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국내 혁신학교 연구에 관한 동향 분석

        유주영,유성상,김진아,권순정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미래원격교육연구원 2016 평생학습사회 Vol.12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research trends of innovative schools in Korea, and to provide directions and implications for further research. In order to achieve this, the study analyzed a total of 80 doctorial dissertations and articles published in the major journals. The results of the research trends could be summed up as follows. First, the number of research on innovative schools increased continuously and the research subjects became more diverse. However, it is still necessary to consider more various research subjects. Second, most of the research on innovative schools mainly conducted qualitative research, which signals researchers the need to use more various research methods. Third, it was mainly studied about elementary school, so it is necessary to study about respective school levels. Forth, researchers need to use various theories to understand and analyze innovative schools. 본 연구는 국내에서 수행된 혁신학교에 관한 연구들을 종합하여 체계적으로 동향을 분석하고 향후 과제를 제안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박사학위논문과 국내 학술지에 게재된 논문 80편을 연도, 연구 주제, 연구 방법, 학교급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와 논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혁신학교에 대한 연구는 증가 추세를 보였다. 이는 혁신학교에 대한 정책이 논의되고 본격화됨에 따라 연구에도 영향을 준 것으로 보인다. 둘째, 혁신학교 연구 주제 중에 교사를 주제로 한 연구가 가장 많았다. 이는 혁신학교 운영에서 교사가 중요한 주체로 인식된다는 것을 반영한다. 향후 혁신학교 연구는 다양한 주제로 수행될 필요가 있다. 셋째, 연구방법은 질적 연구방법이 가장 많이 수행되었다. 이는 혁신학교가 일반학교와는 다른 가치와 문화로 운영된다는 것을 보여 주기 위한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혁신학교의 성과와 현황을 정밀하게 파악하기 위하여 양적 연구도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넷째, 초등학교급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가장 많았다. 추후 혁신학교 연구는 중등학교,유치원을 대상으로 한 연구도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다섯째, 혁신학교 연구에 활용된 이론적 토대는 주로 현상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었다. 혁신학교 연구에 더욱 다양한 이론적 토대를 활용한다면 실천현장과 이론의 발전에도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혁신학교 교육과정 실행 양상 분석: 교육과정, 수업, 평가를 중심으로

        이주연,임유나,정영근,이경언,이민형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20 교육과정평가연구 Vol.23 No.2

        The aim of this study is to analyze how the curriculum is implemented in innovative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and to suggest the direction of its implementation for innovative schools. A nationwide survey was conducted focusing on the curriculum, instruction, and evaluation, and a total of 1,992 responses from teachers working at innovative school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The results indicate that innovative schools followed the direction pursued by the school curriculum well; furthermore, the opinions of members were reflected in the school curriculum in a culture in which teachers, parents, and students communicate and negotiate. In addition, in the innovative school, the curriculum was organized and implemented in connection with the local community, and projects with integrated subjects, classes with active student participation and interaction, and learning- and growth-oriented evaluation were actively conducted. However, the aspects of sharing, participation, communication, and cooperation and the implementation of learner-centered education were better realized at the lower school levels. Finally, consider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suggest five directions for implementation in the curriculum of innovative schools. 본 연구는 초‧중‧고 혁신학교에서의 교육과정 실행 양상을 파악하고 혁신학교 교육과정 실행 방향을제언하는 것을 연구의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학교 혁신의 핵심영역인 교육과정, 수업, 평가에 방점을둔 전국단위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혁신학교 교사 1,992명의 응답을 수집,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혁신학교에서는 전반적으로 자교 교육과정이 추구하는 방향을 잘 공유하고 있었고, 교사, 학부모, 학생이상호 소통하고 협의하는 문화 속에서 구성원들의 의견을 학교 교육과정에 원활하게 반영하는 양상을보였다. 또한, 혁신학교에서는 지역사회를 연계한 교육과정 편성・운영이 이루어졌고, 주제 중심 교과통합 프로젝트, 학생 참여와 상호작용이 활발히 일어나는 수업, 배움과 성장 중심의 과정 평가가적극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었다. 다만, 이러한 공유, 참여, 소통, 협력의 양상과 학습자 중심 교육의 실행은학교급이 낮을수록 더 잘 구현되고 있었다. 혁신학교 교육과정 편성・운영 지원 측면에 있어서 교사들은담당 수업 시수 감축, 교과 학습 양과 수준의 적정화, 경쟁 중심의 입시제도 개선, 행・재정적 지원 강화, 시・도 교육과정 편성・운영 지침의 자율성 확대 등을 요구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에서는 혁신학교의질적 성장을 위한 공공성의 가치 제고, 학교급별 특성을 반영한 혁신학교 교육과정 운영 모델의 다양화, 혁신학교 교육과정에 학교 인근 지역 및 마을의 지역성 반영, 교육활동 중심의 업무 체제 재구조화 및교사학습공동체의 역할 확대, 학교급에 따른 차별화된 혁신학교 지원 방안 마련 등을 제언하였다.

      • KCI등재

        서울형혁신학교 교육과정에 기반한 초등학생의 핵심역량 및 하위지표 개발 연구

        이성심 한국교육개발원 2020 한국교육 Vol.47 No.4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core competencies and sub-indicator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s performance indicators that can measure the new academic ability, which is the theoretical foundation of Seoul-type Hyukshin School.  Methodology: The author reviewed Seoul-type Hyukshin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and performed one FGI(focus group interview) and two Delphi surveys for teachers and supervisors concerned. Results: This study shows that characteristic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Seoul are defined as 'children who make their lives happy and cooperate with one another.' The core competencies are divided into cognitive, social・emotional, and practical ones.  Value: First, the evaluation of Hyukshin schools is prepared with a performance index that can be measured with a new view of academic background that encompasses cognitive ability. Second, five basic spirits of Seoul-type Hyukshin School are established along with student competency reflecting the specificity of elementary school class. Third, as part of the competencie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practical competency is included to combine life and education. 본 연구는 서울형혁신학교의 이론적 토대인 새로운 학력을 측정할 수 있는 성과지표로서, 초등학생의 핵심역량과 하위지표를 개발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형 혁신초등학교의 교육과정 고찰, 혁신학교 부장경력이 있는 5명의 교사를 대상으로 한 1회의 FGI와 혁신학교 교사, 혁신학교 교장, 혁신학교 업무 담당 장학사 20명을 대상으로 두 차례의 델파이 조사를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 서울초등 학생상을 ‘자신의 삶을 행복하고 더불어 사는 삶으로 가꾸는 어린이’로 정의하고 핵심역량을 지성을 기르는 인지역량, 감성과 건강을 키우는 사회‧정서역량 및 자신의 삶과 지속 가능한 세상을 가꾸는 실천역량으로 구분하였다. 본 연구의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의 전인적 발달을 목표로 학교의 변화를 시도해 온 혁신학교 평가를 인지능력을 포괄하는 새로운 학력관으로 측정‧평가할 수 있는 성과지표를 마련하였다. 둘째, 인권과 평등, 책임과 공공성, 자율과 창의, 자발과 참여, 소통과 협력이라는 서울형혁신학교의 5대 기본정신과 초등이라는 급별 특수성이 반영된 학생역량을 정립하였다. 셋째, 초등학생역량의 한 부분으로 실천역량이 포함되어 삶과 교육이 결합된 교육과정 재구성 및 수업 설계가 가능한 학습주제를 형성하였다.

      • KCI등재

        IB 교육과정을 활용한 다문화국제혁신학교 교육과정 설계 방향 탐색

        장인실,조현희 한국초등교육학회 2018 초등교육연구 Vol.31 No.4

        This study aims to explore future development directions of the Multicultural International Innovative School (MIIS) curricula by reviewing the educational orientations and design principles of the International Baccalaureate (IB) curriculum. First, this study illuminated the educational orientations and design principles of the IB curriculum. Second, the study unraveled the educational orientations of MIISs embedded in their backgrounds and current status. The findings highlight that the MIISs and the IB curriculum share common educational orientations, such as cultivating students’ international understanding and global citizenship, nurturing intercultural understanding and peaceful coexistence, and promoting educational equities by providing a culturally and linguistically responsive learning environment and ensuring learning opportunities for all students; hence, the IB curriculum serves as a valid tool for developing the MIIS curricula. Based on the findings, this study suggested that the design principles and strategies of the IB curriculum provide MIISs with useful knowledge and information for designing multicultural curricula which enhance the integration of global citizenship and cultural identities, making a balance between the national curriculum and their school-level unique curricula, constructing a process-based evaluation system, and realizing educational equities. 본 연구는 IB 교육과정의 교육적 지향과 설계 원리를 고찰함으로써 IB 교육과정을 활용한 다문화국제혁신학교의 교육과정 설계 방향을 탐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첫째, IB 교육과정의 교육적 지향과 설계 원리를 분석하였다. 둘째, 다문화국제혁신학교의 추진 배경과 현황에 나타난 교육적 지향을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이와 같은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IB 교육과정을 활용한 다문화국제혁신학교 교육과정 설계의 타당성과 설계 방향을 탐색하였다. 분석 결과, IB 교육과정과 다문화국제혁신학교는 국제적 감각을 지닌 글로벌 인재를 육성하고, 상호이해와 공존을 도모하며, 다양한 학생들의 문화적, 언어적 배경을 고려한 학습 환경을 제공함으로써 모든 학생들의 학습권을 보장 하고 교육평등 실현하고자 지향한다는 점에서 궤를 같이하며, 이에 IB 교육과정이 다문화국제혁신학교 교육과정 설계를 위한 틀로서 타당성을 지니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이와 같은 타당성에 근거하여 본 연구에서는 IB 교육과정의 설계 원리와 전략이 다문화국제혁신학교에서 세계시민성과 문화정체성을 통합한 다문화 교육과정을 설계하고, 공통교육과정과 학교특색교육과정 간의 균형을 도모하며, 통합 교육과정을 운영하고, 과정중심 평가체제를 구축하며, 교육평등을 실현해나가는 데 유용한 지식과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음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혁신학교 경험에 대한 담당교사의 자기회고적 내러티브 분석

        박휴용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22 교육문화연구 Vol.28 No.2

        본고는 J지역의 혁신학교 사업에 주도적으로 참여했던 담당교사들의 기억과 회고를 분석함으로써 혁신학교 정책의의미와 한계점을 논의하고자 하였다. 이 주제를 논의하기 위해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 두 가지이다: 첫째, 혁신학교정책의 취지나 목표에 대해 현장 교사들은 공감하고 수용하고 있는가?, 그리고 둘째, 혁신학교 정책이 개별학교나참여자들의 배경에 따라 어떻게 다르게 인식되고 있는가? 본고는 위 연구문제를 중심으로 J지역의 대표적 혁신학교로잘 알려진 4개 학교의 혁신교육 사업 담당 교사를 대상으로 현장 방문과 심층인터뷰를 진행하였고, 연구참여자들의응답을 내러티브 분석의 질적연구 방법을 기반으로 분석하고 논의하였다. 분석의 핵심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혁신학교 교사들은 혁신학교 정책의 목적이나 성과에 대해 인정하면서도 그것이 정책 자체 때문이 아니라현장교사들의 노력이나 헌신 때문이라고 인식함으로써 혁신학교 정책에 대한 강한 양가 감정을 드러내고 있었다. 둘째, 혁신학교 정책의 효과는 도심학교냐 농산어촌학교냐와 같은 개별적 학교의 상황에 따라 상이한 방식으로 나타나므로, 혁신학교의 보편적 확장이나 정책의 주안점을 배분하는데 유의해야 한다는 것이다. 셋째, 연구참여자들은 혁신학교정책의 정착에 선도적 교사의 노력과 동료 교사들의 협력이 절대적이라는 인식을 갖기 때문에, 이를 반영한 정책추진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 논의된 혁신학교 주체들의 목소리는 향후 혁신학교 정책의 방향과 지속가능성에의미 있는 시사점을 줄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교사들이 지각한 민주적·협력적 학교문화 특성 요인과 수업혁신 간의 관계 분석 : 매개효과 및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유지승(Yoo, Jiseung),최진영(Choi, Jinyoung) 부산대학교 교육발전연구소 2021 교육혁신연구 Vol.31 No.4

        연구목적: 이 연구는 수업혁신에 영향을 미치는 민주적·협력적 학교문화 특성 요인을 분석하고 학교문화 특성 요인과 수업혁신 간의 관계에서 학교 문화 요인들의 매개효과 및 조절효과를 검증하는 데 그 목적을 두었다. 연구방법: 서울형혁신학교 초·중등교원 467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21.0 프로그램를 사용하여 다중 회귀분석과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다중 회귀분석 결과, 리더십공유, 협력학습과 실천공유는 수업혁신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쳤으며, 이 중 협력학습의 영향력이 가장 크게 나타났다. 둘째, 비전공유는 수업혁신에 직접적 영향력이 나타나지 않았으나 협력학습 및 실천공유를 매개하여 수업 혁신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쳤다. 셋째, 민주적 의사결정과 수업혁신 간의 관계에서 리더십공유의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논의 및 결론: 학교문화 특성 요인들은 상호관련성을 가지고 수업혁신에 직·간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기 때문에, 학교 혁신 과정에서 학교문화 요인들에 대한 다차원적인 접근과 유기적인 개선이 필요하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지속 가능한 학교 혁신을 촉진하기 위한 민주적·협력적 학교 문화 구축과 관련하여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Purpose: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a)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factors of democratic and collaborative school culture and teachers’ instructional reform and (b) examine mediators and moderators among school culture factors and their effects on instructional reform. Method: Data were collected from 467 teachers working at Hyukshin School in Seoul. This study applied a multiple regression and a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es. Results: First, shared leadership, collective learning, and shared practice positively and directly influenced instructional reform. Second, it was shown that the impact of shared vision on instructional reform is mediated by collective learning and shared practice. Third, shared leadership acted as a moderator between democratic decision making and instructional reform. Conclusion: The findings from this study shed light on the importance of the multi-dimensional approaches and interrelationship within democratic and collaborative school culture factors, suggesting how to support successful instructional changes and sustainable school reform.

      • KCI등재

        혁신학교 정책이 민주적 학교문화에 미치는 효과 분석 : 교사가 인지하는 학교 문화를 중심으로

        이승연(Lee, Seungyeon) 한국교육행정학회 2021 敎育行政學硏究 Vol.39 No.1

        이 연구는 혁신학교와 비혁신학교의 민주적 학교문화를 집단 간 차이검증으로 비교한 후, 혁신학교 정책이 교사가 인지하는 민주적 학교문화에 미치는 영향을 3가지 구성요소(교사의 의사결정권한, 교사가 인식하는 혁신적 학교풍토, 교사의 학교참여 정도)로 나누어 분석하여 혁신학교의 일반화 정책 및 지속가능성에 대한 시사점을 제안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경기교육종단연구 6차년도 데이터를 통상최소자승법(OLS)과 경향점수매칭(PSM)을 활용해 분석하였다. 최종 분석대상 학교는 경기도 내 중학교 189개교이며, 교사는 총 1,357명으로, 이 중 혁신중학교는 총 51개교, 교사 333명, 비혁신중학교는 총 138개교, 교사 1,024명이다.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가 인지하는 민주적 학교문화는 혁신학교가 비혁신학교보다 유의한 수준에서 더 높게 나타났다. 둘째, 혁신학교 정책은 민주적 학교문화의 구성요소인 교사의 의사결정권한, 교사가 인지하는 혁신적 학교풍토, 교사의 학교 참여에 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이와 같은 분석 결과는 경기도 혁신학교 정책이 의도한 대로 학교의 민주적 문화에 효과가 있음을 나타내며, 혁신학교의 학교효과성이 지속적으로 엄밀한 인과추정의 방식을 통해 검증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이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정책적 제언과 후속연구를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school democratic culture of Innovative and non-innovative schools with T-test and to analyze the effect of Innovative Schools policies on the school democratic culture of teachers into three components(teachers’ decision-making authority, innovative school climate, teachers’ participation in school). This analysis aims to propose policy implications for generalization and sustainability of Innovative School policies. This study utilized data from 6th year data of the Gyeonggi Education Panel Study(GEPS). The data was analyzed with Ordinary Least Squares(OLS) and Propensity Score Matching(PSM) for the rigid estimation. The final analysis targets 189 middle schools in Gyeonggi-do, with a total of 1,357 teachers, 333 teachers from 51 schools and 1,024 teachers from 138 non-innovation middle schools. To summarize the analysis results, First, the school democratic culture perceived by teachers showed that innovative school were higher than non-innovative schools. Second, innovative school policies have a static effect on teachers’ decision-making authority, teachers’ perceived innovative school climate, and teachers’ participation in schools. These analysis results indicate that the policy of innovative school in Gyeonggi Province is effective in the school democratic culture as intended, and suggest that the effectiveness of innovative schools should be verified in a consistently strict causal estimation methodology.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policy suggestions and follow-up studies are proposed.

      • KCI등재

        광역형 혁신⁺학교 교육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연구

        임명희 교육종합연구원 2023 교육종합연구 Vol.21 No.4

        이 연구는 광역형 혁신+학교에 근무하는 혁신부장 교사의 혁신학교 성장과 변화에 대한 경험과 의미를 밝히기 위해 내러티브 연구를 하였다. 광역형 혁신⁺학교는 전라북도 교육청이 혁신학교 중에서 혁신교육 거점역할이나 참학력 기반 교사교육과정 연구 및 개발을 목적으로 초등학교 3개교, 중학교 1개교, 그리고 고등학교 1개교 등 5개 학교를 선정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이들 학교의 혁신부장 교사 5명을 연구참여자로 선정하여, 연구참여자별로 심층 면접을 진행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Clandinin과 Connelly가 제안하는 내러티브 절차로 이루어졌다. 연구문제는 첫째, 혁신학교 운영과정에서 혁신부장들이 겪었던 다양한 교육경험은 무엇인가? 둘째, 혁신학교 운영에 있어서 구성원들에 대한 믿음과 공감은 어떠했는가? 셋째, 혁신부장들이 경험한 혁신학교 성장동력은 무엇이었는가? 그리고 혁신학교의 성장을 위해 극복해야 할 일들은 무엇인가? 이 연구는 혁신부장의 혁신교육 경험을 바탕으로 혁신학교 발전 방안 및 시사점을 제공하는데 의미가 있다. This study conducted a narrative study to reveal the experience and meaning of the growth and change of innovation schools of teachers working in wide-area innovation + schools. The Jeollabuk-do Office of Education selected five schools, including three elementary schools, one middle school, and one high school, for the purpose of researching and developing an innovative education base or a teacher curriculum based on true education. In this study, five teachers from the innovation department of these schools were selected as research participants, an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for each research participant. The analysis of the data was conducted with a narrative procedure proposed by Clandin and Connelly. The research question is, first, what are the various educational experiences experienced by innovation managers in the process of operating innovation schools? Second, what was the belief and empathy for the members in the operation of the innovative school? Third, what were the growth engines of innovative schools experienced by the innovation chiefs? And what are the things to overcome for the growth of innovative school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providing measures and implications for the development of innovative schools based on the innovation education experience of the head of the innovation department.

      • KCI등재

        학교조직 혁신성, 동료교사 혁신성, 교사협력 사이의 구조적 관계 탐색: 다층구조방정식 모형의 적용

        윤익상 한국교원교육학회 2022 한국교원교육연구 Vol.39 No.4

        By using TALIS 2018 Korea survey data (304 principals and 2,472 teachers) collected by OECD, this study attempted to examine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between innovative school climate and teacher collaboration. At this time, considering the hierarchical nature of the innovative school climate, it was included in the analysis by classifying it into school organization innovation and peer teacher innovation. Given the hierarchical nature of the innovative school climate, I classified it into school organizational innovativeness and collective teacher innovativenss and used them for the analysis. In addition, considering the quality level of teacher collaboration, it was divided into professional collaboration and exchange and co-operation for teaching for the analysis. A multilevel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as applied as the main analysis technique. The main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 existed at the school level between the two elements of the innovative school climate, namely, school organizational innovativeness and collective teacher innovativeness. Second, collective teacher innovativeness predicted the two types of teacher collaboration positively at both teacher and school level. Third, school organizational innovativeness did not directly predict the two types of teacher collaboration, but it was found that it had a significant indirect effect (complete mediation effect) on both types of teacher collaboration through collective teacher innovativeness. Fourth, both school organizational innovativeness and collective teacher innovativeness predicted professional cooperation more strongly than exchange and co-operation for teaching statically. Based on the aforementioned main results, implications from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dimensions were discussed in relation to school and teacher innovative performance and teacher collaboration. 본 연구는 학교의 혁신성과 교사의 혁신 행위로 규정되는 혁신적 학교풍토와 교사협력 사이의 구조적 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OECD에서 수집한 TALIS 2018 대한민국 교장(n=304)과 교사(n=5,472)의 설문 자료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이때, 혁신적 학교풍토의 위계성을 고려하여, 이를 학교조직 혁신성과 동료교사 혁신성으로 구분하여 분석에 포함하였다. 또한, 교사협력의 다양한 양상을 고려하여, 전문적 협력과 수업을 위한 교환·조정으로 그 유형을 구분하여 분석에 활용하였다. 주요 분석기법으로는 다층구조방정식 모형을 적용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혁신적 학교풍토의 두 요소 즉, 학교조직 혁신성과 동료교사 혁신성 사이에는 유의한 정적 연관관계가 학교수준에서 존재하였다. 둘째, 동료교사 혁신성은 두 유형의 교사협력을 교사수준과 학교수준에서 모두 정적으로 유의하게 예측하였다. 셋째, 학교조직 혁신성은 두 유형의 교사협력을 직접적으로 예측하지는 못하였으나, 동료교사 혁신성을 매개하여 두 교사협력 유형 모두에 유의한 수준의 간접효과(완전 매개효과)를 가지고 있음이 나타났다. 넷째, 학교조직 혁신성과 동료교사 혁신성 모두 수업을 위한 교환·조정보다 전문적 협력을 더 강하게 정적으로 예측하였다. 본 논문은 이상의 결과에 대한 이론적 해석 및 정책적 시사점에 대한 논의를 제공한다.

      • 혁신학교 교원의 학교 교육활동에 대한 참여의식 분석

        최준렬(Joon Yul Choi) 공주대학교 교육연구소 2022 교육연구 Vol.37 No.1

        본 연구는 혁신학교 교원의 학교 교육활동에 대한 참여의식을 분석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혁신학교는 교원들에게 권한을 위임하여 자발적으로 학교를 경영하도록 하여 학교를 개선하려는 모델학교이기 때문에 교원의 참여의식이 대단히 중요하다. 충청남도에서 혁신학교를 4년 이상 운영한 경험이 있는 학교의 교원에게 참여의식을 질문지를 통해 조사한 결과 유치원, 초등학교, 중학교 교원 160명이 응답하였다. 조사하여 분석 결과, 혁신학교가 학교 발전을 위해 필요하다고 5점 만점에 4.28점으로 응답하여 필요성을 강하게 인식하고 있었다. 혁신학교에 응답의 74.4%가 자발적으로 참여하고 있으나 교사들의 31.3%는 수동적으로 참여하고 있었다. 혁신학교에 참여하는 이유로는 학생들에게 다양한 교육활동을 제공하기 때문이라고 67.5%가 응답하였다. 혁신학교 발전을 위해서 교사들은 민주적 의사결정이 중요하다고 생각하고 있는데, 관리자들은 배움중심의 수업이 중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부장 교사들은 학교업무 최적화가 중요하다고 응답한 비율이 높은 편이었다. 응답자들은 혁신학교이기 때문에 민주적 협의문화, 학교업무 최적화, 전문적 학습공동체, 배움 중심의 수업 등이 가능하다고 답하였다. 혁신학교는 교원들이 자발적으로 참여하여 학교의 문제를 해결하려는 혁신운동이다. 혁신학교의 교원들이 혁신운동에 대부분 공감하고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으나 일부의 교원은 이런 정신에 공감하지 못하고 수동적으로 참여하고 있다. 혁신학교가 추구하는 학교 중심의 자율적인 공교육 혁신의 모델이 되기 위해서는 혁신학교에 공감하지 못하는 교사의 문제를 인식하여 이를 개선하려는 노력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participation consciousness of innovative school teachers. Since innovative schools are model schools that try to improve schools by delegating authority to teachers to manage schools voluntarily, so the teachers' consciousness of participation is very important. 160 teachers from kindergartens, elementary schools, and middle schools that operated innovative school for more than four years in Chungcheongnam province responded to the survey questionnaire about consciousness of participation.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need of innovative schools for school development was strongly recognized by responding with 4.28 points out of 5. 74.4% of respondents answered they voluntarily participate in the innovative schools, but 31.3% of teachers answered they participate passively. 67.5% answered that the reason for participating in innovative schools is because they provide students with various educational activities. For the development of innovative schools, teachers considered democratic decision-making important, and managers recognized that learning-oriented classes are important. Senior teachers had a higher percentage of responses that optimizing school work was important. Participants responded that since it is an innovative school, democratic consultation culture, school work optimization,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and learning-oriented classes are possible. The innovative schools are an innovative movement in which teachers voluntarily participate in solving school problems. Most of the teachers of innovative schools agree with and actively participate in the innovative movement, but some teachers do not agree with this spirit and participate passively. In order to become a model for autonomous school-centered public education innovation pursued by innovative schools, efforts should be made to recognize and improve the problems of teachers who do not agree with innovative school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