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해방 후 - 1960년대 민간단체의 성인문해교육활동: 대한기독교계명협회의 활동과 성과를 중심으로

        유성상,정다정,이화진 한국교육학회 2016 敎育學硏究 Vol.54 No.3

        This study reconstructs adult literacy education in the Republic of Korea since its liberation and into the 1960s. The activities of civil society organizations have not been extensively treated thus fa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construct and examine the activities of one such civil society organization, Korean Christian Literacy Association (KCLA), which contributed in adult literacy education as part of its Christian missionary activities. KCLA’s adult literacy education started with the impetus of Frank Laubach and his team’s visit to Korea in 1949. The association organized Literacy Clubs for Christian mission purposes, and initiated effective adult literacy education through this medium. Its teaching materials and literature were produced with the support of Laubach Foundation and missionary foundations. The association’s activities indicate: (1) civil society organizations would have had a considerable role in the miraculous expansion of Korean literacy; (2) civil society organizations would have largely depended on external, and especially overseas educational support; (3) in the case of KCLA, domestic professionals, rather than foreign missionaries, were the main actors; (4) KCLA’s adult literacy education activities were greatly influenced by the Laubach Foundation which funded them; (5) additional data are necessary to analyze the outcome of the KCLA’s activities. Finally, further rigorous research based on more substantial evidence and resources, is needed to reconstruct adult literacy education in the period following liberation and national construction. 본 연구는 해방 후 1960년대 초반까지의 한국의 성인문해교육을 재구성해 보되, 기존 연구에서 관심을 기울이지 않고 있는 민간단체, 특히 기독교 선교활동의 일환으로 진행되었던 대한기독교계명협회(KCLA)의 활동을 재구성해 보고, 이를 초기 성인문해교육의 학술적 연구대상으로 검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대한기독교계명협회는 1949년 Frank Laubach과 일행의 한국방문을 계기로 본격적인 성인문해교육활동을 시작하게 되었다. 협회는 선교를 목적으로 구락부를 조직하고, 이를 매개로 효과적인 성인문해교육을 실시한 것으로 보인다. 이에 필요한 문해교육자료 및 읽기 자료 제작은 라우박 재단과 선교단체의 후원으로 이루어졌다. 협회의 활동을 통하여, (1) 한국 성인문해교육의 기적적인 양적 팽창에 민간단체의 역할이 컸으리라는 점을 새삼 강조할 수 있으며, (2) 이러한 민간단체들은 외부, 특히 국외 교육지원에 크게 의존했으리라 판단되고, (3) 협회의 경우 외국인 선교사들이 아닌 국내 전문가들이 주로 활동하였고, (4) 협회 성인문해교육활동 방법은 지원기관인 라우박 재단의 성인문해교육활동에 영향을 받았고, (5) 여전히 협회의 활동성과에 대한 추가 자료 수집 및 분석이 요구된다는 점을 논의하였다. 결론적으로 해방 후 민족국가형성기의 우리나라 성인문해교육을 재구성하고, 이를 위한 자료수집과 정리, 보다 실증자료에 기반을 둔 연구가 보다 충실히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KCI등재

        교육은 갈등을 어떻게 다루어야 하는가?

        유성상 한국국제이해교육학회 2013 국제이해교육연구 Vol.8 No.2

        교육은 사회와 어떤 관계를 맺는가 이 질문을 다른 말로 표현하 면 교육의 사회적 기능은 무엇인가라고 표현할 수 있다 교육에 관 한 철학적 접근으로서 주요 질문이 교육의 목적 을 물음으로서 교 육의 본질을 추구하는 것임에 비추어 위의 질문은 교육의 사회구조 와 맺는 관계와 영향에 초점을 둔다는 점에서 아주 다른 질문이 된 다 사회구조의 크고 작음에 상관없이 교육의 사회적 기능은 크게 두 가지로 구분하여 제시되어 왔다 하나는 기존 사회의 틀을 바꾸 지 않고 유지하도록 하는 입장을 고수하는 것으로서 교육의 역할을 강조하는 것이었고 다른 하나는 기존 사회의 문제를 극복하고 변혁 하여 새로운 틀을 제안하고 실현하려는 기능에 초점을 둔 것이다 시대와 공간적 차이를 막론하고 교육이 사회의 제도로 자리잡아 오 면서 이 두 가지 기능 중 어느 하나가 다른 하나를 완전히 배제한 채 기능했던 적은 한 번도 없었다 따라서 교육과 사회과 맺는 관계 는 사회질서를 오롯이 유지하자는 주장과 사회질서를 완전히 바꾸자 는 주장의 양 극단의 중간 어느 지점에서 이해되고 기능하는 것이었 다 한 사회가 갖는 교육의 이러한 기능을 이해할 수 있는 가장 중요한 지표는 사회의 갈등과 긴장을 어떻게 이해하고 교육에서 이를 다루고 있는가 하는 점이다 즉 교육은 사회적 갈등을 어떻게 다루 고 있는가 라는 질문이 교육의 사회적 기능을 이해할 수 있는 핵심 기준이 된다

      • KCI등재

        모잠비크 교육의 질 향상을 위한 교사교육·훈련의 특징과 쟁점 분석

        유성상,박채원 한국외국어대학교 국제지역연구센터 2015 국제지역연구 Vol.19 No.3

        Since the movement towards ‘Education for All’ and ‘Millennium Development Goals’, ‘achievement of universal primary education’ became a central goal among international education agendas. According to survey results so far, many developing countries are predicted to reach the goal by 2015. As many argue that, however, the current achievement so far promotes only quantitative growth, the debates regarding the quality aspect of education have been active recently. This paper focuses on ‘the quality level of teacher education and training’ by determining that this element has a great impact on other elements of quality education. The researchers explored the features of teacher education in Sub-Saharan Africa through a case study in Mozambique and analyzed the major issues on them with a document analysis and site survey including interview. Based on the teacher education system in Mozambique, this paper discussed the issues including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in-service teacher training, and distance teacher education. Then, the following four points are drawn as main problems in teacher’s quality. One, the connection between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and in-service teacher training is scarcely firm. Two, it is seriously inequal of teachers quality by regions. Three, teachers in teaching profession are lacking professional training. Lastly, prompt reconstruction of social welfare for teachers is required. Following after such issue, challenges and tasks of education development and cooperation are suggested for assisting Mozambique to assure quality system in teacher education and training. ‘모두를 위한 교육(EFA)’과 새천년개발목표(MDGs)가 추진된 이래 ‘보편적 초등교육의 달성’은 국제사회 내 교육 의제들의 공통분모가 되었다. 지금까지의 조사결과에 따르면, 2015년 많은 나라들이 동 목표에 도달할 것으로 예측되나, 이러한 성과는 양적인 성장에 불과하다는 비판과 함께 교육의 질에 대한 관심과 개선을 위한 논의가 활발해지고 있다. 본고는 이러한 논의에 바탕하여, 질 높은 교육의 여러 요소들 가운데 ‘교사교육 및 훈련의 질적 수준’이 다른 교육 요소들의 한계와 문제들을 이어나갈 수 있도록 하는데 상대적으로 큰 파급효과를 가진다고 본다. 교육의 양적 확대에 따른 질적 수준 저하가 두드러진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 개발도상국가들의 상황을 검토하고, 교사교육을 중심으로 한 교육의 질 향상이 중요한 시도임을 문헌검토 하였다. 특별히 본 연구는 사하라 이남 개발도상국 중 교육의 질 문제에 있어 관심을 모으고 있는 모잠비크의 사례를 통해 교사교육의 특징과 쟁점을 분석하였다. 이에 본문에서는 모잠비크 교사교육의 체제를 바탕으로, 예비교사교육과정, 현직교사훈련 훈련, 그리고 원거리 교육에 대해서 검토하였다. 주요한 연구결과로서, 첫째, 예비교사교육과 현직교사훈련 간의 연계성 부족, 둘째, 교사들 간의 지역 간 교육수준 격차 심화, 셋째, 예비교사교육과 현직교사훈련의 전문성 결여, 그리고 마지막으로 사회공공시설의 부족에 따른 제도적 보완의 시급성을 논의하였다. 이러한 논의에 이어 결론에서는 모잠비크 교육의 질 제고를 위한 교육개발협력 과제들을 제안하였다.

      • 2021 아동 · 청소년 권리에 관한 국제협약 이행 연구 - 한국 아동 · 청소년 인권실태 심화분석보고서 : 학생의 인권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학교문화 및 환경요인 탐색

        유성상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21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연구보고서 Vol.- No.-

        본 연구는 학교 문화 및 환경요인이 인권인식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탐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OLS 방식의 회귀분석을 사용하여 두 가지 분석을 진행하였다. 첫째, 학교 문화 및 환경요인이 인권인식에 미치는 영향력을 탐색하였다. 둘째, 인권인식에 대해 학교 문화 및 환경요인이 인권교육과 어떤 조절효과를 보이는지 분석하였다. 위의 분석을 수행하기 위하여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의 2020년 아동 · 청소년 인권실태조사 자료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주 관심인 인권인식은 인권이 무엇인지, 인권을 구성하는 요소가 어떤 것이 있는지 단순히 인지적으로 아는 것을 넘어선 개념이다. 인권의 개념적 특성상, 자신의 삶에서 인권상황을 어떻게 체험하는지에 따라서 인권인식이 달라질 수 있다(구정화, 2017b). 그러므로 하루 중 대부분 시간을 학교에서 보내고, 그 환경에 커다란 영향을 받는 학생들은 학교에서 어떤 인권상황을 체험하는지에 따라 인권에 대해 각기 다른 인식을 가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특히 학교 문화 및 환경 중 인권과 관련된 요소가 인권인식과 관련이 있다고 여기며, 이 요소들이 인권인식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탐색하고자 하였다. 특별히 청소년과 관련된 인권인식은 이에 어떤 영향을 받는지 따로 분리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인권과 관련된 학교 문화 및 환경요소는 인권인식에 모두 유의한 영향을 주고 있었다. 학교인권존중, 학교만족도, 학생참여 및 존중 등 인권친화적인 환경은 인권인식에 정적인 영향을 끼친다고 분석되었다. 반면, 학생생활검열경험, 체벌피해경험, 동료폭력피해경험, 자퇴충동여부 등의 요소는 인권인식에 부적인 영향을 주고 있었다. 청소년관련 인권인식으로 대상을 제한하였을 때도 유사한 결과가 도출되었는데, 단, 자퇴충동여부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도로 영향을 주지 못했다. 두 번째로, 인권인식에 대해 학교 문화 및 환경요소가 인권교육과 어떤 조절효과를 갖는지 분석하였다. 다시 말해, 인권교육의 효과를 극대화하거나 감소시키는 학교 문화 및 환경요소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분석결과, 인권인식에는 체벌피해경험, 자퇴충동여부가 유의하게 부적인 조절효과를, 동료폭력피해경험이 정적인 조절효과를 보였다. 청소년 인권인식에는 학교인권존중, 학교만족도가 정적인 조절효과를, 체벌피해 경험과 자퇴충동여부가 부적인 조절효과를 보인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했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인권인식이 증진될 수 있는 학교 문화 및 환경 조성과 인권교육에 있어서 학교 문화 및 환경을 인권친화적으로 마련할 수 있는 제도적 뒷받침의 중요성을 제언하였다.

      • KCI등재후보

        말랄라의 파키스탄 여성 교육 운동에 대한 의미 탐색

        유성상,천선화 한국국제이해교육학회 2015 국제이해교육연구 Vol.10 No.1

        본 연구는 세계 평화를 진작하는데 있어 2014년 노벨평화상 수상자인 말랄라의 여성 교육권 옹호활동이 갖는 의미를 검토하고, 이것이 교육분야 개발협력에 제안하는 시사점을 탐색하는데 목적을 둔다. 이를 위하여 말랄라가 활동했던 파키스탄의 사회문화적 맥락과 교육적 상황을 조명하고, 말랄라의 저서 및 강연문 등의 문헌 연구를 통해 교육분야 개발협력에 있어 말랄라의 교육운동과 활동이 갖는 함의를 제시하였다. 말랄라는 혼란스러운 국내외 정치적 상황과 빈곤, 여성 교육을 탄압하는 이슬람 극단주의 속에서도 여성의 교육을 위해 노력했다. 그녀의 용기 있는 행동은 여성 학교 교육의 증진과 개발협력에 있어서 교육분야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데 큰 기여를 했다. 말라라의 교육 운동은 교육분야 개발협력에서 부딪힐 수 있는 종교, 정치, 문화적 갈등 및 국제사회의 교육개입 시기와 정도, 주체에 대한 다면적인 시사점을 던져주었다. 또한, 당시 외부 국제사회가 보여준 무력함과 대조적으로, 말랄라와 주변 지지자들은 보다 즉각적이고 탄력적인 시민 사회의 대응을 보여주었다. 아직도 말랄라에 대한 파키스탄 내부 비난의 목소리는 존재한다. 그러나 말랄라는 이슬람 극단주의에 서서히 물들어가던 파키스탄의 사회적 분위기에 휩쓸리지 않고, 비판적인 눈으로 정의와 평화를 위해 저항했다. 그녀의 교육권 옹호 운동은 종교적 극단주의와 테러리즘이 점점 더 심각해지는 오늘날, 진정한 세계 평화를 위한 개발협력 내 교육분야의 중요성 및 앞으로 나아가야할 방향을 잘 보여주고 있다.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meanings of the struggles of Malala Yousafzai, the Nobel Peace Prize Laureate 2014, for the right to education and look into their implications on the education sector in development cooperation. For the purpose, the study reviews the social, cultural and educational contexts of Pakistan, and analyzes her various forms of resistance through her book and relevant documents. Malala has resisted for girls' rights to education under the turbulent political circumstances inside and outside against poverty and Islamic extremism which oppressed girls' education severly. Her courageous actions have contributed to fostering girls' schooling and putting more emphasis on education sector in development cooperation. Her struggles have also given multifaceted implications in regards to religious, political, and cultural conflicts that education sector in development cooperation might face, and the timing, level, and main actor issues of the international society's educational interventions in a nation-state. Furthermore, Malala and her supporters has shown a great power of civil society in development cooperation whereas the international society appeared rather helpless on the Pakistani issue at that time. The voices of criticism of Malala still exist within Pakistan. However, she has not been not swayed by the dominating social atmosphere of Islamic extremism and resisted for peace and justice with her own critical perspective. Malala's struggles for the right to education show the importance of education in development cooperation and its right directions to pursue, particularly when religious extremism and terrorism has been threatening world peace harder.

      • KCI등재후보

        학생인권 담론과 주요 쟁점 분석

        유성상 한국교육정치학회 2011 敎育政治學硏究 Vol.18 No.2

        This study aims at suggesting the ways that students human rights('SHR')would be developed to a systematic discourse by analysing the current issues on SHR. For this, one main question is asked whether raising SHR is contradictory to teachers' right to teach in schools, in which students are considered as the immature who needs to be cared for. Four issues regarding this question are raised. At first, 'can SHR be limited at any condition?';second, does SHR stand in opposition to teachers' right?'; third, 'are secondary school-aged students immature?; fourth, 'is it blamable to relate SHR into any political intention?' In conclusion, SHR hardly happens to be given at any moment, but is educated, raised, practiced, and formed by consistent training and interactive actions under the condition in which human rights are hihgly considered and respected. Then, HR is itself an education. 이 글은 최근 쟁론화되고 있는 학생인권의 체계적인 교육정책 담론으로 형성되어가도록 쟁점을 분석하고 방향을 제시하는데 목적을 둔다. 학생인권을 신장하는 것이 ‘교육적’인 것을 주장하는 교사들의 교권과 배치하는 것인지, 여전히 미성숙한 아이들에게 지나친 배려가 아닌지에 대한 질문을 제기하였다. 주요한 쟁점으로는 다음 네 가지를 제기하였다. 첫째, 학생인권을 제한하는 것은 정당한가? 둘째, 학생인권과 교권은 대립하는 것인가? 셋째, 중등학생들은 미성숙한가? 넷째, 학생의 정치적 의식화를 어떻게 볼 것인가? 등이다. 결론적으로 학생인권은 어느 한 순간에 주어지는 것이 아니라, 서서히 키워지고, 또 실천함으로써 제대로 누릴 수 있는 그 자체로 교육적인 것이다.

      • KCI등재

        국제이해교육으로서의 교육 분야 개발협력에 대한 접근

        유성상 한국국제이해교육학회 2010 국제이해교육연구 Vol.5 No.1

        본고는 국제사회의 교육 분야 개발협력에 대한 기본적인 의제를 제시하고, 이에 대하여 한국의 교육발전경험이 어떤 의미를 가지는지, 그리고 지금까지의 한국의 교육 분야 개발협력의 현황과 실제가 갖는 이슈들을 논의하였다. 교육 분야 개발협력이 주어진 사회경제발전 지표를 충족시키기 위한 전략적 정책을 넘어서 보다 다양한 국가 간 상호존중의 이해관계를 형성하고, 문화의 다양성에 토대한 평화적 지원사업으로 다가갈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먼저 국제교육개발협력은 교육의 개념이 평생교육, 더 나아가 평생학습으로 점진적 확대, 진보해온 것에 따라 궁극적 목표의 확장과 혁신적 변화가 있어야 함을 주장하였다. 그리고 개발협력은 개별 학습자의 학습경험의 확대와 역량을 강화하는 것을 목표로 하되, 공여 주체와 수원 주체 간의 상호 존중에 터한 역량 강화 전략 마련을 주장했다. 이를 위하여 문화적 정체성을 강조하고, 다양한 의미의 세계에 대한 이해, 그리고 성찰하는 반성적 실천으로서 국제교육개발협력이 위치 지워져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