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제 7차 교육과정 맥락과 정치 교과서의 변화에 대한 고찰
이혁규 한국사회과교육학회 2003 시민교육연구 Vol.35 No.2
7차 교육과정에서는 '교과서 혁신을 통한 교실 개혁'이 추구되었다. 이로 인해 제 7차 교육과정 기에 발행된 교과서는 과거와 다른 특징을 보이고 있다. 본 논문은 새롭게 변화한 교과서의 특징을 제 7차 교육과정의 맥락과 관련시켜 이해하려고 하였다. 이를 위해 교과서 변화에 실질적인 영향력을 행사한 것으로 판단되는 제도적 맥락들- 7차 교육과정의 성격, 교과서 연구의 경향, 검인정 제도의 특성과 실행 관행, 정치과목의 성격-을 살펴 보았다. 그리고, 그런 제도적 맥락들 하에서 탄생한 정치 교과서의 특징을 정치 교과서 저자의 변화, 단원 구성 체계의 변화, 내용 제시 방식의 변화 등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이 연구를 통해서 정치 교과서의 저자들이 과거 대학교수 중심에서 현장 교사 중심으로 변화하고 있으며, 단원 구성 체재나 내용 제시 방식에 있어서도 잡종적 텍스트의 등장, 다양한 시각 자료의 등장, 체험적 학생 탐구 활동의 증가 등의 변화가 일어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런 정치 교과서의 변화는 부분적으로 바람직한 것이지만 창의적이고 다양한 교과서의 보급이라는 변화에 방향에 비추어 볼 때 교육과정 문서 양식이나 검정 제도의 운영에 있어서 개선이 필요하다. One of the improvement strategies for classroom reform during the 7th national curriculum period was to improve the quality of school textbooks through new textbook policies, including a system of strict standards, and an emphasis on an activity-oriented textbook.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describe and interpret how this new institutional context affects the changes to the high school politics textbooks. First, the composition of the authors changed from exclusively university-based researchers to a group dominated by highschool teachers. The new textbook policies, which emphasize student-centered textbooks contributed to this change. Second, changes in unit organization and construction of texts can also be seen, such as hybridization of genres, more diverse visual data than before, and increases in student-centered activities. These changes will give positive effects on classroom reform.
자치경찰제도 전면 도입 과정에서의 아쉬운 점: 무어의 정치적 관리를 중심으로
이혁규,전정원 한국지방정부학회 2021 한국지방정부학회 학술대회자료집 Vol.2021 No.8
본 연구에서는 무어의 ‘정치적 관리’ 이론을 기반으로 하여, 자치경찰제도의 전면 도입 과정 전반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전략적 삼각축과 5가지의 정치적 관리과정이라는 무어의 이론 전개 과정을 통하여, 자치경찰제도의 전면 도입 과정이 순탄했는가와 같은 질적 분석을 진행하였다. 분석 결과, 자치경찰제도의 전면 도입 과정을 결코 순탄치 않았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과정 곳곳에서는 마찰음이 확인되면서 아쉬운 점들이 도출되었다. 자치경찰제도를 도입하고자 하는 취지를 기반으로 긍정적인 부분들을 탐색하는 것은 유의미한 과정이었으며, 반대로 아쉬운 점들을 확인하였다는 점에서도 유의미함이 있었다. 다만 자치경찰제도에 관한 후속적인 연구가 보다 활발하게 이루어져야 한다는 점에서는 아쉬움이 남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