into major academic society.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reflection on the history of KACIS for 20 years. For this, this article review three areas on KACIS. First, It examine how critical academic movement that was initiated in middle of 1980s was changed in gear with Korean Society's shift. Second, It turn around the activity of 'Korean study group for society and communication', the predecessor of KACIS, which operate during 1988~1998. Third, it consider KACIS's activity after convert to association, during 1998~2008. When look back co 20 years of KACIS, first of all, the biggest fruit is to extend critical communication in academic area. However, several controversies exist about KACIS's identity. Conclusively, this article emphasize, for further development, organizing organic academic conference about social pending issue, strengthening journal's identity, fostering future academic generation, vitalizing research divisions.
박진우(Jin-Woo PARK) 한국언론정보학회 2015 한국언론정보학보 Vol.74 No.6
이 연구는 한국의 언론인 전문직주의와 전문직 프로젝트의 특수성에 대한 해명을 통해 한국의 언론과 정치권력의 관계를 이해하는 새로운 시각을 제시하고자 한다. 여기서 전문직주의의 문제틀은 한국 언론과 정치권력의 오랜 병행 관계를 새롭게 개념화할 수 있는 매개체로 간주된다. 한국 언론의 경제적 위기, 정치적 민주주의와 언론 자유의 상대적인 쇠퇴, 그리고 디지털 뉴스 혁명이 가져온 뉴스 생태계의 변화 속에서 전문직 저널리스트의 위상 역시 중대한 기로에 서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이 연구는 첫째, 언론인 전문직주의의 규범론적 관점에서 탈피하여 한국 언론의 현실을 전문직 프로젝트의 역사적·구조적 경과라는 차원에서 접근할 것을 제안한다. 이를 위해서는 보다 행위자 중심적인 관점에서 저널리스트 전문직의 현실적인 쟁점- \경제적 이해, 사회적 폐쇄, 국가권력과의 규제협상-에 대한 평가를 수행할 필요가 있다. 둘째, 현대 사회에서 두드러지고 있는 저널리즘과 민주주의의 디커플링 현상을 심화시키는 한국의 전문직 프로젝트의 특수성에 새롭게 접근해 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국가-언론의 오랜 비대칭적 관계 속에서 실현 가능한 전문직 저널리즘의 모델을 새롭게 고민하는 단초를 살펴보고자 한다. This paper aims to plan a new research program on the parallel relationship between Korean press and political power, by providing concepts on the mode of existence of professional journalists in Korea. In the midst of the economic crisis of Korean journalism, relative deteriorisation in the political democracy and the liberty of press, and changes in news ecosystem due to the revolution of digital news, the status of professional journalists is at stake. In these circumstances, this paper argues that many existing researches on journalistic professionalism need to be reconstructed in the perspective of professional project. It enables, first of all, an evaluation on actual issues of professional journalists from the actor perspective, i.e. economic interests, social closure, regulative bargain with the authority. Secondly, concerning decoupling phenomenon of journalism and democracy which became salient in the contemporary society, this study raises a necessity to create new logical relations around concepts of journalist professionalism. And we will find, in this situation, a beginning of new evaluation on the mode of existence of professional journalists, that has been possibly developped within the old, assymetric relationship between State-press. And finally, this study proposes to consider a category of professional journalists as a vehicle that helps to conceptualize the old, parallel relationship between Korean press and political power.
강진숙(Jin-Suk Kang) 한국언론정보학회 2008 한국언론정보학보 Vol.43 No.3
이 연구의 목적은 비판언론학의 질적 연구방법론 적용사례를 분석함으로써 방법론적 성찰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시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우선, 비판언론학의 정체성 일부를 형성해온 언론학 패러다임 논쟁을 살펴보고, 이 논의를 기초로 질적 연구의 특성과 전통적 방법론의 유형에 대해 논의하였다. 나아가 한국 비판언론학을 주도해온 한국언론정보학회의 학술지에 게재된 학술논문들을 분석하여 질적 연구방법론 적용사례의 경향들을 분석하였다. 연구문제 해결을 위한 분석범주는 이론적 배경 및 방법론, 표본추출전략, 자료 수집방법, 자료 분석방법 그리고 신뢰성 검증 등 총 다섯 항목으로 구성하였다. 표본논문의 추출기간은 자료검색이 가능한 1998년도의 『한국언론정보학보』 제11권부터 최근 2007년 제40권까지로 설정하였고, 이 기간에 게재된 총 254편의 논문들 중에서 본 연구의 주제에 부합하는 논문들을 수집해 들어갔다. 논문의 수집방법은 키워드 검색기법을 사용하였다. 분석결과, 국내 비판언론학은 질적 연구방법을 적용함에 있어 보다 세부적이고 엄격한 방법론적 논의와 적용이 필요한 것으로 평가된다. 다양한 이론과 방법론을 적용하고 있지만, 방법론을 설계하고 결론을 도출함에 있어 세부적인 분석범주와 항목에 대한 구체적인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지 않기 때문이다. As past paradigm discussion was restricted to the political issues and related antagonistic ideologies, there are desires to reignite discussion from the concrete theological practices and differences in methodological variations. Interactive Study does not require mere antithesis phase but requires interactive study creation as phase itself.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quality methodology cases, and to provide basic data for the application of the methodology. For this purpose, current Journalism and Mass communication discussions will be examined and characteristics of quality study and traditional methodology types will be scrutinized. In further, researches in the scientific journals of Korean Association for Communication and Information Studies will be analyzed to point out trend of quality methodology. The scope of analysis includes theological background and methodology, sampling method, data collecting method, reliability analysis. Appliance of quality research method requires more rigid and detailed methodological discussions and applications.
임종수(Jongsoo Lim) 한국언론정보학회 2017 한국언론정보학보 Vol.86 No.6
이 글은 미디어화가 추동한 미디어의 ‘탈언론’ 현상을 진단하고 그에 따른 공공성 개념의 새로운 지평에 대해 살펴본 소고이다. 지난 10여 년간 미디어는 전통적인 언론ᐨ미디어에서 비언론ᐨ미디어로 진화해 왔다. 비언론ᐨ미디어는 알고리즘과 데이터, 그리고 네트워크가 유기적으로 결합한 계산가능성과 자동화의 미디어이다. 비언론ᐨ미디어는 미디어 이용자가 실시간으로 쏟아내는 데이터를 읽어 들여 계산해 낸 결과로 수용자와 상호작용하는 알고리즘 미디어이다. 계산가능성과 자동화는 비언론적 알고리즘 미디어가 콘텐츠를 분류·추천·제시하는 의사결정을 내리게 하는 근간이다. 이로써 알고리즘 미디어는 최적화와 사사화, 확산성을 기본 논리로 하면서 사회적 소통을 수행한다. 이에 따라 알고리즘 미디어가 작동하는 커뮤니케이션에서의 식별된 시민성과 실현하는 시민성의 민주주의에 대한 완전히 새로운 형태의 연구와 토론, 실천이 요구된다. 이 글은 비언론ᐨ미디어로서 알고리즘 미디어의 등장과 그 존재양식을 설명하고, 그것이 필연적으로 개인의 사적 정보라는 공공재에 기반을 두고 있기 때문에 포획된 시민으로부터 자유로운 사회적 공공성이 실현되어야 함을 주장한다. 이 글은 2011년 한국언론정보학회의 학술대회 대주제였던 “탈언론 시대의 커뮤니케이션”에 대한 오마주이기도 하다. This article examines beyond press/broadcast phenomenon provoked by mediatization and considers the new horizon of publicness accordingly. Over the past decade, precisely from smart media revolution, media have evolved from traditional press-media to nonpress-media. Nonpress-media leading a beyond press/broadcast are the one of computability and automation where algorithms, data, and networks are organically combined. Nonpress-media are algorithmic media which interacts with the audience as a result of reading and calculating the data that its media user produces in real time. Computability and automation are the trunk for nonpress algorithmic media which decide to classify, recommend, present. Algorithm media performs social communication by operating on the logic of optimization, privatization and spreadability. Therefore, a whole new form of research, discussion, and action is needed on the discriminated and actualizing citizenship democracy in the communication in which the algorithmic media operates. This paper explains the emergence and existence mode of algorithmic media as nonpress-media, and then insists that social publicness free from captured citizenship should be realized because it is inevitably based on public goods which are personal information of individuals. It is also an hommage on “Communication in the Era of Beyond Press/Broadcast” which was the grand theme in an autumn conference of KACIS Korean Association for Communication and Information Studies) 2011.
이정훈(Jung-Hoon Lee) 한국언론정보학회 2013 한국언론정보학보 Vol.62 No.2
본 연구는 한국 언론의 상업화 과정에 관한 연구들을 비교?검토하여 언론학계에서 언론의 상업화에 대해 어떤 이해를 공유하고 있는지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현대 자본주의 사회에서 언론은 대중적 상업언론의 형식으로 존재한다. 이것은 19세기 서구의 정치경제적 변화 속에서 당시에 지배적이던 당파지와의 경쟁 속에서 지금 우리에게 익숙한 대중적 상업언론의 형태로 변모해왔고, 우리는 이 역사적 변화 과정을 언론의 상업화라고 부른다. 상업화 과정에 대한 연구가 중요한 이유는 객관주의, 전문직업인주의 등 대중적 상업언론의 성격과 관련된 대부분의 개념들이 상업화 과정에서 직업적 관행에 따라 형성되었기 때문이다. 우리 언론학계에는 언론의 상업화 과정에 대한 본격적인 역사연구가 매우 드문 편이지만 관련 연구나 유사 연구 속에서 간헐적으로 이루어져왔다. 그것은 1933년 상업화론과 1960년대 후반 상업화론으로 대별되는데, 두 주장 모두 한국의 언론이 정치적 억압에 적응하는 과정에서 전략적 선택으로 상업화했다고 파악하고 있었다. 이것은 현재 언론의 심각한 병폐 중 하나로 지적되는 정파성과 이념적 편향성을 이해하는 데 실마리를준다. 현재 한국 언론은 시장에서보다 자신과 정치성향이 같은 정파나 정당의 집권을 통해 얻을 수 있 는 경제적 혜택이 너무 많기 때문에 상업언론이면서도 당파지의 성격을 부분적으로 가지고 있다. 이런 점에서 한국 언론의 상업화는 여전히 진행 중이며 정치화와 균형을 이룬 진정한 상업화는 아직 시작하지 않은지도 모른다. With a view to grasping how media commercialization is understood and discussed in the media-related academic community, this study compares and reviews other researches on the commercialization process of Korean press. Full-fledged studies have been rarely performed on the history of commercialization, but similar or related studies have been conducted intermittently: One is the commercialization theory in 1933 and the other is the commercialization theory in the late 1960s. Both of them decided Korean press had been commercialized as a strategical option in the midst of political pressure. It gives a clue leading us to understanding on why Korean press shows partisanship which is pointed as one of social maladies. Korean press acquires less economic benefits if they play in the market than if political parties they support or share the same political interest take power, so they are a commercial press as well as a partially partisan press. In this context, commercialization of Korean press is still underway, and genuine commercialization hitting the balance with politicization may have yet to begin.
김영희(Young-Hee Kim) 한국언론정보학회 2007 한국언론정보학보 Vol.40 No.4
이 연구는 한국전쟁(6ㆍ25전쟁) 기간 북한이 남한에서 시행한 언론정책과 그에 따른 주요 언론활동을 고찰했다. 또한 언론활동의 구체적인 내용과 특성을 이해하기 위해 북한이 남한에서 발행한 대표적인 두 신문 『조선인민보』와 『해방일보』에 대해 분석했다. 북한은 서울을 점령한 그날부터 방송을 운영했고 바로 신문을 창간했다. 이어 북한과 소련의 신문과 정기간행물을 보급하기 시작했고 영화를 상영했으며, 주간지를 창간하는 등 적극적으로 언론활동을 전개했다. 이와 같이 여러 매체들이 출현했으나 그 목표는 모두 같았다. 성공적인 전쟁수행과 점령한 남한지역에 북한식 제도와 법을 도입하여 공산주의체제로 만들고자 하는 김일성의 계획을 지원하는 것이었다. 두 신문은 권력의 대행자로서 비현실적 낙관주의를 바탕으로 선동적 거짓말을 과장해서 보도한 수단적 존재였다. 그리하여 당시 남한의 독자들을 사상적으로 동원하고, 그들의 시각과 행동을 주조하려 한 것이다. 그러나 두 신문을 비롯한 한국전쟁 기간 북한이 남한에서 운영한 언론매체들은 수용자인 남한 주민들로부터 신뢰와 호응을 받지 못했다. 대부분의 남한주민들은 북한 언론매체의 일방적이며 진실성이 결여된 끊임없는 선전과 선동, 이데올로기적 교화에 피곤해했다. 따라서 한국전쟁 개시 이후 북한이 남한에서 전개한 언론활동은 그들이 목표로 한 남한 주민들을 사상적으로 조직하고 동원하는 데 많은 한계가 있었다고 평가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was to look into the press policy and the related activities performed by North Korea in the South during the Korean War and to evaluate them. In order to understand the concrete contents of the activities and their characteristics, the two representative newspapers published in the South by North Korea at that times - the Chosuninmin Bo and the Haebang Ilbo - were reviewed and analyzed. North Korea operated broadcasting and started newspapers just after the possession of Seoul. and also performed various positive press activities - such as the' distribution of the newspapers and periodicals of North Korea and U.S.S.R., putting the movies on the screen, and founding the weekly, etc. But the target of all the media were the same. It aimed to support Kim Il-Sung 's scheme which intended to carry out the war successfully and to make the South under occupation Communism System by introducing the Northern law and system. The two newspapers, as agent of power, made only such a role to agitate and exaggerate the false things with unrealistic optimism. They intended to ideologically mobilize the South people and to affect on their perspectives and acts. However the media including the two newspapers being operated in the South during the war had not got the faith or the good response from the South people as an audience. Most of South Koreans were tired with their endless and one-sided propaganda, agitation and ideological enlightenment. It could therefore be evaluated that the press activities by North Korea in the South during the Korean War resulted with many limitations in ideologically organizing and mobilizing the South Koreans.
한국 대안적 공론장의 변화과정과 추동 요인에 대한 고찰
김은규(Eun-Gyoo Kim) 한국언론정보학회 2006 한국언론정보학보 Vol.33 No.-
대안적 공론장의 현실화를 지칭하는 용어는 저항언론, 대항언론, 민중언론, 지하언론, 풀뿌리언론, 대안언론, 시민미디어 등 다양한 개념이 존재하다. 시대적 상황에 따라, 논자의 강조점에 따라 다양한 개념들이 제시되고 있는 것이다. 본 논문은 한국의 언론구조가 민주적 공론장으로서 제 기능을 수행하지 못함에 따라 이를 보완하고자 했던 대안적 공론장의 변화과정을 고찰하고 있다. 정리하자면, 한국의 대안적 공론장은 70년대의 저항언론ㆍ자유언론에서, 80년대의 대항언론ㆍ민중언론, 90년대의 대안언론, 2000년대의 대안언론ㆍ시민미디어의 유형으로 변화해왔다. 이러한 변화를 추동하는 요인은 무엇보다도 시민사회의 확장과 사회운동 진영이다. 그리고 사회운동 주도세력의 성격에 따라 대안적 공론장의 내용성 역시 변화해 왔다. 80년대 민중운동이 한국의 사회운동을 이끌었을 때는 대안적 공론장도 당파성에 입각한 민중언론의 성격을 나타냈으며, 90년대 시민운동으로 그 주도권이 바뀌었을 때는 대안언론, 시민미디어의 유형으로 발현됐다. 또한, 사회운동과 대안적 공론장은 변증법적으로 변화 발전했다. 요컨대, 사회운동은 대안적 공론장을 통해 운동의 활성화와 역량을 축적하면서 사회변화를 이끌었고, 이러한 사회운동은 다시 대안적 공론장의 변화 발전으로 이어지고 있다는 것이다. The concept of alternative sphere is terminologically various; resistance media, counter media, minjung media, grassroots media, underground media, alternative media, civic media, etc. Each terminology reflect the feature of times and the emphasis of advocator. This article explore the transformation of alternative public sphere and its motive in Korea. In a world, Korea's alternative public sphere has changed as following: resistance media and liberty media in 70', counter media and minjung media in 80', alternative media in 90', and alternative media and civic media in 2000'. The motive of transformation is basically the expansion of civil society and extension of social movement in Korea. As social movement's character has changed, the feature of alternative public sphere has also changed. Minjung movement played key role of social movement in 1980', the alternative public sphere characterized as minjung media or counter media which was based on working class consciousness. After this, According as civil movement have initiative of social movement, the character of alternative public sphere changed by alternative media and civic media. Besides, this article argue that the alternative public sphere of Korea has changed dialectically with social movement.
1950년대 미국무성의 미국 언론 전문가 파견 사업 연구 한국 언론에 미친 영향을 중심으로
차재영 한국언론정보학회 2018 한국언론정보학보 Vol.87 No.1
This study analyzed the U.S. specialist program of the Department of State in the 1950s to modernize or Americanize Korean journalists and their newspapers, most of which were thought to be old-fashioned political papers, by transferring the institution and culture of American journalism. Especially, this study focused on the U.S. Specialists’ activities and achievements, and their influences on Korean journalism. As a result of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in every second year from 1955 to 1959, the U.S. Department of State sent three journalism professors, Roscoe Ellard of the Columbia University, D. Wayne Rowland of the Southern Illinois University, and Floyd G. Arpan of the Northwestern University. All of these professors stayed six weeks in Korea, to have seminars and lectures for Korean journalists in Seoul and provincial areas, to visit as many newspaper companies and news agencies there as possible to review their management, news rooms, and printing processes, and to give some advices or suggestions to solve their problems. These professors’ activities seemed to make a few achievements and influences on Korean journalism, though not that many. It may be said that their efforts on the institutional level partially succeeded to persuade Korean journalists to build up some journalist organizations as well as school of journalism. Meanwhile their efforts on the cultural level mostly failed to transfer into Korean journalism the routines of objective reporting as well as the professionalism, based on the ethics and expertise of the journalists, prevalent in American journalism. 본 연구는 1950년대 중반 이후 미국무성이 교육교류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시행했던 미국 언론 전문가파견 사업의 내용과 성과, 그리고 그것이 한국 언론에 미친 영향 등을 분석하고자 했다. 미국무성은 이사업을 통해 미국의 언론 제도나 문화를 전파함으로써 친미적인 언론인을 양성하는 동시에, 아직 정론지 수준을 벗어나지 못해 대중매체로서의 효과를 기대할 수 없는 것으로 평가된 한국의 언론을 근대화(혹은 미국화)시키려고 했다. 미국무성은 1955년부터 1959년까지 격년으로 컬럼비아대학의 로스코엘라드 교수, 남일리노이대학의 웨인 롤런드 교수, 그리고 노스웨스턴대학의 플로이드 아팬 교수 등3명의 언론학 교수를 선발해 한국에 파견했다. 이 교수들은 각각 한국에 6주 동안 체류하면서 서울이나지역의 언론사들을 방문해 경영, 편집, 제작 부문 등에 대한 현황을 파악하고 다양한 개선 방안을 제시했다. 결과적으로 이들의 방한 활동은 언론인 단체의 구성이나 언론인 재교육과 연구를 위한 기구의 설립 등 제도적 차원에서는 한국 언론에 일정한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볼 수 있지만, 객관적 보도 관행의 보급이나 윤리 의식과 전문성에 기초한 전문직주의의 전파 등 문화적 차원에서는 사실상 거의 영향을 미치지 못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한국신문의 아시아와 서구에 대한 보도양상의 차이와 이유 연구
오대영(Day-Young Oh) 한국언론정보학회 2013 한국언론정보학보 Vol.61 No.1
21세기 들어 아시아가 빠르게 발전하고 있다. 한국과 아시아 국가 사이에 인적, 물적 교류도 크게 늘고, 한국이 다문화사회로 접어들면서 아시아에 대한 우리 국민들의 올바른 이해가 더욱 중요해졌다. 이를 위해서는 한국신문의 아시아에 대한 보도양상이 중요하다는 문제의식에서 조선일보, 동아일보, 한겨레신문, 경향신문 등 4개 신문이 2011년에 보도한 1786개의 국제뉴스 내용을 분석해서 아시아와 서구에 대한 보도양상의 차이와 이유를 알아봤다. 보도량에서는 아시아(45.7%)보다 서구(54.3%)뉴스가 많았다. 아시아 뉴스에서는 부정적인 뉴스가 가장 많았으나, 서구뉴스에서는 부정적인 뉴스가 가장 적고 중립적 또는 긍정적인 뉴스가 가장 많아 한국신문은 아시아보다 서구에 대해 긍정적인 보도태도를 보였다. 국제뉴스를 도덕ㆍ정의, 정치, 경제ㆍ과학, 사회, 외교ㆍ국방, 인간적 흥미, 인물 등 7개의 주제로 분류했다. 주제별 보도량을 보면 아시아에 대해서는 외교ㆍ국방, 도덕ㆍ정의, 정치 등 경성기사를 많이 보도했다. 서구에 대해서는 경성기사 이외에 인간적 흥미, 인물 등 연성기사도 많이 보도해 아시아보다는 다양한 뉴스를 전달했다. 경성기사에서는 부정적인 태도가 가장 많았고, 연성기사에서는 긍정 또는 중립적인 태도가 가장 많았다. 그 결과 한국신문의 국제뉴스는 아시아에 대해 부정적이고, 서구에 대해 긍정적인 보도태도를 나타내게 됐다. 미디어, 정부, 민간조직, 개인, 자료 등 5개의 핵심 정보원 가운데 미디어만이 서구와 아시아에 대한 보도태도의 차이에 영향을 주고 있었다. 아시아 미디어 정보원은 서구 미디어보다 아시아에 대해 긍정적인 보도를 많이 했다. 서구 미디어 정보원은 아시아에 대해서는 부정적, 서구에 대해서는 중립적인 보도를 많이 했다. 그런데 한국신문은 동아시아를 제외한 지역의 뉴스에서는 전적으로 서구미디어를 핵심 정보원으로 활용했다. 이에 따라 한국신문의 국제뉴스는 서구중심적이 되고, 아시아에 더 부정적인 보도를 많이 하게 되었다. 한국신문의 서구와 아시아에 대한 보도양상은 많이 보도한 주제와 외국 미디어 정보원 의존 형태에 따라 달라졌다. 한국신문은 특파원 등을 활용한 직접 취재, 인터넷을 이용한 아시아 매체활용 확대 등으로 아시아에 대해 다양한 뉴스를 전달해야 한다는 개선방안을 제시했다. Asia is developing rapidly in 21st century. Human and material exchanges between Korea and Asian countries have greatly increased. Korea entered the multicultural society. It became important for Korean people to understand Asia more correctively. Korean media can play a key role for this. In this point, I analyzed 1786 news contents reported in 2011 by four Korean newspapers(Chosun Ilbo, Dong-A Ilbo, Hankyoreh newspaper, Kyungh Kyunghyang Daily News), to see differences of Asia and West news aspect and its reason, focusing on news topic, amount of news, news tone and foreign media sources. In amount of news, the percent of West(54.3%) was higher than that of Asia news(45.7%). In news tone, negative news were the most in Asia news, but the least in West news. Korean newspaper showed more positive attitude to West than Asia. 1786 news were classified into seven topics(morality and justice, politics, economics and science, society, diplomacy and national defense, human interest, people). In news amount of seven topics, Korean newspapers reported hard news like morality and justice more than soft news like human interest about Asia. However they reported many soft news about West besides hard news. In news topics and tone, hard news showed negative tone most and soft news showed neutral or positive tone most. As a result, Korean news showed the negative attitude to Asia and the positive to West. Among five main sources(media, government, private organization, individual and material), only media source affected the differences of news attitude to Asia and West. Asia media source took the more positive attitude to Asia than West. West media took the negative attitude to Asia most and the neutral attitude to West most. Korean newspapers used West media as main sources in the news of all areas except East Asia. As a result, Korean newspapers showed the West-centered-attitude and reported the negative news more than neutral and positive about Asia. It was suggested that Korean newspapers had better increase Asia news in diverse spheres by the direct reporting of the correspondent and the more use of Asia media through the internet.
이봉현(Bong-Hyun Lee) 한국언론정보학회 2012 한국언론정보학보 Vol.59 No.3
디지털 미디어 기술 발달에 따라 언론인의 직업 규범과 가치가 어떻게 변하고 있는 지를 탐구하는 것이 이 논문의 목적이다. 먼저, 19세기 말 이래 확립된 객관주의, 전문직주의 언론 규범이 새로운 미디어 생태계에서 어떤 변화의 압력을 받고 있는 지를 파악했다. 미디어 환경의 변화는 직업 언론인의 직무 수행에 △ 인식론 측면 △ 전문직 정체성의 측면 △ 독자와의 상호작용 측면에서 변화를 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어 한국의 역사적ㆍ사회적 맥락에서 형성돼 공유되고 있는 언론 규범에 이런 일반적인 변화가 어떻게 투영되고 있는 지를 중견 언론인들을 심층 인터뷰 해 조사했다. 인터뷰에 앞서 언론인들로 부터 ‘기자 정신’의 역할 모델로 인정받는 리영희 선생(1929~2010)의 언론사상을 도출해 비교의 준거로 활용했다. 즉, 이 연구는 △실증적 글쓰기를 통한 실체적 진실 추구 △전문성에의 열정 △독자(민중)와의 상호교육 등 리영희의 언론 정신으로 상징되는 한국적 언론 규범이 현재의 미디어 환경에서 어떻게 변화해 가고 있는 지를 살펴보는 탐색적 연구이다. 연구결과, 미디어 환경 변화에도 불구하고 언론인들은 실체적 진실추구, 전문성 추구, 심층ㆍ탐사보도 등 리영희의 언론정신으로 상징되는 전통 저널리즘의 규범과 가치가 직무 수행에서 여전히 중요한 지침이 된다고 보았다. 또 이런 정신이 현재 한국 저널리즘이 봉착한 위기를 극복하는 데도 긴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다만, 언론인들은 디지털 시대에는 이런 저널리즘의 가치를 열린 자세로 수용자와 밀접히 상호작용 함으로써 성취해야 한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진실을 가려 내 제시하는 ‘판별자’의 역할, 시민저널리스트와 전문가 블로거의 자원을 폭넓게 활용해 뉴스를 생산하는 ‘네트워크 연결점’, 수많은 정보를 엮고 정리하는 ‘뉴스 코디네이터’ 등으로 역할을 확장하는 등 새로운 미디어 기술이 제공하는 환경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처해야 할 것으로 지적됐다 This study investigates normative role model of the journalists under the changing environment. Firstly, this article explores what pressure the new media environment gives to the journalists in their routine of news production and distribution. These are stated from the angle of epistemological, professional and interactive pressure. Next, as a reference for the standard journalism in the age of mass media, the idea of Rhee Young-hee, a late journalist who won respects from many Korean journalists, is studied. His firm belief in the pursuit of hard facts, rigorous investigative writing and expertism are spelt out. Then, this study explores how, in real term, this pressure changes the journalistic value, norm and practices in the newsroom. Ten of Koran journalists are interviewed in order to get their idea about the emerging journalistic standards under the digital environment. From this in-depth interviews, it is conclued that the pursuit of hard fact, investigative writing, expertism of Rhee Young-hee are, nonetheless the change of the media technology, still effective and provide good reference points for the enhancement of the standard of journalism in Korea. However, it is also suggested that the methods to fulfil desirable journalism in the digital age should be different from that of the mass communication age. The interviewees make propose that the journalist, as a network node, news curator or coordinator, should actively interact with the audiences facilitating their enhanced potential as a news ‘prosumer’(producer and consum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