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경제위기가 우울과 주관적 건강에 미치는 영향

        임유나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20 한국복지패널 학술대회 논문집 Vol.13 No.-

        본 연구는 경제위기가 개인의 우울과 주관적 건강에 미친 영향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정의하는 경제위기는 2007년 미국의 서브 프라임 모기지 사태에서 촉발된 글로벌 금융위기를 의미하며, 한국에서의 영향이 지역별로 다르게 나타났다는 점을 활용하여 지역 간 개인의 우울과 주관적 건강상태 변화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경제위기와 개인의 건강 결과 사이의 인과성을 밝히기 위해 준실험설계 연구인 이중차이 분석(Difference-in-Differences)을 활용하여 분석을 시행하였다. 연구 결과 우울의 경우 경제위기 발생 전후를 비교 분석했을 경우 영향을 받은 지역 여부에 따라 유의한 결과를 보이지 않았으나 7개 권역 구분 중 영향이 혼재되어 있지 않은 지역을 따로 구분하여 분석했을 경우 대구/경북에 거주하는 개인이 광주/전남/전북/제주 지역에 거주하는 개인보다 우울할 가능성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주관적 건강의 경우 경제위기 발생 전후를 비교했을 때 모두 경제위기로 영향을 더 크게 받은 지역에서 주관적 건강이 좋지 않을 가능성이 더 높았다. 연구 결과로 도출된 지역 간 우울과 주관적 건강의 차이는 경제위기가 개인의 우울과 주관적 건강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인임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경제위기가 개인의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했다는 점에서 의미를 가지며 경제위기로 인해 개인의 우울과 주관적 건강에 변화가 존재하였음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 KCI우수등재

        교육과정 개발과 실행에서 개념적 접근의 교육적 의의와 과제

        임유나 한국교육학회 2022 敎育學硏究 Vol.60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a conceptual approach to curriculum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through a study of the literature and to discuss its educational significance and related issues. The basis for this discussion was laid by analyzing the context and development of the conceptual approach to curriculum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the attributes of the "concept" that can be presented as educational content;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curriculum, class, and learning developed and implemented from a conceptual point of view. Based on theoretical analysis, a driving force for content optimization in selection and organization of educational contents, a valid approach for realizing student-centered and competency-building education, and an efficient and effective method consistent with the learning mechanism of the human brain are presented as educational possibilities of the conceptual approach. In addition, the intrinsic limitations in the selection and organization of educational content based on subject characteristics, the lack of professionalism and competency of teachers capable of coping with conceptual curriculum implementation, and the student burden due to an emphasis on cognitive aspects are discussed as limitations of the study. 과학기술 발달에 따른 지식과 정보 폭증의 시대에 적합한 교육과정 개발과 실행의 관점으로서 ‘개념적 접근’이 주목받고 있다. 본고에서는 문헌 연구를 통해 교육과정 개발과 실행에 있어 개념적으로접근하는 방식을 탐색하고, 교육과정과 수업, 학습에 대한 개념적 접근의 교육적 의의와 과제를 논하는 것을 연구의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교육과정 개발과 실행에서 개념적 접근이 강조된 맥락과전개는 어떠했는지, 교육내용으로 제시될 수 있는 ‘개념’의 속성은 무엇이고, 개념적 관점에서 개발되고 실행되는 교육과정, 수업, 학습은 어떠한 특징을 지니는지를 분석함으로써 논의의 토대를 마련하였다. 이론적 탐색을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교육내용 선정·조직에서 내용 적정화의 동인, 학생 중심, 역량 함양 교육 구현을 위한 타당한 접근, 인간 뇌의 학습 메커니즘에 부합하는 효율적, 효과적 방식이 될 수 있다는 것을 개념적 접근의 교육적 의의와 가능성으로, 교과 특성에 기반한 교육내용 선정· 조직의 내재적 한계, 개념적 수업 실행에 대응 가능한 교사의 전문성과 역량 문제, 인지적 측면의 강조로 인한 학생의 학습 부담을 개념적 접근이 가지는 한계와 과제로 도출하여 논의하였다.

      • KCI우수등재

        역량기반 교육을 위한 교육과정 개선 과제: 평가 측면을 중심으로

        임유나,홍후조 한국교육학회 2017 敎育學硏究 Vol.55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and discuss an assessment aspect of the curriculum for realizing a competency-based education involving competency-based concepts and the general curriculum’s perspective. To achieve this purpose, competency concepts and the features of a competency-based education and assessment were theoretically explored. In addition, the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and assessment standards documents were analyzed.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re are no explicit plans to check students’ development in key competencies because the documents do not mention any guidelines or plans to assess “key” competencies, which are considered to be the goal of education. Achievement standards and assessment standards are developed from a separate subject-centered perspective and are not completely based on the concepts of competency. Therefore, these standards cannot be considered to be the indicators of success in key competencies. There are difficulties in putting in place a curriculum that can lead key competency-based education. This research suggest that a curriculum system that can escape from separate subject education, such as subject-integrated and competency-based modules, has to be prepared, and a key competency assessment system including standards, indicators, tasks, and rubrics, has to be developed through research at the national level. 본 연구는 학교에서의 역량교육이 잘 구현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평가가 어떠한 모습으로 설계되어야 할지를 역량기반의 관점과 총론적 차원에서 탐색하고, 교육과정 개선 과제를 논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역량의 개념과 역량기반 교육의 특징, 역량기반 교육에서의 평가에 대해 이론적으로 탐색한 후,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총론, 교과 교육과정, 평가기준 문서들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평가 영역은 교육의 목표로 기능하는 핵심역량에 대해서는 직접적으로 언급하고 있지 않았으며, 학생들의 핵심역량 함양을 확인할 명시적 방안이 전혀 마련되지 못했다. 여전히 분과학문적 교과중심 교육의 틀 속에서 핵심역량 기반 교육의 관점을 온전히 반영하지 못하는 방식으로 구성된 성취기준과 평가기준이 핵심역량에 대한 성공의 지표로 간주되기에는 무리가 있었으며, 학교에서의 핵심역량 기반 교육 실천을 견인하기는 상당히 어려울 것으로 판단되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역량기반 교과통합적 모듈 수행의 필수화와 같이 교육과정상 분과학문적 교과교육을 탈피할 수 있는 체제의 마련과 핵심역량을 평가할 수 있는 기준과 준거, 과제와 루브릭과 같은 핵심역량 평가 체제와 평가 도구를 국가수준에서 마련해 줄 것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종이교과서에서 디지털교과서로의 단계적 발전 방안에 관한 시론

        임유나,홍후조 한국교육학회 2013 敎育學硏究 Vol.51 No.2

        This study was originated from a question about the government policy which is to fully replace the current paper textbooks with technically-unstable digital textbooks. The discussions on digital textbooks are partially exaggerated in the aspects of industry, economy and education, and also tend to bring a unrealistic fantasy based on the exaggerated effect. In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advanced studies on digital textbooks, many studies focused on measuring the effectiveness of academic achievement though there were no common study results finding that the academic achievement level of a digital textbook-use group is higher than the one of a paper textbook-use group. Also there were lots of concerns about negative influence of digital textbooks on students' emotional/social/physical development as students' and teachers' satisfactions with it were not even that high. In the results of comprehensively analyzing the strengths and weaknesses of both paper and digital textbook, we found that both types of textbook can largely supplement each other's weaknesses. In order to prepare measures to aim for the complementary and developmental directions of both types of textbook, this study suggested 5 developmental phases from paper textbooks to digital textbooks. It is such a progressive development phases including the stages in which paper textbook fully performs, the functions of paper textbook is a little decreased, but mainly used when supplemented with digital textbook, both paper and digital textbook are mutually used, digital textbook is mainly used when supplemented by paper textbook, and finally, digital textbook fully performs its roles. The transition into digital textbook should be dealt carefully. Taking strengths and discarding weaknesses of each textbook with continuous development of technology, the core of the transition into digital textbook is the matter of fully using the strengths of each textbook. 본 연구는 기술적으로 불완전한 수준의 디지털교과서로 현재의 종이교과서를 완전 대체하겠다는 정부의 정책 계획에 대한 의문에서 시작되었다. 디지털교과서를 둘러싼 논의는 산업적・경제적・교육적 측면에서 일부 과장된 면이 있고, 효능이 지나치게 부풀어져 환상을 가지게 하는 경향도 있다. 디지털교과서에 대한 선행 연구들을 분석한 결과, 많은 연구들이 학업성취도 효과성 측정에 초점을 맞추어왔으나 디지털교과서 활용 집단이 종이교과서 활용 집단보다 학업성취도 수준이 높다는 공통된 연구결과는 도출되지 않았다. 또한 디지털교과서의 활용이 학생들의 정서, 사회성, 신체 발달에 끼치는 부정적인 영향에 대한 우려도 적지 않았으며, 학생과 교사의 사용만족도도 그리 높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도 종이교과서와 디지털교과서의 장단점을 학생의 발달과 건강, 학생의 학습, 교사의 수업, 교육 자료화, 교과서 활용도, 교과서 가격 및 공급, 교과서의 유지 및 개선, 교과서 산업 등 다각적인 측면에서 종합적으로 분석한 결과, 두 종류의 교과서가 서로 다른 부분에서 지니는 결함을 보충해줄 수 있는 면이 적지 않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두 종류의 교과서가 상호보완적으로 점차 발전적인 방향을 지향해나갈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서, 그 전제 요인이 되는 디지털 기술 발달, 학생 발달 단계, 교과 내용 특성을 고찰하고, 종이교과서에서 디지털교과서로의 5단계 발전 방안을 제안하였다. 이는 종이교과서가 온전히 기능하는 단계로부터 시작하여, 종이교과서의 기능이 다소 줄어들기는 하지만 여전히 주가 되고 디지털교과서로 보완되는 단계, 종이교과서와 디지털교과서가 상호 병용되는 단계, 디지털교과서가 주가 되고 종이교과서가 보완하는 단계, 그리고 최종적으로 디지털교과서가 온전히 기능하는 형태까지 단계적・점진적으로 나아가는 것이다. 문명의 발전 방향은 디지털화이다. 그러나 디지털교과서로의 이행은 신중해야 할 것이며, 기술의 계속된 발전과 함께 각 교과서의 장점을 취하고 단점을 버려나가는 방향으로 나아가야 할 것이며, 디지털교과서로의 이행은 서로의 장점을 충분히 활용할 수 있는가가 핵심이 될 것이다.

      • KCI우수등재

        COVID-19 전담병원 간호사의 신종감염병 환자 간호의도 영향요인: 잡 크래프팅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임유나,박주영 기본간호학회 2022 기본간호학회지 Vol.29 No.1

        Purpose: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complexity, infection prevention environment,and nursing intention for patients with emerging infectious diseases, with a focus on the mediating effect of jobcrafting in hospitals dedicated to coronavirus disease 2019 (COVID-19). Methods: The study surveyed 202 nurseswith at least 3 months of work experience who encountered COVID-19 patients at a dedicated COVID-19 hospital.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IBM SPSS/WIN 25.0, and the mediating effect was analyzed through theSPSS PROCESS macro, using regression analysis. Results: It was demonstrated that job crafting fully mediatedthe relationship between job complexity and nursing intention for patients with emerging infectious diseases. Furthermore, this study showed that job crafting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infection preventionenvironment and nursing intention for patients with emerging infectious diseases. Conclusion: It was confirmedthat job crafting of nurses in a hospital dedicated to COVID-19 was an important mediating factor in their nursingintention for patients with emerging infectious diseases, and this finding is expected to support efforts to furtherimprove nursing intention for patients with emerging infectious diseases.

      • KCI등재

        역량기반 교육과정의 범교과적 접근 방식 탐색: 에스토니아, 핀란드, 호주, 캐나다를 중심으로

        임유나 한국미래교육학회 2021 미래교육연구 Vol.11 No.3

        본 연구는 학생 역량 함양을 강조하며 역량을 기반으로 교육과정을 개발, 구현하고자 한 국가나 주의 교육과정에 나타나는 범교과적 접근 방식을 분석하고, 향후 우리나라 교육과정 개발에 주는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을 연구의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교육과정에 역량을 도입한 국가이자 범교과적 접근 방식의 다양한 양상을 살펴볼 수 있는 에스토니아, 핀란드, 호주, 캐나다 BC 주를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여 국가나 주 교육과정 문서 및 관련 자료들을 분석하는 문헌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 범교과적 접근의 위상에 있어 교육과정 구조나 진술 속에서 범교과적 역량이나 주제를 교과와 동일하게 드러내고 구현을 지원함으로써 위상을 강화하였고, 요소와 내용에 있어서는 범교과적 역량과 주제를 구체화하고 교과와의 상보적 관계 속에서 역량-범교과 주제-교과 학습 간 연계성과 유의미성을 제고하였다. 운영 방식에서는 주제중심의 통합적 접근, 삶과 연계한 맥락적 학습, 역량 평가 등을 강조하였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역량기반 교육과정으로의 개발에 있어 고려해야 할 시사점을 범교과적 접근 방식의 위상, 요소와 내용, 운영 방식 측면에서 네 가지로 도출하여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cross-curricular approaches that appear in the competency-based curriculum and to derive implications for the future Korean national curriculum development. For this, literature research was conducted to analyze foreign national curriculum and related materials on Estonia, Finland, Australia, and BC Canada. As results, in terms of the status, it is reinforcing its status by revealing the cross-curricular competencies or themes in the curriculum structure or statement, and supporting implementation. In terms of elements and contents, cross-curricular competencies and themes are specified, and the linkage between competencies, cross-curricular themes, and subjects learning are improved. In the operation method, topic-oriented and integrated approaches, contextual learning in connection with life, and competency evaluation are emphasized. Based on main results, four implications were proposed in terms of the status, elements and contents, and the operation method of the cross-curricular approaches.

      • KCI등재

        뉴질랜드 학교・교사 학습공동체의 특징과 시사점: 교육과정 거버넌스의 새로운 모델

        임유나 한국교원교육학회 2018 한국교원교육연구 Vol.35 No.4

        본 연구는 뉴질랜드에서 최근 구현되고 있는 학교․교사 학습공동체에 대해 탐색하고, 뉴질랜드 학습공동체가 우리나라 학습공동체에 주는 시사점을 도출하여 논하는 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뉴질랜드 교육 체제와 교육과정, 학습공동체에 대한 보고서, 학술논문, 홈페이지 정보 등을 분석하는 문헌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 뉴질랜드의 학습공동체는 일반적인 교사 학습공동체의 특징을 가질 뿐만 아니라 “학교 밖 공동 목표의 설정과 협력”을 통해 교육과정 거버넌스의 한 축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하면서 학습공동체의 새로운 양상을 드러내고 있다. 또한 뉴질랜드는 교육 개혁과 지속가능한 개선을 위해서는 ‘학교 역량’을 향상시키는 것이 중요하다는 인식 아래, 학습공동체에 대해서도 학교단위의 시스템적 접근을 취하였으며, 교육부는 학습공동체 운영을 위한 행․재정적, 도구적 지원을 적극적으로 펼쳐 나가고 있다. 학교단위의 네트워크 형성은 학습공동체 내 교직원의 유연한 활용, 시설 공유, 비용 절감 등을 가능하게 하여 체제 전반의 변화를 가동시키는 장치로 기능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분권화, 지역화, 자율화에 따른 학습공동체의 역할 재모색과 운영 방식의 재구조화, 학습공동체를 통한 학교와 교사의 지속가능한 역량 강화, 학습공동체 내 인적・물적 자원의 협력적 활용과 운영 지원, 시간과 비용의 행・재정적 지원을 시사점으로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characteristics and implications of the recently implemented Communities of Learning (CoL) in New Zealand. Resources for this investigation included academic articles and government reports on New Zealand’s educational governance, curriculum, and CoL. Analysis revealed that New Zealand’s CoL are playing a role as an axis of curriculum governance by "setting and working with shared goals outside of school" as well as having features of the general teachers’ learning community. In recognition of the importance of improving the "school capacity" for educational reform and sustainable improvement, New Zealand has taken a systematic approach to CoL at the school level, and the Ministry of Education is actively supporting the CoL. The networking of CoL schools functions as a means by which CoL can flexibly utilize teachers and staff, share facilities, and reduce costs, thereby increasing the feasibility of systemwide change.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suggests research on the role of Korean CoL and reorganization of its operating system based on a policy of decentralization, localization, and autonomy; strengthening the sustainable capacity of schools and teachers through CoL; collaborative use of resources in CoL and support for CoL operation; and administrative and financial support of time and cost.

      • KCI등재

        국가 교육과정 문서의 대강화와 상세화에 관한 일고

        임유나 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19 敎育問題硏究 Vol.32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meanings surrounding curriculum simplification and specification as it pertains to the national curriculum documents and the direction of curriculum development. I provide an international comparative study based on an extensive literature review on the subject matter. Results from an analysis of prior research indicate that the meanings behind the simplification of the general curriculum includes the following: “including only common and sophisticated standards,” “optimizing needed contents,” “giving brief guidance,” “giving a lot of room for subject and time-allotment systems,” and “simplifying document structures.” Conversely, the general curriculum specifications also suggested that a comprehensive guidebook that includes all the forms and contents necessary for developing and implementing the school curriculum would be developed. The meanings of subject curriculum simplification also vary in scope and focus. These include a “reduction of the number of achievement standards” or “a comprehensive presentation of the achievement standards and statement itself,” and the focus on subject curriculum specification was intended for the “integration of curriculum related documents” and a “concrete and clear statement of achievement standards.” This study suggests a range of opinions and concerns surrounding “minimizing or integrating forms,” ”simplifying or specifying content through discussions on the developmental directions of the national curriculum for enhancing autonomy,” as well as addressing the “form and content of national curriculum documents,” and issues such as “school competency” and “teachers' professionalism, autonomy, and accountability.” 지방자치 강화 정책에 따라 국가 교육과정 대강화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 본 연구는 국가 교육과정 문서를 대강화 또는 상세화해야 한다는 주장의 ‘대상’이 무엇인가에 대한 궁금증에서부터 시작하여 국내 선행 연구와 국내외 교육과정 문서에 대한 문헌 연구를 통해 국가 교육과정 대강화, 상세화의 의미와 교육과정 문서 개발의 방향을 탐색하는 것을 연구 목적으로 하였다. 선행 연구 분석 결과, 전체적 방향으로서 교육과정 대강화나 상세화를 제안하여 그 대상이 모호한 경우도 있었지만, 총론의 대강화는 공통적, 요강적인 기준만을 담는 것, 필요한 내용을 최적화하여 담는 것, 간결하게 안내하는 것, 편제표와 시간 배당 기준에 여지를 많이 주는 것, 문서 체제를 간소화하는 것 등의 의미로 제시되었다. 반면, 총론의 상세화는 학교 교육과정 편성․운영에 필요한 형식과 내용을 모두 포함하여 종합서, 안내서로 개발해 주는 것으로 제시되었다. 교과 교육과정의 대강화는 성취기준 수의 감축, 또는 성취기준 진술문 자체의 포괄적 제시로 사용되었고, 상세화는 교육과정 관련 문서들의 통합, 성취기준의 구체적이고 명료한 진술 등으로 사용되었다. 향후 교육과정 문서의 대강화는 그 대상, 형식이나 내용, 기준과 지침의 ‘수’ 축소나 ‘진술’의 요강화 등을 구분하여 논의할 필요가 있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자율성 제고를 위한 국가 교육과정 개발 방향, 국가 교육과정 문서의 형식과 내용, 학교의 교육과정 편성․운영 역량과 교사의 교육과정 전문성, 자율성, 책무성에 대한 논의를 통해 국가 교육과정 문서 형식의 최소화/종합화, 문서 내용의 대강화/상세화 방향을 시론적으로 제시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