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어교육에서 민요를 활용한 문화교육 연구 현황과 제언

        배현숙 한국민요학회 2017 한국민요학 Vol.51 No.-

        This study is analysis of the previous studies and developmental suggestions for culture education using folk songs in Korean education. Given that folk songs are short, useful for primary school student and beginner level of korean learner, the researcher expand his point in the direction of culture education. Actually, it is doubtful to include folk song in literature genre and achieve recognition high quality of language. But using folk songs in korean culture education is very valuable. Because it contains life and culture of the public, expression of public sentiment. And through the folk song handed down to present, it is also possible to explain present culture. The study which have been made is classified roughly into sampling culture items and a plan of practical use <시집살이 노래 song of woman’s married life> for marriage migrant women who is one of second class-citizens. The song of <시집살이 노래 song of woman’s married life> has great value in Korean culture education. Because through stepping into daughters-in-law’s shoes, we can appreciate their sentiment and then prepare the basis of communication. But my ‘empathy’ is different from Kim Hye Jin, Ha Yun Seop. In that their ‘empathy’ is based on understanding of the weak. My way to understand conflict between mother-in-law and daughter-in-law is understanding each others’ standpoints from incongruent needs. The suggestions for advanced task divided into macroscopic and microscopic dimensions. In macroscopic, I propose using in the dimension of autoethnographical source, using under the reflection of locality, transformation of community. In microscopic, it needs to use of the cultural content related to folk song, teach by comparison, adaptation for guarantee logicality. 본 논문은 한국어교육에서 민요를 활용한 선행 연구를 분석하고 이 분야의 발전을 위한 방향 모색 연구이다. 민요는 그 장르를 문학이라고 섣불리 포함시키기 어렵고 민요에 사용된 언어가 고급한 면에서 그 가치를 인정받기 어려운 장르이다. 민요의 이러한 성격으로 인해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교육에서 언어교육 자료로뿐만 아니라 문화교육 자료로서 적극적으로 활용되는 데 배제될 수밖에 없었다. 그러나 민요 속에는 집단의 생활과 문화, 삶에 대한 정서 표출이 있고, 현대에까지 전해져 내려오는 민요를 통해 현대문화까지 설명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한국어 학습자들에게 자료로 사용하는 데 손색이 없는 자료이다. 또한 한국이 이미 다문화사회가 된 시점에서 서로를 이해하고 소통할 수 있는 자료로 민요만큼 좋은 자료는 없을 것이다. 민요는 민중 다수의 생활이고 정서이기 때문이다. 그간 한국어교육에서 민요를 이용한 연구는 주로 문화교육을 위한 연구로 민요는 그 길이가 짧고 노래로 불릴 수 있다는 점에서 결혼이주여성이나 초급 학습자에게 유용함 지적하고 그들을 위한 문화 항목 선정의 측면에서 논의를 전개했다. 민요 자료에서 문화 항목을 추출한 연구는 석사학위 논문에 집중된다. 그러나 민요가 짧다는 사실에서 주로 초등학생이나 초급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가 많은 탓에 문화의 심층적 이해를 위한 교육에까지 도달하지는 못했음을 지적하였다. 한편 결혼이주여성들은 사회적 약자로 약자들의 노래인 민요를 통해 한국 민중을 이해할 수 있고, 그들의 건강한 정서를 알 수 있다는 점에서 민요의 한국어 교육적 가치는 크다고 할 수 있다. 사회적 ‘약자’로 대표되는 결혼이주여성을 위한 문화교육 자료로 <시집살이 노래>의 활용 방안에 대한 논의를 통해 교육을 통한 ‘소통’의 가능성을 보았다. 다만 사회적 약자에 대한 일방적 이해가 아닌 약자의 상대방에 대한 입장 이해가 이루어졌을 때 소통이 완성되는 것으로 보고 선행 연구 내용을 보완하였다. 본고는 민요를 활용한 한국어 문화교육 목표 및 자료 선정 기준을 제시하고 발전 방안을 제시하였다. 또한 전래로부터 내려오는 운문 자료를 통한 교육은 옛 시대의 이해와 더불어 그 작품에 드러난 집단의 정체성과 대응 방식을 아는 것에 중점을 두고 지도해야 한다고 보았다. 민요를 활용할 때는 지역 문화적 특성을 고려한 선택이 필요하고, 민속 문화의 관점에서 문화 항목을 추출하며, 현대의 문화콘텐츠를 보조적으로 활용하며, 다른 민족 민요와의 비교를 통해 정서적 이해를 돕고, 논리적으로 맞지 않는 민요는 논리성을 확보를 위해해 개작할 것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한국민요 아카이브 및 라키비움의 구상

        서영숙 한국민요학회 2019 한국민요학 Vol.57 No.-

        This paper analyzes representative cases of folk song archives and larchiveum of Korea and foreign countries and suggests a desirable direction in order to prepare concrete plans for the construction of Korean folk song archives and larchiveum. As a result of analyzing Korean folk song archives and larchiveum cases, the necessity of researches to record meta information about folk song materials, to supplement folk song classification system, was highlighted. In foreign countries, the classification and search system of folk songs is provided very systematically based on professional research by folk songs researchers with national support. In particular, detailed meta-information and keyword work are done for each folk song, so not only can folk songs be searched in various ways, but also the link between folk songs archives is very diverse. Based on this, three basic directions for the Korean folk song archive and larchiveum were presented. It should be a specialized space where the center and region are interconnected, an open space where users participate, and a space for the creation and communication of a new folk song community. In other words, the central Korean folk song archive should serve as a hub for designing and distributing the platform of folk song archives, and the local folk song archives should take on the role of specialized spaces tailored to the characteristics of local folk songs, while maintaining the individuality and heterogeneity of local folk songs. In addition, each local folk song archive is not an institution-centered closed space but an open space where users can participate, so that local people can act as producers who collect folk songs and produce new folk song contents. In particular, the folk song larchiveum is a cultural space that combines the roles of existing libraries, archives, and museums, creating and communicating a new folk song community where folk songs are experienced, created, and transmitted through actual face-to-face meetings. When the local folk song archives as well as the national folk song archives are specialized and linked to each other, Korean folk songs will live and breathe as new songs that are always created and passed down instead of disappearing as old songs. As a result, Korean folk songs can be spread as assets of world folk songs. 이 글에서는 한국 민요 아카이브와 라키비움의 구축을 위한 구체적인 방안을 마련하기 위하여 한국과 외국의 대표적인 사례를 분석하고 앞으로 한국민요 아카이브 및 라키비움를 구축하기 위한 바람직한 방향을 제시하였다. 한국 민요 아카이브 및 라키비움 사례를 분석한 결과, 민요 자료에 대한 메타정보의 체계적인 기록, 민요 분류체계의 수정, 보완을 위한 연구의 필요성 등이 부각되었다. 외국의 경우는 공통적으로 민요의 분류 및 검색이 민요학자들에 의한 전문적 연구를 기반으로 매우 체계적으로 제공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자유로운 활용을 위한 국가적 차원의 지원이 전폭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개별 민요 자료마다 자세한 메타정보와 키워드 작업이 이루어져 있어 다양한 방법으로의 민요 검색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민요 아카이브들 간의 연계가 다각도로 이루어지고 있는 점도 우리에게 주는 시사점이 매우 크다. 이에 앞으로 한국민요 아카이브 및 라키비움이 나아가야 할 기본 방향으로 중앙과 지역이 상호 연계된 특화 공간, 이용자가 참여하는 열린 공간, 새로운 민요 공동체의 생성과 소통 공간이 되어야 함을 제시하였다. 즉, 중앙의 한국민요 아카이브는 민요 아카이브의 플랫폼을 설계하고 분배하는 허브의 역할을, 지역 민요 아카이브는 각 지역 민요의 개별성과 이질성을 살려내면서 각 지역 민요의 특징에 맞는 특화 공간의 역할을 맡아야 하며, 각 지역 민요 아카이브는 기관 중심의 닫힌 공간이 아니라 이용자가 참여하는 열린 공간으로서, 지역민 스스로가 민요를 수집하고 민요 콘텐츠를 제작하는 생산자가 될 수 있도록 뒷받침해야 함을 주장하였다. 특히 민요 라키비움은 기존의 도서관, 아카이브, 박물관의 역할을 복합한 문화 공간으로, 민요의 생산자와 이용자가 실제 얼굴을 맞대는 만남을 통해 민요를 체험하고 창작, 전승하는 새로운 민요 공동체를 생성하고 소통하는 공간이 되어야 한다. 한국민요 아카이브, 지역민요 아카이브, 지역민요 라키비움이 각자의 특성과 전문성을 특화하면서도 서로 연계될 때, 한국 민요는 사라져가는 옛 노래가 아니라 현재도 늘 새롭게 창작, 전승되는 노래로 살아 숨 쉬게 될 것이며, 세계 민요의 자산으로 확산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한국민요학의 문제의식 추이와 경기도 민요연구의 과제

        강등학 한국민요학회 2010 한국민요학 Vol.30 No.-

        It is Gyenggi-do folksong that accepted the some professional music of 19th century at Seoul. And Gyenggi-do folksong is more variety than the rest area in main section of uses. These mean that Gyenggi-do folksong developed widely and dynamically than the rest area. But the study on Gyenggi-do folksong didn’t achieve a good product that much. More concrete state is this. We have a lot of data of Gyenggi-do folksong which was evenly inquired in area. But it wasn’t made sufficiently vocal and video data from the inquiry of Gyenggi-do folksong, also wasn’t inquired about the details of individual folksong. And the information service of Gyenggi-do folksong on computer network should be improved by providing the a lot of data about aspect of the scene and culture The study on Gyenggi-do folksong have mainly researched in aspect of musicology, except a little of performative, ecologic and traditional aspect. Therefore the majority of papers on Gyenggi-do folksong have discussed in aspect of musicology, it is both that the study on Gyenggi-do folksong didn’t evenly develop to academical fields. And besides aspect of musicology the study on Gyenggi-do folksong is still in the general stage, so it has the needs of research on more detailed level. 경기도의 민요는 통속민요의 수용이 많은 편이다. <논매는소리>에 통속민요가 여럿 수용되어 있는 점은 특히 주목할 만하다. <개성난봉가>, <경복궁타령>, <양산도타령>, <방아타령> 등이 모두 <논매는소리>로 보고되어 있으며, 특히 <방아타령>은 경기도의 <논매는소리>로서는 <상사소리>, <방아소리>에 이어 그 분포가 세 번째로 넓게 나타나고 있다. 그런가하면, 경기도는 <모심는소리>, <논매는소리>, <운상하는소리>, <묘다지는소리> 등 각각의 부류에 속하는 개체요가 가장 많은 곳이다. 그런데 논농사요와 장례의식요는 각각 노동요와 의식요의 범주에 있어서 그 분포와 밀도가 가장 높은 부류에 해당한다. 통속민요의 수용이 많고, 또 민요의 중심 부류가 그 전개를 활발히 한 것은 경기도가 문화적으로 그만큼 강한 탄력을 지닌 곳으로 이해할 수 있다. 이러한 점에서 한국민요학은 경기도의 민요를 주목할 필요가 있다. 그렇다면, 경기도 민요연구는 문화적 탄력이 강한 곳으로서 한국민요학에 대한 그만한 기여가 이루어지고 있는가? 그리고 경기도의 민요연구는 한국민요학의 연구추이와 어떠한 호흡을 이루고 있는가? 이러한 생각들을 바탕으로 삼으면서 그 동안 경기도 민요연구의 성과를 검토하고, 아울러 앞으로의 연구 과제를 모색하고자 하는 것이 이 연구의 중심적 의도이다. 경기도의 민요자료는 지역적으로 고르게 축적되어 있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최근 한국 민요수집의 추이에 비추어보면, 경기도의 민요수집은 성음자료 및 영상자료의 작성, 그리고 국소확장적 조사에 미흡한 상황에 있다. 이러한 점을 보완하기 위해서는 경기도 민요수집은 앞으로 현장복사의 작업과 현장 관찰 작업을 강화해야 하는 과제를 안고 있다. 또한 민요의 전산서비스 역시 현장과 문화에 관한 정보를 보완하여 수용자가 상황을 입체적으로 체험할 수 있도록 보완해야 할 과제를 안고 있다. 결국 경기도 민요수집의 과제는 앞으로 현장의 복사와 전달, 관찰 등을 활성화하는 방향으로 전개해야 하는 과제를 안고 있다고 정리할 수 있다. 경기도 민요연구는 각 범주가 고르게 전개되지 못했다. 최근 한국민요학의 연구추이는 생태론적 연구, 문학학적 연구, 음악학적 연구, 연행론적 연구, 국외민요연구, 북한지역 민요연구, 소비양상과 문화성향 연구, 가창자 연구, 문헌민요 연구, 전승 및 현재화 연구 등 여러 범주에 걸쳐 논의가 진행되어 왔다. 그런데 이 가운데 경기도 민요 연구가 활발하게 전개된 것은 음악학적 연구뿐이다. 생태론적 연구, 연행론적 연구, 전승 및 현재화 연구 등에 일부 논의가 이루어진 상황이며, 나머지 범주는 작업 자체가 전혀 이루어지지 않았다. 그 대신 경기도의 민요연구는 음악론적 연구를 제외한 작업의 대부분이 조사연구와 총괄적 연구에 머물러 있는 상황이다. 상황이 이러하기에 경기도 민요연구가 범주별 편차를 줄이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조사연구나 총괄적 연구를 넘어서서 국면을 보다 세부적으로 탐구하는 작업을 지속적으로 전개할 필요가 있다. 특히 문학학적 연구, 생태론적 연구, 문화성향 연구가 보다 촉진될 수 있도록 하는 문제의식과 노력이 필요하다. 문학학적 연구와 생태론적 연구는 조사연구와 총괄적 논의를 넘어서서 세부적 국면을 읽어내는 데 대해 토대가 될 수 있는 작업이며, 아울러 문화성향 연구는 경기도 민요가 여타지역과 구분되는 문화적 탄력과 문...

      • KCI등재

        한국민요학의 발전을 위한 해석학(解釋學)적 방향 모색

        조영배 한국민요학회 2016 한국민요학 Vol.46 No.-

        This study attempts to take a fresh approach to the questions of ‘What is folk song and Korean folk song?’ and ‘What is the direction of progression in the study of Korean folk songs?’ while taking into consideration the current era of the 21st century. That is, to answer these questions, this study does not take the view of the instrumental rationalists of the 19th century who viewed traditional culture as objects to be either abandoned or revolutionized, but instead stands with the hermeneutical philosophers of the 21st century who argue that traditional culture should be seen as the basis of all current culture; from this stance this study aims to suggest new directions for not only the concept and the categorization of folk songs but also the subject and area of the study of folk songs. To achieve these goals this study first identifies how to redefine traditional culture and folk songs according to the hermeneutical understandings of traditional culture argued by three philosophers: H. G. Gadamer, P. Ricoeur and H. Kim. From these foundations this study raises a hermeneutical question to the current studies of Korean folk songs, then asks for a change of directions in these studies as follows: 1. More discourse on Korean folk songs that takes broader views are needed as to well-establish a hermeneutical conceptualization of folk songs. 2. More comparative studies with folk songs of Korea, China, Japan, and furthermore South-East Asia and the entire globe are needed according to the hermeneutical understanding of folk songs which view them as an element of stratified determinism and the spacial fusion of horizons. 3. Texts in studies of folk music should not be viewed as ‘separate, independent material’; further discussion in how best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ext and the ‘situation of the dialogue’ of the source is needed. 4. Based on theory of appropriation and the fusion of horizons of hermeneutical philosophy, future studies should approach folk songs of the past by understanding them as songs of present as well as future; furthermore, a new approach that endeavors to view folk songs of ‘here’ and ‘there’ from a synoptic angle is needed. 5. Folk songs appear as the fusion of horizons of its elements. Further studies should take a stratified view towards the constituents of folk songs, analysing them with a comprehensive outlook. 6. If we take folk songs to be the cultural phenomena of today that is the result of stratified determinism and the fusion of horizon of space-time that has been accumulating according to the history of effects, the ‘constant structure’ that determines Korean folk songs to be uniquely themselves ‘from then there to now here’ must be treated as highly significant subject of studies. In conclusion, the study of Korean folk songs would benefit greatly from adopting the methodology of understanding traditions that has been used by the 21st century’s hermeneustic philosophy. In accordance with this methodology, it is demanded that reserchers adjust their attitudes towards folk songs. understanding them not as ‘the result of a past happenstance’ but as ‘songs that will continue to live throughout the present and into the future while existing as the fusion of horizons and the history of effects’. This hermeneutical change of directions will advance the study of Korean folk songs from a past-oriented field of study to a future-oriented one. 이 글은 21세기라는 시대적 상황을 고려하여, ‘민요 또는 한국 민요란 무엇인가?’라는 물음과 ‘한국민요학의 연구 방향과 지향점을 어디에 두어야 할 것인가?’라는 논의를 새롭게 시도한다. 따라서 이 글은 이러한 물음에 답하기 위하여, 전통문화를 개혁과 타파의 대상으로 여겼던 19세기 도구적 이성주의의 관점에서가 아니라, 전통문화를 오늘의 모든 문화를 인식하는 토대로 보아야 한다는 21세기 해석학적 철학의 관점에서, 민요의 개념과 범주, 그리고 연구대상과 연구 영역에 대한 새로운 방향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목적을 위하여 먼저, 가다머, 리쾨르, 김형효라는 세 명의 철학자가 주장하는 전통문화에 대한 해석학적 이해를 통하여, 전통문화와 민요를 어떻게 새롭게 개념화할 것인지를 파악하였다. 그리고 이를 토대로 기존의 한국민요 연구에 대한 해석학적인 문제를 제기하였고, 또한 한국민요학의 해석학적인 전향(轉向)을 다음과 같이 요청하였다. ① 민요의 해석학적인 개념 정립을 위한 민요연구의 거시적 담론이 많아져야 한다. ② 민요를 공간적 지평융합과 중층결정의 요소로 보는 해석학적인 관점에서, 한국과 중국 및 일본, 나아가서 동남아 또는 전 세계의 민요와의 비교연구가 많아져야 한다. ③ 민요 연구의 텍스트를 ‘분리된 독립된 자료’로 보지 말고 텍스트와 제보자의 ‘대화상황’을 어떤 관계로 이해할 것인지에 대한 깊은 논의가 필요하다. ④ 해석학적 철학의 지평융합과 전유 이론에 근거하여, 앞으로의 민요연구는 과거의 민요를 오늘은 물론 미래의 노래로 이해하여야 하며, 또한 ‘여기’와 ‘저기’의 민요를 공관적으로 보려는 방향전환이 필요하다. ⑤ 민요는 구성요소별 지평융합의 결과로 나타난다. 앞으로의 민요연구는 민요의 구성요소들을 중층적으로 보고 이를 종합적 관점에서 연구해 나가야 한다. ⑥ 민요를 시․공간의 지평융합과 중층결정이 영향사적으로 누적된 오늘의 문화현상이라고 한다면, ‘저기 저 때로부터 지금 여기까지’ 한국 민요를 한국 민요로서 특화할 수 있도록 결정하고 있는 ‘일정한 구조’가 매우 중요한 연구주제로 다루어져야 한다. 결론적으로, 한국민요 연구는 21세기 해석학적 철학의 전통이해 방법론을 적극 도입할 필요가 있다. 그에 따라 민요를 ‘과거의 어떤 결과물로서의 노래’가 아니라, ‘지금은 물론 미래로까지 이어질 지평융합과 영향사적인 노래’로 인식하는 전향(轉向)적 연구태도가 요청된다. 이러한 한국민요학 연구의 해석학적 전향(轉向)은, 민요연구를 과거지향적인 연구에서 미래지향적인 연구로 바꾸어 줄 것이다.

      • KCI등재

        초 · 중등 민요교육의 문화교육적 탐색

        김민하(Kim, Min-ha) 한국민요학회 2021 한국민요학 Vol.62 No.-

        본 연구는 오늘날의 학교교육에서 민요교육의 필요성과 위상을 보편타당하게 정립하기 위한 방안으로 문화교육의 관점을 제안하고, 문화교육의 접근에 따라 민요교육의 방향을 탐색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에서는 문화교육적 접근에 따라 민요교육을 설계해야 할 필요성을 ‘문화적 산물로서 민요를 바라보는 관점의 확대’, ‘문화교육의 적용을 통한 민요의 본질적 이해 제고’, ‘문화교육에 기초한 민요교육의 지속성 및 역할 제고’의 세 가지 측면에서 고찰하였다. 이와 같은 필요성에 따라 문화교육의 관점에서 민요교육의 방향을 다음과 같이 탐색해 보았다. 첫째, 민요의 연행 맥락을 바탕으로 인간 삶의 보편성과 문화 다양성을 인식하도록 민요교육을 설계해야 한다. 둘째, 민요의 사회·문화적 맥락에 내재된 전통적 가치를 현대적 관점에서 수용하고, 전통과 소통할 수 있는 능력을 함양하는 방향으로 민요교육을 구조화할 필요가 있다. 셋째, 민요가 지닌 과거의 전통성에만 가치를 인식하게 하는 현 교육 실태를 개선하기 위해 ‘과거-현재-미래의 통시적 관점에서 민요의 가치를 탐색하는 것으로 관점을 확장해 나가야 한다. 본 연구를 통해 문화교육으로서 민요교육의 가능성을 확인하고, 민요교육 차원에서 보완해야 할 점들을 살펴볼 수 있었다. 앞으로 문화교육으로서 민요교육이 구체화되기 위해서는 학교급별 내용 구성과 교수·학습 방법의 활용 방안이 함께 논의될 필요가 있다. 더불어 차기 교육과정에 따라 음악교과서를 개발할 때, 민요교육 내용에 문화교육의 관점을 적극 반영하는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으로 본다. This study aims to suggest a culture education’s point of view as a method of establishing folk song education’s universal status and necessity in today’s school education and explore folk song education’s direction with culture education’s approach. This study considers the necessity to design folk song education with culture education’s approach in three aspects: ‘Expansion in viewpoint on folk songs as products of culture’, ‘improvement in essential understanding of folk songs through applying culture education’, and ‘improving folk song education’s sustainability and role based on culture education’. Recognizing such necessities, this study explores folk song education’s direction in culture education’s point of view as follows: First, folk song education shall be designed based on performance context of folk songs to form awareness of cultural diversity and universality of human life. Second, folk song education needs to be structuralized in a way that cultivates abilities to accept traditional values inherent in sociocultural context of folk songs in modern viewpoint and to interact with traditions. Third, to improve current education that enables understanding of traditional values only, a wider perspective is needed, and folk songs’ values shall be explored in diachronic point of view of ‘past-present-future’. This study confirms folk song education’s potential as culture education and explores defects of folk song education that require supplementation. To further realize folk song education as culture education in the future, more discussions are needed on contents for each school and class as well as application plan of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Furthermore, in developing textbooks according to future curriculums, it is suggested that efforts are made to actively apply culture education’s point of view to folk song education content.

      • KCI등재

        20세기 전반기 <회심곡>의 전승 양상

        손인애 한국민요학회 2013 한국민요학 Vol.37 No.-

        Hoisimgok, which was originated from buddhist music for donations and enlightenment, and composed of folk song style, has come to be well-transmitted in the form of Kyeonggi popular folk song in recent days. However, in the first half century of the 20th, the singers, who were usually born and active in the Seodo province, had recorded the popular folk song Hoisimgok, which was mixed with Kyeonggi and Seodo musical style This paper aims at investigating the origin of the popular folk song Hoisimgok by analyzing the songs in the first half century of the 20th, and explaining the musical relationships between the folk song Hoisimgok and the Yuembul Hoisimgok, which were sung by Buddhist monk for donations, and the historical transmission at that time by comparing these two genres of Hoisimgok. The main conclusions are as follows. First, the popular folk song Hoisimgok was rooted in Pyeong-Yuembul平念佛 included in Hoisimgok, a kind of Buddhist prayer, the contents of which are usually a prayer for the family and doing a virtuous practice of buddha’s mercy. Therefore, in the early stage, it was simple and short in tune, and has gradually converted to the typical popular folk song in the 1930's; it was more refined and nicely in a musical way. Second, the popular folk song Hoisimgok in the 1930’s was closely related with the Seoul Yuembul Hoisimgok, which means that two genres of Hoisimgok were interactional in the course of the change and development. Third, Hoisimgok was derived from the Yuembul Hoisimgok in Seodo province that was very popular and flourished in the traditional society. And this song had an impact on Seodo popular folk song singers, who had accepted the Yuembul Hoisimgok as their repertoire. Also under the close musical circumstances, the Seodo Yuembul Hoisimgok spread to the Seoul, and since the middle of the 20th century, the Kyeonggi popular folk song singers had adopt the latest form of the Seoul Yuembul Hoisimgok. This study shows well the vigorous musical exchanges and the close relationships between the Seodo and Seoul Hoisimgok in the past. <국문초록><회심곡>은 현재 경기소리 창자들이 부르는 민요형태가 대중적으로 성공하며 가장 잘 전승되고 있다. 그런데 20세기 전반에는 서도 출신 창자들이 이를 적극 수용하여 많이 불렀던 사실이 유성기음반을 통해 확인되어, 본고는 민요 <회심곡>의 음악적 유래와 20세기 전반 민요 및 염불 <회심곡>의 전승 양상에 대해 살펴보았다. 현재 발견되는 가장 오래된 민요 <회심곡>은 1912년 박춘재․문영수 창으로, 인사말+평염불+정구업진언으로 구성되며 이 시기 <회심곡> 중 가장 고형의 면모를 보여준다. 박춘재․문영수는 그들이 부른 경․서도 통속민요도 사당패소리에서 비롯된 초기 형태의 특징을 잘 지니고 있는 사실이 필자에 의해 최근 확인되어 이를 통해 민요 <회심곡>의 모본이 되는 소리의 특징도 최대한 파악해보면, 본래 <평염불(걸승타령)>계통으로 이와 사설이 많이 공유되고, 음악적 특징도 유사했던 사실이 확인된다. 그리고 이것이 서도 출신 창자들에 의해 이른바 민요 잡가로 본격 수용되면서, 한층 음악적으로 세련되게 다듬어진다. 그런데 관악산調로 부른 김주호 창으로 보건대, 20세기 전반 민요 <회심곡>은 서울 스타일인 관악산의 염불 <회심곡>과 근본적인 특징이 거의 같아. 그 음악적 뿌리가 같은 사실이 확인된다. 그리고 1930년대 음원을 토대로 20세기 전반 염불 <회심곡>의 특징을 살펴본 결과, 권명학 창은 이 시기 민요 <회심곡>과 사설 및 음악 특징이 흡사하다. 이로 볼 때, 민요 <회심곡>이 <평염불(걸승타령)>에서 비롯되었지만, 전승과정에서 염불 <회심곡>과 서로 영향을 주고받으며 함께 변화, 발전된 것으로 보인다. 그런데 그의 제자인 하룡남의 <회심곡>은 스승 권명학의 <회심곡>과 그 특징이 좀 다르며, 한층 세련되고 구성지다. 또한 유일하게 서도음악의 영향이 안 나타나며 현행 경기민요 <회심곡>과 사설 및 음악이 가장 밀접하게 연계된다. 따라서 하룡남 창은 20세기 전반 일종의 最新 염불 <회심곡>으로, 이러한 형태가 현행 민요 <회심곡>의 모본이 된 것으로 보인다. 한편 20세기 전반 민요 <회심곡>은 현행과 달리 서도 출신 소리꾼들이 많이 녹음하였고 이로 인해 서도음악 특징이 혼재되어있어, 민요 <회심곡>이 막연히 경기 음악권에서 발생한 것으로 보는 기존 설에 의문이 든다. 이에 그 음악적 유래를 재고찰해본 결과, 민요 <회심곡>은 본래 서도 음악권의 <회심곡(평염불)>에서 비롯된 것으로 보인다. 그 근거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이창배는 불가調 <회심곡>이 ‘서도창에 가까운 맛을 보인다’거나 국악인들이 부르는 <회심곡>에 ‘수심가조가 많고 특히 어떤 구절은 수심가조로 한다’고 언급하여, 본래 <회심곡>은 서도음악의 특성이 강한 사실을 시사해 준다. 둘째, 대표적인 경제 범패승인 송암스님에 따르면, ‘서도는 과거 황해도 고사염불이 유명했고, 탁발승의 인기가 대단했다’고 한다. 이는 민중들에게 친숙한 가락인 민요를 통해 서도 탁발승들이 대중과의 소통 및 교감이 매우 활발했던 것을 의미한다고 볼 수 있겠고, 그 영향을 서도 출신 창자들도 받았을 가능성을 생각게 한다. 셋째, 경제의 齋의식 음악에서 유일하게 민요가락으로 된 <축원화청>과 <화청>이 모두 서도음악권인 개성지역의 범패에서 형성된 사실이다. 이는 서도지역 불교 음악문화권에서 민요가락을 잘 활용한 사실을 보여준다고 할 수 있다. 넷째, 가장 초기 음원인 박춘재․문영수 ...

      • KCI등재

        동부민요권 멸치잡이소리에 나타난일본 민요의 수용 양상-그물당기는 소리를 중심으로-

        김혜정 한국민요학회 2020 한국민요학 Vol.58 No.-

        The purpose of the paper is to look at the changes in the post-acceptance and the Japanese boat songs that remain in Hamkyong Province, Gangwon Province and Gyeongsang Province. Among the boat songs, the song that was influenced the most by Japan is an anchovy net pulling song. Traditionally, nets were pulled by hand. However, with the introduction of manual machinery by Japan, Japanese songs were accepted together. At first, they sang Japanese lyrics and traditional Japanese music. But over time, it began to change little by little. The first thing that changed was the beat. This is because Korean and Japanese liked different beats. Next, the scale changed. This is because the Japanese scale was unfamiliar because the Korean and Japanese accents were different. The last thing left is the lyrics of the song. They are similar to exclamations, because they have no problem even if they don't know the meaning. Koreans have turned Japanese songs into Korean songs for decades. Because folk songs were living cultures, they achieved self-directed magnetization. 강원도와 경상남북도의 동해안 지역에 일본 어업노동요가 다량 수용되어 있다는 사실은 여러 연구를 통해 밝혀진 바 있다. 이 글에서는 지역 범주를 함경도부터 경상남도의 남해안까지의 동부민요권으로 확대하여 일본 어업노동요의 영향과 수용 양상을 정리하고, 특히 많은 영향을 받은 그물당기는 소리를 중심으로 수용 이후의 변화 양상을 살펴보았다. 동해안의 어업노동요에서 일본 민요를 수용한 것은 멸치잡이 어로의 그물당기는소리가 가장 직접적이었던 것으로 보인다. 그물을 손으로 당기는 것이 아니라 얼기에 감아 돌리는 방식이 수용되면서 ‘마이다’, ‘시매’ 등의 ‘감는다’, ‘조이다’의 뜻의 가사들이 수용된 것이다. 그물당기는소리의 전통적인 형태는 ‘다리여보자’, ‘당기어라’, ‘어야 사리야’와 같은 후렴구를 가진 것이었다. 함경도 자료에서는 전통적인 그물당기는소리의 비중이 높았으나 점차 남쪽의 자료로 올수록 일본 영향이 더 많이 발견된다. 그물당기는소리로 수용된 일본민요는 일부 노젓는소리와 그물푸는소리 등에도 영향을 주었다. 또 일본 민요의 변화 양상을 음악과 문학의 요소로 구분해 본다면 음악에 있어서는 박자가 가장 먼저 한국음악화되었고 다음으로 토리가 변화하였으며 가장 늦게까지 남은 요소는 일본어 가사이다. 민요에서 구호나 여음구는 의미를 모르고 부르는 일이 더 많기 때문에 일본어 구호가 그대로 남게 된 것으로 생각된다. 일본 민요의 영향과 수용 및 변화 과정에서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어민들이 일본의 민요를 그대로 수용한데 그치지 않고 자기화 과정을 거쳤다는 점이다. 자신들에게 편리하고 익숙한 형태로 스스로 고쳐서 한국화시켰다는 점은 민요학에서 매우 중요한 지점이라 할 수 있다. 그러한 자주적 수용과 적극적 변화 과정에서 살아있는 민요가 갖는 힘을 볼 수 있기 때문이다.

      • KCI등재

        전공자를 위한 대학 민요 교육 현황과 문제

        이용식 한국민요학회 2021 한국민요학 Vol.61 No.-

        Japga (literally “miscellaneous songs”) is the song for the professional folk singers. It has entered the university education later than other vocal genres that is still treated as peripheral music. In this sense, the serious study of the suitable curriculum for the folk songs in the college level is still not sufficient. The modern folk song education began in gwonbeon, the educational institution for female entertainers. They taught gagok (long lyrial song) and sijo (short lyrical song) in the first year and other folk songs in the second year. It means that the gagok and sijo are the elemental songs of the traditional music for the vocalization and breathing of the songs are the basic methods for the vocal music. The curriculum for the folk song major students of Gyeonggi minyo (Gyeonggi regional folk song) and Seodo minyo (“western folk song”) in the university education is rather arbitrary than systematic. It is due to the lack of serious study of the degree of difficulty among the folk songs to be taught. The Namdo minyo (“southern folk song”) has been thought to be affiliated to the pansori (epic vocal music) singers and has not been taught in most colleges. The folk song major students do not have sufficient chances to learn the various genres they need to learn in college that they are seriously depend upon their private lesson teachers during their college years. For the effective college education for the folk song major students, there must be full-time professors in the universities. The curriculum in the college education should be improved based on the serious study of the degree of difficulty among the folk songs. 전공자가 부르는 민요는 대학 교육 과정에 늦게 편입되어 여전히 주변부 음악으로 취급받고 있다. 그렇다보니 전공자를 위한 대학 민요 교육의 적절한 교과과정에 대한 심각한 논의도 아직 부족한 현실이다. 이글에서는 민요 전공자를 대상으로 하는 전통 교육과정을 검토하고, 현재 대학에서 시행중인 전공자를 위한 교과과정을 중심으로 그 현황과 문제점을 검토하고, 향후의 바람직한 교육적 대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근대식 민요 교육은 일제강점기 권번에서 이루어졌다. 권번에서는 1년급에 가곡과 시조를 가르치고, 2년급에야 잡가 등의 민요를 가르친다. 즉, 가곡과 시조는 전통사회에서 노래의 기초가 된다. 이는 가곡과 시조의 발성법, 호흡법, 창법이 노래의 기초가 되기 때문일 것이다. 현재 대학에서 경기민요 및 서도민요 전공자를 위한 교과과정은 체계적이라기보다는 임의적이다. 이는 대학 교과과정에서 학습해야 하는 노래의 난이도에 대한 실제적인 연구가 부족하기 때문이다. 더욱이 남도민요는 판소리 전공자가 겸창한다는 인식으로 인해 대학에서 거의 체계적인 교육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민요 전공자가 대학 졸업 후에 무대에서 통속민요를 부를 기회가 많은데도 불구하고 대학 교육에서는 이에 대한 교육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현실이다. 게다가 대학 교과과정에서 필요한 노래갈래를 모두 배우지 못하기 때문에 개인적으로 별도의 ‘레슨 선생’에 대한 의존도가 매우 높아서 학생들은 이중교육의 폐해를 입는다. 향후 대학에서의 민요 전공자 교과과정을 원활히 하기 위해서는 민요 전공 전임교수가 확보되어야 할 것이다. 그리고 대학 교과과정에서 민요의 난이도에 대한 심도 깊은 연구를 통해 체계적인 교과과정이 확립되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향토민요의 음악적 연구 현황 분석

        손인애 한국민요학회 2014 한국민요학 Vol.42 No.-

        This thesis is aimed to analyze a musical research situation of traditional folk songs, and study next research subject. The musical research situation of traditional folk songs can be largely classified into four kinds of study topic until up to now:(1) A study on a kind of report and music book, which are based on the massive materials gone through recording in the field; (2) A microscopic study on an individual or regional folk songs; (3) A study on an educational application and introduction of folk songs; (4) A study on an analysis theory concerning the scale-Tori토리, melody, beat and rhythm-Jangdan장단, a kind of ornaments-Sigimsae시김새. Virtually every field of musical study was began in the 1970~80s, but since the 2000s, it is developing and deepening in earnest. First, a study on a report and music book has thus far been concentrated in the Gyeonggi province, which demands the wider expansion of regional scope and depth henceforth. Secondly, a microscopic study on an individual or regional folk songs are varying an object and extending the area range in recent days, but the individual and regional target is much still to do. Thirdly, a study on the field of education is required to discover the more diverse folk songs that is educationally effective and interesting to learn, and develop the correct method of teaching. In future, the transmission of folk songs is assumed to have a close relationship with school education. Lastly, a study on an analysis theory is deeply done these days, but a lively controversy on a scale is still being achieved and an attempt must be made in various studies in a manner of korean music. In the last analysis, it is high time to prepare a more advanced study in every field of traditional folk songs. Further and closer studies are needed to grasp and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and identity of traditional folk songs. 본고는 향토민요의 음악적 연구 현황을 보고서 및 악보집, 각편, 교육, 분석이론의 항목 순으로 정리하고, 향후 그 음악적 과제를 생각해본 글이다. 민요의 보고서 및 악보집 연구는 1960~70년대에 시작되었지만, 2000년대 들어와 본격적으로 음악적 동의 및 방법론을 마련해가고 있다. 이 분야는 경기지역을 중심으로 연구가 가장 많이 이루어졌고, 나머지 지역은 아직도 많이 미진한 상황이다. 그 대표적인 예로, 민요 문화가 가장 다채롭게 발달되었던 것으로 보이는 전라도지역은 『한국의 민속음악』(1994) 이후 아직 이를 뛰어넘는 연구물이 나오지 않고 있다. 즉 2000년대 들어와 경기 외 지역의 연구는 거의 답보 상태로, 전국의 민요가 궁극적으로 더 많은 관심과 집중 속에 연구되어야 할 것이다. 이러한 작업이 어느 정도 완성될 때, 각 지역 민요의 고유한 특징 뿐 아니라 전국 민요의 음악적 관계 및 그 지도가 제대로 보이면서 궁극적으로 민요의 음악적 연구가 回通되는 단계가 올 것이라 생각된다. 그렇게 되면, 이를 토대로 각편 연구가 보다 정밀하고 폭넓게 진행될 조건들이 마련될 것이며, 나아가 민요의 음악적 이론 및 분석론도 서서히 정립되어갈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교육 분야에서도 제재 곡으로 보다 재미있고 다채로운 소리들을 많이 발굴할 여지가 생길 것이다. 다만 지금까지 조사, 수집된 방대한 기초 자료들이 향후 한층 심화된 향토민요 연구의 근간이 될 터인데, 현재는 접근하기 어려운 자료들이 많아 보다 많은 이들에게 제공하기 위한 웹서비스가 더욱 활성화되어야 하겠다. 향토민요의 각편 연구는 크게 개별 소리유형과 지역별 소리유형 및 그 전승양상에 대한 논의의 두 가지 경향이 보인다. 이 분야는 90년대 이후, 거의 2000년대 들어 본격화되고 있으며, 연구 대상이 다양해지고 지역은 한반도뿐 아니라 국외로도 확대되고 있는 상황이다. 그러나 이 분야 역시 아직 보고서 및 악보집 연구와 맥을 같이하며 경기지역을 중심으로 한 연구가 제일 많아 연구 지역의 편차가 심한 편이며, 천착할 소리 유형들도 많이 남아있다. 또한 전승 문제 및 지역 소리들 간의 연관성을 살펴보는 보다 체계적이며 종합적인 연구도 필요하다. 현장과 밀접하게 관련된 연구 분야라, 현재 빠르게 현장이 소멸하는 상황 아래 연구를 깊이 천착하는데 어려움이 있는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각편 연구는 민요의 지역성 및 정체성을 제대로 이해하고 파악하는데 가장 중요한 분야라, 앞으로 문제의식이 더욱 깊어져야 하겠다. 향토민요의 교육 분야 연구는 교육 지도 및 활용방안, 교과서 제재곡 개발 및 분석, 교과 및 교육 문제점과 개선에 대한 논의가 주요 경향으로 나타난다. 이 분야는 향토민요가 진정 민중들의 소리임에도 불구하고 교육용 민요로 통속민요가 많이 활용되는 현실에 대한 반작용의 흐름이 보인다. 향토민요를 교육용으로 개발, 활용하는 것도 2000년대 이후 본격화되고 있는 상황이라, 앞으로 기존 조사 자료를 더 적극 활용하여 보다 지역적으로 광범위하게, 그리고 교육적으로 효과적이며 재미있는 소리를 많이 발굴하고, 올바른 교수법을 연구하는 작업이 절실하다. 향후 향토민요의 전승은 교육과도 불가분의 관계가 될 것으로 보인다. 그런데 현재 민요교육 연구는 교육 관련 연구자들에게 거의 국한되어 있는 연구 특성 상 단발성 연구가 많아, 우선 보다 많은 이들의 관심이 필요 ...

      • KCI등재

        차상찬의 민요 수집과 유형 연구-開闢과 別乾坤을 중심으로-

        유명희 한국민요학회 2018 한국민요학 Vol.54 No.-

        Cha Sang Chan, a journalist, historian, writer and folklorist who is considered to be a forefather of a modern magazine. Despite his surprising achievements, there have been few studies about him and folklore and folksongs he loved. Cha Sang Chan’s 「Collection of Joseon Folksong」is categorized by provinces; Gyeongsangbuk-do, Gyeongsangnam-do, Jeolla-do, Gangwon-do, Pyeongahnbuk-do, Hamkyeong-do, and Chungcheong-do. According to the classification of folksong, 「Collection of Joseon Folksong」is made up of narrative folksongs. It does not contain many different functional folksongs. Among theses narrative folksong, is a <Saseung Norae> which is listed in 「Collection of Joseon Folksong」, 「Gebyeok」 and 「Beolgeungon」 This song, a kind of spinning song which is handed down in Gyeongsangbuk-do shows the tiredness of overnight working and unfair lawsuit. The reason Cha Sang Chan selected these kinds of narrative songs is that the songs contain ancestor’s heritage and traditions, which in turn, demonstrates his historical consciousness and national spirit. All the narrators of the songs in 「Gebyeok」 suffer from a hardship of life; A woman who worked spinning overnight but came home empty-handed; cow which has a nose ring and plows the field; a younger sister who committed a suicide to clear up a misunderstanding of a brother; a daughter-in-law who has a hard married life and always cries; a legal wife who is eager to kill a concubine; a person who are sucked his blood to mites that suck up other’s blood. Cha Sang Chan compared these people to those who are dominated by the Japanese. Otherwise, it is difficult to explain why he selected these songs though there are a lot of functional folksongs. It suggests that Cha Sang Chan deliberately chose and listed specific songs that illustrate severe reality of Chuncheon at that time. In a word, Cha Sang Chan, a representative writer from Chuncheon, definitely made a lot of efforts to present the people's harsh life and keep the historical awareness. 차상찬은 언론인이면서 역사학자, 문학가, 민속학자 등으로 평가받고 있는 인물로 근대 잡지의 아버지와 같은 인물이다. 그럼에도 그에 대한 연구는 미진한 편인데 특히 민속 분야와 민요 분야의 연구는 거의 없다. 차상찬의 『조선민요집』의 목록을 대강 정리하면 도별로는 경상북도, 경상남도, 전라도, 강원도, 평안도, 평안북도, 함경도, 충청도 등이다. 민요의 분류 측면에서 볼 때 『조선민요집』으로 묶인 민요들은 다양한 기능의 민요가 실리지 못했으며 특히 서사민요의 비중이 높다. 이 서사민요 중 『조선민요집』, 『개벽』, 『별건곤』에 모두 실린 <사승노래>가 있다. 이 노래는 경북 안동 지역의 삼삼는 소리로 삼삼는 일의 밤샘 노동에 따른 고단함과 억울한 송사이야기 등이 얽혀 있는 서사민요이다. 차상찬이 이 서사민요를 택하여 다시 실은 데는 우리 민족의 유구한 전통을 오늘날까지 이어오고 있음을 강조한 것으로 여기에서 우리는 차상찬의 역사의식과 민족주의적인 면모를 볼 수 있다. 『개벽』에 실린 민요들의 작중 화자는 모두 힘들고 어렵다. 삼삼는 일이 힘겹기만 한데 장에 팔러 왔다 낭패만 보는 처자, 쟁기를 매고 코뚜레를 뚫고 밭을 가는 힘겨운 소, 오빠의 오해를 풀고자 자살하는 누이동생, 시집살이가 너무 어려워 눈물 콧물 다 쏟는 며느리, 첩을 죽이고 싶은 본처, 남의 피를 빨아먹고 사는 진득이에게 피를 빨리는 사람 등 다양한 군상들이 고통받고 있다. 차상찬은 이들을 모두 일제강점기 하에 고통받는 조선 민중으로 해석한 것으로 보인다. 그렇지 않고서야 굳이 현실의 다양한 농요들이 펼쳐 있는 민요의 세계에서 이런 노래들만 선별한 것을 설명하기 어렵다. 이 사실은 춘천과 관계된 노래들을 당시 현실과 맞물려 설명한 것을 본다면 차상찬이 현실을 몰랐다기 보다는 당시의 엄혹한 현실을 보여주기 위한 민요를 선별하여 『개벽』과 『별건곤』에 실었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이처럼 춘천이 낳은 인물, 차상찬은 민요를 수집하고 선별하는 데에도 우리 민족이 처한 현실의 냉혹함과 처절함을 보여주고자 노력하였음을 알 수 있다. 이는 그의 역사 의식과 민족주의적인 면모를 드러내는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