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2011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에 따른 문학 영역과 교과서의 양상

        정현숙(Jung, Hyunsook) 돈암어문학회 2014 돈암어문학 Vol.27 No.-

        이 글의 논점은 크게 두 가지이다. 하나는 2011 개정 교육과정에서 <국어>Ⅰ·Ⅱ 교과목의 정체성을 살펴보고, ‘문학’ 영역과 관련하여 내용체계와 세부내용이 어떻게 설정되어 있는지를 짚어보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국어>Ⅰ·Ⅱ 11종 교과서에 수록된 현대소설을 중심으로 교과서의 구성 체계와 소설교육의 방향을 비판적으로 검토하는 것이다. 2011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에서 고등학교의 모든 국어 과목은 선택교육 과정으로 설정되어 있다. 그리고 <국어>Ⅰ는 일반적인 교양수준의 국어능력, <국어>Ⅱ는 심화 수준의 국어능력을 배양하는 데에 목표를 두고 있다. <국어>Ⅰ에서 ‘문학’ 영역의 내용체계는 문학 갈래의 이해. 작가의 개성이해와 작품 감상, 문학과 사회적 소통, <국어>Ⅱ에서는 한국문학의 전승과 흐름. 문학의 효용과 문학 활동. 문학 감상과 비평적 태도로 설정되어 있다. 각 교과서들은 ‘문학’ 영역을 독립적인 대단원으로 설정하는 경우보다는 다른 영역과 통합하여 설정하고 있다. 또한 다섯 영역 중에 문학 영역과 관련한 대단원을 가장 많이 설정하고 있는데, 이것은 여전히 문학이 차지하는 비중이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11종 교과서에 현대소설 수록 편수는 <국어>Ⅰ에 19편, <국어>Ⅱ에 14편, 총 33편, 평균 1.5편으로 2009교육과정에 비하여 40%가 축소되었다. 또한 그동안 정전으로 평가받아온 이광수, 김동인, 현진건, 채만식의 소설들은 거의 배제되고, 동시대 작가들의 작품이 많이 수록되고 있다. 현대소설 수록이 줄면서 각 교과서들은 다른 장르와 연계하거나 성취기준을 통합적으로 고려한 학습활동을 제시하고 있다. 또한 <국어>Ⅰ·Ⅱ 교과목은 서로 다른 목표와 성취기준이 설정되어 있지만, 일부 교과서는 이러한 점을 고려하지 않고 있다. There were two major objectives of this study. One was to examine the identity of Korean I?II subject in the revised 2011 curriculum, along with systems of content and detailed contents with regard to literature part. The other was to review critically the configuration of a textbook and direction of novel education focusing on contemporary novels included in 11 Korean I?II textbooks. Thereby, an ultimat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figure out how the status of literature education changed according to the revised 2011 Korean curriculum. This study gave attention to correlation between curriculum and textbook because a textbook is the core to realize learning and teaching. Although high school Korean I?II came under elective curriculum in the revised 2011, these were nearly handed Korean top, bottom which were common subjects in the revised 2009 curriculum. Korean I aimed to develop general Korean ability, and included understanding the genre of literature, understanding personality of authors, appreciating works, and social communication with novels in literature part. Whereas, Korean II aimed to develop deepen Korean ability, and included the transmission of contemporary Korean literature, the utility of literature, and a critical attitude of mind for literature. 19 contemporary novels were contained in Korean I, 14 ones were in Korean II. Because all Korean textbooks were published in 11 companies, it was 1.5 novels per a textbook on average. It was 40% reduced compared with the 2009 revised, and revealed how much the status of literature education weakened in Korean textbook. Novels were mainly included in ‘Sections of Literature’ unit in Korean I, and ‘Reception and production’ unit in Korean II. However, because the number of contents was reduced drastically, some textbook didn’t reflect sufficiently content system and achievement standard. Moreover, even though there were difference goal and achievement standard between Korean I and Korean II, some textbook didn’t consider it. Most of all, the biggest problem was that textbooks’ composition for literature didn’t fulfill achievement standard of curriculum due to concentrating development of an event, personal character, and technique of expression mostly. As much as reduced number of novels, textbook should contain appropriate novels that satisfy contents to learn in novel genre. Moreover, if a textbook contains only one or two novels, it should present learning goal consider of achievement standard comprehensively, or provide complementing questions in learning activity.

      • KCI우수등재

        한국문학 자료 구축의 한 방안 : 한국어학과 한국문학의 상호 발전을 위하여

        이성우(Lee, Sung-woo) 국어국문학회 2024 국어국문학 Vol.0 No.206

        이 글에서는 한국어학과 한국문학의 상호 발전을 위해 한국어학계와 한국문학계의 조화 방향을 모색하였다. 이를 위해 이 글에서는 각 학계의 사정을 살펴보고 디지털인문학적인 관점에서의 상호 발전 방향을 고찰하였다. 이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어학계에서는 비교적 이른 시기부터 언어자료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코퍼스로 구축하여 연구에 도입하고 있었다. 그리고 이를 통해 많은 가시적인 성과를 거둔 바 있다. 하지만 최근에는 한국어학계 또한 대기업의 거대언어모델 도입 및 인공지능의 발달 속도로 인한 어려움이 있었다. 둘째, 한국문학계에서는 비교적 최근에 문학 작품들이 데이터베이스화되면서, 이러한 자료들을 연구에 활용하는 연구가 등장하기 시작하였다. 하지만 자료 구축의 어려움, 자료 이용의 편의성 등 해결해야 할 여러 문제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이러한 한국어학계/한국문학계의 상황에 대해 본고에서는 한국문학계의 자료 구축에 한국어학계의 참여가 필요하다고 주장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협업을 통해 한국어학과 한국문학의 진정한 화학적 결합이 가능하다고 판단하였다. In this article, a direction for harmony between the Korean language academia and the Korean literature academia was sought for the mutual development of Korean language and Korean literature. To this end, this article examines the circumstances of each academic community and seeks directions for mutual development from a digital humanities perspective. To summarize, it is as follows. First, Korean language academia has been converting linguistic data into databases and constructing corpus into research from a relatively early period. However, recently, Korean language academia has also been experiencing difficulties as it has not been able to keep up with the introduction of large language models by large corporations and the pace of development of artificial intelligence. Second, in the Korean literary world, as literary works have been made into a database relatively recently, studies that utilize these data for research have begun to appear. However, it was confirmed that there were several problems that needed to be resolved, such as difficulty in constructing data and convenience in using data. Third, regarding this situation of the Korean language/Korean literature academia, this paper argued that the participation of the Korean language academia is necessary in constructing major data on the Korean literature academia.

      • KCI등재

        2015 개정 교육과정 시기 중학교 국어 교과서 고전문학 제재 수록 양상

        조희정 ( Cho Hee-jung ) 한국문학교육학회 2020 문학교육학 Vol.0 No.68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국어 교과서 9종을 자료로 삼아 중학교 국어 교과서에 수록된 고전문학 제재의 실상을 학년별, 갈래별, 성취기준별로 나누어 검토한 결과, 다음과 같은 점이 확인된다. 첫째, 중학교 국어 교과서에 수록된 고전문학 제재(본, 보조 포함)의 수록 횟수 평균값은 3개 학년 동안 대체로 10회 내외에 이른다. 그 중 고전문학 본 제재를 수록한 경우의 수는 교과서별로 1회에서 6회까지 큰 차이를 보인다. 고전문학 작품이 본 제재로 채택된 단원의 수를 검토한 결과, 2015 개정 중학교 교과서가 크게 재구성되지 않고 문학 교실에서 학습 경험을 제공하는 자료로 활용된다고 가정할 때, 이 시기 학습자들은 평균적으로 중학교 매 학년마다 1회 정도 고전문학 작품을 본 제재로 접하는 학습 경험을 체험하게 될 것이다. 둘째, 국가 단위 중학교 수준의 고전문학 제재군의 범위가 2009 개정 중학교 국어 교과서에 비해 2015 개정 중학교 국어 교과서에서 크게 줄었다는 점이 뚜렷하게 부각된다. 검인정 심사를 통과한 중학교 국어 교과서의 종류가 줄어든 점, 학습량을 줄이려는 경향 등과 맞물려 드러난 현상이겠으나, 2015 개정 교육과정 시기에 중학교 학습자들이 접할 가능성이 있는 고전문학 제재군의 범위는 바로 이전 시기인 2009 개정 교육과정 시기보다도 크게 줄어들었다. 셋째, 고전문학 제재군의 범위가 줄어들면서 새로운 고전문학 제재가 중학교 국어 교과서에 포함되기보다는 오히려 전통적인 정전의 지위에 있던 작품들의 수록이 더 확고해지는 경향을 보인다. 시조, 서사무가, 한문 산문 갈래 등에서 2009 개정 중학교 국어 교과서에 수록되지 않았던, 새로운 작품이 추가되었으나 수가 많지 않으며 보조 갈래로 활용되는 경우가 많았다. 본 제재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고전시가 혹은 고전소설 갈래에서는 기존 국어 교과서 내에서 정전의 지위를 뚜렷하게 인정받은 작품들의 수록이 두드러진다. 넷째, 교과서 9종 전체의 관점에서 접근하면, 국가 교육과정에서 제시한 문학 영역의 성취기준 10개 항목 모두가 고전문학 제재와 결합하여 중학교 국어교과서에서 단원으로 구체화되는 양상을 확인할 수 있다. 문학 영역 성취기준 10개 항목과 각각 결합하는 횟수는 차이를 보이는바, 고전문학 제재들은 작품의 창작 배경, 창작 맥락, 작품에 반영된 사회 문화적 배경 등을 고려한 문학감상 관련 성취기준 항목들과 더 많이 결합한 반면, 문학 작품의 구성 요소를 익혀 감상하는, 내적 독해 및 감상과 관련된 성취기준들과는 상대적으로 느슨하게 결합하는 양상이 확인된다. 다섯째, 중학교 국어 교과서에서 고전문학 제재는 국가 교육과정에서 제시한 비문학 영역의 성취기준과 결합하기도 하였다. 비문학 영역 성취기준 중 고전문학 제재는 읽기 성취기준과 가장 많이 결합하였다. 비문학 영역 성취기준 중 고전문학 제재를 본 제재로 채택한 성취기준은 ‘서사 요약 능력 함양’을 목표로 한 것이다. 그 외 비문학 영역 성취기준을 구체화한 단원에서 고전문학제재는 모두 보조 제재로 활용되어 추가 학습활동 자료나 읽기 자료로 기능하고 있다. This study examines classical literary materials in middle school Korean textbooks in 2015 revised curriculum on the basis of grade, genre, and achievement standards. In the nine types of textbooks, the total number of units containing classical materials is from 6 to 13, and the average is generally less than 10 units. Assuming that the 2015 revised middle school textbooks are used as materials to provide learning experiences in the literature classroom, learners will have a learning experience in which they encounter the classics literary materials once in each grade of middle school. Compared to the 2009 revised middle school Korean textbooks, it is clear that the 2015 revised middle school textbook has significantly reduced the range of classical literary materials at the national level of middle school education. As the range of classical literary materials decreases, the middle school Korean textbooks tend to include works that were in the traditional canon of state rather than include new classical works. In middle school Korean textbooks, classical literature materials were relatively more combined with achievement standard items intended for literary appreciation in consideration of the creative background, context, and socio-cultural background reflected in the work. On the other hand, they are relatively loosely coupled with achievement standards related to inner reading and appreciation.

      • KCI등재

        혁명, 수행의 언어들: 해방과 민주주의 상상력

        고명철 ( Ko Myeong-cheol ) 한민족문화학회 2020 한민족문화연구 Vol.71 No.-

        한국문학이 아니라 ‘한국어문학’의 영역에서 혁명의 동력은 무엇이며, 이 양자는 서로에게 어떻게 작동했을까. 한국어문학의 범주로 논의할 때 중요한 문학적 쟁점은 한국문학이 함의하고 있는 개별 국민국가의 정치적 독립성과 자족성에 대한 논의로부터 유연성을 확보할 수 있다. 말하자면, 한국어문학은 국민주권의 강고한 정치문화적 프레임으로부터 풀려남으로써 대한민국의 국민으로서 문학의 주체가 아니어도 한국어라는 겨레말을 공유하고 있는 문학의 주체를 두루 포괄한, 그래서 국민국가의 안팎이 낳은 근대의 다층적 문제를 새롭게 인식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근대 자체에 대한 래디컬한 물음과 성찰을 통해 근대극복의 과제를 문학적으로 실천하는 길을 궁리할 수 있다. 이것은 문학과 혁명의 상호침투적 논의의 물꼬를 튼다.첫째, 혁명과 주체에 대한 논의로, 한국어문학에서 민중혁명과 정치적 상상력은 중요한 문학적 쟁점이다. 무엇보다 19세기 말 동학농민혁명이 주목되고 그것이 지닌 민중혁명의 가치가 새롭게 탐구되면서 한국어문학의 지평에서 비로소 근대 문학의 중요한 민중혁명의 시계열(時系列)을 구성한다. 그래서 단재 신채호의 민중혁명은 근대 조선문학에서 선구적이며 카프 이후 본격화된 계급 각성으로서 민중의 발견과 이것을 근간으로 한 조선혁명의 특수성을 띤 일제 식민주의로부터 민족해방을 동시에 내다본 예언자로서 정치문화적 속성을 띤다.둘째, 혁명과 근대에 대한 논의로, 해방과 민주주의 상상력에 대한 논의는 한국어문학에서 혁명의 문학적 실천 또는 문학의 혁명적 실천으로서 중요한 쟁점을 이룬다. 우선, 19세기 말부터 20세기 전반부는 온전한 근대 국민국가로서 정치적 지위를 보증 받지 못한 채 반(反)식민주의를 향한 해방의 정념과 그 문학적 실천이야말로 민중혁명의 동력을 섭취한 한국어문학이 전력투구해야 할 근대의 과제였다. 뿐만 아니라 민중혁명의 동력을 자기화한 문학의 정치적 상상력을 논의할 때 민주주의에 대한 사안은 반식민주의의 문학운동을 실천하는 것 못지않게 매우 절실한 문제였다.이처럼 한국어문학에서 혁명은 ‘해방과 민주주의 상상력’의 차원에서 문학의 정치적 수행의 언어의 몫을 실천하고 있다. 이 같은 수행은 한국사회에만 국한되는 특별한 혁명이 아니라 좁게는 아시아, 넓게는 세계의 퇴락한 체제를 혁신시킴으로써 새로운 체제를 기획하고 실천할 수 있는 혁명의 동력을 지닌 한국어문학의 지평을 심화 확산시킬 필요가 있다. 그리하여 한반도의 분단체제를 종식시키는 한국어문학의 혁명적 실천을 수행할 수 있다. 왜냐하면 평화체제로의 이행은 한반도를 구속시켰던 분단체제와 완전히 단절하고 새로운 민주주의 체제를 기약하는 만큼 한국어문학은 이러한 혁명의 동력을 최대한 이끌어낼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What is a power of revolution in terms of not Korean literature but ‘Korean language literature(한국어문학)?’ And how have been both sides operated work together? What an important literary agenda at the category of Korean language literature can obtain the flexibility from what Korean literature emerges a political independence and self-sufficiency for a nation state. In other words, as it is not jailed from a strong political frame of sovereignty, what Korean language literature embraces literary subjects sharing literary subjects of Korean people can newly recognize modern multilayered problems of nation state. And it can explore road to practice overcoming modern problems through radical question and introspection on modern itself. In fact, this opens the door of interpenetrating discussion of literature and revolution.The first, in argument on revolution and subject, what people revolution and political imagination is an important literary agenda in Korean language literature. Above all, in the late of 19th century Donghak Peasant Revolution(동학농민혁명) has been remarked, it’s value has been newly studied. Meanwhile, it has structured people revolution time series in terms of Korean language literature’s horizon. Hence, Dangae Shin-Chaeho(단재 신채호)’s people revolution is a pioneering, as significant acknowledging class after dismantling KAPF(Korea Arista Proleta Federatio), what he does not only discovery people’s existence but also prophet to get emancipation to independence against Japanese colonialism in terms of a special Chosun’s revolution, emerges features of political culture.The second, in argument on revolution and modern, what an emancipation and democratic imagination emerges significant agenda as revolutionary literary practice or literary revolutionary practice in Korean language literature. First of all, in the late 19th century and the first half of the 20th century, the spirit of emancipation for anti-colonialism and its literary practice without being guaranteed political status as a fully modern nation, were the tasks of Korean language literature, which had gained the power of the people revolution, and were the tasks of the modern era. Besides, when we argue on a literature by selfcontroling people revolution i.e. literary political imagination, the democratic agenda is so problematic comparatively to practice anti-colonialism literary movements.Like this, the revolution in Korean language literature practices literary political performance language’s role in terms of emancipation and democratic imagination. Such conduct needs to deepen and spread the horizon of Korean literature, which has the power of revolution to plan and implement a new system by innovating the degenerate system of narrow Asia and wide world, not just limited to Korean society. Therefore, what the ending division system of Korean peninsula is capable of practice of Korean language literature’s revolution problem. Because the transition of peace regime cuts absolutely off division system severed imprison Korean peninsula and promises a new democratic system, Korean language literature should fully draw out the power of revolution.

      • KCI등재

        중국 대학에서의 한국어문학과 개설 현황 및 발전 방안 연구

        김용범,구려나,량빈,장람,김현정 고려대학교세종캠퍼스 한국학연구소 2017 한국학연구 Vol.63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the development plan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Subject in Chinese universities by analyzing the present situation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courses in Chinese universities and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se universities. For this purpose, 16 Chinese universities were included in the analysis. By the way, according to the 2016 standard, all of these universities are belong to '211 universities' or '985 universities'. As a result of the survey can be analyzed from the following aspects. First of all, the universities which offered the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courses are mainly located in coastal areas adjacent to Korea. Second, professors in Chinese universities are mainly Chinese(96.1%, 147), and 84.3% (129) of them hold doctor’s degree. Especially, 51%(78) of them earned doctorates in Korea, and 33.3%(51) of them earned doctorates in China.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oportion of professors' professional distribution, the number of professors specialized in Korean Language is the largest, with a ratio of 33.3% (51). Followed by the professors of Modern Literature, with a ratio of 22.2% (34). Finally, Classical Literature and other(History, Philosophy) professional professors have a 15% ratio(23). Here we have some suggestions about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Subject in Chinese universities have been proposed before. First, Pay attention to the national policy of the One Belt One Road’, expand the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Discipline and strengthen international exchanges. Second, in order to deepen the understanding of Korean culture, we should expand the education curriculum too. In particular, is necessary to improved the teaching methods of professor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Korean researchers with objective information about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in China at the present stage, to supplement the deficiency of previous information. 이 연구는 중국 대학의 한국어문학 관련 학과 개설 현황을 살펴보고, 이들 대학의 특징을 살펴봄으로써, 중국 내 한국어문학 관련 학과의 발전 방안을 제안해 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때 분석 대상으로 삼은 중국 대학은 2016년 기준으로 ‘211대학’(116개)과 ‘985대학’(39개)에 포함되어 있는 대학 중 한국어문학 관련 학과가 개설되어 있는 16개 대학(중국전매대학 제외)을 대상으로 하였다. 조사 결과, 한국어문학 관련 학과가 개설된 대학들은 주로 한국과 인접한 해안 지역에 위치하고 있었다. 교수들은 주로 중국인(96.1%, 147명)이었으며, 박사학위 소지자는 84.3%(129명)에 이른다. 학위취득 국가로는 한국이 51.0%(78명)로 가장 많았으며, 중국에서 학위를 취득한 경우는 33.3%(51명)였다. 교수진의 전공은 국어학이 33.3%(51명)으로 가장 많았으며, 현대문학이 22.2%(34명), 고전문학과 기타(역사, 철학 등) 전공이 각각 15.0%(23명)로 나타났다. 중국 내 한국어문학 관련 학과의 발전 방안으로는 ‘일대일로’라는 중국의 정책에 따른 한국어문학과의 확대 및 국제교류 활성화와 함께, 한국문화 이해 증진을 위한 교육과정을 보다 확대할 것을 제안해 보았으며, 특히 개별 교수자의 교수법을 개선하기 위한 여러 가지 제도적인 뒷받침이 필요함을 강조하였다. 이 연구는 그동안 중국에 개설된 한국어문학 관련 학과에 대한 정보가 부족했던 한국 연구자들에게 중국의 한국어문학 관련 학과에 대한 객관적인 정보를 제시할 수 있었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을 것이다.

      • KCI등재후보

        한국어교육적 관점에서 본 국내 대학 한국어문학과의 교육과정

        박나리 ( Na Ree Park ) 영주어문학회 2016 영주어문 Vol.32 No.-

        한국어문학과는 일반적으로 한국어 및 한국문학 전문가 양성을 그 목적으로 한다. 한국어문학은 모국어로서의 국어와 국문학이 아닌, 보다 객관적인 시각에서 한국어와 한국문학을 바라본다는 점에서 기존의 국어국문학과 분명한 차이를 갖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국내 한국어문학과의 교육과정이 국어국문학과에 다만 한국어교육적인 요소를 추가한 예로부터 한국어교육에 집중한 경우에 이르기까지 그 변폭이 매우 크다는 문제의식 아래, 본 연구는 한국어문학과의 독자적인 영역을 확보하고 정체성을 확립하기 위한 하나의 방향적 제안을 해 보고자 하였다. 특히 국내외 학습자의 수요가 상당하며 한국어문학과의 개설 동인이 되기도 한 한국어교육에 초점을 두어 한국어교육적 관점에서 국내 한국어문학과의 현존하는 교육과정을 살피고, 그 문제점을 진단한 후 앞으로의 방향성을 제안해 봄으로써 향후 한국어교육적 요소를 교육과정에서 점차 확대시켜나가고자 할 때 일정한 시사점을 제공해 보고자 하였다.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department, basically, sees Korean language in an objective way. However, curriculum of many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department shows no big difference from that of National language and literature departmen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urriculum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department especially in view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foreign learners which has been highly increasing for the last several years. As a result of this research, strong necessity for standardization in curriculum is insisted since the differences between curriculum in each college are so great that its graduates, namely, potential Korean language teachers are not likely to meet educatee`s general needs for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Korean culture, etc. Therefore, this study tries to suggest desirable directions in designing curriculum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department based on its own identity and the needs of both Korean language teachers and foreign Korean language learners which are expected to dedicate the standardization.

      • KCI등재

        조향의 문학독본과 1950년대 대학 문학교육

        이순욱(Lee, Soon-Wook) 한국문학회 2017 韓國文學論叢 Vol.76 No.-

        이 글에서는 조향의 문학독본 3종, 즉 大學國語 現代國文學粹(서울:행문사, 1948.12), 現代國文學粹(부산: 자유장, 1952.11), 大學國語 現代文學(부산: 자유장, 1958.4)의 체재와 성격을 비교ㆍ고찰하였다. 우선,전체 26과로 편제된 1948년판은 시, 소설, 희곡, 수필, 비평, 문학론, 역사, 미술, 미학 등 다양한 갈래의 글을 수록하고 있었다. 이는 당시 발간 된 문학독본이나 중등학교 현장에서 사용된 중등국어교본이나 중등국어의 일반적인 구성방식이었다. 또한 이 교재는 광복기 국어교과서 나 문학독본에 수록된 기존의 작가정전을 주로 활용했다. 당시 남한 문학사회의 문단재편 결과와는 다르게 이태준, 조운, 정지용, 임화, 함세덕,오장환, 백석, 박치우 등 월북ㆍ재북문학인들의 작품을 대거 수록함으로 써 근대문학사에 대한 균형감각을 유지하고자 했다. 이를 통해 친일과저항, 민족주의와 사회주의라는 이념의 차원에 상관없이 근대시의 전통을 통시적으로 이해할 수 있게 되었다. 다음으로, 1952판은 단정 수립 이후 문단재편의 결과를 고스란히 반영하고 있었다. 제재를 죽 나열하던 초판의 과 중심 편제에서 벗어나 시와소설, Essay(비평과 논문)로 나누어 문학을 집중적으로 배치했다. 1952년판에서는 후반기 동인의 시를 현대시사의 전면에 등장시킴으로써 편집주체가 지향하는 초현실주의의 이념과 문학적 좌표를 분명히 했다는 데 의의가 있었다. 교양교육 교재를 통해 후반기 동인의 문단 권위를 공식적으로 승인하고 상징화하려는 의도가 내포되어 있다고 볼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1958년 4월에 발간된 대학국어 현대문학은 1952년판의확장판으로, 시, 소설, Essay로 1952년판의 구성 방식과 체재를 고스란히 계승하고 있었다. 편자 자신의 「현대시론」과 「현대소설론」을 작품의서두에 배치하여 감상의 기초 능력을 기르기 위한 편제를 체계화하였다.특히, 시를 대폭 수록한 까닭은 “형식적인 망라주의”보다는 “중점주의”를 취했기 때문이었다. 1948년판은 1952년판에 비해 문학적 자의식을 교재에 적극적으로 투영하지 못했으며, 1952년판과 1958년판으로 갈수록 초현실주의에 대한 그의 문학적 태도를 선명하게 부각시키고 있었다. 이러한 점에서 1950년대 조향의 문학독본은 초현실주의의 문학을 이론화하고 교육제도에 확산시키고자 한 기획의 산물로 볼 수 있으며, 당대 균형적인 문학 교양과지식을 획득하는 데 주력했던 다른 대학국어 교재와는 확연한 차이를지닌다. 이는 조향이 1949년 여름 결성된 후반기 동인 활동과 그것의 연 장선상에서 현대문학연구회를 거치면서 초현실주의 시와 시론에 대한이론과 실천을 거듭 강화해 나간 결과로 볼 수 있다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elucidate the reality of literary education at the Gyeongsangnamdo 慶尙南道 province in the 1950s. For it, I concentrate on the practical activities of Jo Hyang 趙鄕 who had led the society of the Right writers’, especially three reading books edited by him, i.e., (1)Hyundaegungmunhaksu 現代國文學粹 (Essence of Modern Korean Literature) (1948), (2)Hyundaegungmunhaksu 現代國文學粹 (Essence of Modern Korean Literature) (1952, newedition of (1)), and (3)Hyundaemunhaksu 現代文學粹 (Essence of Modern Literature) (1958), all of them were made for literary education in academic classes. I examine the editing and publishing processes and sociocultural context of each book, analyze the set–up of it, and deduce Jo’s thoughts about Modern Korean literature and literary education. As the results, I can draw some meaningful facts. Firstly, while editing the first book (1), in spite of belonging to the Right, Jo tried to keep sense of balance in selecting materials. The book contains works of the Left writers’, for instance, Lim Hwa 林和, Lee Tae–jun 李泰俊, and so on. It is so deferent from the dominant literary landscape of the time. Secondly, however, while editing the new edition (2) of it, he turned his attitude and revealed his own view. It reflected the ideological conflict between the Left and the Right. Thirdly, while editing the third edition (3), he concerned about Korean modern literary history, and especially reflected the trend of modern Korean literature, the change of realism to psychologism. Those results refer that the characteristics of literary reading books changed according not only to editors but also the change of cultural landscape of the times. I hope that this paper is helpful to draw the landscape of literary education after the Independence of Korea.

      • KCI등재

        중국대학 내 한국어과 문학 관련 수업의 현황과 실제

        김규진(Kim, Kyu-jin) 가천대학교 아시아문화연구소 2012 아시아문화연구 Vol.25 No.-

        한국어교육의 목표에 효율적으로 도달할 수 있는 길 중에 하나는 한국문학을 활용하는 방법이다. 학습자는 한국문학작품을 통해 한국의 사회·문화, 한 국인의 사고와 정서를 이해할 수 있다. 또한 외국인 학습자가 실제적인 의사 소통의 순간에 대화 맥락에 알맞게 언어를 구사할 수 있는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세 번째로 문학작품을 통해 학습자의 정서적 언어구사 능력과 지적인 사유능력을 함양하고 궁극적으로 인간적인 성숙에 도달할 수 있다. 중국대학 내 한국어과 문학 관련 수업 현황 및 필자가 실제 강의한 《한국문학사》, 그리고 이 수업을 수강한 학습자에게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를 통해 몇 가지 문제점을 확인할 수 있다. 현 중국대학 내 한국어과에서는 한국문학 관련 수업이 한국어 문법과 문형 중심의 수업에 비해 시수가 많지 않으며 반 인원 등의 현실적인 문제 때문에 잘 이루어지고 있지 않다. 또한 한국문학 관련 교과목에 관한 교사와 학습자의 인식 문제와 중국대학 내 한국어과의 실정에 적합한 교재가 없다는 사실 역시 문학교육을 형식적으로 치우치게 하는 원인이다. 교사의 인식 변화를 유도하기 위해서는 우선 교사 스스로가 목표 언어와 문화 이해의 밀접한 상관성을 체득해야 한다. 그리고 교사는 한국문학 관련 수업을 어렵다고 생각하는 학습자에게 문학작품을 학습한다면 여러 가지 장점들을 효과적으로 습득할 수 있다는 사실을 강조해 한국문학 관련 수업에 대한 학습자의 선입견을 없애도록 노력해야 한다. 다음으로 중국대학 내 한국어과에 개설된 한국문학 관련 수업이 원활하게 진행되기 위해서는 중국대학 내 여러 상황을 고려한 교재 개발이 하루 빨리 이루어져야 한다. 특히 《한국문학사》의 경우 중국대학의 한국어과에서는 일반적으로 한 학기에 이수하도록 교과목이 짜여 있으며 그 수강인원 역시 적지 않다. 이러한 중국대학 내 한국어과의 실정에 맞는 교재 개발이 절실하다. One of Korean educations that can reach the goal effectively is a way to take advantage of the Korea Literature. Foreign learners, through the Korea literary works, can understand both society and culture of Korea, and the thoughts and emotions of Korean. Several problems can be found through classes related to Korean literature in Chinese universities and actually my lecture, “History of Korean Literature”, and the survey results of the learner taken this lecture. Classes related to Korean literature is not well carried out because of practical problems at Korean department in Chinese universities. In addition, recognition shortage of teachers and students concerning courses related to Korea literature. To make teachers" recognitions change, teachers have to learn the close correlation between the target language and understanding of culture. And for learners, teachers should try to do away with learners" prejudice of classes related to Korean literature. Next, the development of materials suitable to Korean department in Chinese university should be made as soon as possible in order to smooth the classes established at Korean department in China universities.

      • KCI등재

        2009 개정 교육과정 시기 국어·문학 교과서 고전문학 제재 수록 양상 연구

        조희정 ( Cho Hee-jung )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2016 고전문학과 교육 Vol.32 No.-

        본 논문에서는 2009 개정 교육과정 시기 중·고등학교 국어과 교과서에 수록된 고전문학 제재의 수록 양상을 파악하였다. 검토 대상은 2009 개정 교육과정 시기 검정 심사에 통과하고 교육 현장에서 사용된 14개 출판사의 중학 국어 84종, 11개 출판사의 고등 국어 22종, 11개 출판사의 고등 문학 22종이다. 2009 개정 중학 국어에는 총 17종의 고전시가가 본 제재로 채택되었다. 3개 출판사 중학 국어에서 소단원 본 제재로 고전시가를 단 한 번도 다루지 않았다는 특이점을 보인다. 2009 개정 고등 국어 교과서에는 <제망매가>, <가시리>, <관동별곡> 등으로 대표되는 19종의 고전시가가 본 제재로 채택되었다. 중·고등 국어 교과서의 고전시가 본 제재 갈래는 향가, 고려가요, 시조, 가사의 국문 시가로 한정되었지만, 2009 개정 문학 교과서에서는 고전시가의 하위 갈래가 총망라되며 성취 기준 ‘한국문학의 범위와 역사’를 구현하는 단원의 본 제재로 주로 채택되었다. 2009 개정 중학 국어에서 총 26종의 고전산문이 본 제재로 채택되었다. 중학교 수준의 고전산문 제재 중 고전소설은 <홍길동전>, <박씨전>, <양반전> 등이 반복 채택되며 고전산문 대표 제재의 지위를 얻었다. 2009 개정 고등 국어 교과서에서는 16종의 고전산문이 본 제재로 채택되었는데, <봉산탈춤>, <춘향전>, <흥부전> 등이 주요 제재로 다루어졌다. 2009 개정 문학 교과서에는 고전산문의 하위 갈래인 서사무가, 설화, 판소리, 민속극, 고전소설, 한문 산문, 한글 산문 등의 대표 작품들이 성취 기준 ‘한국문학의 범위와 역사’를 구체화하는 단원의 본 제재로 주로 채택되었다. 2009 개정 중·고등학교 국어 교과서에서 본 제재 또는 보조 제재로 4회 이상 수록된 고전 시가 제재 31종 중 반복 수록된 빈도가 높은 제재는 <서동요>, <동지ㅅ달 기나긴 밤을>, <제망매가>, <가시리>, <속미인곡>, <도산십이곡>, <두터비 파리를 물고>, <십 년을 경영하여>, <청산별곡>순이다. 고전시가 중 수록 종류와 수록 빈도가 가장 높은 갈래는 시조이다. 2009 개정 중·고등학교 국어 교과서에서 본 제재 또는 보조 제재로 4회 이상 수록된 고전산문 29종 중 반복 수록된 빈도가 높은 제재는 <흥부전(흥부가)>, <봉산탈춤>, <춘향전(춘향가)>, <홍길동전>, <이옥설>, <주몽신화(동명왕편)>, <금오신화>, <사씨남정기>, <심청전(심청가)>, <양반전>, <박씨전> 순이다. 고전산문 제재 중 작품의 종류와 수록 빈도가 높은 중심적 갈래는 고전소설이고, 새롭고 다양한 제재가 유입되고 있는 갈래는 한문 산문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hange in literary materials in secondary school Korean textbooks and literature textbooks as per the 2009 revised curriculum. Literary materials in secondary school Korean textbooks have increased student awareness of literary canons because these have been taught and learned through public education. Seodongyo, Gemangmega, and Gasiri in classical poetry and the tale of Heungbu, Pongsan Mask Dance, the Tale of Ch'unhyang and the tale of Honggildong(by Heo Gyun) in classical prose are published in secondary school Korean textbooks and literature textbooks as per the revised curriculum of 2009. A three-verse Korean ode and a classical novel are the most chosen genres in classical literature.

      • KCI등재

        국어국문학과 조선어문학의 분단: 설립 초기 국립서울대학교 문리과대학 국어국문학과와 김일성종합대학 조선어문학부의 비교연구

        정종현(Jeong, Jong-Hyun) 동악어문학회 2021 동악어문학 Vol.83 No.-

        본 연구는 1946년 9월과 10월에 각각 설립된 서울대학교 문리과대학 국어국문학과와 김일성종합대학 조선어문학부의 제도적 편제와 교원 집단, 교과목 등을 비교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두 대학교의 교사(校史), 미군의 노획문서, 초창기 학생들의 회고 등을 분석했다. 이 두 제도의 토대가 되었던 경성제국대학 조선어문학 전공이 해방 이후 두 대학에 어떻게 영향을 주었는가, 이후 분단된 두 국가의 이념이 두 대학의 차이를 어떻게 만들어갔는가 등에 대해 ‘식민지-탈식민지의 연속과 비연속의 겹눈의 독법’으로 접근하고자 했다. 미국식 대학이념의 영향을 받으며 경성제국대학 법문학부는 서울대학교 문리과대학으로 재편되었다. 김일성종합대학의 문학부는 소련식 제도인 까페드라, 아스삐란트라 등이 결합된 형태로 구성되었다. 두 대학의 국어국문학과 조선어문학 전공 교수진은 경성제대 법문학부 조선어문학 전공 출신들이 주축을 이루었다. 조선어문학 전공은 경성제대에 유일하게 설치되어 있었기 때문에 이는 어쩌면 당연한 것이었다. 국어학과 고전문학 중심이었던 제국대학 제도의 영향이 강하게 남아 있어서, 설립 초기에는 현재와 같은 국어학, 고전문학, 현대문학의 3분 체계가 아직 마련되진 않았다. 그렇지만, 두 대학 모두 제국대학의 외국문학 전공자들에 의해서 현대문학 교육이 시작되고 있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institutional framework & teacher"s group, curricular subject & academic atmosphere between the 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for the College of Liberal Arts and Sciences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and the Faculty of Joseon Language and Literature (朝鮮語文學部) at Kim Il Sung University (金日成綜合大學), which were established, respectively, in September and October of 1946. For this, an analysis was made on a school history (校史), the U.S. military"s captured documents and the early students" retrospection of two universities. The aim was to approach with ‘the continuous and non-continuous double-eyed dogma of colony-decolonization’ as for how a major in Joseon Language & Literature (朝鮮語文學) at colonial Keijo Imperial University (京城帝國大學), which had been the foundation of these two systems, had influence upon two universities after the liberation, and as for how the ideology of two divided nations after this proceeded with making a difference between two universities. With being affected by the ideology of American university, the Faculty of Law and Literature at Keijo Imperial University (京城帝國大學) was reorganized into the College of Liberal Arts and Sciences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The literature department at Kim Il Sung University (金日成綜合大學) was made up in the combined form of kapedeula and Aspirantra of corresponding to a Soviet-style system. The teaching staffers with a major in the 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and in Joseon Language and Literature (朝鮮語文學) of two universities were formed the principal axis by those with a major in Joseon Language & Literature (朝鮮語文學) for the Faculty of Law and Literature at Keijo Imperial University (京城帝國大學). This was probably natural because a major in the Joseon Language & Literature (朝鮮語文學) was only established in Keijo Imperial University (京城帝國大學). The influence of Imperial University in which the Korean language and classical literature formed the center remained strongly. Thus, the three-division system in Korean Linguistics, Classical Literature and Modern Literature like now was not arranged yet in the early days of its establishment. However, both universities could be confirmed to have been begun the modern literature education by the foreign literature majors at Imperial Univers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