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원자력공학과 재학 대학생의 원자력 관련 연구기관 현장실습 경험에 관한 연구

        김지현,신진명,김웅기,최유현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17

        Objectives This study aims to contribute to the field Training program of correct nuclear manpower by examining the field training experience of nuclear-related research institutes of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nuclear engineering. Methods For this purpose, a qualitative research method was used to deeply explore the subjective experiences of the research participants, targeting two college students in the Department of Nuclear Engineering working at the K nuclear-related research institute. Participation observation, interviews, and local data collection were conducted. The collected data were derived into 3 major categories, 6 middle categories, and 17 sub-categories by performing emic coding to identify the field practice experience. Results First, the characteristics of the field training site of the study participants were the reactor facility, measurement room, waste management space and office at the dismantling site, which can be thought of as a construction site from a spatial point of view. Second, in terms of human relations, I had a good relationship with everyone in the department. Next, the tasks of the study participants varied from administrative tasks such as planning and writing reports to measuring radioactivity concentrations in the air, and it was found that the job description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within the department were the most important in the field training program. Finally, the research participants were able to broaden their knowledge and determine the appropriateness of the work they performed through the field practice program to determine their own career direction. Conclus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it is necessary to help understand the field training programs of nuclear-related research institutes and to assign the roles of mentors and colleagues in the field training programs and appropriates jobs to field training students. 목적 본 연구에서는 원자력공학과 재학 대학생의 원자력 관련 연구기관 현장실습 경험을 살펴봄으로써 올바른 원자력 인력양성에기여하고자 하였다. 방법 이를 위해 K 원자력 관련 연구기관에서 근무중인 원자력공학과 재학 대학생 2인을 대상으로 연구참여자의 주관적 경험을 심층적으로 탐색하고자 질적 연구 방법을 적용하고 참여관찰과 면담, 현지 자료 수집을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에믹 코딩을 실시하여3개의 대분류, 6개의 중분류, 17개의 소분류로 도출하여 현장실습 경험을 파악하였다. 결과 연구 참여자의 현장실습 참여자들의 현장실습 현장의 특징은 첫째, 공간적인 관점에서 공사 현장으로 생각할 수 있는 해체 현장의 원자로 시설, 계측실, 폐기물 관리 공간과 사무실이었다. 둘째, 인간관계 측면에서 부서 내의 모든 사람과 좋은 유대관계를 가지고있었다. 다음으로 연구 참여자의 업무는 계획수립 및 보고서 작성과 같은 행정업무부터 공기 중 방사능 농도 측정 업무까지 다양하며현장실습 프로그램에서 직무 내용과 부서내의 인간 관계가 가장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연구 참여자는 현장실습 프로그램을 통해 지식의 폭은 넓히고 수행한 업무의 적합도를 판단하여 본인의 진로 방향을 정할 수 있었다. 결론 본 연구를 통해 원자력 관련 연구기관 현장실습 프로그램에 대한 이해를 돕고 현장실습 프로그램에서 멘토와 동료의 역할과현장실습생에게 적절한 직무를 부여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 KCI등재

        미술치료 임상실습 현장 수퍼바이저 체험연구

        홍혜정 한국예술심리치료학회 2017 예술심리치료연구 Vol.13 No.2

        본 연구의 목적은 미술치료 임상실습 현장 수퍼바이저 체험의 본질과 의미를 밝혀 그들의 경험을 이해하고자 하는데 있다. 본 연구는 미술치료 임상기관의 미술치료 임상실습 현장 수퍼바이저 총 7명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통하여 질적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들은 질적 연구방법 중 Max van Manen의 해석학적 현상학적 방법으로 분석되었고, 그 결과 총 6개의 본질적 주제와 18개의 하위주제들이 도출되었다. 도출된 본질적 주제들은 ‘사명감을 가지고 현장 수퍼바이저가 되기로 결심함’, ‘임상기관과 조율을 통해 현장 수퍼비전 시스템을 갖춰나감’, ‘실습생들에게 현장감 있는 가르침을 제공함’, ‘시행착오를 거쳐 현장 수퍼바이저로서 성장해 나감’, ‘현장 수퍼바이저가 느끼는 보람’, ‘현장 수퍼바이저의 전문성 유지를 위한 교육이 필요함’이다. 본 연구의 결론으로 연구 참여자들은 미술치료 임상실습 현장 수퍼비전 시스템을 구축하고, 실습생들에게 안전한 울타리와 현장감 있는 가르침을 제공하는 경험을 한다. 또한 연구 참여자들은 시행착오를 거쳐 임상실습 현장 수퍼바이저에게 필요한 전문적인 역량을 강화하고 보람도 갖지만, 전문성 유지를 위한 지속적 교육의 필요성을 느낀다. 본 연구는 미술치료 임상실습 현장 수퍼바이저의 경험적 자료를 공유하고, 미술치료 임상실습 현장 수퍼비전 시스템 구축과 현장 수퍼바이저 양성을 위한 실천적 방안을 제시하였다는 것에 그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understand the experience of on-site supervisors in art therapy practica by exploring the essence and the meaning of their experienc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 with seven on-site supervisors in art therapy practica.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with the method of Max van Manen. Six essential themes and eighteen sub-themes were produced. The essential themes were: ‘Decide to be an on-site supervisor with a sense of mission', ‘Establish an on-site supervision system through the coordination with the institution', ‘Provide practical feedback to the trainees at the site', ‘Grow through trial and error as on-site supervisors', ‘Reward of on-site supervisors', and ‘Need for continuing education to maintain professionalism of on-site supervisors'.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participants constructed an on-site supervision system for trainees, and provided a safe fence and vivid training for them. Although the participants' professional competency was reinforced as on-site supervisors, they felt that they needed constant education to maintain their professionalism. The study findings present the practical suggestions for constructing on-site supervision systems and fostering on-site supervisors in art therapy practica by sharing the experiential data of the participants in the study.

      • KCI등재

        학교현장실습 관련 국내 연구 동향 분석

        박현옥,장지연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2015 유아특수교육연구 Vol.15 No.4

        Special education teachers need to development their skills and knowledge to be a competent teacher. To be a qualified special education teacher, the student teacher in the field education should acquire diverse areas of knowledge and practical skills. In Korea, most teacher acquire their professional competencies from pre-service program and they practice teaching skill at practicum course. So, the course of practicum is very important for pre-service teacher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pre-service special education teacher practicum research trend and figure out the key component for qualified teacher training program from the research literature. For these purpose, 33 articles that published past 10 years were reviewed and analyz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most participants of research were pre-service teacher who experienced practicum. Second, the main research themes were the pre-service teacher’s experience and recognition for the practicum. Third, the most frequently used research method were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Finally, the implementing components for pre-service special education teacher practicum were (1) the qualified ability of pre-service teacher, (2) the supports of college and advisor, (3) the support systems and the expertise of coaching teacher, (4)the administrative support. Based on theses results, we discussed about the qualified pre-service teacher training practicum program. 학교현장실습은 교원양성과정에서 반드시 이수해야 하는 교직필수 교과로 전공영역에서 습득한 전공 지식과 실무를 실천하는 실천적 교과목이다. 더불어 학교현장실습은 실습당사자인 학생 외에도 대학과 실습 기관의 협력적 지원을 통해 실현된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2005년부터 2014년까지 10년간 국내에서 실행 되었던학교현장실습 관련 연구를 분석하여 우리나라 특수교육 현장에서 요구되는 학교현장실습 운영에 관여하는 구성요소들을 제시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이를 위하여 본연구에서는 첫째, 2005년부터 2014년까지 실행된 학교현장실습 관련 연구의 연구방법, 연구주제, 연구대상자 동향은 어떠한지, 둘째, 학교현장실습 관련 연구 문헌에 나타난학교 현장실습 실행요소는 무엇인지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국내 학교현장실습 관련 연구대상자는 주로 학교현장실습을 경험한 학생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연구주제는 경험과인식이 주를 이루었다. 연구방법으로는 질적연구 방법을 자주 사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현장실습 실행요소로는 실습 당사자의 준비, 교원 양성대학에서의 지원, 실습기관의준비, 원활한 행정적 지원 체계 등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연구 결과를기반으로 향후 학교현장실습 운영과 연구의 발전 방안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 KCI등재

        현장연구지원제도의 현황과 개선 방향

        이혁규 한국교육인류학회 2002 교육인류학연구 Vol.5 No.2

        오늘날 공교육의 위기가 운위되고 있는 우리 교육현장을 제대로 이해하고 실효성있는 처방을 만들어내기 위해서는 그 동안 무시되어왔던 교사의 시각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교사들이 적극적으로 교육연구와 관련을 맺어야 하며 교사의 눈으로 현실을 이해하고 교사의 눈으로 문제를 진단하고 교사의 눈으로 개선을 기획하는 실천적 연구가 필요하다. 교육현장의 이해와 개선을 위해 ‘연구자로서의 교사’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으나, 정작 우리 나라 교사들에 의해 수행되고 있는 현장 연구들은 과학성과 객관성을 중시하는 실증주의적 연구 전통에 기반하고 있어서 현장 참여자들의 주관적이고 국지적이고 실존적인 삶의 체험을 드러내는 데 실패하고 있다. 그래서, 우리 나라의 교육 현장 연구에는 현장이 없다는 비판이 가능하다. 우리 나라의 현장 연구가 이런 경향을 갖게 된 것은 한국교원단체 총연합회등 현장 연구 대회를 주관하는 단체들이 오랫동안 양적 패러다임을 신봉하는 학자들에 의해 주도되었기 때문이다. 그리고 이 전통은 방법론에 대한 반성이 왕성하게 일어나고 있는 현재에도 거의 개선되지 않고 있다. 이런 현장연구 관행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현장연구를 지배하고 있는 연구 공동체의 관행을 바꾸는 것이 필요하다. 교사의 목소리가 담긴 연구, 현실을 개선하는 실천적·해방적 연구, 대규모 협동 연구가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현장연구를 지원하는 제도가 개선되어야 하고, 대학과 현장과의 관계가 새롭게 정립되어야 하며 실험적 시도를 하는 현장 연구가 많이 수행되어야 한다. More and more scholars place emphasis on teacher-led research nowadays. The teacher’s perspective is needed to have a true understanding of public school conditions, which are termed ‘school crisis’ or ‘school failure’, and to make effective strategies to improve them. In our country, there has been a long tradition of teacher-researcher movement, but most aof the teachers research has been based on positivistic research methods which focused on explanation and prediction of phenomena according to universal law. For this reason, we can not find narratives which manifest subjective, local, existential lived experience of people who live everyday life in school. The positivistic trend which characterizes educational research by teachers has deep roots in our country going back to the 1950s. Scholars who favor empirical and experimental research design have had executive power in professional educational organizations like the Korean Federation of Teachers’ Associations. Such organizations have held and managed competitions of educational action research by teachers for a long time. There does not exist any great change in research methods from the quantitative approach to the qualitative approach, even in the present situation, where so many criticisms of the quantitative research flow like a river in the areas of human research. To make research conducted by teachers productive and persuasive, the tradition of research committees that have been dominated by positivism should be changed. Improvement of institutions which support teacher research, changes to the relationship between university and field, and creation of an atmosphere to boost new kinds of action research are needed to invigorate practical and emancipatory research representing teachers’ true voice, which will eventually renovate school conditions.

      • KCI등재후보

        Characteristics of Action Research Conducted by Vocational Agriculture Teachers and their Needed Competences

        나승일 한국농·산업교육학회 2003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Vol.35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scribe the characteristics of action research conducted and competences needed by high school vocational agriculture teachers. A stratified random sample of 343 respondents was analyzed. The major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agricultural teachers who were male, had longer teaching experiences, held master s degrees and had trained on action research did more action research than their counterparts. The respondents action research was focused on production agriculture and subject education topics using survey methods and experimental research, in individual research units. The common channels used to present the action research by the agriculture teachers was the Action Research Competition held by the Association of Korean Agricultural Education and the annual FFK convention. The performance level of agricultural teachers on the competencies needed for action research was moderate to good. The major difficulties faced by agriculture teachers in conducting action research were lack of time, ability, and references. 이 연구의 목적은 농업계 고등학교 교사에 의해서 수행되어지는 현장연구의 특성과 교사에게 요구되는 연구 능력을 분석하는 것이며, 2003년 현재 우리나라의 농업계 고등학교의 농업교사를 분석대상으로 하였다. 설문지는 2003년 4월에 전국의 26개 고등학교에 498부가 배부되었고, 343부가 회수되어, 68.9%의 회수율을 기록하였다. 이 중 응답이 불성실한 3부를 제외한 340부가 통계에 사용되었다.농업교사들에게 배부된 설문지는 응답한 농업교사의 일반적인 사항, 농업교사들에 의해 수행된 현장연구의 특징, 농업교사들의 현장연구 수행능력 수준, 농업교사들이 생각하고 있는 현장연구를 개선할 수 있는 방법등의 네 가지 영역으로 구성되어 있다. 농업교사들의 현장연구 수행능력수준을 측정하기 위한 도구는 문헌조사에 의해서 얻어진 23개의 항목으로 구성되어 있고, 응답자들은 각 항목이 나타내는 현장연구에 필요한 능력에 대해서 ‘매우 그렇지 않다’에서 ‘매우 그렇다’의 5점 Likert 척도에 답하였다. 각 문항간의 신뢰계수는 0.96이었다.분석에 사용된 통계 프로그램은 SPSS PC +10.0 이었다. 변인을 설명하기 위해서 사용된 것은 빈도분포와 평균, 표준편차 등이었고, 차이 검증을 위한 통계적 유의 수준은 5%로 설정하였다.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남자 교사, 더 오랜 교직 경험을 가진 교사, 석사학위 이상을 취득한 교사, 현장연구에 관한 연수경험을 가지고 있는 교사가 그렇지 않은 교사들에 비해 더 많은 현장연구 경험을 가지고 있었다. 둘째, 농업계 고등학교 교사들이 수행한 현장연구의 형태는 주로 개인연구였고, 현장연구의 주제는 생산농업, 조사연구와 실험연구를 사용하는 농업교과교육주제에 관한 것이었다. 셋째, 농업계 고등학교 교사들은 현장연구의 결과를 농업교육협회의 현장연구논문대회나 영농학생전진대회를 통해서 발표하고 있었다. 넷째, 농업계 고등학교 교사들의 현장연구 수행 능력은 보통 이상의 수준이었다. 다섯째, 농업계 고등학교 교사들이 현장연구를 수행하는데 있어서 주된 어려움은 시간이나 능력, 연구관련 자료의 부족 등이었다.

      • KCI등재

        교육학 연구의 현장성 분석 : 학술지 「교육학연구」의 게재 논문을 중심으로

        신현석(Shin, Hyun-Seok),윤지희(Yoon, Ji Hee) 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20 敎育問題硏究 Vol.33 No.4

        그동안 교육학 연구에서 현장성 확보에 대한 공감은 있어왔지만, 관련된 논의들이 문헌고찰을 통한 추론적 연구 내지는 규범적 논거를 제시하는 수준으로 다루어져왔다. 이러한 문제의식에 착안하여 본 연구는 교육학 연구의 현장성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여 교육학 연구의 현장성을 제고시키기 위한 시사점을 이끌어내고자 수행되었다. 분석결과, 교육학 연구들은 일정 수준 이상의 현장성을 확보해왔지만, 연구 분야별로 현장성을 충족하는 수준은 달랐다. 연구단계별 현장성 정도를 살펴보면, 투입 단계의 ‘연구주제와 문제의식의 현장성’은 강했지만, 과정 단계의 ‘연구방법 및 절차의 현장성’과 산출 및 환류 단계의 ‘연구결과의 현장 적용 가능성’은 약했다. 교육학 연구 분야에 따른 연구단계별 현장성 정도는 각기 달랐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교육학 연구의 현장성 제고를 위한 노력방향을 ① 교육 현장의 문제에 대한 지속적 논의, ② 교육학 연구 분야별로 현장 개선을 위한 실행 방안 구상, ③ 현장 자료 및 경험적 접근방법 등을 동원한 문제 접근 및 실천연구 수행 ④ 교육학 연구자들의 연구단계별 현장성 확보를 위한 관심 환기 등으로 제시하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rive implications for enhancing the practicality by empirically analyzing the practicality of education research.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Education studies have secured more than a certain level of practicality, but the level of satisfying the practicality of each research field was different. In terms of research stage, the ‘practicality of research subject and problem consciousness’ at the input stage was strong, but the ‘research method and procedure practicality at the process stage and the ‘possibility of applying the research results to the field at the output and feedback stage were weak. Each research field’s degree of practicality was different. This study suggests the direction of efforts to improve education research as the followings: ① to discuss practicality issues in the education field continually ② to conceive of implementation plans for field improvement by field of education research, ③ to approach problems using field data and empirical approach, to conduct action research, ④ to call attention of education researchers to secure practicality at each stage of research

      • KCI등재후보

        유아교육 교수-학습 실제의 질적 향상을 위한 현장연구(action research)의 효용성 탐색

        이진화 이화여자대학교 사범대학 교육과학연구소 2004 교육과학연구 Vol.35 No.2

        최근에 현장연구는 교육현장을 설명하는데 매우 유용한 연구 방법으로 인식되어 가고 있다. 현장연구는 특정한 교수-학습 실제의 개선과 변화를 가져오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연구방법으로 주어진 교수 상황과 관련된 교사들의 관점을 존중한다는 점에서는 매우 자연스러운 연구 방법으로 생각될 수 있으나 계획에 의해서 현재의 교수 상황을 개선하는데 초점을 둔 매우 체계적이며 실험적인 유목적적인 개입을 시도하는 연구 방법이다. 본 연구에서는 현장연구가 유아교육현장에서의 교수-학습의 질적인 향상과 교사의 전문성 발달 등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는 가를 문헌 고찰하였다. 먼저 현장연구에 대한 이론과 실제적인 부분에 대해 알아보고 유아교육분야에서 이루어진 현장연구 사례 두 가지를 소개하였다. 이론적 고찰과 현장연구의 소개를 바탕으로 유아교육 교수-학습 실제의 질적 향상을 위한 현장연구의 유용성에 대해서 논의하였다. Recently, action research has been developed and has grown as a significant research method being used to change and improve educational practices in tine with the change in the culture of teaching and learning. Action research is deceptively and simply characterized as an intervention in practice to bring about improvement and transformation. Action research is natural research in terms of its respect for teachers views and the given teaching context; however, it is also an intervention process focusing on the improvement of the current teaching context according to the plan. A distinctive feature of action research is that those affected by planned changes have the primary responsibility for deciding on courses of action which seem likely to lead to improvement and for evaluating the results of strategies tried out in practice, It is an innovative and careful research process. In this study, the effect of action research is examined when it contributes to the improvement of the quality of teaching-learning practices and the professionalism of teacher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Through the literatures review and the related studies, action research is a means of helping the improvement or change for teaching-learning practice and professionalism of teachers. Action research is a means of motivating teachers to be aware of their roles as creators in the teaching process, and thereby to achieve empowerment through emancipation from external constraints. Also, it is very strongly method to improve teaching practice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 KCI등재

        한국 민요 현장연구방법론 -음악인류학적 관점에서-

        이용식 한국민요학회 2022 한국민요학 Vol.64 No.-

        From the 1970s when the research of folksongs has been developed, the field research is regarded as the most important methodology in this field. The collection of research material from the field was the starting point of the research. Field research was the new academic orientation of this field that distinguished the new methodology from the older decades. However, with the disappearance of the natural transmission of the folksongs, it has been difficult to study the folksongs through field research. The field research is the basic and fundamental methodology of the folksong study. In this paper, I explore the new methodology of field research to study folksongs to lighten the ultimate field theory of folksongs. Folksong is humanly made song. In order to understand the song, we have to understand the human who sings the song. We have to study the human who sings the song and the socio-cultural context of the song to discover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song. It should be studied in both the socio-cultural context of the son as the result of the communal culture and the individual experience and the esthetic value of the human who sings the song. The ‘armchair musicologist’ who analysis the music which was collected other scholars can make the fallacy because s/he does not have the full understanding of the singer. We have to find a new field since the natural transmission of the folksongs is not exist anymore. In order to make a successive field research we have to find a co-researcher who has a deep understanding of the song. We have to extend our research about the folksongs of the neighboring cultures in order to understand the distinct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 folksongs and the change and accultration due to the cultural interrelationships. The short-period of quantitative study on folksongs is not effective anymore. We have to pursue the qualitative research based on the long-term participation-observation and the ethnographical study on field research. In this way, the ultimate understanding of the folksongs and the human who sings the song can be successively achieved. 민요 연구가 본격적으로 발전하던 1970년대 이후 현장연구의 중요성이 부각되었다. 현장에서의 자료수집은 민요 연구의 시발점이있고, 현장연구는 이전의 민요 연구와 다른 학문적 지향을 정립하는 계기가 되었다. 그러나 급격한 사회변화로 민요현장이 와해되면서 민요 연구에서의 현장연구는 점차 어려운 현실이 되고 있다. 그러나 현장연구는 민요 연구에서 가장 기본적이고 기초적인 방법론이다. 이글에서는 자연전승이 소멸된 민요를 연구하기 위한 현장연구방법론을 제시하여 궁극적인 민요 현장연구방법론을 펼쳤다. 민요는 인간이 부르는 노래이고, 그 노래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그 노래를 부르는 인간에 대한 이해를 해야 한다. 노래를 부르는 인간과 그 노래가 연행되고 전승되는 사회문화 맥락에 대한 이해가 되어야 그 노래의 본질적 성격을 밝힐 수 있다. 공동체 문화의 산물로서의 민요에 대한 사회문화적 맥락만이 아니라 민요를 부르는 인간의 개인적 인생 경험과 미학적 가치관에 대한 이해가 있어야 제대로 민요를 이해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민요 연구는 현장연구가 반드시 이루어져야 한다. 단순히 다른 조사자들이 수집한 음원 자료를 연구실에서 기계적으로 분석하는 ‘안락의자 음악학자’는 민요의 가장 중요한 가창자에 대한 이해가 없이 껍데기만을 분석하는 오류를 범할 수 있다. 민요의 자연전승이 소멸된 현재의 상황에서 새로운 현장을 이해해야 한다. 현장연구를 성공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는 음악적 지식을 갖춘 공동연구자를 발굴해야 한다. 또한 이웃 문화의 민요로 연구영역을 확장하여 우리 민요의 독특한 특징과 문화 간의 상호교류로 발생하는 민요의 변화와 변용에 관해서도 연구해야 한다. 민요에 관한 연구는 단기간의 양적 연구로 이루어지기 어렵다. 장기간의 참여관찰에 의한 질적 연구가 이루어져야 하고, 현장연구에 기초한 민족지적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 이런 연구를 통하여 민요와 이를 만드는 인간에 대한 궁극적 이해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KCI등재

        한자한문교육(漢字漢文敎育) 현장연구(現場硏究)의 현황(現況)과 과제(課題)

        ( Kwang Ho Baek )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2014 漢字 漢文敎育 Vol.34 No.-

        본고는 漢字漢文敎育과 관련된 現場硏究의 現況을 점검하고 이를 통해 課題를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전국한문교사모임(이하 ‘전한모’로 약칭함) 홈페이지의 현장연구 자료와 모임에서 발간하는 회지인 『漢文敎育』, 그 리고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의 ‘현장연구대회 연구보고서’와 전국교육자료전 선정 연구 자료를 중심으로 살펴보겠다. 이 글에서 논하고자 하는 ‘한자한문교육 현장 연구’의 범위는 초등학교 교사 또는 중등학교 한문 교사가 자신의 교실 수업 방법 개선을 위해 실시한 연구이다. 이 연구는 필자가 2006년에 발표한 「실행 연구 활성화를 위한 『한문교육』 내용 분석-교수·학습 분야를 중심으로」의 후속 연구의 성격을 갖는다. 旣 發表한 글 에서는 『한문교육』의 창간호인 1호부터 68호까지의 내용을 살펴보고 목록을 만 든 후, 그 가운데 ‘교수·학습’에 관련된 연구 자료만을 선별하여 분석하였다. 이 글에서는 2006년 이후 간행된 『한문교육』 69호부터 최근호인 87호까지의 내용을 살펴보고, 한문 교사들이 전한모 홈페이지에 자발적으로 공개한 현장연구 성과를 분석한다. 다만, 선행 연구에서는 ‘교수·학습’ 분야만을 살펴보았다면, 본고에서 는 한자한문교육이라는 포괄적인 범위를 대상으로 한다. 그리고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의 ‘현장연구대회 연구보고서’와 전국교육자료전에서 수상한 교육자료 현 황을 살펴본다. 분석 결과, 다음과 같은 과제를 제시할 수 있다. ⅰ) 현장 수업에 곧바로 활용하 고 응용할 수 있는 교수·학습 방법을 개발하는 한편, 개발된 최신의 교수·학습 방법을 현장의 한문교사들에게 빠르게 전달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갖추어야 하겠다. 관련 기관이나 학회에서 이러한 역할을 담당할 수 있을 것이다. ⅱ) 한문 교사들 에게 현장연구의 중요성을 홍보하고, 참여를 독려하며, 교수·학습 방법에 대한 정보를 교류할 수 있는 장을 마련해 줄 필요가 있다. ⅲ) 이 글에 소개된 현장연구 현황을 기초로 하여 다양한 교수·학습 방법이 적용된 수업사례가 발표되고, 이 를 다시 피드백하여 이론화한 교수·학습 방법이 차기 교육과정에 반영될 필요가 있다. ⅳ) 『한문교육의 실제』를 잇는 『한문교육의 실제』 증보개정판 제작이 필요 하다. ⅴ) 한문 교사들이 수업하면서 궁금하거나 도움이 필요할 때 언제든지 참고 하여 해결 방안을 찾을 수 있는 한문교육학 개론서나 학교 한문문법과 같은 지침 서의 발간이 매우 시급한 과제인데, 이를 위한 기초 이론 연구가 속히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check study on practical situations in where Chinese character & Classical Chinese education are given and to propose tasks according to that. To do that, this study is focused on materials on practical educational situations of the homepage of Sino-Korean Teachers` Association(hereinafter briefly referred to as ‘STA’) and its publication ‘Sino-Korean education’, and research materials on educational place research meets of the Korea Federation of Teachers` Associations and materials selected at the educational materials exhibit. First of all, as to ‘Sino-Korean education’, cataloging was made looking into contents from the first edition No. 1 to the recent edition No. 87. Next, cataloging was made looking into materials on practical educational situations of the homepage of STA, With respect to the research reports of educational place research meets and the educational materials which won prize at the educational materials exhibit, cataloging was made examining materials at the reference room of relevant organizations. On the basis of the lists first summarized, studies whose analyses are worthwhile were selected and, on the basis of the selected materials, analysis was made. As a result of analysis, the tasks drawn are as follows. ⅰ) ‘The actual Sino-Korean education’ revised and enlarged which connects ‘The actual Sino-Korean education’. ⅱ) Development of a variety of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and reflection of their educational processes. ⅲ) It is necessary for classical Chinese teachers to be able to exchange information on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ⅳ) It is desirable for basic studies for publishing guideline books such as ‘Introductory of the Sino-Korean education’, ‘School grammar of the Chinese Classics’.

      • KCI등재

        전공심화과정에서 현장연구자가 된 유아교사의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서혜정,문혜경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2015 생태유아교육연구 Vol.14 No.2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meaning of pre-school teachers' experience as action researchers in the advance Bachelor's degree course and to reveal the importance of both their roles as teachers and action researchers. The study was conducted so as to give senior students an educationally meaningful opportunity to practice as a teacher and an action researcher. Participants were four senior students who had conducted action research. For this study, reflective journals, class meeting reports and interviews, which had been either compiled or conducted from March 2014 to November 2014, were documented. Final materials were elaborately sele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after the completion of the action research. The results showed that the participants tried to provide leadership to their children and, in the process, their perspectives regarding the children changed. They admitted their mistakes and returned to their real identities as teachers, by correcting their mistakes. They also became more active action researchers as they gained more knowledge. they intended to become better teachers, as a result. So, their learning became more sympathetic and they realized that theory and reality could be in perfect harmony. Therefore, this study could inform teachers’ training courses for future senior students enrolled in advanced Bachelor’s degree courses; they could also subsequently become action researchers. 본 연구는 전공심화과정에서 현장연구를 한 유아교사의 경험의 의미를 드러냄으로써 현장연구자의 유아교사 역할에 대한 중요성을 드러내고자 한 질적 연구이다. 직업을 병행하며 배움을 갖는 전공심화과정의 유아교사에게 보다 의미 있는 현직교육의 방법으로 현장연구자로 살아가게 하는 전공심화과정의 의미를 들여다 볼 필요에 따라 연구 참여자는 현장연구 경험이 있는 유아교육학과 전공심화과정생 4인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는 2014년 3월부터 2014년 11월까지 현장연구를 하는 동안 반성적 저널, 수업협의, 면담자료를 수집하였고, 2014년 12월 13일부터 2015년 1월 11까지 현장연구 종료 후 심층면담을 통해 수집하였다. 연구 결과, 연구 참여자들은 현장 연구 과정에서 유아에게 주도권을 이양하며 유아 관점이달라졌으며, 교사 자신이 오류를 인식하고 반성하며 잘못된 고리를 끊으며 전문성 있는 교사 역할을 찾으며 교사의 정체성을 회복하였다. 더불어 연구 참여자들은 지식구성자로서 실행주체가 되어 좋은 교사로 지향하는 열정을 피우는 경험의 의미를 드러내게 되었다. 본 연구는 전문대학 전공심화과정에서 유아교사로 재직하는 전공심화과정생을 현장연구자로 성장하게 하는 교사교육에 대한 방향성을 시사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